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박물관의 공간구성 및 위계 분석 기초 연구

        한소원,이행우,황지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5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Korean government is expanding its cultural infrastructure and services, such as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various region, the number of museum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mong them, children’s museum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and over the last few years, their demand continues to rise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public education. The demand for research on children’s museums is also increasing as they specifically target children. However, most studies limit their analyses to the status of such museums, and research on other aspects has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primary data for designing children’s museum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ir spatial configuration and hierarchy. (Method) The spatial hierarchie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museums were analyzed by circulation using j-graphs and spatial syntax. Through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of children’s museums were derived, and the accessibility and user recognition of each spatial component were analyzed. Among the national or general public museums, the museums that are above-average size (approximately 4,500 ㎡) opened after 2000. (Resul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Children’s museums generally have a high proportion of common areas,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in significant locations in terms of the traffic flow. 2) The J-graph of children’s museums generally showed a ring-type space with strong social functions. Although this structure is suitable for nurturing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shallow ring-types with low spatial depth were considered more appropriate for children with low spatial awareness. 3) Convex spaces with high connectivity are important positions in the circulation or traffic flow. As such, common areas and experience centers with high numerical values in children’s museums occupy major positions in the traffic flow, which shows that experiential elements are significant design factors that also facilitate social communication. 4) The common areas and experience centers of children’s museums were highly recognized, accessible, and connected. Accordingly, when designing future museums, education opportunities, children’s experiences , and the role of common areas are key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conducting spatial hierarchy analyses according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circulation structure of children’s museums to derive accessibility and user recognition data for each spatial component in the museums, thereby constructed primary data that is useable in many fields. However, this study’s method was limited by analyzing only the floor plan and structure without observing how people visit and tour museums.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apply various methods to build on the findings for improving museum design.

      • KCI등재

        관람객의 박물관 관람방식에 따른 선호도 분석 기초연구

        한소원,박지온,황지영,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0

        The demand and need for museums continued to grow in the 20th century, but many 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temporarily suspended and closed due to the recent COVID-19 pandemic. Since then, many museums have diversified online using digital environments. However, while there has been rapid growth of online museums based on non-face-to-face formats, many have limitations and problems in performing the original functions of museums and improving visitor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visitors by contrasting in-person and non-face-to-face museum experiences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implementing non-face-to-face online museum services. Surveys were conducted on visitors with in-person and non-face-to-face exhibition experiences to analyze their preference for each metho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surveying visitors with only in-person experiences, there was a significantly better retention rate of knowledge due to new information being provid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ir intellectual level and surrounding environment. 2) In the case of visitors with only non-face-to-face experiences, their intention to revisit was low due to difficulties in using the format and collecting information. 3) In the case of visitors with both experiences, it was found more meaningful to induce users to gain in-person museum experiences rather than conveying information through non-face-to-face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establish basic data for future museum planning. 20세기에 접어들면서 박물관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최근 펜데믹 사태로 인하여 문화시설들은 운영을 잠정 중단하였다. 이후 많은 박물관들은 디지털 환경을 활용하여 온라인 방식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기반 박물관의 비대면 관람이 급속도로 양산되는 반면, 온라인 기반 비대면 방식의 전시는 본래의 기본적인 박물관 기능뿐 아니라 관람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박물관의 대면 및 비대면 방식의 관람에 의한 관람객의 만족도 및 선호를 분석하며, 이후 비대면 방식의 온라인 환경의 박물관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박물관 대면 및 비대면 관람방식에 의거한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박물관의 대면과 비대면 방식으로 관람을 마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대면 관람만을 진행한 관람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는 관람자의 지적 수준 및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재방문율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2) 비대면으로 관람을 진행한 응답자의 경우는 조작 및 정보 수집에 대하여 어려움을 호소하며 재방문에 대한 의지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3) 대면 및 비대면 관람을 모두 경험한 응답자의 경우는 비대면 관람 방식에 의한 정보전달의 기능보다 대면 관람으로 이용자를 유도한다는 점이 더 유의미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노인전문병원 병동부의 간호스테이션 유형에 따른 평면 구조의 위계 분석 연구

        한소원,정수연,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6

        최근 사회는 의료 및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의하여 노인 인구의 비율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는 주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정부는 노인의 의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전문 의료시설 확충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그 결과, 노인전문병원은 양적의 증대에 대비하여 질적의 부분의 발전수준은 선진국에 대비하여 낮은 수준으로 나타다고 있다. 특히 노인전문병원 병동부의 간호스테이션은 설계단계에서 적절한 분석 및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 환자 및 방문객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들은 병동부를 원활하게 통제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 병동부 간호스테이션에 따른 공간구성 및 위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향후 노인전문병원을 설계 시 기초자료 활용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의 공간위계 분석을 위하여 지역별 상황에 치우져 분석되지 않도록 전지역권에서 6곳을 선정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공간위상도 및 공간구문론의 컨백스기법을 사용하여 간호스테이션의 통제성 및 인지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공간위상도는 Tree형과 Ring형의 공간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공간인지 능력이 낮은 노인환자를 고려하여 공간깊이가 낮은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2) 병동부 간호스테이션은 병동부 규모에 따라서 공간깊이 및 설치개소가 상이하며, 간호스테이션이 1개소 설치된 경우는 병실을 원활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공간깊이가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코어부에 인접한 간호스테이션은 통제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병실에 인접한 간호스테이션은 1이하의 통제도값을 보이고 있어 병동부에 대한 관리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4) Tree형 구조로 배치된 병동부의 간호스테이션은 병동부의 국부통합도 평균값에 대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공간인지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나, Ring형 구조로 보이는 병동부의 간호스테이션은 상대적으로 공간인지가 어려워 노인환자가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opulation worldwide has been aging rapidly due to advancements in medical and scientific technologies. As a result, population aging has become a critical social issue, and the government is focusing on expanding medical facilities specializing in caring for older adults. However, compared to the increase in quantity, the quality of geriatric hospitals in Korea still needs to improve when compared to that of developed countries. In particular, nursing stations in the wards of geriatric hospitals can cause inconvenience to patients and visitors if they do not undergo analysis and validation in the design stage. Nurses may also need assistance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ward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hierarchy of nursing stations in geriatric hospital wards to build essential data for the future design of geriatric hospitals. Six geriatric hospitals were selected nationwide to avoid biases depending on the region. The control and recognition of nursing stations were analyzed using J-graphs and convex spaces in space syntax.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J-graphs showed tree-type and ring-type spatial structures with low spatial depth, considering the low spatial awareness of older patients. 2) The spatial depth and number of nursing sta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ard. When one nursing station was installed, the spatial depth tended to be low to manage the ward more efficiently. 3) While nursing stations adjacent to the core area had high control values, those near the ward had control values of 1 or less, which indicates difficulties managing the ward. 4) Nursing stations in wards arranged in a tree-type structure showed higher local integrations than the ward’s average, which was favourable for spatial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nursing stations in wards arranged in a ring-type structure were relatively difficult to recognize and, therefore may be challenging for older patients to use.

      • KCI등재

        건물 빛환경 성능개선을 위한 건물외피의 IT 적용 동향 분석 연구

        한소원,조아람,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6

        The energy needed to create pleasant environments in buildings continues to increase in use. Concerns about this issue have grown and the issue is now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threat posed by global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building envelopes have low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They are significant parts that determine the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so the demand for related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continues to increase. With Industry 4.0, IT technologies are evolving through convergence between many fields. In this respect,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IT technologies applicable to building envelop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previous works on building envelope technologies integrating IT technologies to save building energy and improve user comfort. This was to suggest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applying IT technologies to building envelopes. Among journal articles published since 2010, those with the keywords IT, comfort, energy saving, and building envelope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veloping building envelopes integrating IT technologies compared to other academic fields in Korea. 2) Most IT technologies applied to building envelopes were also relatively passive, mainly limited to opening and closing envelope modules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se technologies have limits in providing optimal environments for occupants. 3) Most papers on building envelopes integrating IT technologies in Korea do not consider economic feasibility and maintenance, which may be a factor that hinders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e need to upgrade and enhance building envelopes by developing and reviewing IT technologies applicable to them. 최근 에너지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 사용량은 세계적으로 심각한 기후 문제와 맞물려 있어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열손실이 높은 건물외피에 관한 연구와 관련 기술개발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4차 산업혁명에 의한 IT는 분야 간 융복합을 통하여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건물외피에 적용가능한 IT에 대한 검토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물 빛환경 성능개선을 위한 IT가 접목된 건물외피 기술에 대한 동향의 분석을 목적으로, 선행연구들의 경향 분석을 통하여 건물외피의 IT 적용관련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0년부터 출판된 학술지논문을 대상으로 IT, 쾌적도, 에너지 저감 그리고 건물외피를 키워드 대상으로 하는 논문을 선별하여 그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IT 적용 건물외피 기술개발 연구는 국내에 한하여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2)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실내공간에 의하여 제어되는 IT은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반면, 외부환경정보에 의하여 제어되는 IT는 소극적으로 반영되어 제시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건물에너지 저감 및 실내공간의 쾌적도 개선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연구결과가 나타난다. 3) 국내에서 이루어진 IT 적용 건물외피 기술개발 논문들은 경제성 및 유지관리에 대한 부분은 미고려되고 있어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건물외피에 IT가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기술개발 및 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함으로써 건물외피 분야의 고도화 및 첨단화를 달성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