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터팽대부 선암의 β-catenin 표현

        현연화,구지혜,이강,박선미,성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0 忠北醫大學術誌 Vol.20 No.1

        Purpose : Carcinomas of the ampulla of Vater have either intestinal or pancreatobiliary type differentiation. The molecular pathogenesis of both histologic types of ampullary carcinoma are not yet well characterized. The role of β-catenin pathway is important in colorectal carcinogenesis and β-catenin protein expression is dysregulated in the early stage of the adenoma-carcinoma seque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dysregulated β-catenin expression in the carcinogenesis of two histologic types of carcinoma of the ampulla of Vater. Materials and Methods : We examined 24 cases of resected carcinoma of the ampulla of Vater. Serial sections of all carcinoma specimens were stained with antibodies to cytokeratins (CK7, CK20) and β-catenin. Normal expression of β-catenin was defined as exclusive membranous staining. Dysregulated expression of β-catenin was defined as cytoplasmic staining in more than 50% of tumor cells and/or nuclear staining. Results : Ten carcinomas (42%) were immunohistochemically intestinal type (CK7-, CK20+) and eleven carcinomas (46%) were pancreatobiliary type (CK+, CK20-). Three carcinomas were immunohistochmically other types (CK7+, CK20+ or CK7-, CK20-). Abnormal β-catenin was accumulated in nine cases (90%) of intestinal type. Among them, nuclear staining was noted in two cases with moderately and poorly differentiated histology respectively. In pancreatobiliary type, only one case (9%) with poorly differentiated histology showed abnormal β-catenin expression in tumor nuclei. Conclusion : Dysregulation of β-catenin expression may play critical role in the carcinogenesis of intestinal type, but not of pancreatobiliary type. Abnormal accumulation of β-catenin in tumor nuclei may be related to poorly differentiated histology in both types of ampullary carcinoma. 연구 목적: 바터팽대부에서 발생하는 선암의 대부분은 조직학적으로 장형과 췌담형으로 구성된다. 두 병변의 발암기전은 뚜렷하게 밝혀진 바는 없으나, 췌담형 선암은 췌담도 선암의 발암기전과 유사하고, 장형 선암은 장 선암의 발암기전과 유사하다고 추측한다. 대부분의 장 선암에서는 암 발생 초기에 세포 안에 β-catenin의 축적이 발생하며, 축적된 β-catenin이 전암 세포 또는 암 세포의 증식을 유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췌담도 선암의 발생 과정에서는 β-catenin 축적에 의한 세포 증식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 바터팽대부에서 발생하는 장형 선암과 췌담형 선암의 발암 과정의 유사점 또는 차이점을 규명하기 위하여, 장 선암의 발암 과정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췌담도의 선암의 발암 과정에는 역할이 중요하지 않은 β-catenin의 축적으 면역조직화학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외과적 수술로 절제한 바터팽대부에서 발생한 선암 24 예의 조직 slide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각 증례의 병변을 대표하는 조직의 paraffin 포매 block 한 개를 선택하여 박편을 제작하였다. 장형 선암과 췌담형 선암을 면역조직화학 방법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각 박편에 통상적인 avidin-biotin immunoperoxidase 방법으로 cytokeratin 7과 cytokeratin 20 면역 염색을 하였으며, 발암기전의 차리를 알기 위하여 β-catenin 면역 염색을 하였다. β-catenin의 축적은 종양 세포의 50% 이상에서 세포질에 뚜렷하게 염색된 경우와 종양 세포의 핵에 염색된 경우를 양성으로 하였다. 결과: 10 예는 cytokeratin 7에 음성. cytokeratin 20에 양성이어서 장형 선암으로 분류하였다. 11 예는 cytokeratin 7에 양성. cytokeratin 20에 음성이어서 췌담형 선암으로 분류하였다. 3 예는 cytokeratin 7과 cytokeratin 20에 모두 양성 또는 모두 음성이엇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장형 선암은 9 예(90%)에서 β-catenin의 축적이 나타났다. 종양 세포 핵의 β-catenin 축적은 중등도 분화 암 3 예 중에서 1 예. 저등도 분화 암 1 예 중 1 예에서 관찰되었다. 고등도 분화 암에 동반된 선종 2 예에서도 종양 세포의 세포질에 β-catenin의 축적이 관찰되었다. 췌담형 선암은 11 예 중에서 1 예(9%)에서 β-catenin의 축적이 나타났으며 나머지 10 예는 세포막에만 염색되었다. β-catenin의 축적은 저등도 분화 암 1 예 중에서 1 예에 나타났으며 세포 핵에서 β-catenin의 축적이 나타났다. 결론: 바터팽대부에서 발생하는 장형 선종과 선암의 발암 과정에는 β-catenin의 축적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형 선암의 발암 과정은 장의 선종-선암 과정과 유사함을 시사하였다. 바터팽대부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췌담형 선암 세포에서는 β-catenin의 축적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췌담형 선암의 발암기전은 장형 선암의 발암기전과 다름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β-catenin의 종양 세포 핵 축적은 바터팽대부에서 발생하는 장형과 췌담형 선암의 악성화와 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The Expression of G1-S Cell Cycle Inhibitors in Normal Placenta and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현연화,김경희,최윤라,안긍환,채승완,이호창,이옥준,김석형 대한병리학회 2008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42 No.2

        Background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pression pattern of G1-S inhibitor molecules in normal trophoblasts and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including hydatidiform moles and choriocarcinoma. Methods : A total of 157 cases comprising 47 normal placentas and 110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such as choriocarcinoma (19 cases) and hydatidiform moles (91 cases of which 58 were complete, 12 were partial and 21 were invasive mole) were immunohistochemically analyzed on paraffin blocks using anti-p21, antip27, anti-p16, anti-p53, anti-pRb antibodies.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normal placenta, all the G1-S cell cycle inhibitors were maximally expressed by the first-trimester trophoblasts and these levels decreased with gestational age. The expression of p21 and p53 was greatly enhanced in the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particularly in invasive mole and choriocarcinoma, whereas the p27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horiocarcinoma. Especially, Rb expression was typically enhanced in the invasive mole, but not in choriocarcinoma. The expression level of p16 was low in all the cases, and particularly in choriocarcinoma.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of G1/S cell cycle inhibitors correlates well with normal trophoblast differentiation, and these expressions are considerably altered in the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including complete/partial/ invasive hydatidiform mole and choriocarcinoma. Background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pression pattern of G1-S inhibitor molecules in normal trophoblasts and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including hydatidiform moles and choriocarcinoma. Methods : A total of 157 cases comprising 47 normal placentas and 110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such as choriocarcinoma (19 cases) and hydatidiform moles (91 cases of which 58 were complete, 12 were partial and 21 were invasive mole) were immunohistochemically analyzed on paraffin blocks using anti-p21, antip27, anti-p16, anti-p53, anti-pRb antibodies.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normal placenta, all the G1-S cell cycle inhibitors were maximally expressed by the first-trimester trophoblasts and these levels decreased with gestational age. The expression of p21 and p53 was greatly enhanced in the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particularly in invasive mole and choriocarcinoma, whereas the p27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horiocarcinoma. Especially, Rb expression was typically enhanced in the invasive mole, but not in choriocarcinoma. The expression level of p16 was low in all the cases, and particularly in choriocarcinoma.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of G1/S cell cycle inhibitors correlates well with normal trophoblast differentiation, and these expressions are considerably altered in the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including complete/partial/ invasive hydatidiform mole and choriocarcinoma.

      • KCI등재

        대장-직장암에서의 CD24 발현 증가와 예후 인자들과의 관련성

        최윤라,현연화,이상전,박선미,김원재,김희진,김석형 대한병리학회 2006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40 No.2

        Background : CD24 was originally described as a B cell-specific marker, however its aberrant expression in various solid tumors has recently been reported. Our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pattern and extent of the CD24 expression in colorectal cancer and its related lesions, and to clarify its correl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nd especially those associated with patients’ prognoses. Methods : A total of 307 colorectal cancers and the related lesions (150 carcinomas, 30 high-grade adenomas, 49 low-grade adenomas, 41 hyperplastic polyps, and 37 normal colorectal epithelia) were immunohistochemically analyzed by treating CD24 monoclonal antibody onto tissue embedded paraffin blocks. Results : CD24 expression was very rarely observed in the normal epithelia, hyperplastic polyps, and low-grade adenomas; however, in high-grade adenomas, the CD24 expression was shown to be mildly increased in the cytoplasm (13.3%). In carcinomas, the CD24 expression was increased substantially in both the membrane (38.0%) and the cytoplasm (44.7%). The expression of CD24 in the membran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umor size (p<0.01). The CD24 expression in the cytopla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veral unfavorable parameters, including a larger tumor size (p<0.01), a higher tumor grade (p<0.01), a higher rate of tumor invasion (p<0.05), and a higher pTNM stage (p<0.05). Conclusion : High levels of CD24 expression in the membrane and cytoplasm were characteristic in colorectal cancer, and the cytoplasmic CD24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several unfavorable clinical parameters.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실태와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홍순혜(Soon Hae Hong),우영숙(Young Sook Woo),이문자(Moon Ja Lee),정지인(Je An Chung),현연화(Yun Wha Hyun) 한국아동복지학회 199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

        청소년들이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학교부적응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학교들은 교도교사제도, 진로상담교사제도 또는 학부모 상담자원봉사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그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보다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체계의 도임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생문제의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학교사회사업의 도일이 강조되고 있다. 학교사회사업은 학생들이 갖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역기능을 수정, 보완하여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개발하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학교부적응으로 발생되는 학생문제를 예방함으로서 질적으로 향상된 학교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해결방안이다. 이처럼 학교사회사업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학교부적응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여 앞으로 학교에서 학교사회사업을 실시할 때 학생복지를 위한 서비스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지 그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고, 학생부적응의 가능한 해결방법으로서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학생들의 욕구를 밝혀보았다.(한국아동복지학, 1997. 5:47-7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