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노동의 의미와 특성

        홍세영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1

        The present study illustrated the experiences of workers in long-term care setting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formal long-term care services.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9 subject, 24 sub-subject and 29 meaning units. This result is follow. First, the formal longterm care labour define as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rvice. Heart work, agency work and Pride of work by analysis suggested that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rvi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technical service in long term setting. It acts on the Health of the elderly considerly. The Second, It substitutes informal care. The formal long term care is fulfilled on role of family, friends and last lifetime partner. Thirds, it is the work of the partnership of female and male. In long term care setting, there are divided from them. The formal elderly care need men according to heavy physical labor or sexual dementia patients. Women is required Bathing, changing their diapers. Last, it is humane valuable work. This labour is based on the spirits of dedication and commitment. This cause helps the staff in long term care setting in the maintaining providing the service. And they experience their inner world.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공적 노인 봄 노동의 의미와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질적연구로 지오르기(Giorgi) 분석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의미단위 총 39개, 하위구성요소 24개, 구성요소 9개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공적 노인돌봄 노동은 정서적․심리적 서비스 일, 비공식 돌봄 노동 대체하는 일, 여성과 남성의 협동적인 일, 가치추구의 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돌봄 노동이 여성적인 일, 감정노동, 성별화된 노동, 수발 부담 등 부정적인 측면에서 논의된 것과 다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노인 돌봄노동이 사회화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공적 돌봄 노동의 성격을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스웨덴 지방자치단체의 복지 사무에 관한 연구

        홍세영,박현숙 한국사회법학회 2019 社會法硏究 Vol.0 No.37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s welfare decentralization system by looking at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welfare affairs in Sweden, a leading country in northern Europe. First of all, what is the nature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Sweden? Second, what is the nature of the welfare decentralization in Sweden? Third, what is the nature of financial decentralization in Sweden? The analysis criteria are welfare office decentralization and financial decentralization, a measure of decentralization, and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Sweden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weden's local autonomy system were the principle of subsidization based on the European Charter of Local Self-Governmen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ased on the Swedish Constitution, and democratic elements based on the Co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laws.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Act, the sharing of welfare services was clearly achieved at the central, metropolitan and provincial levels. The main office of the metropolitan city was designated as a responsibility of the County Council in accordance with the Swedish Health and Medical Act as a public health care fee. The main tasks of local governments were social services, which constituted the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and professional personnel of the Social Welfare Com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Swedish Social Services Act. The fiscal decentralization was covered by 70 percent of the local government's independent taxation rights and some by central subsidies.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사무에 대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살펴보고 한국의 복지 분권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의 지방자치제도의 성격은 어떠한가? 둘째, 스웨덴의 복지 분권의 성격은 어떠한가? 셋째, 스웨덴의 재정분권의 성격은 어떠한가? 분석 기준은 지방분권의 지표인 복지 사무 분권과 재정분권으로 스웨덴의 지방자치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웨덴의 지방자치제도의 특징은 유럽 지방자치헌장(European Charter of Local Self-Government)에 근거한 보충성(Subsidiaries)의 원칙, 스웨덴 헌법에 근거한 비례성(proportionality)의 원칙, 헌법과 지방정부 법에 근거한 민주주의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헌법과 지방정부에 의거하여 복지 사무가 중앙, 광역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복지 사무 분담이 어느 정도 뚜렷하게 이루어졌다. 광역시의 주요 사무는 공공보건의료로 스웨덴 보건의료법에 의거하여 광역시의 책임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업무는 사회서비스로 스웨덴 사회서비스 법에 의거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과 사회복지위원회의 전문 인력을 구성하고 있었다. 재정분권은 70% 정도 지방정부의 독립적인 과세권과 일부는 중앙 보조금으로 충당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스웨덴은 보충성, 비례성, 민주성의 원칙에 따라 복지 사무분권과 재정분권이 제도화되어 있으며, 이는 스웨덴의 근본가치인 민주성과 평등성을 높이고 있었으며, 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도 지방자치제도의 명확한 원칙을 설정하고 지방정부의 자치권을 강화시켜야 한다. 그래야만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복지를 개발하고 주민들의 복지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재정자립도를 높여 지방정부의 독립성을 강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환경수업 경험을 통한 초등교사의 환경교육 전문성 변화

        홍세영,김찬국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The study aimed to examine w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while practicing peer-assisted environmental classes, and to understand how their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EE) and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EE change through the experienc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hrough their environmental classes? What are the meanings or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on EE?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id not major in E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m conducted total six (6) environmental classes with gradually decreasing supports from the researcher. As a ‘peer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s in EE,’ the researcher helped the participating teachers develop and conduct environmental classes while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s based on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n E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participation observation of the environmental classes, and teaching materials document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of environment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themes were emerged for discussion: First, through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classes, the participating teachers obtained practical knowledge on E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 pedagogies, and rationales for EE. Second, such experience for in-service teachers is meaningful as an opportunity for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 on EE. Third, through the experience,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able to identify changes in their perspectives on EE, teaching professionalism on EE, and their environmental citizenship. 이 연구는 환경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초등교사의 환경수업 경험을 통해 환경교육에 대한 관점과 환경수업 전문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환경수업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환경수업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셋째, 초등교사는 환경수업 경험을 통해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이 연구는 초등교사 3인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교사는 수업 주도성을 점차 높여가면서 단계별 2회씩 총 6회의 환경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 참여교사 3인의 환경수업 경험의 의미와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수업 실행 전후의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수업 문서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을 논의하였다. 첫째, 환경수업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교사는 환경교육에 대한 다양한 실천적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의 환경수업 경험은 자발적, 지속적인 환경교육을 위한 변화의 계기로서 의미를 갖는다. 셋째, 환경수업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교사는 ‘환경교육관의 변화’, ‘환경수업 전문성 발달 변화’, ‘환경시민으로서 개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소양인(少陽人) 결흉증(結胸證)에 도적강기탕(導赤降氣湯)을 투여(投與)한 증례보고(證例報告)

        홍세영,임은철,Hong, Sae-young,Lim, Eun-cheol 사상체질의학회 2001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3 No.3

        Gyolhyungjeung is typical in soyangin and occur when Pyo and Li are all out of balanc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Dojukganggi-tang and showed improvement. This report is to describe the process and contents about the way the patient got the disease and cured.

      • KCI등재

        비정형 노동자(non-standard worker)의 사회적 기본권에 관한 연구

        홍세영,장용철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경희법학 Vol.55 No.4

        En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Centur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reating a variety of new jobs and changing the relationship of employment along with rapid technological advances, globalization and demographic changes. It is a non-standard type of employment. The number of irregular workers is increasing both at domestic and abroad, while their social protection is weak. They belong to employers based on the Labor Standards Act, even though they are workers in substance. This ambiguous position is causing economic and social instability.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social basic rights that provide the logical basis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unstructured workers and sought the status and direction of the social insurance coverage of unstructured workers. Social basic rights are defin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in the Constitution of domestic corporations and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the concept of the right to live. The social basic rights embodied in the social insurance entitlement are bound to be quite limited to irregular workers, designed on the basis of full-time workers. Realistically, many of them are excluded or remain blind spots in Korea's social insurance system. If a social insurance system based on existing principles is maintained, class division among workers will take place and the unequal power structure could threaten social e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ocial security system to protect them through the new paradigm. As recommended by the ILO, it recognizes the worker nature of irregular workers and demands common responsibility for insurance premiums under the tripartite system of workers,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It also recommends that the legal coverage should be minimized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should be simplified to ensure that they are equally guaranteed without discrimination against full-time workers. 4차 산업은 다양한 신종 직업을 창출하는 동시에 고용의 관계를 ‘비정형 노동(Non-Standard work)’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 고용형태는 국내외적으로 증가하면서 비정형노동자들의 취약한 사회적 보호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들은 실질적으로는 노동자임에도 불구하고 근로기준법을 기준으로 할 때 사업주에 속한다. 이러한 애매한 위치는 경제적 사회적・불안정성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비정형 노동자들에 대한 사회보장체계의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본권에 대해서 살펴보고 비정형 노동자들의 사회보험 수급권에 대한 현황과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사회적 기본권은 국제법인 「세계인권선언」,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 규정되어 있으며, 국내법인 「헌법」과 「사회보장기본법」에 생존권 개념으로 규정되어 있다. 사회보험수급권으로 구체화되는 사회적 기본권은 정규직 노동자를 기초로 설계되었다. 그래서 사회보험은 비정형 노동자에게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한국 법정 사호보험체계에서 상당수 비정형노동자들은 적용제외자이거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기존의 원칙에 입각한 사회보험체계가 유지된다면 노동자들 사이의 계급분화가 이루어지며 불평등한 권력구조로 사회적 평등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이들을 보호해줄 사회보장체계의 개선이 요구된다. ILO에서 권고한대로 비정형 노동자의 노동자성을 인정하고 보험료를 노동자, 고용주, 정부 등 삼자 체계로 법적 사회보험의 재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법적 적용범위를 최소화하고 행정절차를 간편히 하여 비정형노동자들이 정규직 노동자와 차별 없는 동등한 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조선족 1세대의 문화적응 과정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홍세영,이혜영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18 한국융합인문학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조선족 1세대들이 몸소 체험하고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한 문화적응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의 초점은 이주의 동기, 문화적응 양상, 문화적응 맥락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들은 중국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이민 1세대로 직접 중국에 이주한 사람들이다. 분석결과 조선족 1세대의 이주동기는 대부분이 생활고와 차이나 드림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리고 조선족 1세대들의 문화적응 유형은 분리양상에 가까웠다. 중요한 점은, 이들이 수동적 타자로서가 아니라 적극적 주체로서 스스로 중국 사회와 거리를 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족 1세대들은 중국에 거주하면서도 본인들은 뼛속까지 조선족이라는 의식이 강했으며, 조선족 집성촌을 만들어 중국 사회와 거리를 두었고, 조선어만 사용하였다. 이런 분리의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으로는 높은 민족적 우월감, 높은 민족 교육, 임시 체류자, 이중차별, 경쟁의식, 언어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 Aspergillus parasiticus가 몇가지 穀類에서 生成하는 Aflatoxin에 對하여

        洪世永,金敎昌,金道榮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6 農業科學硏究 Vol.4 N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moisture and culture time on the aflatoxins produced by Aspergillus parasiticus NHL 5243 on some grains,5 kinds of grain samples (rice, barley, wheat, corn and sorghum) were used. The different fractions of aflatoxin B1, B2, G1, and G2 were detected from 5 kinds of samples by TLC and HPLC. Fluorescence compounds showed blue (aflatoxin B1, B2) and blue green(aflatoxinG1, G2) under 365nm UV lamp, but all of them were changed to green-grey fluorescence by 50% H2SO4, soln. Spraying, and to pink(B1, B2) and blude (G1, G2) by p-anisaldehyde. Aspergillus parasiticus produced even more aflatoxins on grains tested under incubating at 25% moisture content level than 17%, 20%. No aflatoxin was detected at 17% in rice, without regard to any temperature and culture time. Aflatoxins were detected at 20℃, 20%, for 21 days, and at 30℃, any moisture content level (except17%) , for any incubation period. Samples at 30℃, were found more produced aflatoxins than at 20℃. Aflatoxin G1 was obtained more production than B1, B2 and G2 at any incubated conditions in all samples. Total amount of aflatoxins was 2454㎍/kg in rice, 1257㎍g/kg in barley, 986㎍/kg in wheat, 882㎍/kg in corn and 1483㎍/kg in sorghum under the same conditions(30℃, 25%, 21days). The greatest fields of aflatoxin were obtained in rice sample.

      • KCI등재후보

        노인의 가족화목도와 관련요인

        홍세영,남철현,김기열,위광복,심규범,배향선,고재옥,Hong, Se-Young,Nam, Chul-Hyun,Kim, Gi-Yeol,Wee, Kwang-Bok,Shim, Kyu-Bum,Bae, Hyang-Sun,Ko, Jae-Ok 대한예방한의학회 2008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family closeness in family with an elderly member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904 subjects during 3 months from 1st March to 30,May. 200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amily closeness of subjec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sex, marital status, monthly allowance, education level, occupatio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health state, stress, and emotional conflict with children. 2. Emotional conflict with childre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sex, religio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occupation, health state, stress, family closeness. 3.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sex, religio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occupation, stress, family closeness. Finaly, Family closeness in family with an elderly member was positively related to family type(living with a spouse), monthly allowance, occupation but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conflict with children and stress levels. The government, social service units and expert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factors influencing family closeness and devise effective policy and programs for healthier family relations.

      • KCI등재

        「지역사회통합돌봄법안」에 보충성의 원칙 적용에 관한 연구

        홍세영 한국사회법학회 2022 社會法硏究 Vol.- No.46

        Community care began in 2018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is to properly cope with the growing demand for social services and distribute responsibility for care resources while reducing social costs, and to reorganize from existing institutional services to community care services. However, at this point in the pilot project, there are voices of various problems and concerns. In particular,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medical care and care, ambiguity in the roles and authority of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lack of home-centered service infrastructure, and financial problems are pointed out as limitations for community care to settl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olution to this is to apply supplementation to the provisions of the Community Integration Act.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in the welfare delivery system is welfar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pluralism,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which are somewhat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community care. Therefore,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Act” prepared in the future should diversify welfare providers based on the principle of supplementation, clearly establish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y between providers, and ensure user autonomy, selection, and independence. However, the currently proposed “Community Integrated Care Act” overlooks the principle of supplementation, does not include all of the original purpose of community care, and also has similar parts to other social welfare laws, so the need for laws is not highlighted. If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Act” is prepar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supplementa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present a great direction to stakeholders who design, implement, and use the system. 2018년도부터 커뮤니티케어가 정부주도로 시작되었다. 이 제도 도입의 배경에는 높아가는 사회 서비스 수요에 적절히 대처하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면서 돌봄 자원에 대한 책임을 분산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존의 시설중심 서비스에서 지역주도의 돌봄서비스로 개편하려는 의도이다. 그런데 시범사업을 하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문제제기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의료와 돌봄의 연계성 부족,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역할과 권한의 모호성, 재가 중심의 서비스 인프라 부족, 재정문제 등이 향후 커뮤니티케어가 정착하는데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마련될 「지역사회통합 법」규정에 보충성의 원칙 할 필요가 있다. 복지전달체계에서 보충성의 원칙은 복지다원주의, 지역분권, 자율성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커뮤니티케어의 원칙과 어느정도 일치한다. 「지역사회통합돌봄 법」에 보충성의 원칙을 적용하여 복지 제공주체를 다원화하고 이들사이에 책임과 권한을 분명히 하여 이용자의 자율성과 선택, 자립 등을 보장해주어야 한다. 현재 제시된 「지역사회통합돌봄법안」은 보충성의 원칙을 간과하고 있으며 커뮤니티케어의 본연의 취지를 다 포함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른 사회복지 법령과 유사한 부분도 있어 법령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 이에 보충성의 원칙을 적용하여 「지역사회통합돌봄법안」을 마련한다면 제도를 설계하고 실행하고 그리고 이용하는 이해당사자들에게 커다란 방향성을 제시해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