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홍희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2000년~2022년의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선행연구들 중에서총 257편의 논문들을 보호 변인군과 위험 변인군으로 나누고 심리 특성, 조직 특성, 직무특성 변인으로 분류하여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보호 변인군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보호 변인군 별 효과크기는 조직 특성 변인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직무 특성 변인과 심리 특성 변인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이고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보호 변인군 중 심리 특성 변인의 6개 하위변인 중에서 회복탄력성, 행복감, 자아존중감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조직 특성변인의 하위변인 6개 변인 중 조직 풍토, 조직 효과성, 변혁적 리더십, 사회적 지지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조직 몰입과 임파워먼트는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직무 특성 변인 중에서 직무만족도는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전문성 인식, 교직 헌신, 교수 효능감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위험 변인군의 전체 효과크기는 큰 부적 효과크기를 보였고, 위험 변인군의 심리 특성 변인과 직무 특성변인 모두가 유의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이는 직무스트레스와 정적 관련이 있음을의미한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개별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통합하는 메타분석을 통해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인들의 효과크기를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257 previous studies that presente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ajor variables related to the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 the past 13 years. Job stress was divided into protective and risk variables, and then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and job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sizes of the variables were meta-analyzed. The R Program was used for analy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a medium sized overall effect of the protective variables related to job str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mong the protective variable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large effect sizes, while job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medium effect sizes. Third, among the protective variables related to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ix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variables showed medium effect sizes in the order of resilience, happiness, and self-esteem. Among the six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limat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had large effect sizes, where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owerment had medium effect sizes.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professionalism recognition, teaching dedication, and teaching efficacy, which showed medium effect sizes. Fourth,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risk factor group for job str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large negative effect size, and both psychological and job characteristics of the risk factor group showed significantly large effect sizes. This study is significance as it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effect sizes of variabl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through a meta-analysis that systematically reviewed and integrated individual studies in this area of research.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의 방향성 탐구

        홍희주,구혜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2014년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ecad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ESD) 이후 Post-DESD를 준비하기 위한 시기로서 현재의 시점은 아주 중요한 시기이며, 주목할 것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있어서 정책, 실행이 강화되는 것과 함께 윤리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에서 Post-DESD을 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재정향을 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내포하고 있는 철학적 의미를 동양의 유가와 불교사상의 천인관계사상과 Levinas의 타자윤리학을 고찰하며, 그 공통점을 도출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유아교육을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당위성과 방향성을 분명하게 설정하고자 한다. 둘째, 이들 철학을 반영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유아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교량역할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을 제안함으로써 유아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접근을 위한 방향성을 재검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United Nations’Decad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DESD) was concluded in 2014, but we had to reviewed DESD during ten years and have to prepare for Post-DESD. What we note is that there have been calls for consideration of ethical aspects, along with the strengthening of policy and implement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s a resul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for the purpose of re-ori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Post-DESD in childhood education, we should consider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Eastern oil prices and Buddhist thought and Levinas' typology to clearly establis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what direc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econd, we hope to reflect these philosophies and use them as basic data to review the direction of the practical approach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childhood education by proposing 'coexistence-oriented childhood educa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s a bridge role to apply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o infant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의 관련변인 연구

        홍희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teach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24 in-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andomly selected from kindergartens located in Daegu-city and Kyung book.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wo questionnaires: 'The tools of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mathematics teaching'(Hong, 2012)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background questionnaire', of which latter can be the tools of teaching efficacy for kindergarten (Chung, 2001) and of attitude toward mathematics (Smith, 2000). The teachers' PCK was above average in all five areas and was related to the following variables: academic career, the number of teaching years, mathematics-related experience before and during university and in their teaching, personal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mathematics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s supporting human environment in kindergarten.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kindergarten teachers' PCK were the teachers' personal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number of teaching years, teachers' mathematics-related experience in their teach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eachers' personal variables are more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teachers' PCK than mathematics supporting environment of the kindergart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들이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수준과 이와 관련된 예측변인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수학교육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교과교육학지식과 교사 내․외적 요인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공․사립 유치원 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회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치원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수준은 전체평균이 3.61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개인내적요인 가운데 경력, 학력, 대학이전의 경험, 대학에서의 수학경험, 교사가 된 이후의 수학경험,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 개인효능감, 수학교수 결과기대감이 전체 수학교과교육학지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유치원 교사의 개인외적 요인에서 인적 환경은 전체 수학교수교육학지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물리적 환경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치원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을 유의미하게 예언해주는 변인은 수학교수 개인효능감, 교직경력 년 수, 교사가 된 이후의 수학경험, 수학에 대한 태도로 나타났으며, 이 네 가지 변인으로 전체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의 51%를 예언하며, 모두 내적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홍희주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를 종합·분석하고, 변인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규명하여 조직유효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관련 국내 학술지 및 석 · 박사학위논문 27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 설계에 의한 효과크기 수는 32개이며,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효과크기는 .607로 나타났으며, Cohen(1992)의 효과크기의 해석기준으로 볼 때 이 수치는 큰 효과크기에 해당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하위변인과의 관계성은 조직몰입(.621), 직무만족(.599)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분석을 위하여 논문형태별, 운영기관유형에 따라 범주형 변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학위논문과 학회지 모두 효과크기가 크고, 어린이집과 어린이집/유치원 모두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유아 수·과학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연구

        홍희주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0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수․과학 통합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현직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차이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연구결과는 첫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사전학습 경험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양성대학과정 또는 대학원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절대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수·과학 통합 교육의 개념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수·과학 통합의 개념이 정확하게 성립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목표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수․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논리적인 사고력, 문제 해결력 신장에 높은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수·과학 통합 교육의 교수-학습 전략과 관련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수·과학 통합 교육의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놀이중심, 실물 조작 중심, 실험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집단구성 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소집단을 선호하고 있으며, 연령구성으로서 예비교사는 4,5세 혼합연령집단을 선호하고 있으나, 현직교사는 단일연령집단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과학 통합 교육 관련 교사 연수의 필요성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preservice and practicing kindergaten teachers toward integrating mathematics and scienc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How do preservice and practicing kindergaten teachers perceive the idea of integrating mathematics and science and what are the difference among those group?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alyzed as follows : First, the preservice and practiciong kindergarten teachers had almost learned to the integra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at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second, the preservice and practiciong kindergarten teachers had perceived absolutely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mathematics/science education. The preservice and practiciong kindergarten teachers had not known exactly definition of integrating mathematics/science education. Third, the preservice and practiciong kindergarten teachers that had perceived the goals of integrated mathematics/science education were highly assessed at motivating and produc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science, log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Fourth, the preservice and practiciong kindergarten teachers had perceived absolutely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integrating mathematics/sci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최고금리 변동에 따른 비은행 금융기관 이용자의배제 규모에 대한 연구

        홍희주,김상봉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18 신용카드리뷰 Vol.12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financial markets, non-banking financial markets of low credit borrowers are excluded from the market due to the cut in the maximum interest rate. We estimated the exclusion of low credit borrowers using monthly data from July 2010 to July 201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new borrowers for high and middle credit borrowers in the whole financial sector is rising, while the number of low credit borrowers is decreasing. Low credit borrowers of non-financial tend to be similar to the whole banking system, but they are smaller than the whole banking system. Throughout the credit lending status in each of financial markets, credit card company seems to have had the most new borrowers in entire period. Looking at the changes in lending by credit rating of loan company among financial companies, the number of new low credit borrowers is steadily decreasing, while the amount of new loans is showing a rise trend. In this study,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to estimate the exclusion scale due to the highest interest rate fluctuation. The number of exclusions and exclusion amoun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were estimated to be underestimated because they are based on changes in new borrowers and balances. If the cost of a lending provider exceeds revenue due to a maximum interest rate cut, the number of exemptions and exemption amount may be much larger than the current estimate due to stop of reduce new loans. 본 연구는 최고금리 인하에 따라 금융권 , 비은행금융권의 저신용자가 시장에서 배제되는 정도를추산하였다 . 2010 년 7 월부터 2017 년 7 월까지의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저신용자의 배제 정도를추정하였다 . 분석결과 , 최고금리 인하에 따라 금융권 전체에서 고신용자와 중신용자의 신규차주수는 상승하는 반면 , 저신용자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 비은행의 저신용자는 금융권 전체와 비슷한 추세를 보이지만 , 금융권 전체의 감소보다 작게 나타난다 . 전체기간 금융업권별로 신용대출 현황을 통해 카드사의 신용대출 신규차주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 금융업권 중 대부업의 신용등급별 변화를 살펴보면 , 저신용자의 신규차주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 신규대출액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 본 연구에서는 최고금리 변동에 따른 배제규모 추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배제자수와 배제금액은 신규차수의 변화와 잔액을 기준으로 파악하였기 때문에 과소 추정될 수 있어 최소한의 배제자수와 배제금액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최고금리 인하에 따라 대출공급자의 비용이 수익보다 커지는 경우 , 신규대출을 중단하거나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급측면을감안하면 배제자수와 배제금액은 현재의 추정규모보다 훨씬 커질 수 있다.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중학교 기술교과의 수송기술 문제 중심 인공지능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홍희주,박찬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6 No.1

        As our society has changed to a super-connected and super-intelligent society, we learned the necess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in all subjects. Technology education is no exception as there are already examples of of technology development related to AI in all areas of technology. However, mos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deal with AI-related content only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As the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has become much faster than the speed of curriculum revision, it has become difficult to include the latest technology levels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at computational thinking is the core competency of AI convergence education, and developed an AI-based transportation technology problem-solving program that can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n transportation technology, self-driving cars were selected as learn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s and then evaluated, a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proposed program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he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is described so that it can serve as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AI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우리 사회가 초연결·초지능 사회로 변화됨에 따라 모든 교과에서 미래 사회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이미 기술의 모든 영역에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술 개발 사례가 있으므로 기술교과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대부분은 정보통신기술 단원에서만 인공지능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 기술의 발달 속도가 교육과정 개정 속도보다 훨씬 빨라지면서 중학교 기술교육과정에서 최신의 기술 수준을 담기 어려워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융합교육의 핵심역량이 컴퓨팅 사고력임을 찾아내어,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수송기술 문제해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수송기술에서도 자율주행 자동차를 학습 소재로 선정하였다. 또한, 중학교 기술교과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그램을 적용 후 평가하여, 제안한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그램은 추후 다양한 인공지능 융합 교수·학습 개발에 참고자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