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올라이트 종류에 따른 NH₃-SCR 반응 특성 연구

        황인혜(In Hye Hwang),이준호(Junho Lee),김홍석(Hongsuk kim),정용일(Youngil Jeong),김구환(Kuhwan Kim),최정인(Jeongin Choi)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A monolith which is washcoated by using Cu/zeolite and Fe/zeolite was prepared with ion-exchange method. Catalyst coated monolith were characterized by NH₃-TPD and SEM, and the NH₃-SCR over the catalyst was analyzed. When the space velocity increased from 30,000h <SUP>-1</SUP> to 80,000h<SUP> -1</SUP>, the NOx conversion of Cu/B catalyst rised from 300℃ to 400 ℃ and the activity of Cu/M catalyst reduced in all temperature range. Cu/zeolite catalyst improved at the low temperature of 250~400℃, while Fe/zeolite catalyst achieved the high temperature of 350~450℃. Due to large-scale of pore-opening size, BEA was more active than MFI. It is considered that reacts of NO was efficiency. The performance of all catalysts were increased when NO₂ was added. The activity of the low temperature increased highly in case of Fe/zeolite. This results suggests that Fe/zeolite reacts sensitively to the NO₂ addition.

      • SCOPUSKCI등재

        고체산 촉매를 이용한 폐윤활유의 촉매 분해

        황인혜 ( In Hye Hwang ),양현선 ( Hyeon Sun Yang ),이종집 ( Jong Jib Lee ),최고열 ( Ko Yeol Choi ),이창용 ( Chang Yong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3

        SiO2/Al2O3 비가 10.5인 실리카-알루미나(SA), 10인 수소형 모더나이트(HM), 12.5인 탈알루미늄 모더나이트(DM) 등을 이용하여 폐윤활유의 촉매분해를 수행하였다. 촉매의 분해능은 SA > DM > HM 시료 순으로 높았다. SA 시료 상에서 얻어진 분해오일은 휘발유의 탄소수 분포와 가까웠고 반면 DM 시료의 경우에는 경유의 탄소수 분포와 가까웠다. HM 시료 상에서 얻어진 분해오일의 탄소수 분포는 휘발유와 경유의 중간 정도였다. 산량은 SA ζ HM > DM 시료 순으로 많았다. 10 A 이하의 균일 세공을 가지는 HM과 DM 시료와는 달리, SA 시료의 세공은 10∼50 A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촉매의 산량과 세공 크기가 분해오일의 탄소수 분포와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촉매 표면에 탄소 및 불순물의 침적에 의한 표면적 감소는 SA > HM > DM 시료 순으로 컸다. The catalytic cracking of waste lubricant oil was carried out on silica-alumina (SA), hydrogen-type mordenite (HM), and dealuminated mordenite (DM) with the silica/alumina ratio of 10.5, 10, and 12.5, respectively. Activity in the catalytic cracking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SA > DM > HM. Carbon number distribution of the oil obtained over SA was similar to that of gasoline while that of the oil obtained over DM was similar to that of diesel. Carbon number distribution of the oil obtained over HM was similar to that between gasoline and diesel. Acid amounts of three kinds of catalysts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SA > HM > DM. Unlike HM and DM with pores of an uniform diameter below 10 A, SA had a pore size distribution within the range of 10 to 50 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id amount and pore size of the catalysts may be related to the carbon number distribution of the cracked oil. The decrement of surface area by the accumulation of carbon and impurities on the surface of the catalyst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SA > DM > HM.

      • KCI등재

        폴리카보네이트의 저분자량 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물에 대한 접촉추출 영향

        최수정 ( Su Jung Choi ),윤경화 ( Kyung Hwa Yoon ),황인혜 ( In Hye Hwang ),이창용 ( Chang Young Lee ),김희승 ( Hee Seung Kim ),유승윤 ( Seung Yoon Yoo ),김연철 ( Youn Cheol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0 공업화학 Vol.21 No.5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내에 잔류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과 저분자량 화합물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가 케톤류(아세톤, 펜타논, 부타논)의 용매를 사용한 접촉추출 실험으로 수행되었다. 접촉추출 전 시료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양은 2.6 wt%이었으나 아세톤으로 접촉추출 한 시료의 경우 0.96 wt%, 펜타논으로 접촉추출 한 시료의 경우는 1.53 wt%로 나타났고, 아세톤의 경우가 저분자량화합물 추출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변화 확인을 위해서 GC-Mass를 이용하였다. GC-Mass 실험 결과 휘발성 유기물로 염화메틸렌, 톨루엔 등이 확인되었고, 정량한 결과 펜타논의 경우가 아세톤의 경우보다 VOCs 처리에 효율적이었다. VOCs와 저분자량 화합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서는 아세톤과 펜타논의 혼합사용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고 혼합용매 사용결과 부피비로 50:50에서 최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A study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low molecular weight (LMW) amount which is contained within bisphenol A polycarbonate (PC) was performed by the solvent extraction with ketone type solvents (acetone, butanone, pentanone). The LMW amount of untreated PC was 2.6 wt%, but the values of treated samples with acetone and pentanone were 0.96 and 1.53 wt%, respectively. Acetone is a more effective solvent than pentanone on the LMW extraction. Methylene chloride (MC) and toluene were certified and quantified by GC-Mass experiments, and the quantitative results indicated the fact that the pentanone was the effective solvent on VOC extraction. Focused on the change of VOCs and LMW amount, the use of co-solvent might be more useful,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co-solvent extraction showed that the optimum condition was 50:50 volume percent.

      • KCI등재후보

        신장 ; 신기능에 따른 폐외결핵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최보경 ( Bo Kyung Choi ),이희선 ( Hee Sun Lee ),황인혜 ( In Hye Hwang ),신경화 ( Kyung Hwa Shin ),최문기 ( Mun Ki Choi ),최보광 ( Bo Gwang Choi ),안강희 ( Kang Hee Ahn ),남형석 ( Hyung Seok Nam ),황종민 ( Jong Min Hwang ),성은영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9 No.4

        목적: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세포성 면역기능이 감소되어 결핵에 이환될 위험성이 높으며, 특히 폐외결핵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신기능에 따른 폐외결핵의 임상양상, 치료 반응, 질환과 연관된 사망률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폐외결핵으로 진단된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진단 당시의 크레아티닌 값을 이용하여 MDRD 공식으로 계산한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이 60 mL/min/1.73 m2을 기준으로 신기능 장애군(Group I)과 정상 신기능군(Group II)으로 분류하여 폐외결핵의 임상상, 치료성공률, 사망률 및 치료기간의 차이를 후향적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342명의 환자 중 Group I은 30명으로 이중 투석을 시행하고 있는 환자는 6명이었고, Group II는 312명으로, 각각의 평균 사구체 여과율은 34±19 mL/min/1.73 m2, 102±26 mL/min/1.73 m2이었다. Group I에서 고연령, 빈혈, 저알부민증이 많았으며, 고혈압,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많았다. 폐외결핵의 발생 부위는 두 환자군 모두 (Group I vs. Group II)에서 흉막(30.0% vs. 28.2%)이 가장 빈도가 높았고, 신경계통(23.3% vs. 16.3%)과 림프절(16.7% vs. 17.6%)의 감염이 흔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p=0.379). 모든 환자들은 표준 결핵화학요법인 HERZ, HER 및 HRZ 등을 용량 조절하여 치료하였으며, 두 환자군 모두에서 치료 실패 및 재발은 없었다. 결핵과 연관된 사망률은 Group I에서 높았으며(Group I, 22.2% vs. Group II, 2.8%, p<0.001), 연령, 혈색소 및 알부민, 당뇨병, 고혈압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유무를 보정하였을 경우에도 Group I이 사망의 위험률이 높았다(HR=11.51, 95%CI 2.512~52.741; p=0.002). 치료 중 이탈된 환자 및 사망환자를 제외하였을 경우, Group I이 치료 기간이 짧았다(278±110일 vs. 367±170일, p=0.009). 결론: 신기능 장애 환자에서 폐외결핵에 대한 치료기간이 연장되지 않았고 사망을 제외한 치료실패와 재발이 없었으나 폐외결핵으로 인한 사망률은 높았고, 신기능 저하 자체가 사망의 독립적인 위험 요소였다. 그러므로 신기능 장애 환자에서 폐외결핵에 대한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가 더 요구된다고 판단한다. Background/Aims: There is an increased risk of tuberculosis (TB) with impaired cellular immunity and extrapulmonary TB is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We explored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of extrapulmonary TB according to renal function.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diagnosed with extrapulmonary TB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07.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using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estimated using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formula cut-off of 60 mL/min/1.73 m2 and evaluated their clinical features, treatment outcome and mortality (Group I vs. Group II, ≥ 60 mL/min/1.73 m2). Results: The mean eGFR of Groups I (n=30) and II (n=312) was 34±19 and 102±26 mL/min/1.73 m2, respectively. The pleura was the most frequent site of TB in both groups (Group I, 30.0% vs. Group II, 28.2%; p=0.379). There was no treatment failure or recurrence in either group. The mortality was higher in Group I (22.2% vs. 2.8%; p<0.01). In a multivariate analysis, eGFR<60 mL/min/1.73 m2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mortality (HR=11.51, CI 2.512-52.741; p=0.002). Conclusions: Mortality related to extrapulmonary TB was higher in patients with impaired kidney function and kidney function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reatment failure and recurrence according to renal function. (Korean J Med 79:387-393, 2010)

      • KCI등재후보

        만성 실질환 환자에서 허혈성 심질환에 대한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의 영향

        최보경 ( Bo Kyung Choi ),이경남 ( Kyung Nam Lee ),황인혜 ( In Hye Hwang ),김일영 ( Ii Young Kim ),이하린 ( Ha Rin Rhee ),성은영 ( Eun Young Seoung ),송상헌 ( Sang Heon Song ),이동원 ( Dong Won Lee ),이수봉 ( Soo Bong Lee ),곽임수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3

        목적: 만성 실질환 환자에서 허혈성 심질환은 주된 사망 원인으로, 이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허혈성 심질환과 관련된 심장의 구조적인 변화 중특히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는 최근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예후 또한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실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를 진단하고,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가 사망률 및 허혈성 심질환의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심초음파를 시행한 만성 실질환 환자 중, 좌심실 구혈률이 55% 미만, 중등도 이상의 판막질환이 있는 환자와 관찰기간이 6개월 미만인 환자를 제외한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지표들은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심초음파 검사, 혈액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ROC curve를 이용한 허혈성 심질환과 연관된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의 진단 기준값은 E/E` = 15.5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64.7%, p = 0.005), E/A = 0.79 (sensitivity: 84.6%, specificity: 55.9%, p = 0.006)였다. 이 값을 기준으로 E/E` > 15.55, E/A > 0.79인 19명을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군, Group I으로 지정하였고, 그 외 나머지 환자 52명을 Group II로 나누었다. 심초음파에서 Group I의 E/A, DT, E/E`값은 각각 1.27, 184.21, 19.08이었고 Group II에서는 0.73, 225.19, 13.58이었다(E/A, p < 0.001; DT, p = 0.017; E/E`, p <0.001).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고 연령, 허혈성 심질환의 병력, 낮은 혈색소 수치, 높은 저밀도 지단백 수치가 관련이 되었다. 또한 허혈성 심질환을 야기시키는 위험인자를 분석하였을 때는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 흡연, 높은 저밀도 지단백 수치, 높은 부갑상선 호르몬수치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와 사망률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전체 사망률은 Group I, II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 = 0.177), 허혈성 심질환을 나타내는 disease free survival로 비교하면 Group I이 Group II보다 의미있게 생존율이 감소하였다(p = 0.001). 결론: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좌심실 수축기능이 정상이라도 E/E` > 15.55, E/A > 0.79인 중등도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는 허혈성 심질환의 발생률이 높았다. Background/Aims: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re commonly see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Recently, the prevalence of left ventricular diastolic dysfunction (LVDD) has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LVDD has emerged in patients with CK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diagnostic criteria for LVDD related to ischemic heart disease (IHD) and evaluate the prognostic impact of diastolic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KD. Methods: A total of 71 patients with CKD who were evaluated between January 2005 and May 201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se patients were evaluated by conventional echocardiography and tissue Doppler imaging (TDI) for diastolic dysfunction. Results: Diagnostic cutoff values for LVDD related to IHD were E/E` = 15.5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64.7%, p = 0.005) and E/A = 0.79 (sensitivity: 84.6%, specificity: 55.9%, p = 0.006), Group I consisted of 19 patients with an E/E` > 15.55 and E/A > 0.79. Group II consisted of the remaining patients. Factors contributing to LVDD were age, history of ischemic heart disease, anemia, and high low-density lipoprotein (LDL) level. Factors contributing to IHD were LVDD, smoking, high LDL level, and high parathyroid hormone (PTH) level. The disease-free survival for IHD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 compared to group II (p= 0.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between groups I and II (p = 0.177).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moderate LVDD (E/E` > 15.55 and E/A > 0.79) in patients with CKD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HD.

      • 대학생의 우울정도 : 간호학전공과 타전공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지연,류나은,이소라,이지희,정윤정,주지연,황인혜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2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6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sampl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mpare depression degree among sampl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major(nursing vs. other major).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318 university students.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BDI scor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PC WIN 19.0 program. Results: The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 and other major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BDI sc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among sleeping. Conclusion: Specific study focused on the practice time should be done to confirm the depression of nursing major and other majors. Detailed support programs which specifically deal with sleeping should be developed to effectively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individual vulnerability. Therefore, pre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to reduce depression degree for university student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