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작 방식에 따른 음성과 소리 피드백의 할당 방법

        홍은지(Eun-ji Hong),황해정(Hae-jeong Hwang),강연아(Youn-ah Kang)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1 No.2

        가전제품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 터치스크린 등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기기 역시 사운드, 음성, 시각적 신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 방식에 따른 피드백 방식을 배정하는 원칙이나 기준이 없어 각 브랜드, 기기 별로 임의로 배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음성 명령을 통해 조작할 때와 버튼으로 조작할 때 가전제품에서 주어지는 피드백의 방식으로 음성, 소리 중 어떤 방식이 적절한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작 방식(음성 인식, 버튼), 피드백 방식(음성 안내, 소리)의 조합으로 구성 된 총 4가지(2x2) 셀을 갖는 요인 설계 실험을 진행하였고,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조합에 따라 피 실험자가 느끼는 사용성, 만족도, 선호도, 적합도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전제품을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하는 것이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버튼으로 조작 했을 때는 피드백 방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상호작용 효과가 검정되었다. 조작 방식, 피드백 방식의 조합이 가전에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식의 주효과가 검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소리(earcons)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는 정도는 아니었으며, 버튼을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음성 안내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었다. 또한 가전에 어떠한 조작 방법이나 피드백 방법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법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ways to interact with digital appliances are becoming more diverse. Users can control appliances using a remote control and a touch-screen, and appliances can send users feedback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sound, voice, and visual signal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ow to define which output method to use for providing feedback according to the user’ input method. In this study, we designed an experimental study that seeks to identify how to appropriately match the output method – voice and sound – based on the user input – voice and button. We made four types of interaction with two kinds input methods and two kinds of output methods. For the four interaction types, we compared the usability, perceived satisfaction, preference and suitability. Results reveals that the output method affects the ease of use and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input method. The voice input method with sound feedback was evaluated more satisfying than with the voice feedback. However, the keying input method with voice feedback was evaluated more satisfying than with sound feedback. The keying input method was more dependent on the output method than the voice input method. We also found that the feedback method of appliances determines the perceived appropriateness of the interaction.

      • KCI등재

        문항배열순서와 성별이 피험자 능력추정의 정확성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홍은지(Eun Ji Hong),성태제(Tae Je Se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2

        문항의 배열순서가 다른 검사유형과 피험자의 성별이 피험자 능력추정의 정확성과 시험불안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76명을 계열과 성별, 사전능력을 고려한 3개의 균등집단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으로 배열된 유형(A형), 어려운 문항에서 쉬운 문항으로 배열된 유형(B형),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 다시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으로 나선형으로 배열된 유형(C형)의 수학 성취도 검사를 각 집단에 한 유형씩 시행하였다. 또한 각 검사유형에 따라 발생하는 피험자들의 시험불안을 측정하고자, 수학 성취도 검사 전후로 시험불안 검사를 시행하였다. 문항반응이론으로 피험자들의 능력모수와 그에 따른 추정오차를 추정하였다.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유형에 따른 능력모수 추정오차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나 검사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Scheffe검정 결과 A형과 B형, A형과 C형, 그리고 B형과 C형에 대비가 유의하였다. A형에 의한 추정오차가 가장 낮았고, C형, B형의 순으로 높아졌다. 피험자들의 사전 시험불안을 통제한 교정 시험불안이 검사유형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이원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유형에 따른 교정 시험불안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나 검사유형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Scheffe 검정 결과 A형과 B형, A형과 C형에 대비가 유의하였다. A형에서 교정시험불안이 가장 낮았고, C형 그리고 B형 순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시험불안과 능력모수 추정오차와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시험 도중에 발생하는 시험불안과 능력모수 추정오차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었다. 이로써 문항의 배열순서로 검사 도중에 발생하는 시험불안이 능력모수를 추정하는 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검사수행 시의 피험자의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피험자 능력추정을 신뢰롭게 추정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tem order and gender influence the accuracy of estimation for ability parameters and test anxiety. This study targeted 176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equivalent groups. The achievement test on math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test starting with easy questions and becoming progressively more difficult(Type A); the test starting with difficult questions and proceeding to easier questions(Type B); and the repetition of Type A in order(Type C). Three types of test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est anxiety was also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item order and gender on the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d 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2-way ANOVA. The only main effect of item order was significant. The standard errors of the ability estimates were lowest in Type A. These values were high in Type B or Type C. Second, the effect of the item order and gender on calibrated test anxiety through 2-way ANCOVA. Also, only the main effect of item order was significant. The calibrated test anxiety was lowest in Type A.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librated test anxiety and the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d ability. In conclusion, Type A reduced test anxiety and increased the accuracy of measuring ability more than the other two types of test. This study can provide teachers with the practical guideline of producing accurate test. Furthermore, researchers related to item, order in differential characteristic test need to be continuously performed.

      • SCOPUSKCI등재

        Successful Management of Hepatic Lipidosis Accompanied by a Feline Skin Fragility Syndrome-like Lesion in a Cat

        박형진,홍은지,권효정,박성준,박주민,송근호,서경원,Park, Hyoung-Jin,Hong, Eun-Ji,Kwon, Hyo-Jung,Park, Seong-Jun,Park, Joo Min,Song, Kun-Ho,Seo, Kyoung-Won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Clinics 2015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7 No.2

        A 7-year-old spayed female Somali-cross cat was admitted with a 4-week history of anorexia, vomiting, weight loss, and lethargy. The cat was diagnosed with hepatic lipidosis. With intensive care and nutritional support via a nasogastric feeding tube for 3 weeks, the clinical signs of hepatic lipidosis were improved. However, skin lesions were found in the left and right scapular regions during the treatment that were suspected to be due to feline skin fragility syndrome (FSFS). Intensive wound healing therapy with granulated sugar, laser therapy, and a surgical flap was conducted. Skin lesions improved uneventfully without other clinical signs or recurrence of any skin lesion for a year.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good prognosis in a hepatic disorder and concurrent FSFS. 7년령의 불임 암컷 소말리 교잡종 고양이가 4주 동안 지속된 식욕부진, 구토, 체중감소, 무기력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지방간으로 진단 되었으며, 3주 동안 집중치료와 더불어 비위 영양관을 통해 유동식을 공급하였다. 치료기간 중, 지방간으로 인한 임상증상은 개선 되었지만 고양이 피부유약증으로 인한 것으로 의심되는 피부병변이 왼쪽과 오른쪽 어깨 부위에서 발견되었다. 과립당치료, 레이저치료 및 외과적 피판술을 통한 집중적인 상처 치유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환자는 다른 임상 증상이나 피부 병변의 재발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보고된 바에 따르면, 본 증례는 간질환과 고양이 피부유약증이 동반한 환자에서 좋은 예후를 보인 첫 번째 증례이다.

      • 한국형 객체지향 DBMS를 위한 OBM(Object Buffer Manager)의 설계 및 구현

        박상현(Sang Hyun Park),홍은지(Eun Ji Hong),유석인(Suk I Yoo)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객체지향 DBMS를 제작하는데 있어 사용자나 프로그래머들의 기억장소 사용에 대한 부담을 주지 않는 지속적인 메모리 시스템이 이상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객체지향 데이타 베이스의 일반적인 성질과 특징들을 살펴보고 지속적인 메모리 관리 시스템을 위한 OBM(Object Buffer Manager)에 필요한 자료 구조 및 기본 모듈을 설계하였다. OBM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과 서버의 저장 계층 사이에서 임시로 생성된 객체 식별자와 서버에 등록된 지속적인 객체 식별자를 수행 연산 결과에 따라 각각 데이타 베이스에 반영시키고 고립된 ROD(Resident Object Descriptor)에 대한 방안으로 별도의 관리 테이블로 두어 ROD의 중복을 방지하여 메모리의 사용 효율을 증대 시켰다.

      • KCI등재후보

        간호장교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명숙 ( Kang Myung-suk ),김수연 ( Kim Soo-yeon ),박다은 ( Park Da-eun ),홍은지 ( Hong Eun-ji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7 군진간호연구 Vol.35 No.1

        Purpose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s the levels of Cultural Competency of Korean Army nurse offic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Cultural Competency. Methods :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238 nurse officers in seven Korean military hospitals in December, 2016. Cultural Competence Scale, Compassionate Competence Scal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 were used. Results : The Cultural Competency of Korean Army nurse offic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ue to factors such as foreign language fluency(p=.015), experience of living abroad for more than a month(p<.001), caring experience of foreign patients(p=.001), presence of foreign friends(p<.00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competency,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p<.001).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y of nurse officers were compassionate competence (p<.001), presence of foreign friends(p<.001), professional self-concept(p=.002) and experience of living abroad(p=<.033). These factors explained 32.8%(p=.001) of this model. Conclusion : In order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of nurse offic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cludes compassionate compet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 동물매개활동(AAA)이 경도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단일 피험자 실험설계-

        최상열 ( Sang Yul Choi ),성치호 ( Chi Ho Seong ),홍은지 ( Eun Ji Hong ),한상우 ( Sang Woo Han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4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경도인지장애로 의심되는 노인을 대상으로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치료적 방법으로써 인지기능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1월부터 3월까지 경도인지장애가 의심되는 65세 이상의 노인 3명을 대상으로, 총 15회기에 걸쳐 단일 피험자 실험설계(single subject design) A-B-A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인지기능은 동물 매개활동 전·후에 신경심리평가집(CERAD-K)로 측정하여 인지변화에 대해 알아보았고, 우울증은 매회기 자가 우울측정 척도(SD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동물매개활동을 통하여 중재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우울증 감소가 유지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인지기능에서도 단어기억항목이 공통적으로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언어유창성과 단어재인항목은 공통적으로 점수가 유지되었다. 결론 : 동물매개활동은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단어기억항목에서 공통적으로 증진된 효과를 나타냈다. 반대로 공통적으로 낮아지는 인지기능항목은 없었으며, 언어유창성과 단어재인 항목에서 공통으로 유지되었다. 향후에도 치매를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동물매개활동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activities(AAA)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utcomes of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A single-subject A-B-A’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AA. The intervention involved 30 minute sessions 3days/week for 5 weeks. Depression outcomes was collected through Self-rating Depression Scale respectively session.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Korean version was used to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hase.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AAA effectively reduced depression on the intervention phase. Word list memory was improved in all trial participants. Common in Word Fluency and Word list recognition did not changes.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AAA could be a valuable method for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working memory in elderly with MCI, possibly delaying the onset of Alzheimer’s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