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지 허버트의『성전』에 나타난 신의 은총과 인간의 이성주의

        황지인 ( Ji In Hwang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2 현대영어영문학 Vol.56 No.4

        George Herbert, one of the metaphysical poets influenced by John Donne in the 17th century, left behind his only book of religious poetry, The Temple. His religious belief was based on Calvinism, Protestant Reformation, as well as the traditional medieval Scholastic philosophy. He learned from the medieval Scholastic philosophy that the Almighty God or the Creator has an invisible power over all space and time and has personal character. Influenced by Calvinism, he also believed in the doctrines of predestination, the irresistibility of grace, and justification by faith. The Temple is a confessional record of his deep thoughts on and strong wish for God`s grace and providence. He wanted people to step closer to God`s love toward human beings irrespective of their religion and could have real freedom, peace and jo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God`s Grace and Man`s Rationalism in Saving, focusing on such poems as "The Altar," "Redemption," "Thanksgiving," "The Reprisal," "The Holdfast," "The Pearl," "Dialogue," "Love (3)," In these poems Herbert criticizes the rational thinking that human being could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redemption and contends that redemption is only possible by God`s grace. He argues that human being should come to God as the way they are and can be redeemed only by God`s grace. (Paichai University).

      • LVDC 배전망의 웨이브릿 기반 고속 고장 검출 기법

        황지인(J.I. Hwang),함정모(J.M. Ham),이경민(K.M. Lee),김종우(J.W. KiM),박철원(C.W. Park)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LVDC 배전망은 편의성 증대, 효율성 향상, 손실 감소, 손쉬운 계통 연계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LVDC 배전망의 정확한 고장 검출기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KEPCO는 비용을 절감하고 더 나은 품질의 LVDC 배전망을 구축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LVDC 배전망을 구축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신속하고 정확한 고장 검출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브릿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장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PSCAD를 활용하여 PV, ESS, DC부하로 구성된 방사상 계통을 모델링하였다. 제시한 웨이브릿 기반 고속 고장 MATLAB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다양한 고장분석을 통해 제시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인간의 갱생을 위한 신의 작업

        황지인 ( Ji In Hwang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4 현대영어영문학 Vol.58 No.1

        Herbert`s autobiographical poem 『The Temple』 describes anxiety and agitation, inner disorder and chaos, and self-doubt and self-dissociation, which the clergy could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accomplishment of his calling. Herbert does not stay in the stage of frustration and agony but he faces challenges and asks honest and discerning questions. He recognizes the limitation of sins and rationality and aims for restoration and integration through God`s work, which regenerates human beings by clothing them in righteousness. It is the perfect self- acceptance by spiritual growth and the spiritual sublimation from unstability to stability, that was the union with God. This study focuses on God`s work to regenerate weak and flawed human beings in the process of serving the priesthood. First of all, weak and flawed human beings with conflict and agony will be examined through “Affliction (I)”, “The Crosse”, and “The Collar”. The process of God`s divine work to change human beings newly will be explored through “The Priesthood”, “Aaron”, and “The Windows”. This study will highlight the human being`s regeneration process as a true priest, who is a useful instrument, through God`s grace and work. (Paichai University)

      • 요하네스 브람스의 『Piano Trio in B Major, Op. 8』의 원작(1854)에 나타난 음악적 암시

        황지인 ( Jeein Hwang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8 藝術論集 Vol.19 No.-

        본 논문은 요하네스 브람스 (Johannes Brahms, 1833-1897)의 『Piano Trio in B Major, Op. 8』의 원작(1854)에 나타난 음악적 암시에 대한 연구이다. 브람스의 피아노 삼중주 1번의 원작에서 루드비히 반 베토벤, 프란츠 슈베르트, 도메니코 스칼라티의 음악을 암시한 부분들이 발견된다. 첫째, 베토벤의 가곡집 『An Die Ferne Geliebte』의 여섯 번째 곡 < Nimm sie hin denn, diese Lieder >의 선율을 암시하였다. 이 선율은 로베르트 슈만이 1836년에 작곡한 『Fantasie, Op.17』에 차용되기도 하였는데 이 곡을 통해 로베르트 슈만은 멀리 떨어져 있는 아내 클라라에 대한 애절한 마음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유명하다. 브람스의 선율은 베토벤의 선율 보다는 베토벤을 차용한 슈만의 것과 흡사하다. 원작에서 브람스가 베토벤과 슈만의 음악을 동시에 암시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브람스가 슈만의 아내 클라라에게 품었던 마음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둘째, 슈베르트의 가곡집 『Schwanengesang』중 열두 번째 곡 < Am Meer >의 선율과 유사한 선율이 발견된다. 브람스가 어렸을 때부터 슈베르트의 음악을 깊이 공부하고 연주한 사실은 그가 슈베르트의 선율을 암시했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베토벤의 가곡과 마찬가지로 슈베르트 가곡의 가사는 피아노 삼중주 1번 원작 작곡 당시 브람스의 클라라에 대한 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셋째, 스칼라티의 『Sonata in A Major, K.159』와 유사한 부분이 발견된다. 브람스가 스칼라티의 음악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스칼라티의 음악을 연주하는 몇 안 되는 연주자 중 하나였던 클라라가 브람스에게 스칼라티의 작품을 공부해 볼 것을 권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를 통해 브람스가 피아노 삼중주 1번 원작에 스칼라티의 소나타를 암시했다는 것이 예측 가능하다. 그러나 브람스의 이러한 암시들은 피아노 삼중주 1번의 원작이 출판된 지 35년 후에 개작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삭제되었다. 그 당시 중년의 브람스는 자기 고유의 음악적 스타일을 구축하는 데에 열중하였다. 그 당시 청중들은 감상한 작품과 다른 작품 사이의 유사성에 대하여 토론한 것을 통해 자신의 지적 수준을 자랑하는 일을 즐겼는데 자신만의 음악적 어법을 중시하던 브람스에게는 청중들이 원작에서 다른 작곡가의 음악이 연상되는 부분들을 찾아내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가곡을 알아차린 청중이 클라라에 대한 그의 마음까지 간파할 것을 의식하여 삭제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이 브람스의 피아노 삼중주 1번 원작의 음악적 암시는 젊은 브람스의 음악적 전통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존경심, 그리고 클라라에 대한 깊은 애정을 나타낸다. 그렇기 때문에 브람스가 이 작품을 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작을 파기하지 못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is on the musical allusions observed in the original version of Johannes Brahms’ (1833-1897) “Piano Trio No. 1 in B Major, Op. 8” (1854). In the original version of Brahms’ Op. 8, musical allusions from Ludwig van Beethoven, Franz Schubert, and Domenico Scarlatti’s music were found. First, Brahms’ Op. 8 alluded a melody of the 6thsong of Beethoven’s “An Die Ferne Geliebte”, < Nimm sie hin denn, diese Lieder >. This melody was also borrowed by Robert Schumann in his “Fantasie Op.17” in 1836, which was widely accepted that the melody along with its lyrics were utilized to metaphorically express his love towards his long-distanced lover, Clara Schumann. The melody of Brahms’ Op. 8 resembles that of Schumann’s more than Beethoven’s, which implies that Brahms alluded Schumann’s work and at the same time subtly expressed his feelings towards Clara as well. Next, in Brahms’ piece can be found a melody similar to that of < Am Meer >, the 12<sup>th</sup> piece of Schubert’s “Schwanengesang”. The fact that Brahms studied and analyzed Schubert’s works deeply from a very young age suggests that Brahms’ piece alluded Schubert’s song. Moreover, the original lyrics of Schubert’s piece that was alluded also hints at Brahms’ feelings towards Clara Schumann. Lastly, Brahms’ work has similarities with Scarlatti’s “Sonata in A Major, K.159”. It is well-known that Brahms was keen on Scarlatti’s music, and that it was Clara Schumann, who was one of the only few players of Scarlatti, who has suggested to Brahms that he study Scarlatti’s music. From these facts, it is not hard to notice that Brahms had alluded some parts of Scarlatti’s sonata into his work. On the one hand, the aforementioned allusions have been removed from Brahms’ Op. 8 during its revision in 1889. At the time, the people of the musical community were preoccupied with boasting their musical knowledge by comparing and pointing out the similarities of certain musical pieces. Brahms, who was mainly focusing on cultivating a music style of his own during this era, would not have enjoyed his work being considered as a copy of existing pieces. In addition, he would have been concerned about public reaction when they found out his music had musical allusions that seemingly implied his love towards Clara. These factors have led to the deletion of the musical allusions during its revision. In conclusion, the musical allusions in Brahms’ initial “Piano Trio No. 1 in B Major, Op. 8” reveal Brahms’ thorough knowledge and admiration in musical tradition as well as his affection towards Clara. Furthermore, the piece had become a foundation for Brahms in his later years to digest musical tradition of other composers and make it into his own unique form.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부부갈등과 결혼안정성과의 관계에서 부부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황지인(Hwang, Ji-In),함경애(Ham, Kyong-Ae),천성문(Cheon, Seong-M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본 연구는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녀의 결혼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부갈등대 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기혼남녀 371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부부갈등, 부부갈등대처방식, 결혼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의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부모의 부부갈등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부부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Version 19.0 프로그램과 AMOS Version 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부부갈등과 부부갈등대처방식의 하위영역 중 이성적 대처 및 기혼자녀의 결혼안정성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부부갈등과 회피적 대처와 부정적 감정·행동표출 대처와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부갈등대처방식의 하위영역중 이성적 대처는 결혼안정성과 정적인 상관관계, 회피적 대처와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은 결혼안정성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부부갈등과 기혼자녀의 결혼안정성간의 관계에서 기혼자녀의 부부갈등대처방식 중 이성적 대처와 회피적 대처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arried children’s coping methods for couple conflicts on relations between parents’ couple conflicts and married children’s marriage stability. For that purpose, the study surveyed 371 married men and women in the Busan area and measured them in parents’ couple conflicts, coping methods for couple conflicts, and marriage stability. All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Version 18.0 AMOS Version 7.0 programs.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couple conflicts and married children’s marriage stability. Parents’ couple conflict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rational coping of the subareas of married children’s coping methods for couple conflicts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voidant coping and negative emotions and acts. Marriage stabil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rational coping of the subareas of coping methods for couple conflicts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voidant coping and negative emotions and acts. Secondly, rational and avoidant coping turned out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parents’ couple conflicts and married children’s marriage s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병원전산화에 따른 직접 및 간접간호 양상의 변화

        황지인 ( Jee In Hwang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5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mpact of hospital computerization on the nursing practice.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repeated measured design. The subjects were 166 nurses working at surgical nursing care units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Burke`s study, and reviewed by a committee for content validity. Eighty-eight nurses responded the questionnaire throughout the study. Indirect nursing care tim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fter the computerization. These decrease related to time saving in checking physicians` order and writing nursing records. However, the change in direct nursing care time was not clear. In conclusion, the computerization led to the decrease in indirect nursing care time but it did not link to increase in direct nursing care time. Therefore, nurse managers should take into account redesign of the nursing works after computerization.

      • KCI등재후보

        간호기록을 이용한 한방 간호 실무에서의 간호 문제에 대한 조사 연구

        황지인 ( Jee In Hwa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본 연구는 한방 간호 실무에서의 주요 간호 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간호 활동에 대한 실제적 근거로서 간호 기록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다빈도 간호진단은 외상 위험성, 통증, 배뇨장애 등이었으며, 임상간호분류체계와의 맵핑에서 건강 행위 영역의 안전 요소(safety component)가 주요한 간호 문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안전 요소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간호진단은 외상 위험성과 기 도흡인 위험성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종합병원의 전체 간호기록지를 대상으로 한 Kim 등(2005)의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 간호진단이 통증, 감염위험, 비효율적 기도청결이었다는 보고와, 중환자실 간호기록을 대상으로 한 Song (2007)의 연구에서 주요 간호 활동이 생리적 영역의 호흡 요소이었고, 최다 빈도의 간호진단이 비효율적 기도 청결이었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외과계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도 차이가 있었다(Cho & Kim, 2008;Lee & Choi, 2011). 이와 같은 차이는 간호 실무 분야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방 간호 실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이러한 환자간호 문제를 중심으로 한 간호중재 활동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간호진단은 실제적 및 잠재적인 건강문제, 삶의 과정에 대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반응에 대한 임상적 판단으로서, 간호사가 책임지는 간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간호 중재의 선택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Saba, 2004). 본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간호진단은 외상 위험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입원환자들의 61.8%가 65세 이상이고, 평균 나이도 67세 이상이었다는 것과 관련 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 환자군에 있어서 낙상과 같은 외상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 요소의 간호 문제가 주요 간호 진단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로 주요한 간호 문제는 기능적 간호 영역의 감각 요소이었다. 구체적인 간호 진단은 통증이었는데, 이는 내과 및 외과계 일반병동 간호기록 분석을 통한 Kim 등(2005)의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 간호진단이 통증이었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또한 외과계 환자들의 다빈도 간호진단이 급성 통증이었다는 것과 유사한 결과 이었다(Cho & Kim, 2008; Lee & Choi, 2011). 그러나 중환자실 간호기록을 대상으로 한 Song (2007)의 연구에서 기능적 영역의 다빈도 간호 요소가 체액 요소, 활동 요소이었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 간호 단위와는 차이가 있지만, 통증이 양방과 한방 병원의 일반 간호 단위에서 공통된 주요 간호 문제라는 것을 가리킨다. 세 번째로 주요한 간호 문제는 생리적 간호 영역의 배뇨 요소로서, 배뇨 장애나 소변 정체의 간호진단이 이에 해당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방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상당수가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라는 것과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나 이와 관련된 방광 기능 문제로 인해 배뇨 장애가 노인들에서 흔한 문제임을 보고하고 있다(Lepor, 2004; Luk, Tam, Ho, & Chan, 2003; Nitti, 2001). 따라서 한방 병원에 입원한 환자 간호에 있어서 배뇨 문제와 관련된 간호 활동이 강조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간호진단의 활용은 기록된 환자사정의 질을 향상시키고, 유사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통된 진단을 규명하고, 진단과 중재, 그리고 결과와의 일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Muller-Staub, Lavin, Needham, & von Achterberg, 2006). 본 연구에서 파악된 간호진단의 분포는 한방 병원을 이용하는 입원환자의 특성을 반영하며, 한방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실무 교육에서 강조될 필요가 있는 영역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간호의 질적 요소의 핵심으로서 환자안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안전 요소가 한방 병원에서의 주요 간호 영역으로 나타난 결과는 한방 간호 실무에서 외상 위험성을 검토하고 간호사고를 예방하는 것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낙상은 간호에 민감한 환자결과 지표이며, 부서 및 기관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적 및 국제적 수준의질 지표로서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한방 간호 실무에서 낙상과 같은 외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 안전 교육, 환경 위험 평가 및 관리 등을 포괄하는 다방면적인 환자안전 향상 활동이 강조되어야 것이다. 간호기록의 측면에서 임상간호분류체계의 59개 주간호진단, 123개의 하위범주의 간호진단과 비교할 때, 한방 병원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간호진단의 종류의 수는 15개이었으며, 환자당 간호진단의 수도 약 2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방 병원에서 제공되는 한방의료 서비스의 특성과도 관련된다. 즉 한방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은 침습적 시술이나 외과적 수술이 아닌 주로 내과적 한방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으므로, 동일한 입원 기간 동안에 간호 진단의 급격한 변화가 일상적으로 많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간호사들이 적극적으로 간호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기재하는 것이 미흡한 것일 수도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임상간호분류체계의 정신적 영역에 속하는 간호진단은 매우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방 병원에서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었다(Choi & Kim, 2008; Kim et al.,2005; Lee & Choi, 2011; Song, 2007). 최근 급성기 병원에서 환자 중증도가 높아지고 재원기간이 짧아지면서, 심리사회적 간호문제보다는 신체적, 생리적, 기능적 영역의 간호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질의 환자 간호를 위해서 대상자들의 심리사회적 영역의 간호 문제 해결에도 많은 관심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일부 간호진단들은 표준화된 용어체계와 비교할 때 상세성(granularity)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간호진단 중 안위 변화는 임상간호분류체계에서는 급성 통증, 만성 통증, 기타 통증으로 분류되는 반면에, 간호 기록 자료에서는 통증으로만 기록되는 경향이 있었다. 간호 문제의 성격에 따라 효과적인 간호 활동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병원 및 간호 관리자들은 간호진단 기록의 상세성 향상을 위한 간호사 교육뿐만 아니라, 기관 차원에서 간호 기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간호기록지에 실제 기재된 간호진단을 통해 한방 병원의 간호 문제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제한점으로 인해 연구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첫째, 연구 대상 자료가 일개 한방 병원의 간호 기록 자료라는 점이다. 본 연구 병원은 한방 병원 중 병상 수 기준으로 최대 규모의 교육 병원이지만, 본 연구에서 파악된 간호 문제들을 전반적인 한방 간호실무에서 간호사들이 직면하는 주요 간호 문제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간호사들이 실제 수행한 간호 활동에 대한 간호 기록 자료를 활용하였다는 것이 강점이기도 하지만, 의무기록 자체의 질에 의존적인 결과라는 점에서 결과 해석에 제한이 있다. 기록자들이 실제로 판단한 간호진단이나 수행한 간호 활동을 모두 기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연구 병원은 사전 통제어로 간호진단을 기록하는 체계이므로 로컬 간호진단 용어가 한방 간호 문제를 포괄하기에 완전성을 갖추고 있는지는 평가할 수 없었다. 덧붙여 본 연구에서 분석의 단위가 간호 진단이었기 때문에, 환자 특성 및 간호사 특성을 분석에 포함하지 않았다. 향후 이러한 특성을 포괄하는 연구가 보다 다양한 한방 병원을 대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nursing problems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Nursing documentation was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discharged from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during three months. Nursing diagnoses documented were mapped into the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Data were summari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110 patients using nursing documentation.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documented was 204 with a mean of 1.9 per patient. The frequently occurring nursing diagnoses were ``risk for trauma`` (48.0%), ``pain`` (13.7%), and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7.8%). According to the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the safety component (51.5%) was the most common nursing problem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Conclusion: The study finding suggested that major nursing problems in oriental nursing practice were related to patient safety. Therefore, oriental nursing education on patient safety should be emphasiz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