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환기 질환과 안질환 유병의 연관성과 위험비

        홍기훈(Ki Hoon Hong),박지은(Jieun Park),김지혜(Jihye Kim),김소라(So Ra Kim) 한국안광학회 2019 한국안광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evalence and correlation between circulatory and ocular diseases, and investigate the odds ratio (OR) between the two disease groups. Methods: The prevalence of circulatory and ocular diseases based on age and sex wa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raw data from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2). The χ2-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irculatory and ocular diseases and OR of ocular diseases caused by circulatory diseases was further analyzed. Results: The prevalence of circulatory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yslipidemia, angina pectoris,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were 24.4%, 11.9%, 2.5%, 1.9%, and 1.2%,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the above-mentioned diseases with the exception of dyslipidemia was found to increase with age. Among the 11 ocular diseases analyzed, cataract, retinal abnormality, visual field defects, diabetic retinopathy, glaucoma risk factors, and ptosis were associated with all of the circulatory diseases described herein. Analysis of circulatory diseases with the highest OR for the onset of ocular diseases showed: angina pectoris (6.64 times) with cataracts, hypertension (2.98 times) with retinal abnormality, stroke (2.94 times) with visual field defect, angina pectoris (7.32 times) with diabetic retinopathy, glaucoma risk factors (2.93 times) with myocardial infarction and ptosis (3.32 times) with angina pectoris, respectively. Macular degeneration showed the highest OR (3.52 times) with hypertension. Similary, dry eye was correlated with dyslipidemia (OR: 1.89) and glaucoma was correlated with hypertension (OR: 2.05). When the OR between circulatory and ocular diseases were analyzed based on age, the highes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dyslipidemia, stroke, and hypertension with retinal abnormality (2.23 times), visual field defects (9.39 times), and macular degeneration (10.25 times), respectively, in their 40s. In their 50s, the highest OR was observed in diabetic retinopathy (2.71 times with hypertension ~ 11.81 times with angina pectoris) regardless of the type of circulatory diseases. In their 60s, diabetic retinopathy showed highest OR with hypertension (2.06 times), dyslipidemia (2.33 times), and angina pectoris (3.90 times), whereas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were highly associated with ptosis (3.10 times), and glaucoma risk factors (3.64 times). In their 70s and above, the highest OR was observed between hypertension and macular degeneration (1.55 times), angina pectoris and ptosis (1.61 times), and stroke and diabetic retinopathy (3.66 tim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OR as well as the type of ocular diseases correlating with circulatory diseases were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irculatory disease.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ocular disease with the highest OR was changed by the age of the individu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fer the type and rank of ocular diseases that can occur in patients with circulatory diseases based on age, which may be helpful in preventing the onset or treating the diseas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동해 유광대 박테리아의 효소 활동도와 생산력의 유기성 폐기물투기에 대한 반응

        송기돈,최동한,이윤,홍기훈,정창수,김석현,조병철,Song, Ki-Don,Choi, Dong-Han,Lee, Yoon,Hong, Gi-Hoon,Chung, Chang-Soo,Kim, Suk-Hyun,Cho, Byung-Cheol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4

        유기물 투기에 대한 박테리아의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동해의 비투기해역과 투기해역의 유광대에서 1996년 4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박테리아 개체수, 박테리아 생산력, 아미노펠티다제(aminopeptidase; AMPase) 가수분해능, 베타글로코시다제(${\beta}$-g1ucosidase; ${\beta}$-GLCase) 가수분해능을 측정하였다. 비투기해역과 투기해역에서 유광대 수심으로 적분한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및 박테리아 변수들을 비교해 본 결과, 전 시기에 걸쳐 일관되게 외양의 투기 정점에서 외양의 비투기 정점보다 ${\beta}$-GLCase 가수분해능이 항상 높았다. 또한 thymidine과 leucine 고정율로부터 추정된 박테리아 생산력도 계절에 관계없이 투기해역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균형성장)를 나타내었으나 비투기해역에서는 무관한 관계(불균형성장)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투기해역에서 유기성 투기물의 지속적인 공급에 대해 박테리아 군집이 반응하고 있는 양상으로 보인다. 또한 계절에 관계없이 투기해역에서는 박테리아 개체수와 생산력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비투기해역에서는 무관한 관계를 나타내어, 투기해역에서 박테리아 개체수의 조절 기작이 비투기 해역과 다름을 시사하였다. 그 밖의 변수들의 관계들은 연구 해역과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봄과 여름에 박테리아 조절 요인들이 달라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화가 수온, 수온과 관련된 현상, 또는 투기물 특성의 변화와 연관된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ocean-dumping of organic wastes on bacteria,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and hydrolytic activities of aminopeptidase (AMPase) and ${\beta}$-glucosidase (${\beta}$-GLCase) were measured 5 times in the euphotic zone of the dumping and non-dumping areas of the East Sea from April 1996 to September 1997. Comparing the depth-integrated values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bacterial parameters over the euphotic zone of dumping area with those of non-dumping area, we found that activities of ${\beta}$-GLCase in the oceanic dumping area were always higher than those in the oceanic non-dumping area. Also, thymidine-based bacterial production alway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leucine-based bacterial production in dumping area (balanced growth), but not in non-dumping area (unbalanced growth). These results seem to be bacterial responses to continuous dumping of organic matter into the dumping area. Further, a relationship between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was significant in dumping area, but insignificant in non-dumping area, indicating that control mechanisms of bacterial abundance were different in two areas. Relationships between other bacterial parameters varied with areas and seasons, suggesting that bacteria might be regulated by different factors in spring and summ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test whether these seasonal variabilities of regulating factor a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temperature, temperature-related phenomena, or characteristics of wastes.

      • KCI등재

        우리나라 현존 토양정화 기술의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 적용 가능성 검토

        김경련(Kyoung Rean Kim),최기영(Ki Young Choi),김석현(Suk Hyun Kim),홍기훈(Gi Hoon Hong)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12

        해양오염퇴적물 정화기술의 조속한 국내 정착을 위하여, 육상 토양오염 정화공법들이 해양퇴적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이 고려되는 울산 방어진과 진해 행암만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해양오염퇴적물에 활용 가능한 설비를 갖춘 입자분리 및 세척의 세 공법을 사용하여 중금속 제거 가능성을 위주로 평가하였다. 모래에 비하여 중금속 농도가 높은 울산 방어진의 니질 및 점토질에서 각 공법별 중금속 제거 정도는 입자분리의 경우, 비소(As) 81.5%, 수은(Hg) 93.8%이고, 세척의 경우, 카드뮴(Cd) 72.2%, 수은(Hg) 87.1%이며, 같은 분야의 다른 세척의 경우, 카드뮴(Cd) 70.8%, 납(Pb) 65.6%로 나타났다. 실증실험 결과로부터 사용한 입자분리 및 세척 공법은 모래뿐만 아니라 니질과 점토질 크기의 미세입자에 함유된 중금속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자분리보다 입경별 분리, 공정수에 의한 세척, 산 또는 유기용매 등 첨가제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반응 등 처리공정으로 구성된 세척공법에 의한 중금속 제거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든 조건에서 처리한 산물의 중금속 농도는 토양오염우려기준 중 3지역 기준에 적합하므로, 중금속 처리뿐만 아니라 처리한 산물을 육상에서 매립지용 복토재, 토목, 건설용 재생토사 등으로 재이용하기위한 처리기술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Soil remediation technologies were experimented to evaluate whether the technologies could be used to apply remediation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 In this research, marine sediments were sampled at "Ulsan" and "Jinhae" where remediation projects are considered, and then the possibility of heavy metal removal was evaluated throughout the technologies.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ilt and clay fr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sand fraction at "Ulsan". Heavy metal removal of the silt and clay fraction was arsenic (As) 81.5%, mercury (Hg) 93.8% by particle separation, cadmium (Cd) 72.2%, mercury (Hg) 93.8% by soil washing technology, cadmium (Cd) 70.8%, lead (Pb) 65.6% by another soil washing technology.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tested particle separation and soil washing technologies could be used to remove heavy metals of sand fraction and silt and clay fraction. Heavy metal removal by soil washing technology which was composed of separation, washing and physical or chemical reaction by additives such as acid, organic solvents was more effective comparing to that of particle separation. Sinc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all treated samples was suitable for national soil standards, all the tested technologies were could be used not only to remove heavy metals of marine contaminated sediment but also to reuse treated samples in land.

      • 육상과 연안의 오염물질의 분포 및 이동특성

        최진영(Jin Young Choi),최기영(Ki Young Choi),하규영(Kyu Young Ha),김경련(Kyoung Rean Kim),김석현(Suk Hyun Kim),양동범(Dong Beom Yang),홍기훈(Gi Hoon Hong) 대한조선학회 2012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5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환경준설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해역 중 인근 주거지역이 발달한 지역을 선정하여 인근 육상 환경과 해당해역 퇴적물의 금속 및 유기주석 화합물의 오염분포를 연구하였다. 연안 퇴적물의 오염의 주 공급지역이 육상이었으며 일부 원소들은 유입경로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퇴적물, 도로 분진과 우수관 슬러지에 함유된 주요 중금속 함량의 90% 이상이 인위적인 오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준설을 통한 정화 사업이 실시된 정점의 연안 퇴적물은 준설 전에 비하여 준설 1년 후에는 인위적 영향의 중금속이 현저히 낮아졌으나 준설 2년 후에는 다시 인위적 유입에 의한 중금속이 상당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중금속의 농축계수와 TBT 농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몇몇 금속의 농축계수 끼리, TBT 농도는 Cu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5). 연구결과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정화복원을 위해서는 육상기원 오염물질의 유입 차단 및 유해물질들 간의 상관관계와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동해 울릉분지 남서해역 해양투기장의 퇴적물 특성

        천종화,허식,한상준,신동혁,정대교,홍기훈,김석현,Chun, Jong-Hwa,Huh, Sik,Han, Sang-Joon,Shin, Dong-Hyeok,Cheong, Dae-Kyo,Hong, Ki-Hoon,Kim, Suk-Hyun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4

        We have studied both submarine morphology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of waste disposal sites in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as part of a marine environmental preservation program. The Jung waste disposal site in the outer shelf is characterized by the thick accumulation of coarse-grained palimpsest sediments and fine-grained sediments from various sources. The Byung waste disposal site in the continental slope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hemipelagic muds with intermittent sandy sediments originated from the outer shelf and upper slope. The hemipelagic sediments, draping the seafloor, consist of fluidized muds. The core sediments show numerous bioturbation structures which cause vertical mixing of sediments. The surface sediments can be divided into four sand types (S-1, S-2, S-3, and S-4) and two mud types (M-1 and M-2) based on relative contents of reworked coarse-grained palimpsest sediments and fine-grained sediments. sorting and heavy mineral contents. The sands are probably relict sediments reworked during high-energy conditions such as typoon or storm. On the other hand, the muds were originated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recent input from the Nakdong River, reworked fine-grained sediment from the shelf or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from the East Sea Warm Current. 동해 울릉분지 남서측 해양투기장해역의 퇴적환경을 밝히기 위하여 해저지형과 퇴적물 특성을 조사하였다. 울릉분지 남서측 외대륙붕에 위치한 해양투기장 정해역은 팔림세스트(palimpsest) 퇴적물과 니질퇴적물의 교호퇴적상이 두껍게 나타난다. 울릉분지 남서측 대륙사면에 위치한 병해역은 대륙붕단으로부터 사질퇴적물의 간헐적인 유입을 제외하고는 반원양성 입자들의 수직적인 집적에 의해서 유동성이 큰 니질퇴적물(fluidized mud)이 해저지형을 평행하게 피복한다. 정해역과 병해역에서의 시추퇴적물에서는 저서생물의 교란에 의한 생흔구조들이 다수 관찰되며, 이에 의해서 퇴적물의 수직적인 혼합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표층퇴적물은 잔류퇴적물의 재동에 의한 조립질의 팔림세스트와 세립질퇴적물의 상대적 함량, 분급도, 그리고 중광물 특성들에 의해서 네 종류의 사질퇴적물(S-1, S-2, S-3, S-4)과 두 종류의 니질퇴적물(M-1, M-2)로 구분된다. 사질퇴적물들은 대부분이 태풍 또는 폭풍우로 야기된 고에너지 환경하에서 잔류퇴적물로부터 제동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반해 니질 퇴적물은 낙동강에서 유입된 현생 퇴적물, 대륙붕에서 재동된 세립질퇴적물, 그리고 동한난류(East Sea Warm Current)에 의해서 뜬짐으로 공급되는 입자성 부유물질 등으로 다양한 기원을 가진다.

      • KCI등재

        제주-대한해협의 표층해양의 용존 탄화수소

        조기웅,정경화,신종헌,김영일,정창수,홍기훈,Cho, Ki-Woong,Jung, Kyung-Hwa,Shin, Jung-Hun,Kim, Young-Il,Chung, Chang-Soo,Hong, Gi-Hoon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4

        제주-대한해협중 소흑산도에서 부산앞 대마도부근 까지의 제주도 이북의 대륙붕 해역 (33$^{\circ}$30'${\sim}$34$^{\circ}$N 125$^{\circ}$${\sim}$128$^{\circ}$E) 용존탄화수소의 분포와 성인을 조사하였다. 표층 해수중 용존탄화수소 총함량의 시 ${\cdot}$ 공간적 변이는 10배 이상이 대체로 연안에서 높고 외해에서 낮으며, 총함량은 가을에 봄보다 높다. 탄화수소의 성인을 n-alkanes과 pristane함량을 기준으로 보면 해수중 용존 탄화수소는 1998년 4월의 경우, 황해남부(125$^{\circ}$E) 해역에서는 식물플랑크톤기원 및 석유기원 탄화수소가 우세하고, 남해에서는 육상기원과 석유기원이 우세하다. 그리고 1998년 9월에는 남해에 식물플랑크톤과 석유기원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Dissolved aliphatic hydrocarbon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seawater were investigated to describe their distribution and elucidate their sources in the Cheju-Korea Straits region (33$^{\circ}$30‘-34$^{\circ}$N 125$^{\circ}$-128$^{\circ}$E). Seawater sampling was made in spring and autumn in 1998. A larg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were observed in the dissolved hydrocarbon concentrations in the region. The sources of dissolved hydrocarbons in seawater were elucidated based on the molecular concentrations of n-alkanes and pristane. Dissolved hydrocarbons in the surface water appears to be largely originated from phytoplankton and petroleum in the southern Yellow Sea (125$^{\circ}$), and terrigenous and petrogenic in the Cheju-Korea Straits region in April 1998. In September 1998, dissolved hydrocarbons in the surface waters were largely derived from phytoplanktons and terrestrial material in the Cheju-Korea Soaits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