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척수액에서 실시간-이중-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장바이러스의 검출

        허세란,진선경,장호은,박경운,송정한,김의종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6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6 No.1

        배경 : 장바이러스(enterovirus)는 무균수막염, 호흡기질환, 피부병변, 심근염, 뇌염 등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감염의진단은 항체검사와 숙주세포를 이용한 배양법 및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존해 왔으나 낮은 민감도가 문제가 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저자들은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의 장점을이용한 장바이러스 검출법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방법 : 무균수막염이 의심되어 뇌척수액 검체를 채취한 50명을대상으로 세 종류의 각기 다른 표적을 대상으로 시행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과 실시간-이중-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이 중 4명의 환자에 대해 바이러스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결과 : 세 종류의 각기 다른 표적을 대상으로 시행한 중합효소연쇄반응의 결과 각 26.0%, 40.0%, 46.0%의 장바이러스 검출률을 보였으며 바이러스 배양법의 양성률은 6.8%였다.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의 장바이러스 검출률은 86.0%였다.

      • KCI등재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허세,이인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7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have been established between China and Korea, many Korean enterprises enter China. And the ‘hallyu(Korean wave)’ is very popular in China recently. In terms of these, there has been a remarkable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o the author's knowledge, about 252 universities of China have Korean major. Lots of studies have discussed about the Korean education. As the time went by,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not able to reflect the status quo of Korean education accurately because of the limited information. This paper is about researching the issues in Korean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he first part is about the distribution of Korean major and the prospects of the expansion of Korean major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he second part present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design, the problems of curriculum design and its solutions. The last part discusses the distribution of Korean studies research institutes and their present study trend. There are some problems caused by unconventional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 in China. However, some significant progresses have been made in this area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void holding simple views of problems and approving the achievement had been made. Also building up a positive attitude to solve the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is important. 중한 수교와 한국기업의 대거 중국 진출, 한류 열풍 등의 영향으로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해왔다. 필자의 통계에 의하면 현재 중국 내 252개 대학에 4년제 혹은 3년제의 한국어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적지 않은 연구논문들이 중국대학의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해 논의해 왔지만 기존에 발표된 통계수치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는 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와 필자의 통계를 바탕으로, 첫째, 현재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 분포 현황과 한국어학과의 양적 확장에 대한 소견. 둘째, 현재 중국대학 한국어학과의 교과과정 현황과 교과목 배정에 존재하는 문제점. 셋째, 중국대학의 한국학 관련 연구기관의 분포 현황과 연구 동향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그간의 ‘과속’ 성장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거둔 성과 또한 충분히 인정해야 할 부분이기에 긍정적인 안목과 자세로 현존하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한국어 자유 선택어의 양화적 특성과 명령문에서의 인허 조건

        허세문 ( Hoe Semoo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1 언어와 정보 사회 Vol.44 No.-

        This paper studies two free choice items (FCIs) in Korean, focusing on their quantificational properties. For the first one, it is proposed that amwuna is an indefinite based FCI, which exhibits universal-existential quantificational variation, and that its universal quantificational force is derived in term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contrast, it is argued that nwukwuna is an FCI which inherently conveys a universal quantificational force. To support these points, this paper investigates why the two FCIs show different distributions under imperatives. Especially, given the assumption that imperatives require a necessity modal operator (contra minimal/modal force-variability approaches), it is discussed (i) how a permission reading can arise in imperatives, and (ii) how it interacts with the licensing of the two FCIs in Korean.

      • KCI등재

        범주강삼각주지역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 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

        許世立,李仁順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범주강삼각주지역(泛珠江三角洲地区)의 한국어 관련 학과는 대부분 10년 미만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지역 경제발전 가속화에 따른 한국어 인재 수요로 인해 그동안 비교적 큰발전을 이루어왔다. 지역 내 한국어 관련 학과를 개설한 대학만 하여도 32개에 이를 정도로양적인 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어 왔는데 이제는 질적인 향상을 위해 지역 내 한국어 관련 학과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필자의 다년간에 걸친 한국어 교육현장 경험과 이 지역 내의 비교적대표적인 11개 대학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범주강삼각주지역에 한국어 관련 학과 개설의 필요성, 한국어 관련 학과의 분포현황에 대해 점검을 하였고, 교수진 구성에 있어서 중국인 교수와 한국인 교수의 비율, 고급직함 소유자, 박사학위 소지자 그리고석사학위 소지자의 비율, 교사와 재학생의 비율 등에 대해 논의를 하였으며, 교과과정, 학생모집, 취업, 학술교류 등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중한 수교 이후 한국어 관련학과가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해 오면서 적지 않은 학자들이 한국어 관련 학과 발전의 불투명한 미래에 대해 우려를 해왔는데, 필자는 현재 범주강삼각주지역의 한국어 관련 학과의 재학생 규모, 정원 충원율, 제1지망 지원율, 취업률, 학술 연구 활동 등 통계수치를 바탕으로 이지역의 한국어 관련 학과가 현재까지는 비교적 양호한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지역 한국어교육의 미래 발전 대안과 과제로 우수 교수진 확보와 교사 지원,원어민 교수 자원 적극 활용, 한국 자매대학과의 교류협력관계 활성화, 학과 실습기지를 적극구축하여 산업체와의 연계교육 실시,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의 재편성, 계획적인대외홍보활동을 통해 신입생 적극 유치 등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With the increasingly development of the regional economy and urgentdemand for Korean talents, majors related to Korean in the Pan Pearl RiverDelta region which only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less than ten years,has witnessed a great development in a short period. At present, 32 collegesin this region have established majors related to Korean, which are goingthrough a transitional period from quantitative change to qualitative chan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general development of related majorsof Korean in this region and explore strategi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such a key period. Based on the author's years of work experience in Koreanteaching and statistic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carried out in 11representative colleges in this region, this paper illustrates the necessity of theestablishment of majors related to Korean in this region and the regionaldistribution of related majors of Korean, studies and discusses the ratio ofChinese teachers and Korean teachers, the proportion of associate professors,doctors, and postgraduates among the specialized teaching staff and relatedissues, and analyzes the present development situation of related majors ofKorean in terms of subjects and curricula, enrollment and employment, academic exchange, etc..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China and Korea, majors related to Korean develop rapidly. However, someexperts show their worries to the vague future of these majors' development. In light of the scale of college students of Korean and related majors, the ratedstudent registration rate, first choice application rate, employment rate,academic research, etc.. in the Pan Pearl River Delta region, the author pointsout that the development of majors related to Korean in this region enjoys sound momentum currently. Meanwhile, developmental tasks of majors relatedto Korean are also expounded in this pap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futuredevelopment of majors related to Korean in this region facing lots of tasksincluding ensuring high-quality teaching team, making the best of foreignteacher resources, strengthening academic exchange with Korean partnercolleges as well as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ultivating talentsthrough directed training and promoting the publicity to guarantee the newstudent-resources.

      • KCI등재

        원인절의 의미와 시점

        허세문(Hoe Se-moon),박유경(Park Yu-gyeong) 한글학회 2015 한글 Vol.- No.308

        본고는 한국어의 두 원인절인 ‘어서’-절과 ‘니까’-절의 의미 차이를 ‘시점’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우선 심리 술어와의 분포에서 나타나는 두 원인절의 차이를 시점 전환의 가능성을 통해 분석한다. 특히 화자지향 심리 술어와의 관계를 통해서, ‘니까’-절은 화자의 판단을 기반으로 한 원인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3인칭 경험주로의 시점 전환을 허가 하지 않고, ‘어서’-절은 화자 지향적 해석을 갖지 않기 때문에 3인칭 경험주로의 시점 전환을 쉽게 허가한다는 것을 살펴본다. 더 나아가, 본고에서는 화행의 맥락에서 나타나는 ‘-어서’와 ‘-니까’의 차이도 시점 전환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화행이 일어나는 직접 담화 맥락에서 청자와 화자의 관계에서 비롯된 화자와 청자 사이의 시점 전환이 존재하며, 이러한 화행의 맥락에서 나타나는 시점 전환은 ‘-니까’ 만이 허용한다고 본다. 이는 화자 자신의 판단과 그 이유를 청자에게 ‘동조’하도록 유도하는 ‘-니까’의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를 통해 ‘감사, 미안함’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화행의 맥락과 약속문, 명령문, 청유문에서 나타나는 두 원인절의 차이에 대해 설명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emanticpragmatic properties of Korean causal connectives ‘-ese’ and ‘-nikka’.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distribu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usal connectives in terms of ‘Point of view (POV) shift’. We first show that the two connectives behave differently when they appear with a psych-predicate, such as chupta ‘cold’ or chincelhata ‘kind’. We claim that while ‘-ese’ allows the identif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3rd person subject through POV shift, ‘-nikka’ does not allow such an identification because of its speaker-oriented property. We also show that there is another kind of obligatory (hearers) POV shift in speech act contexts. Given this, we can explain the different behaviors of the two connectiv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types of speech-act contexts, i.e., thanking/apology type and various types of directive speech acts.

      • KCI등재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Gender in Engineering Education

        허세,전광일,한경숙,신준영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2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ree representat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s explored societal supports contributing to retention and persistence in engineering, especially among women.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flow of research and practice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femal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tention and persistence of women in engineering is closely relevant to issues of diversity management, collaboration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 KCI등재

        ‘-어서’ 절 과 ‘-니까’ 절의 의미 차이에 대한 연구

        허세문(Semoon Hoe),박유경(Yugyeong Park)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6 언어학 Vol.0 No.76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wo causal clauses in Korean (i.e. nikka-clause and ese-clause) based on their modal meaning. In this paper, we claim that the causal clauses create a certain type of modal environment, namely reason context. We suggest that Anand & Hacquard’s (2009) distinction between subjective epistemic and objective epistemic can be extended to Korean causal clauses. In this way, we propose that nikka-clauses and ese-clauses correspond to subjective and objective epistemic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reason context, we also discuss how the speaker’s epistemic certainty can be involved with uttering a sentence with a causal relation felicitously. Taken together with Mari’s (2016) idea that the criteria for the mood choice can be parameterized, we suggest that the properties of the reason context which distinguish it from the attitude context lead to the mood distinction between nikka and ese-clauses.

      • KCI등재

        Two Types of Rs in Korean: Evidence from Epistemic Predicates

        허세문(Semoon Hoe),정한별(Han-Byul Chung),박동우(Dongwoo Park) 한국생성문법학회 2021 생성문법연구 Vol.31 No.1

        This paper argues, from the perspective of labeling, that the epistemic predicates kolyeha- and kancwuha- taking small clause complements headed by -(u)lo have different verbal domain structures, in that the verbal domain with kolyeha- can have either a proleptic object or a raised object, while that with kancwuha- can only have a raised object. Contra Chomsky (2015), we argue that this results from the difference in the strength of the root based on the (un)availability of genitival nominalization containing those verbal noun Rs kancwu is a weak R, while kolye is a strong R. Using this modified labeling theory, we account for disparities between the verbal noun kolye and the verbal noun kancwu in scrambling and ellipsis, despite the fact that these two Rs convey the same semantic meaning as epistemic v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