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이윤압착 행위의 부당성 판단

        황태희 사법발전재단 2016 사법 Vol.1 No.38

        Margin squeeze may be established where a vertically integrated company, such as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which is dominant in the upstream market sets its wholesale price higher or its own customer price lower to such an extent that its competitor in the downstream market cannot compete for the supply of products or services to customers. In 2015,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KFTC) issued desist orders and monetary surcharges to two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on the ground that they set their own retail prices lower than those of their competitors so as to diminish their competitors’ profits and exclude their competitors from the business messaging service market. Regarding the violation of Art. 102 TFEU, the EU Court of Justice (CJEU) reasoned that margin squeeze may potentially foreclose competition in the downstream market by leveraging one’s market power in the upstream market. The European Commission has laid out certain standards to evaluate such practice as distinguished from refusal to deal or predatory pricing. According to the Commission’s guideline, margin squeeze can easily occur in the regulated industry, and market dominant undertaking has a special responsibility to protect adequate profits of equally efficient competitors for the sake of a workable competition in the downstream market.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acknowledged in its Deutsche Telekom and TeliaSonera case that margin squeeze constitutes a stand-alone abusive conduct under Art. 102 TFEU, where the spread between wholesale and retail prices is negative or insufficient to allow an as-efficient competitor to compete for the supply of retail services to customers. By contrast, U.S. jurisdiction takes the position that the purpose of Section 2 of the Sherman Act is to protect consumer welfare. On this ground, the Court held ILEC (a dominant telecommunications company) not to have violated the Sherman Act because it has no antitrust duty to deal with its competitor at the wholesale level. The Court concluded that, with neither the duty to deal at the wholesale level nor predatory pricing at the retail level, a firm is certainly not required to price both of these services in a manner that preserves its rivals’ profit margins. In Korea, the Supreme Court made it clear in its famous POSCO judgement that, to allege exclusive abuse, the KFTC should show the market dominant company’s monopolistic intent or object, or otherwise prove anti-competitive effect. In the business messaging service case, the KFTC should have held the related conduct not as predatory pricing but as margin squeez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market dominant company’s expenses or the evaluation of whether competitors are equally efficient. Cumulative theoretical debate and economic analyses in court are expected to build the case law on this point. 이윤압착 행위는 수직적으로 통합된 시장에서의 지배적 사업자(vertically integrated dominant firm)의 경우에 상부 시장(upstream market)에서의 지배력을 바탕으로 하부 시장(downstream market)에서 거래를 함에 있어서 하부 시장의 경쟁사업자에게 불리한 가격조건으로 거래하는 행위로 개념 정의되고 있는데, 하부 시장의 경쟁사업자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종국적으로 그를 배제할 우려가 있는 행위이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라 한다)는 2015. 2. 이동통신 2개 사업자에 대하여 국내 기업메시징서비스 시장에서의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하여 경쟁사업자를 배제하였다는 이유로 각각 시정조치와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미국과 EU에서 이윤압착이 문제가 되었던 사례들은 수직적으로 통합된 회사가 상당한 투자가 이미 이루어진 유선 네트워크 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을 가지면서, 재료를 도매로 판매함과 동시에 하부 시장에서 완성품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시장의 고객이 하부 시장에서의 경쟁사업자가 되는 시장구조가 전제되고 있다. EU의 경우에는 EU 기능조약 제102조에 따라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남용행위로 보고 부당성을 넓게 인정하는 반면에, 미국에서는 규제법상의 공급의무 여부와 상관없이 행위를 통하여 상부 시장의 독점력을 유지 내지 강화하려 했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한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결국 이윤압착 행위는 수직적 결합기업이 상부 시장의 시장지배력을 이용하여 하부 시장의 효율적인 경쟁사업자에게 적절한 대가 이상을 요구함(또는 적절한 마진을 보장하지 않음)으로써 결국은 경쟁사업자가 시장에서 배제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약탈적 가격설정 내지 부당염매와는 다르고, 궁극적으로는 거래거절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다만 우리 법제상 경쟁사업자를 배제하는 효과를 갖는 여러 행위 유형이 경쟁사업자 배제행위가 아니라 다른 사업자의 사업활동 방해의 규정에 포함되어 있는 등 법률과 시행령 사이에 다소 간극이 존재하고, ‘기타 다른 사업자의 사업활동 방해행위(시행령 제5조 제3항 제4호)’와 같이 고시된 내용만을 규제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 때문에 이윤압착 행위를 시행령상 어느 규정에 적용하여 규제하여야 할지 의문이므로 추후에 이윤압착 행위의 요건과 판단 기준을 고시 내지 시행령에 명문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 규정에서의 ‘다음 각 호’의 의미 - 제3호와 제6호의 ‘거래 제한’의 의미와 제9호 전단의 역할론을 중심으로-

        황태희 한국경쟁법학회 2022 競爭法硏究 Vol.46 No.-

        Art. 40 para. 1 of the Korean MRFTAct uses a method of listing the types of violations in terms of behavior. However, in the case of unfair colliusion that do not have specific types of acts in the enforcement ordinance, it is necessary to strictly interpret them in consideration of criminal sanctions with violation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next subparagraph’ stipulated in Art. 40 paragraph 1,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limited enumeration regulation, and if there is any mutual interference between regulations, it should be resolved through interpretation theory. For example, it is not desirable to regulate all types of ‘transaction restrictions’ to subpara. 3 just because the regulations for ‘restricting trades’ are placed in subpara. 3. The reason is that th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examining unjustness in hardcore cartel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softcore joint actions. In particular, if an act restricts ‘types or standards’, it is judged by applying subpara. 6 first, and unless it is clearly proven whether it has the nature of a hidden hardcore cartel with only the effect of limiting competition, there is much room for the disposition to be considered invalid. In addition, it is not desirable to comprehensively interpret the subpara. 9 as supplementary provisions of other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dding reasons for disposi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dispos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paragraph of Art. 40 para. 1,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o allow it by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basic facts’. However, the regulation of this enumeration method is not easy to cover various competition restrictions in a rapid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and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a new cartel in the long run, so the legislative theory of changing unfair joint actions to general provisions. It can be considered reasonable for that reason, but it should be accompanied by improvement of criminal sanctions.

      • KCI등재

        공정거래법 상 부당공동행위 위법성 판단에서의 시장획정과 시장점유율

        황태희 한국경제법학회 2017 경제법연구 Vol.16 No.2

        Article 19, Clause 1 of the MRFTA,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ype and substance of collaboration among competitors. But by the amendment in 1999, any market definition does not need in judging the illegality of all unjust agreement. But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decided regardless such differences. Furthermore, the Court still calls for the defined market analysis against strong anticompetitive-presumed agreements. First of all, the nature of illegal acts should be divided into illegal judgments of illegal acts. And the detailed analysis process of the relevant market or market share should not be needed in determining illegality against hardcore cartel. If the fact of agreement is revealed and the effect of the agreement limiting competition is showed, the competitive restriction should be acknowledged in principle. In other words,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eting limiting factors based on the market share is not directly measured by market dominance or competition limiting effects, and the fact that the competition limiting effect has been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market share has been compromised or decreased. Although the Supreme Court bases its competitiveness on market share based on market share, certain collaboration may result in a clear competition limiting effect, such as lower prices and reduced product, even if the market share i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criterion for identifying relevant markets and the role of market share in evaluating cartels. 현행 공정거래법 제19조 제1항은 공동행위를 유형 내지 내용별로 구분하지 않고 있다. 조문상으로 보면 본질적으로 경쟁제한적인 경성 공동행위(hardcore cartel)와 그렇지 않은 연성 공동행위로 위법성 판단 기준을 구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특히 99년 법 개정으로 모든 부당한 공동행위의 판단에 있어서 시장획정이 필요없도록 한 것처럼 법을 개정한 것은 그러한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부주의한 법 개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여전히 판례는 시장획정과 함께 경쟁제한성이 명백히 드러나는 경성 공동행위에도 엄정한 시장분석 까지를 요구하기도 한다. 그런데 부당한 공동행위의 위법성 판단단계에서 행위의 성격을 구분하고 그 목적 내지 성격상 경쟁제한성이 당연히 인정되는 공동행위에 대해서는 관련시장이나 시장점유율의 분석 과정을 엄정히 할 필요가 없으며, 합의 사실이 인정되고 이 합의가 경쟁을 제한하는 효과가 밝혀진다면 원칙적으로 경쟁제한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즉, 관련시장의 획정 및 시장점유율에 기초한 경쟁제한성 판단의 방법은 시장지배력이나 경쟁제한의 효과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그 대리변수로서 경쟁제한성을 추론하는 것이므로 실제로 시장지배력이 행사되어 가격인상 내지 산출량 감소 등의 사실이 발생하였거나, 경쟁제한의 효과가 발생한 사실이 직접 입증된 경성 공동행위에는 시장획정이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대법원은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경쟁제한성을 추론하고 있으나, 특정한 부당 공동행위의 경우에는 시장점유율이 낮더라도 합의가 가격인상 내지 산출량 감소 등의 명백한 경쟁제한 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시장점유율을 통하여 일률적으로 경쟁을 제한하는 정도의 판단을 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관련시장 획정과 시장점유율의 역할에 대한 기준 자체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빅데이터와 경쟁정책: 국내 온라인 비즈니스 분야 시장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황태희,김민기,조혜신,윤성훈 정보통신정책학회 2019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6 No.3

        현대사회에서 정보는 다량으로 수집, 분석되고 규모, 다양성, 속도, 정확성을 중심으로 하여 빅데이터로 가공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빅데이터 시장에 대하여 외국의 경쟁당국 등에서는 빅데이터와 관련한 시장 및 경쟁제한 행위의 판단기준, 개인정보 보호의 관련성 등에 대하여 적절한 해석과 정책적인 해법을 위한 시장조사 또는 연구결과 보고서를 이미 발간하였고, 일부 국가는 이에 근거하여 이미 적극적인 법 집행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빅데이터와 관련한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어떠한 경쟁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진은 국내외 선행 연구 및 외국 집행기관의 집행사례들을 토대로 빅데이터 관련 경쟁법상 쟁점을 파악하고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내 빅데이터 시장에서 기업 간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의 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이에 빅데이터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가들을 대상으로 2차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빅데이터를 자유롭게 수집/거래할 수 있는 법률적, 경제적 여건이 미흡하여 빅데이터 관련 시장이 성숙하지 않았고, 그로 인하여 경쟁실태를 논할 만한 환경 자체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설문결과가 나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럼에도 빅데이터와 그에 기반을 둔 새로운 기술들은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빅데이터의 활용도는 점점 더 커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들의 후생과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관련 국내 시장을 선행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고, 그 시장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쟁제한 내지 불공정한 행위에 관한 적절한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In the digital era, firms have been increasingly collecting, processing and utilizing so-called big data, which have become firms’ strategic assets in market competition. Competition authorities of foreign govern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exerted efforts to find new legislative or interpretative approaches and institutional solutions to firms’ competition-limiting behaviors related to big data and privacy concerns. In Korea, however, less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to define big-data markets and assess the relevance of big data for competition law enforcement. Since defining the big-data market is challenging and has not been done in existing literature, we conduct explorative research of firms via an online survey with questions based on foreign competition policy and potential anti-competitive issues related to big data. Surprisingly, few firms raise concerns about unfair competition regarding big data in terms of data collection and exchange (i.e., buying, selling and sharing data) for their own business. We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se percep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rms’ working-level experts in charge of big data. We find that the survey results may be driven by immaturity in the Korean market, and that it may be still too early to discuss big-data related competition issues. Korean enterprises cannot freely collect or exchange big data with their counterparts due to restrictive and ambiguously-written privacy rules. Facing regulatory risks, Korean firms are reluctant to engage in new business opportunities utilizing or exchanging big data. Given that foreign market- dominant companies doing business in Korea are more aggressive in utilizing big data under their countries’ own rul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providing more specific and articulate guidelines regarding firms’ big-data use and the links to personal data protection. These efforts may alleviate the privacy concerns and regulatory risks in firms’ pursuit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using big data.

      • KCI등재

        하도급법 상 위법한 대금 결정의 판단기준과 제재의 적합성 연구

        황태희 한국상사판례학회 2019 상사판례연구 Vol.32 No.2

        Subcontracting is a private contract, but the trading position of the principal contractor is often superior to that of the subcontractor. Thus, the Fair Trade in Subcontract Act was enacted so that the government could be involved in the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ubcontract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unfairness in the contract relationship. The decision on the payment under the subcontracting method is that the principal 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or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xchange and agreement of sufficient information so that the service provider does not receive any less than the others normally paid. However, if such an action is not proved, it will be considered an unfair payment decision. Such acts should be interpreted in an objective and reasonable way in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for determining the illegality of the acts, since there are cases in which proof of a justifiable cause is not necessary. It should be fully considered that the pattern of subcontracting varies widely, the reasons for the low payment vary widely and in some cases it has economic rationality. Notwithstanding the current statutory structure, in which the FTC does not prove unfair to low subcontracting payment, and which makes the principal contractor should justify its decision on subcontracting, in particular types of acts, such actions, regardless of their justifiable reasons, constitute an unjustified payment decision. In addition, clarify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factors of proof of several acts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future law enforcement, as such actions would result in very high levels of sanctions, such as corrective actions, penalty points in addition to fines, and limiting eligibility for bidding.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nature and extent of the sanctions imposed by the acts ar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illegality, as ar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industries or external factors caused by the overall economic downturn, and above all, for activities where the burden of proof has been shifted, such as the deemed provisions. 하도급법 상 대금의 결정은 원칙적으로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가 일반적으로 지급되는 대가보다 낮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기만적인 방법을 사용하거나 그러한 합의의 기회를 제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가 충분한 정보의 교환과 합의로 결정되어야 한다. 하도급법 제4조 제1항은 낮은 대가로 하도급 대금을 결정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2항에서 특정한 행위가 있는 경우에 부당한 대금결정으로 간주하는 규정이 있어서 정당한 사유를 원사업자가 주장, 증명하여야 하는 행위 유형도 있지만, 정당한 사유의 입증 자체가 불가능한 행위 유형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행위들의 경우에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행위 요소를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일방성, 기망성 등의 해석에 있어서도 판례의 취지에 맞게 엄격하게 해석하는 것이 다른 조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타당할 수 있다. 하도급법의 중요한 목적은 수급사업자를 보호하는 데에 있고, 원사업자가 부당하게 하도급 대금을 인하하여 수급사업자를 괴롭히는 것은 허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다양한 산업의 특성이나 전체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외부적 요인과 같은 점, 그리고 무엇보다 사적자치가 적용되어야 하는 행위에서 의제규정을 두어 증명책임을 전환시킨 행위에 있어서는 그 위법성 판단의 요소들과 그에 상응하는 제재가 적합한지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금결정행위에 대하여 벌점을 부과하여 입찰참가자격을 제한을 요청하는 등의 공법적 제재는 오히려 정당한 대가를 받고 하도급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수급사업자의 이익을 침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하도급 거래에서 민사적인 해결방안을 어떻게 활성화 시킬 수 있을지도 지속적으로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 메타버스를 활용한 스마트관광 콘텐츠 개발방안

        황태희,최희수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코로나 19로 인하여 오프라인에서의 활동이 제한을 받게 되면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였으며 온라인을 통한 일상과 사회 활동은 코로나 이후 익숙한 일상 환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시대적 흐름 속에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도 사회적 흐름에 발맞추어 관련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광 관련 정부 정책 중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과 메타버스와의 사업 연계를 통하여 지역 관광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관광 구성요소 중 스마트 플랫폼 구축과 메타버스 4대 유형 중 하나인 라이프로깅을 연계한 지역 가상여행 플랫폼을 개발하고 온라인투어, 가상 온라인 체험형 콘텐츠, 온라인 유통, 소셜 라이프 체험 등 관광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네거티브 규제와 규제 방식의 개선

        황태희 성신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성신법학 Vol.- No.10

        네거티브 규제 방식이란 "규제의 근거가 되는 법령에서 특정한 사항을 열거하여 제한적으로 금지시키는 방식으로 되어있는 규제"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규제의 형태가 네거티브 형태로 바뀐다면, 포지티브 방식에 비하여 기업의 자율성과 영업의 자유를 보장해 줄 가능성이 높다.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네거티브 규제 방식은 포지티브 방식보다 행정청에 의한 제한이나 수범자의 행위에 대한 제약이 적어, 상대적으로 규제 수범자의 자유를 보장해 줄 수 있다. 또한, 규제당국의 행정비용이 경감될 가능성도 있다. 결국 네거티브 규제의 핵심은 명확화, 단순화하고 행정비용과 수범자의 행정 부담을 경감시키는 규제를 만들자는 것이며, 네거티브 규제가 성공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자유롭고 공정한 시장의 기본적 기능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A negative regulation can be defined "A regulation in a way that restrictions on the basis of law enumerates certain matters". If forms of regulation change into negative list forms, undertaking would be guaranteed economical autonomy and the freedom of trade more than in a positive way. Negative regulatory approach is relatively less restrictive to conduct of private sector. In addition, the administrative costs of regulatory authorities are likely lessen. Eventually the main object of the negative regulatory method can make regulation more simple and administrative costs less. But negative regulation would be successful in case that free and fair market economy is well-functioned.

      • KCI등재

        가맹사업에서의 가맹희망자 보호

        황태희 한국경제법학회 2017 경제법연구 Vol.16 No.3

        The franchise business allows the franchise headquarters to build and maintain a wide distribution network and the franchisees can use their reputation or know-how of the franchisor with a small capital. The franchising is mentioned as an excellent distribution method that can mutually win. However, the franchisor imposes an unfair condition and provides false information, resulting in frequent damage to prospective franchisees or franchisees. Prior to signing the contract, the franchisor shall issue a contract and an information disclosing document to the prospective franchisee, and the prospective franchisee must enter into a franchise agreement by negotiating with the franchisor at his / her own discretion. In the process, it may be protected by legal means such as deposit of franchise fee.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protect the applicant as a prospective franchisee in the previous stage of signing a contract and to have appropriate legal protection as a franchisee when the contract is concluded. In addition, the franchise headquarters may impose some burdens such as restricted business conditions or sharing of promotion expenses, bu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does not apply to prospective franchisees. There i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whether the fiduciary business has a unified image and whether there is any obstacle in guaranteeing the same quality of goods and the specific details of the cost sharing, participation in the event. 가맹사업은 가맹본부가 적은 자본으로 넓은 유통망을 구축 내지 유지할 수 있게 해주고, 가맹사업자는 가맹본부의 명성 내지 Know-how를 이용하여 무경험, 소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하며 단시일 내 투자효과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상호 상생할 수 있는 우수한 유통방식으로 언급되고 있다. 그런데 가맹본부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예상수익을 약속하는 등 허위과장 광고를 하거나, 정보공개서를 제대로 등록하지 않거나 제공하지 않으면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기만적 방법으로 가맹희망자들을 모집함으로써 결국 그들이 가맹점주가 되어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맹점 모집단계부터 가맹희망자를 실효성있게 보호하여야 할 것이다. 가맹계약에 앞서 가맹본부는 가맹희망자에게 계약서와 정보공개서를 교부하여야 하고, 가맹희망자는 자신의 판단에 따라 가맹본부와 협상을 하여 가맹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하여야 한다. 그 과정에서 불충분한 정보공개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법적인 구제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가맹본부가 광고의 실시여부 및 판촉비 등의 비용부담에 대하여 미리 정함이 없이 일방적으로 광고를 실시하고 그 비용을 가맹점사업자에게 부담시키는 등의 행위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맹사업의 거래특성, 전국적인 판매촉진행사의 목적과 행사의 수립 및 집행과정, 가맹점사업자와의 사전협의 절차 및 비용분담의 적정성 등을 고려하여 관련 내용을 사전에 정보공개서 내지 계약서에 반드시 포함시키는 것이 분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정거래법 상 거래상 지위남용행위의 법리

        황태희 법무부 2018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81

        Abusing a superior trade position makes the content of transaction unfair, which is prohibited by MRFTA as unfair trade practice. The unfairness of the transaction implicates that one party who has a superior position not only gives economical disadvantage to the counterpart in a individual transaction but also disturb the free willingness and the freedom to decide the contract of the contract partner.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some differences in estim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counterpart is a business person or a simple consumer, but it should protect a basis for free competition from protecting the freedom of the other's decision. And the abuse of transaction status is closely related to the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which are regulated separately in MRFTA. If there is a large gap in the trading position so that the parties cannot freely make decisions,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m to protect the counterpart in the weak position and to maintain fair and free competition base in the market. The legislative measure and law enforcement should be harmonized to adjust interests and disadvantages of such parties and to protect the basement of free and fair competition. 공정거래법 상 불공정거래행위로 규정된 거래상 지위남용행위는 거래 일방이 우월한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하여 거래 상대방의 자유의지에 따른 계약 체결의 여부 및 내용결정의 자유를 침해함으로써 공정하지 않다는 이유로 금지된다. 거래 상대방이 사업자인지 소비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의 정도 차이는 있지만, 개별 거래의 경제적 불이익을 시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유경쟁의 기반을 마련하고 공정한 거래질서를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행위라고 인식되고 있다. 거래상 지위남용행위는 공정거래법에서 별도로 규율하고 있는 시장지배적 지위남용행위와 객관적인 시장 획정 하에서의 지배적 지위를 통하여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를 하는 것이 차이가 있을 뿐, 경쟁을 보호하고자 하는 입법목적에 있어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거래상 지위남용행위에서 사업자 대 사업자와 사업자 대 소비자의 행위에 대한 판단기준을 차별화하여 명확히 하고, 시장지배적 지위남용행위와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남용행위의 유형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당사자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구속할 수 있을 만큼 거래상의 지위 차이가 큰 경우에 이를 바로잡아 경제적으로 열위에 있는 거래 상대방을 보호하고, 이를 통하여 시장에서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기반을 지키는 것이 공정거래법 상 거래상 지위남용행위의 입법 취지이므로 거래상 지위남용행위를 기반으로 하는 특별법의 입법 내지 법집행도 갑을 관계에서 불이익이 발생하는 거래에 적용하는 행위 자체의 요건과 한계를 명확히 하여야 하며, 경쟁질서를 보호한다는 관점이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