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담 속 역관 인물형과 돈에 관한 문제의식 고찰

        홍나래(Narae Hong) 동남어문학회 2024 동남어문논집 Vol.1 No.57

        본고는 조선후기 남다른 부를 축적하며 후대에 상업자본가나 대부자본가의 모습으로 유형화된 역관에 주목해서, 당대 사람들이 자본이라 할 수 있는 거대한 돈을 어떻게 인식하고자 했으며 자신들의 삶과 사회에 이를 어떻게 연관짓고자 했는지 야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야담에서 유형화되어 전승되는 역관 인물형은 보물을 발견하여 부자가 된 이화종, 대가 없는 증여로 보은을 받은 홍순언, 지감력 있는 조선 갑부 변씨, 로비의 대가로 운남 미인을 얻은 김역관, 유능하고 자상한 아버지 김령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초기 역관 이야기의 초점은 부자 되기에 있었다. 특히 사행 길에 보물을 얻어 부자가 되는 이야기는 용주라는 신성한 가치와 세속적인 시장의 돈이 교환되면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와 사람들의 변화, 세태에 대해 고민해 보게 하였다. 이야기 세계는 이화종이라는 강력한 인물 상징을 통해 막대한 자본의 기원을 하늘이 준 선물로 천명하거나 탐욕스럽게 되지 않도록 예를 갖춤으로써 스스로를 경계하고자 했다. 홍순언은 상징적인 가치조차 물화되는 세상에서 역관이 대가를 바라지 않고 자기희생적인 증여를 실천함으로써 개인을 넘어 국가 간 상호 존중과 동맹 관계까지 회복시킨 힘을 보여주었다. 조선 사회는 홍순언 이야기를 역사로 인식하면서까지 그 인물상을 이상화했는데, 막대한 자본을 운용하는 신흥 자본가가 순수증여로 공동체에 감동과 희망을 주었다는 의의도 있다. 조선 갑부 변씨는 당대 사회의 문제를 꿰뚫는 이인 허생의 비판을 경청하는 인물로 그려지는데, 허생이 지닌 부자와 돈에 관한 인식은 보물의 교환에서 탐욕을 경계한 이화종・순수증여를 실천한 홍순언 이야기의 주제와 연결되고 있어서, 자본과 시장의 발달 과정 속에서도 야담 향유층이 지닌 역관・자본에 관한 사회적 인식과 지향은 역관 이야기 초기부터 동일하게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후반 야담집에 실린 운남 공주를 아내로 맞은 김역관이나 청상과부 딸을 개가시킨 김령은 역관의 개인적 삶에 대한 상상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작품으로, 역관은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여 조화롭게 일을 도모하는 남다른 문제해결 능력을 보여준다. 또한 김역관이 천하제일미와 가정을 이루기 위해 부리는 남다른 사치가 야단스럽지 않게 언급되거나, 김령이 채생의 가족과 가까워지는 과정에서 풍요로움이 감각적으로 경험되며 삶에 미치는 긍정성이 부각되듯이 이 작품들에서는 역관으로 연상되는 막대한 재산과 호화로운 소비에 대한 향유층의 반응을 세련되게 유도하고 있다. 이들은 신분과 규범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사회적・개인적 욕망을 반영하여 활약하는 주인공이자 다정하게 소통하고 유능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매력적인 인물로 창출되었다. The paper examines the attention given to interpreters, who were typified as commercial capitalists or plutocrats in later Joseon Dynasty narratives(Yadam), amassing extraordinary wealth, and explores how people of that era perceived vast wealth and sought to relate it to their own lives and society through Yadam In Yadam, the typified figures transmitted and stylized include Lee Hwa-jong, who became wealthy by discovering treasure; Hong Soon-eon, who received favors without expectation of compensation through pure donation; a wealthy Joseon magnate Mr. Byeon; Interpreter Kim, who obtained a beautiful woman from Yunnan through lobbying; and Kim Ryeong, a competent and kind father. The initial focus of Yadam about interpreters was on becoming wealthy. Particularly, stories of obtaining treasure through diplomatic routes to China raised societal issues stemming from the exchange of divine values and worldly money in the market, prompting reflections on societal changes. Through the powerful character symbol of Lee Hwa-jong, the story world tried to guard itself by declaring the origin of the enormous capital as a gift from heaven or by being polite not to become greedy. In a world where even symbolic values are commodified, Hong Soon-eon demonstrated the power of an interpreter to restore mutual respect and alliance relationships beyond individuals and between countries by practicing self-sacrificing donations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Joseon society even recognized the story of Hong Soon-eon as historical and idealized the character. However, there is also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an emerging capitalist, managing a huge amount of capital, infused emotion and hope into the community through pure gift. Mr. Byeon, a wealthy man of the Joseon Dynasty, is portrayed as a person who listens to the criticism of Heo Saeng, a man who understands the problems of the society of the time. Heo Saeng's perception of the rich and money is similar to the stories of Lee Hwa-jong, who was wary of greed in the exchange of treasures, and Hong Soon-eon, who practiced pure gifting. Even during the development of capital and the market,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awareness and orientation regarding interpreters and capital held by those who enjoy Yadam have remained the same since the beginning of the interpreter story. In the late 19th century, two more interpreter characters appeared. The stories of Kim, a young interpreter who took a Yunnan princess as his wife, and Kim Ryeong, another character who hoped that his widowed daughter would marry again, are literary works that well express the imagination of the translator's private life. Here, the interpreter shows an extraordinary problem-solving ability that moves the minds of others to work harmoniously. In these works, the reactions of the enjoyment class to the enormous wealth and luxurious consumption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interpreter are sophisticatedly elicited. They were created as protagonists who reflect new social and personal desires that cut across status and norms, and as attractive characters who communicate affectionately and solve problems competently.

      • KCI우수등재

        기능수행수준의 지진에 대한 고층 벽식공동주택 외부 벽체와 보의 손상정도분석

        홍나래(Hong, Na-Rae),김성현(Kim, Sung-Hyun),박원일(Park, Won-Il),강수민(Kang, Su-Min),최경규(Choi, Kyoung-Kyu),박홍근(Park, Hong-Gun)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11

        In a performance based seismic design (PBD) of a high-rise apartment building, the exterior RC walls are designed as non-structural members; severe cracks and damages could occur even from a small earthquake which is a cause for anxiety for residents. In this study, vulnerable members to seismic load were classified and the occurrence of cracking in the exterior walls regarded as non-structural members of high-rise apartments were investigated by a linear time history analysis. In the linear time history analysis, a small seismic load of the operational performance level was used. A numerical analysis model was applied to the exterior walls and horizontal components regarded as non-structural membe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non-planar walls and the non-structured walls were classified as vulnerable members to seismic loads. Furthermore, the horizontal components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arge opening and the connecting beams adjacent to the core walls were also classified as vulnerable members to seismic load.

      • KCI등재

        설화 속 시혜적 성관계에 내포된 주체의 도덕적 불안과 감정의 구조화 문제

        홍나래(Hong, Na-rae)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3

        가부장 사회의 성정치가 강화되면서 혼인하지 못한 여성은 소외자의 대표적인 사례로 인식되어, 조선시대에는 그들의 한이 야기한다는 전염병, 흉어, 가뭄 등에 대한 해원이 구체적으로 관습화될 정도였다. 이처럼 화기를 상하게 하는 원녀(怨女)들의 존재는 인간의 기본권을 보장하지 못하는 상황을 공동체에 경고하며 양심의 가책을 느끼게 하는데, 청구야담 소재 <권선비 이야기>와 계압만록 소재<민진원 이야기>는 조선후기 늘어만 가는 과부 특히 청상과부의 문제로 기득권이 느낀 도덕적 불안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이들 작품을 중심으로 여성 욕망에 대한 이해 방식, 시혜적인 관계맺음의 의미, 도덕적 불안과 책임의 문제를 살폈다. 두 설화에서는 과부의 한을 여타 설화 속 원녀들의 욕망해소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했는데, 원녀들의 경우 남성과의 성관계를 통해 자신들의 다양한 사회적/정서적/육체적 욕망을 성취하며 존재의 전환을 이룰 수 있었지만, 제도와 규범에 막힌 청상의 경우에는 성관계 모티프가 삶을 보장하는 기제로 쉽게 작동될 수 없었다. 그리하여 야담은 육체적 성관계의 필수불가결함과 쾌락의 지극함을 담론화하며 과부들의 욕망을 육욕으로 축소시켰고, 이들과 성관계를 맺은 남성을 여인에게 성에 대한 앎과 쾌락을 증여한 시혜자로 보았다. 결국 과부의 원망을 덜어주고 화기를 온전히 하겠다는 야담 향유층은 사회적 갈등이나 부조리는 회피하되 시혜적성관계를 통해 불우한 이들로부터 감사의 인사와 축복까지 받아내면서 자신들의 도덕적 불안을 해소하고자 했다. 이처럼 두 이야기는 소외자의 감정을 일방적으로 수렴하고 시혜와 보은의 구조로 조화로운 질서를 그리는 듯했지만, 필연적으로 귀결되는 여인들의 자살로 가부장 주체의 이념과 현실 사이에 발생한 균열을 드러낸다. 여인의 죽음을 목도한 가 부장 주체의 경악 혹은 꺼림칙함은 그들만의 조화로운 세계에서 끝내 해석되지 못한 채 그 도덕성에 대해 의심의 여지를 남기고, 사회구조적 변화의 요청에 무기력했던 지배층이 소외자의 한과 감정을 구조화하며 지배관계를 공고히 하는 문화담 론 생성에는 적극적이었음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게 한다. As reinforcing patriarchal gender politics in late Joseon Dynasty, a single woman who can’t marriage is the typical symbol of a miserable person. People believe a single woman harbors a grudge and it causes plague and drought, or a poor catch of fish and so on. The presence of these women warns the situation that the community does not guarantee the basic rights of human beings. So the main agent of the society always concerns about it. In this thesis, I have studied the ‘dispensation of sexual relationship’(the man has sex with a widow for compassion) themed narrative focusing on two stories which had formed in late Joseon Dynasty, containing a young widow character who has no sexual experience. Though these stories, I pay attention to the narrative structure how it accepts women’s desire and how it makes the gift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n the Korean folk narrative, sexual relationship can be an essential mechanism which poor women overcome her situation. But in the case of young widow, their remarriage was prohibited by the system and norms, so even in these stories sexual intercourse motif could not change their life dramatically. On the other side the characters in these stories claim that sexual intercourse and sexual pleasure a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life, consequently these stories interpret the young widow’s desire to sexual stuff only. As the stories arranged the widow’s emotion simply, it is easy to handle her resentment. The man who has sexual relationship with this young widow was valued as a donator who gives her sexual knowledge and pleasure. The narrative transmission group intended to eliminate the moral anxiety easily even structuralize the gift relationship system, disregard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But these stories was concluded the widow’s suicide, this point ruminates on the purpose of the menfolk and doubts their morality. It is instructed that the leadership class of late Joseon Dynasty was powerless to change the society but aggressive to make a ruling discourses. This kind of narrative are also full of suggestions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cultural discourse.

      •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의 벽체 이선형 전단모델적용에 따른 전단력 재분배 효과 분석

        홍나래(Hong, Na-Rae),김희도(Kim, Hui-Do),강수민(Kang, Su-Min),엄태성(Eom, Tae-Sung) 한국콘크리트학회 2021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2

        이 연구는 국내 RC 벽식 아파트 성능기반내진설계지침에서 제안된 RC벽체의 이선형전단모델을 사용했을 때 벽체의 전단력 배분배 효과를 분석하였다. 해석 변수로는 전단탄성 계수 0.5G, 1.0G, 이선형 계수 모델을 사용하였다. This study analysed the shear force redistribution effect of RC walls when bilinear shear model of RC wall proposed in the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guidelines was used. Analysis variable, shear modulus 0.5G, 1.0G, and bilinear modulus models were used.

      • KCI등재

        조선후기 문헌설화에 나타난 주체의 윤리적 위기의식과 책임의 문제

        홍나래 ( Hong Na-rae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3 No.-

        ‘간통-용서-보은’의 서사구조는 조선시대까지도 궁중 나례에서 재현된 처용 이야기처럼, 간통 현장에서 용서를 택한 본부의 행동을 기리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간통-용서 서사에서 비난받던 인물을 심정적인 ‘나’로 초점화 한 이야기들이 조선후기 이야기판에 등장한다. 이때 간부인 선비는 자신에게 매우 불리한 상황에서 적대적일 수밖에 없는 본부와의 관계를 풀어가야 했고, 본부의 용서 이후 윤리적 주체로서의 ‘나’를 재구성해야 할 과제도 안게 되었다. 선비가 만난 인물은 재력 있는 장부이면서도 사회에 들어오지 않거나, 신분이 낮지만 의롭고 성숙한 혹은 성공한 자들이었다. 이야기는 공동체 질서 밖으로 밀려나간 힘세고 반체제적인 인물의 생존 방식을 고민하거나, 하위계층의 성장을 기득권의 입장에서 예사롭지 않게 바라보고 있다. 선비들은 타자의 환대나 용서에 응하며 윤리적 주체로 성장하지만, 이야기마다 시각의 차이를 보인다. 선비들이 상대방과 동등한 인격적 관계를 형성하거나 차이를 인정하는 경우, 선비는 타자의 존재와 응시로 인해 위기감과 책임의 문제를 끊임없이 상기하게 된다. 그러나 후대로 갈수록 선비가 자신의 윤리로 상대방을 포섭하는 이야기들이 전승에서 다수를 차지하게 되는데, 반성과 고민을 멈춘 주체는 결국 계급적 정체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타자를 자기 기준으로 재해석하며 자기보존 욕망만을 강조하기에 이른다. 조선후기 이야기기판은 환대와 적대를 오가는 타자를 등장시켜 윤리적 주체인 선비와 타자의 관계맺음을 진지하게 고민했었고, 타자를 우선 생각하는 윤리적 관계맺음이 얼마나 쉽지 않은지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issue of becoming an ethical subject in the late Joseon story. In particular, I examine the existence of ambiguous others, mak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ethical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with others. The research material is the legends that has a narrative structure that forgives and rewards about adultery cases. In Korean literature, adultery story has political and cultural meaning. The story of Che-yong(處容) is the most famous for this structure, and it was performed at the royal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ory praises the husband’s forgiveness of adultery and drives out the adulterer. The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makes the adulterer the protagonist. Thus, the adulterer must communicate with hostile husband and be reconfigured as ethical human beings. The situation in the stories contained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period. So this themed stories worried about the problems of the strong man excluded from society. Also the stories were seriously looking at the growth of the lower class. Therefore many types of these stories were seeking answers to this question. Some of the main character who is the ethical subject(士) respected or acknowledged the others and seek coexistence with others. In these stories, the main character constantly reflected on himself and cared about responsibility. But as time goes by, the main character in some stories stoped to worry and to reflect himself, then the stories which is interpreting the others in his own way increased rapidly. The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seriously contemplated the ethical relationship with ‘Oneself’ by introducing the existence of Others. But it showed how difficult it was to have ethics that prioritize others.

      • 가상현실 기반 분노 조절 훈련의 효과성에 대한 예비 연구

        홍나래(Narae Hong),권준희(Joon-Hee Kwon),염정연(Jungyeon Yeom),김재진(Jae-Jin Kim),김은주(Eunjoo Ki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아동, 청소년 분노 조절력 향상 VR 훈련의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에 앞서 일반 아동, 청소년 32 명을 대상으로 분노 조절 VR 훈련의 분노 완화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과제 1 에서는 분노 유발 상황에 노출 후 인지행동적 기법 중 하나인 자기 대화법을 적용하였고, 과제 2 에서는 자기 대화법과 시에 비폭력적 대화법인 나-전달법을 적용한 후 주관적 분노 수준이 감소하는 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총 8 개의 상황 (과제 1, 과제 2 각각 4 개의 상황)에서 인지행동적 기법을 적용함에 따라 주관적 분노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자기 대화법 종류 및 과제 1, 2 간 분노 감소량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아 인지행동적 기법의 종류 또는 개수가 분노 완화 효과에 주요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청구야담』 <획중보혜부택부 獲重寶慧婦擇夫>의 유토피아적 상상 고찰

        홍나래 ( Hong Na-r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59 No.-

        <획중보혜부택부>는 지인지감이 있는 천민 여성이 남편감을 고른 후 성공시키는 이야기로, 현명한 여성의 남편 선택, 돈을 벌기 위한 매점매석, 곤궁한 자들에게 베풂, 날개가 달린 아기장수 등 이야기 세계에서 익숙하게 등장하는 화소와 삽화들이 겹겹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택부담ㆍ여성 성공담ㆍ보은담 유형에 비해, 남편 오씨가 경상도에서 서울로, 아내의 말에 따라 충청도ㆍ평안도ㆍ함경도를 누비며 다양한 계층과 처지의 인물들을 만나 서로 도움과 희망을 주고받으며 성장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본고는 이 작품을 당대의 변화와 문제적 상황에서 출발하여 다수의 삶에 희망과 연대를 심는 유토피아적 상상 문학이라고 보면서, 작품이 제시하고 있는 지금-여기에서 유토피아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들과 더 나은 공동체의 모습은 어떠한 것인지 검토하였다. <획중보혜부택부>의 경우 돈에 대하여 성찰하고 상호 인정 관계를 통해 호혜적인 공동체를 구축하면서 소수자들과의 화해를 모색하는 인물상을 출현시켰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 인물은 성공을 향해 나아가면서도 선한 품성을 지니고 몸과 돈, 성공, 관계에 대한 기존 시각들을 재구성하는데, 주인공은 건장한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면서 각계각층의 인물들과 호혜적 관계를 맺고 소외된 인물들의 목소리를 복원하여 공동체에서 화해를 도모하며 연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익숙한 삽화들을 통해 당대에 발흥한 여타 욕망 서사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지금-여기에서 더 나은 공동체, 유토피아의 실천을 의지적으로 상상하게 하였다. 돈ㆍ선물의 근본 의미를 성찰하기, 상호 인정 관계를 중심으로 평등하고 호혜적인 공동체를 지향하기, 대상을 편견 없이 바라보며 소수자ㆍ희생자들과 화해하도록 노력하기 등 이 작품이 전달하는 문제의 식은 오늘날 도덕적이고 진보적인 사회를 꿈꾸는 우리 사회의 실천과 대안적 상상에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The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itled < A wise wife chooses a husband and gets a great treasure > is about a wise maid who chooses a husband and succeeds. In this story, there are a series of illustrations that appear familiar to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a wise woman and a man who does not understand the world, monopolizing to earn money, gives to the poor, and a strong man has wings. However, unlike other stories, it deals with the man’s process of growing up, traveling across the country, meeting various characters, and sharing help and hope. I regard this work as a utopian imaginary piece of literature that instills hope and solidarity in many people, starting from social changes and problematic situations at that time. Therefore, the conditions that enable the utopia in the here-and-now and the kind of a better community presented were examined. This stor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lects on money, encourage people to mutually acknowledge and to aim for a reciprocal community, and introduces a character type that seeks reconciliation with minorities. While advancing toward success, this character has good qualities and reconstructs existing views on the body, money, success, and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protagonist diligently moves his sturdy body, establishes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characters from various classes, and seeks reconciliation in the community by listening to the voices of alienated characters. Consequently, the community members developed solidarity became a powerful society in which individuals could pursue their desires and relieve suffering people together. This story raises a question about the narratives of desire that emer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connecting familiar illustrations, and caused us to consciously imagine the practice of becoming a better community, a utopia, here and now. The topics conveyed here are meant to reflect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money and gifts, aim for an equal and reciprocal community centered on mutually recognized relationships, view the world without prejudice, and make efforts to reconcile with minorities and victims. This theme continues in our alternative imagination today, dreaming of a moral and progressive society.

      • KCI등재

        조선시대 귀태(鬼胎) 소재 설화의 문화사회적 의의와 한계

        홍나래 ( Hong Na Ra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8

        귀태란 귀신이 갖게 한 아이라는 뜻이다 인지와 과학이 발전한 조선 시대에도 귀태에 대한 속설이 전승되고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조선 중후 기로 갈수록 설화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유형화되면서 재생산된 귀태 소 재 설화를 대상으로 그 의미 지향과 문화사회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귀태란 가부장 이데올로기가 극단적으로 실현되었을 때 성적 피해 여 성과 그 가족을 보호하는 사회적 안전장치로 기능했다 설화에서도 이 산해 탄생담 한양조씨 시조담 사자생손혈 설화의 주요 모티프로 자 리 잡으면서 귀태는 정치 신앙 과학적 차원에서 진실의 영역으로 편입되고 있으며 윤리적으로도 가부장적 가치를 위배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곧 개별적인 도깨비 경험담으로 이야기되던 귀태 소재가 본격담의 주요 모티프로 자리 잡은 것은 혼외 임신한 여성과 아이를 가 부장 사회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문화정치적 실천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귀태에 대한 문화사적 맥락이 깨어지기 시작한 것은 근대화와 함께 풍 속과 사건의 일환으로 이를 보고하면서부터이다 한국에 대한 식민 지배를 준비하며 민속을 샅샅이 조사했던 일본학자와 관리에 의해 귀태는 귀신 신앙의 일부로 보고되었고 개화기 신문 기사들을 통해 도깨비불 사건의 전모가 고발되면서 귀태는 그 발생의 사회문화적인 맥락이 제거 된 채 음란한 여성과 전근대적이고 우매한 조선을 노골적으로 부각시키게 되었다 이는 환상 장치를 통해 성적 피해자들을 포용하고자 했던 귀 태 소재가 지닌 시대적인 한계라고도 하겠다 In Joseon period, there is traditionally said that a ghost gets a woman with a child. Joseon Dynasty has made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on the other hand many people believed the child of ghost. In this thesis, I have studie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pregnancy by ghost’ theme which narrative types had formed in Joseon Dynasty. When patriarchal ideology extremely realized in Joseon period, pregnancy by ghost(鬼胎) narrative could protect to sexually abused woman and her family. in the case of narrative, ‘pregnancy by ghost’ had become the essential motif in a famous politician/ a noble family/ feng-shui(風水) legend, its bona fides was proved with politics /belief/ science way. For these narrative, to accept this offspring is needed as a value to maintain the patriarchal society. ‘pregnancy by ghost’ narratives had developed from simple ghost stories to full-scaled stories, so I interpreted this was the culture-political activities to accept a extramarital pregnant woman and her illegitimate child. The view point of ‘pregnancy by ghost’ had changed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Joseon. Japanese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vestigated Joseon’s culture thoroughly for colonization. At that time ‘pregnancy by ghost’ phenomenon was reported a part of ghost’s relief. Add to this the newspaper researched the fact and the meaning of wildfires. By removing the significant meaning from this cultural phenomena, it is criticized as adultery woman’s lie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on ignorant Joseon people. ‘pregnancy by ghost’ narrative is not direct resistance against patriarchal sexual norm but a kind of narrative tools for the village community to accept victims of sexual abuse, in this reason it should be reached the limit to keep the meaning of fantasy as time goes on.

      • KCI등재

        <숙종대왕과 풍수> 설화 속 인물들의 정립(鼎立) 관계를 통해 본 자연 생명의 이치와 공동체 윤리

        홍나래(Hong, Na Rae)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7

        <숙종대왕과 풍수>는 ‘왕이 올 자리’라는 화소를 중심으로 왕ㆍ이인ㆍ백성의 만남과 관계가 의미 있게 해석되며 인기리에 전승된 설화이다. 화소에 따라 <묘터형>, <집터형>, <종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묘터형>은 풍수지리를 통한 지관의 예언자적 능력을 돋보이게 하고, <집터형>은 가난하게 사는 지관의 태도가 더욱 강조되는데, 각 유형이 제시하는 문제와 지향점이 <종합형>에서 한 편의 본격담으로 통합되어 심화되기도 한다. <숙종대왕과 풍수> 설화는 죽음의 위기에 처한 가난한 백성을 왕의 앞에 내세우거나 호혜적인 관계가 훼손된 공동체의 상황을 통치자에게 보이면서, ‘왕이 올 자리’에서 기다리고 있는 지관의 존재에 초점을 맞춘다. 지관은 땅ㆍ천문ㆍ길흉화복의 이치를 두루 통달한 인물로 세속적인 욕망에서 벗어나 있는데, 그가 가난한 소외자들에게 명당을 잡아주는 것은 땅이 생명을 품고 만물을 살아가게 하는 것처럼, 가난하지만 정성스러운 사람들에게 복을 주며 함께 살아야 한다는 도덕적 이치를 실천하고 가르치는 행위라 볼 수 있다. <숙종대왕과 풍수>에서 상상된 사회는 백성ㆍ왕ㆍ지관(예언자적 지식인)의 관계가 위계적이지 않고 정립(鼎立)적으로 그들은 상호 얽히며 공존한다. 사회는 다양한 백성들을 함께 살게 하고 그들의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통치자가 필요하며, 이 공동체가 도덕적ㆍ윤리적 삶을 지속하기 위하여 자연의 이치를 알고 실천하는 이인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설화는 이들이 실제로 부딪혀 감정을 공유하고, 서로의 존재를 연민과 친밀, 놀라움과 반성 속에서 경험하며 공생해야 하는 관계임을 보여준다. 곧 ‘왕이 올 자리’란 왕이 백성을 구제하는 통치가 이루어지고 그런 통치자를 자극하며 ‘아는 자’로서 살아가는 지관의 앎ㆍ삶ㆍ희망을 상징한다. The story of <King Sukjong and Feng Shui> was popular due to the interes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ncounter with the king, Feng Shui and the people, centered on the subject of the place where the king will come. , This narrative can be divided into <The story of the location of the grave>, <The story of the location of the house>, and <The story of both the house and the grave>. <The story of the location of the grave> highlights Feng Shui’s prophetic abilities, and <The story of the location of the house> emphasizes the attitude of Feng Shui who lives in poverty. The problems and themes presented by each type are integrated and deepened in <The story of both the grave and the house>. The story of <King Sukjong and Feng Shui> focuses on situation wherein Feng Shui is waiting for the king to come, in the process revealing that the community requires the king s moral and ethical governance. Feng Shui has mastered the order and destiny of nature and is free from desires. To Introduce good land to poor people is to practice and teach the moral principles of blessing the poor and living together, as the land contains life and all things. The society imagined in <King Sukjong and Feng Shui> is not hierarchical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the king, and Feng Shui. Instead, they coexist and intertwine. Society needs a ruler to live among the various people and mediate their conflicts as well as a person like Feng Shui who knows and practices nature s principles to keep this community ethical. Above all, the story shows that these people have to meet each other, share emotions, and experience each other s existence in compassion and intimacy, surprise, and reflection. In the end, the “place where the king will come” symbolizes the wisdom, life, and hope of Feng Shui, where the king will rule for the people and Feng Shui stimulates such a ruler and lives as a “knower”.

      • KCI등재

        양육 민감성과 안정 애착 증진을 위한 애착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홍나래(Narae Hong),방희정(Heejeong B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2

        8회기 애착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만 2~3세 자녀를 양육하는 주양육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양육자의 양육 스트레스, 우울 수준 및 자녀의 기질 수준에 따른 프로그램 적용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애착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결과, 양육 민감성 및 안정 애착 사전-사후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역기능적 상호작용 양육 스트레스를 높게 보고한 참여자 집단과 우울 점수를 높게 보고한 집단에서 양육 민감성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까다로운 기질 점수를 높게 받은 자녀를 양육하는 참여자 집단에서 안정 애착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애착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양육자를 대상으로 예방적, 교육적 목적으로 활용될 가치를 찾아볼 수 있겠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ttachment-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to enhance parenting sensitivity and attachment security. A total of 25 care-givers, raising 24-36-month-old toddlers, participated in 8 sessions of attachment-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 Pre- and post-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Mann-Whitney U test to verify the levels of parental stress, maternal depression, and toddler s temperament resulting in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enhancing parental sensitivity and attachment security in participants.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parenting sensitivity between those who recorded high and low score on dysfunctional parent-child interaction subscale on parenting stress, and those who reported high and low depression levels. Participants who believed that their child has a difficult temperament showed a more significant change in attachment security than those who did not. This study demonstrated effects of attachment-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parenting sensitivity and attachment security to care-givers in general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