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Kim Mi-young),성연정(Sung Youn-Jung),홍혜경(Hong Hae-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향상과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2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무선 배정하였으며, 실험처치는 음악과 수학의 통합 활동을 16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음악과 수학의 통합 활동올 적용한 반면 비교집단은 음악과 수학의 분리된 활동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Del Grande(1990)의 공간 능력 구성 체계를 기초로 홍혜경(2001)이 개발한 유아 공간 능력 검사도구와 Gordon(1979)이 개발한 음악적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유아의 공간능력 항상과 음악적성에 긍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Kindergarten music and mathematics activities on preschoolers' spatial abilities and the musical aptitude. The subjects were 42 five-year-old kindergartene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ducted 4 times a week for 4 weeks, with 16 activities in total. The kindergarteners of experimental group did mathematical activities integrated with music activities but the kindergarteners of the comparative group did mathematical activities separated from musk activities. This study used the preschooler's spatial ability test instrument developed by Hong Hae-Kyung(2001) based on Del Grande's spatial ability composition system(1990) musical aptitude test developed by Gordon(1979). It conducted covariance analysis to compare the changes of scores in the two group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ving integrated activity with music and mathematics showed improvement and positive effects in their spatial abilities and musical aptitude.

      • KCI등재후보

        신경외과 병동에 적용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의 감염관리 전략효과 및 균집락의 위험인자 분석

        홍혜경,이꽃실,박성춘,정은경,박미라,김세철,Hong, Hae Kyung,Lee, Kkot Sil,Park, Sung Choon,Chung, Eun Kyung,Park, Mi Ra,Kim, Sae Chul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3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9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check if the "Creating Clean Wards" project, which is an innovative reinforced campaign activity targeting infection control strategies and active surveillance cultures for VRE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high-risk patients to be admitted in the NS (neuro-surgery) wards, would be reduced the incidence rates of VRE acquisition, transmission rates. Methods: 75 subjects of the VRE high-risk patients were surveyed by carrying out active surveillance cultures of VRE colonization 11 times from January to March, 2012. And the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Results: The incidence rates of VRE acquisition was reduced to 3.67 cases per 1,000 patients day in the control group and to 2.88 cases in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753). VRE transmission rates of 0.0015 per day before the project tended to increase to 0.0019,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650). As a result of multivariate analysis with regard to using glycopeptide antibiotics in order to find out risk factors of VRE colonization, th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glycopeptide until VRE colonization showed 274.41 times higher rate. Conclusion : For effective VRE infection control in NS wards, We should carry out active surveillance culture regularly, especially patient of using glycopeptide. And block the spread of VRE by strengthening infection control through the strict isolation and the changed mind-set of members motivated by the "Creating Clean Wards" campaign.

      • KCI우수등재

        유치원 아동의 수학활동에 관한 분석연구

        홍혜경(Hae Kyung Hong) 한국아동학회 1992 아동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ivities of kindergarteners in the mathematics corner. The study included an analysis of children`s interactions with mathematics materials and of children`s peer interactions during mathematics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47 children aged three to four and 72 children aged four to five from four classes of two kindergartens in Kwangju. Children`s math activities during free play sessions were observed and audiotaped. The data were coded by the categories of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types of mathematics manipul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materials frequently selected by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most of the math materials were for passive manipulation that require children to respon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like the rules of games, but (2) the materials that children liked to play with were active manipulative materials that require diversity and flexibility of children`s thinking and allow several choices for solutions, and (3) children`s peer interactions during math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unilateral and reciprocal/collaborative peer interaction type.

      • KCI등재

        R-러닝로봇기반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홍혜경(Hong, Hae-Kyung),채영란(Chae, Young-Ran),오채선(Oh, Chai-Sun),권귀염(Kwon, Kyee-Yum)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7

        본 연구는 R-러닝로봇기반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R-러닝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 및 요구조사를 통하여 로봇기반 교육의 필요성과 활용 및 교육적 효용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로봇의 특성과 언어 교수-학습의 특성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R-러닝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위해 G시에 소재한 유치원 2곳의 만 5세 유아 93명(실험집단 48명, 통제집단 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으며, 제니보 로봇 플랫폼과 언어능력검사도구, 이야기이해력, 읽기태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언어능력과 이야기 이해력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점수와 사후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읽기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R-Learning and to exam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t was studied the necessity of R-Learning education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documents and leading research about R-Learning. The language learning activities with Genibo based on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and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classroom using pre- and posttests for verification of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3 five-year-old children from 2 kindergartens in G city(48 in the experiment group and 45 in the control group). Analysis of data was administered by t-test. This study used Genibo robot, linguistic ability evaluation scale, story comprehension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evaluation scale.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nguistic ability and story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high in reading attitude of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 수학 및 언어학습준비도 내용과 실태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홍혜경 ( Hae Kyung Hong ),이수기 ( Su Ki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유아들의 수학과 언어 학습 준비를 위한 교육내용과 실태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공사립 유치원교사 153명과 초등교사 21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치원과 초등 1학년 교육과정의 수학과 언어(국어)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질문지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내용타당도의 검토과정을 거쳐 수학 학습준비도 내용 인식 및 실태는 각 28문항으로, 언어 학습준비도 내용 인식 및 실태는 각 3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수학과 언어 학습준비도 내용과 실태에 대해 초등교사가 유치원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와 연산에서는 초등교사와 유치원교사 모두 큰 수의 이해, 두 자리 덧셈과 뺄셈에 대해 준비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학교육내용보다 수학적 성향과 태도에 대해서는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언어학습준비도 내용과 실태에 대해서는 초등교사가 유치원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준비도 잘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결과는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유아의 수학과 언어학습 준비를 위해 초등 1학년의 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미 선행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young children`s math and language learning readiness. One hundred fifty-three kindergarten teachers and 2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content for math and language learning readiness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Twenty-eight items for math learning readiness and 30 items for language learning readiness were rated on a 4-point Likert-type scale. The Cronbach alpha reliability test results range from .79 to .93 for math learning readiness and .70 to .88 for language learning read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sets of teach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number and numeration but low expectations for attitude and disposition toward math.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reading and writing but lower expectations for speaking, attitude and disposition toward language learning than did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아의 더하기와 빼기 문제에 대한 표상능력과 연산능력

        홍혜경 ( Hae Kyung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더하기와 빼기 문제에 대한 표상능력의 발달적 특성과 연산능력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기관에 다니는 4~6세 유아 178명이며, 이들에게 더하기와 빼기 문제에 대한 수식표상 및 문장제 표상검사와 연산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t 검증,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추후검증, Pearson r,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식표상은 4세에 출현하여, 6세에 대체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장제 표상은 4세에 이미 부분적으로 표상할 수 있었으며, 6세에 대체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유형별 차이를 보면 더하기보다 빼기표상이 더 어려우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별 차이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식표상이 문장제 표상보다 연산능력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빼기 수식표상능력이 연산능력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유아의 발달적 수준에 적합한 더하기와 빼기 학습방안의 모색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ability levels in representa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and their relationship to abilities in representation and computation. One hundred seventy-eight young children aged four-to six-years-old were assessed on their abilities in representation and computa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with a Scheffe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4-year-old children began to make either representation of numerical formulas or representation of word problems and almost of the 6-year -old children could do both representation tasks. There were age differences but no differences in problem types and gender regarding both types of representation. Finally, the ability of representation for subtraction was a strong predictor of computation ability. These findings are strong recommendation for includ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ies in all areas of math in the earliest yea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지식(MKT)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홍혜경 ( Hae Kyung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유아 수학교과교육학 지식(MKT)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 개인변인과 근무환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공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63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유아 수학교과교육학 지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45문항의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t 검증, F 검증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유아교사들의 유아 수학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 수학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을 가장 높게 필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수학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을 가장 낮게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유아 수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학력, 경력, 자격증 유형, 수학교과 수강유무, 근무환경,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의 변인에 따른 수학교과교육학 지식의 향상을 위한 요구를 반영하는 것 으로 유아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작업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Three hundred sixty-thre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in early mathematics education. Nine items centered on knowledge of curriculum, 10 items on content knowledge, 17 items on knowledge of teaching, 5 items on learners (young children), and 4 item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rated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The Cronbach α reliability test results ranged from .90-.98.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high perceptions about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being especially high on the knowledge of teaching and lowest on content knowledge.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differed by education level, certificate, coursework, working institution, and teaching child` ages.

      • KCI우수등재

        유아의 기하학적 구성물의 그리기 작업에 대한 연구

        홍혜경(Hae Kyung Hong)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of geometrical relations based on their drawings of cube buildings. One hundred seventy-six children from 3 to 6 years of ages were selected from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Their drawings were classified into 6 developmental levels: level 1 - drawings show only scribbles or several circles; level 2 - drawings show plane squares from a front view; level 3 - positional relations are included in the drawings; level 4 - separate-joint relations or the general outline of a cube building are shown; level 5 - rotated drawing and an additional square for hidden faces are attempted to represent the lateral view; level 6 - parallel lines are drawn to represent 3-dimensional structures. Three-to four-year-olds were between levels 1 and 2; four-to six-year olds were between levels 3 and 4; and children over six years old were between levels 3 and 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