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무원 근무성적평정제도의 합리적 운영방안

        하상묵 ( Sang-mook Ha ) 한국행정연구원 1997 기본연구과제 Vol.1997 No.-

        근무성적평정은 어느 사회 어느 조직을 막론하고 신뢰의 문제를 안고 있다. 우리 나라 공무원 근평의 경우 이 문제가 특히 심하다. 조사에 의하면, 근평 결과를 크게 신뢰하는 사람은 8%에 불과하다. 이 문제에 대해 서구의 학자들이 제시하는 원인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근평의 도구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렵다. 둘째, 평정자들이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셋째, 피평정자들은 대체로 자신에 대해 관대하기 때문에 근평 결과를 수긍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구 사회에 있어 근평에 대한 관심의 초점은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케 할 도구, 방법 및 절차의 개발이다. 우리 나라 공무원 근평 문제의 핵심은 제도의 변칙적 운영이라 할 수 있다. 대체로 연공서열에 따라 이루어지는 공무원의 승진 인사를 뒷받침하기 위해 근평이 실제 근무성적과 관게없이 서열상 승진을 앞든 사람에게 높은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근평 결과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적다. 이 연구에서는 근평의 변칙적 운영이 원인과 해결 방안을 찾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평의 변칙적 운영은 근평 제도 차체보다는 제도외적 요인에 기인하는 바 크다. 제도외적 요인으로는 첫째, 공직사회에 지배적인 평등주의적 공평성 인식과 온정주의가 있다. 좋은 것은 모두가 나눠 갖거나 돌아가며 받아야 공평하다고 본다. 따라서 누구나 원하는 승진과 직결되는 근평에 연공서열을 반영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볼 것이다. 여기에 온정주의까지 가미되어, 평정자는 연공서열이 높은 피평저자의 앞길을 막지 않으려고 가급적 좋은 평정점을 주게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평정자의 개인적 동기이다. 원리원칙을 고수하여 공무원의 근무성적을 사실대로 평정하는 것은 평정자에게 아무런 이익도 없다. 원리원칙을 고수하여 연공서열이 높은 사람에게 낮은 평점을 줄 경우, 냉혹한 관리자,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관리자로 인식되어 개인적으로는 오히려 손해가 될 뿐이다. 셋째, 공무원 인사 및 보수 제도가 이러한 의식과 행태를 용인하고 있다. 잘못된 근평으로 인해 누가 승진하든, 평정자의 소관 부서의 실적이 어떻게 되든 평정자의 신분 및 보수에는 영향이 없다. 제도내적 요인들은 제도외적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약하지만 그 중 비교적 중요성이 큰 것들을 몇 가지만 지적하면, 첫째, 근평의 실질적인 용도가 승진후보자명부의 작성에 필요한 자료를 생산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어 “근평=승진”이라는 단선적 사고 하에서 근평에 임할 유인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평정요소별로 개념 및 평가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안고 증빙자료도 요구되지 않아 평정자의 주관적, 자의적 평정을 가능케 한다. 셋째, 온정주의가 통하는 사회, 비밀보장이 안되는 사회에서 한 사람의 평정자와 한 사람의 확인자가 평정점을 부여토록 함으로써 사실대로 평정할 여지를 적게 한다. 이상의 진단 결과에 따른 근평 운영의 합리화 전략은 다음과 같다. 우선 근평 제도 안에서, (1) 제도를 단순화한다. 평정의 서식, 절차, 단계를 가능한 한 단순화함으로써 왜곡의 기회를 줄인다. (2) 근평의 용도를 다양화한다. 근평의 결과를 승급, 상여금, 보직 등의 결정에 반영토록 하고, feedback을 의무화함으로써, 근평시 승진후보자명부만을 의식하는 단선적 사고에서 벗어나게 한다. (3) 평정의 부담을 분산시킨다. 단독 평정자ㆍ확인자 방식을 다면평가 방식으로 전환하여 인간관계 및 온정주의적 동시가 평정에 작용할 여지를 줄인다. (4) 총점지상주의에서 탈피한다. 평정 결과를 점수화하고 합산하여 승진후보자명부에만 반영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분야별, 요소별로 등급제 평정을 하고 그 결과를 분리 활용토록 하며, 승진에 관해서는 추천 여부만을 물음으로써 승진만 고려한 변칙적 운영의 동기를 제거한다. (5) 평정요소별로 개념을 제시하고 평가기준을 구체화한다. 이 외에도 근평의 목적을 정부의 실적 관리와 관련하여 명확히 그리고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평정요소, 요소별 비중, 정차, 평정자 등 근평의 모든 구체적 사항에 관해 각 기관 및 부서에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도 합리화를 위해 필요한 전략이다. 전평 제도 안에서 찾아지는 위의 전략들은, 그러나,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문제의 본질이 근평 제도 밖에 있기 때문이다. 효과적인 전략의 기본명제는 책임이다. 평정자로 하여금 자신이 행한 근평의 결과에 전적으로 책임지도록 하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 해결 방안이다. 평정자의 신분과 보수가 그의 소관 부서 또는 팀의 실적에 의해 결정되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평정자인 관리자에게 적어도 소속 진원의 선발과 보수 및 수당 책정에 관한 권한는 부여해야 할 것이다. 근평의 합리적 운영을 위해 인사 및 보수 제도를 개혁하자는 것은 앞뒤가 뒤바뀐 주장일 수 있다. 그러나 인사 및 보수 제도의 개혁은, 근평 문제를 떠나서 보더라도, 우리 정부의 실적 관리를 위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과제이다. 정부의 실적관리를 위한 인력관리 정책의 근간은 실적에 기초한 인사 및 보수 제도이다. 그 구체적 방안으로 당위성과 현실적 필요성이 큰 것은 관리자급 공무원에 대한 실적계약 임용제이다. 관리자의 신분과 대우가 소관 부서의 실적에 따라 결정된다면, 관리자에게 합리적인 선택은 실적 동기에 따라 소관 사업과 인력을 운영하는 것이다. 즉 관리자는 소속 직원의 인사와 보수에 능력과 실적을 반영하고, 그 기초 자료가 될 근평을 최대한 합리적으로 운영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공무원 인사에서 내부승진의 개념을 없애고, 결원이 있을 경우 후보자를 공모하여 실적평가를 통해 충원하는 것도 실적관리를 위해 바람직한 제도인 동시에 근평 문제에 대한 또 다른 해결책이 될 것이다.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PES) of the Korean Civil Service suffers a serious lack of credibility.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less than 10 percent of the government employees trust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Lack of credibility is a universal problem with any PES. In the West, this problem is attributed mainly to the following. First, no evaluation tools are perfect enough to fully grasp the employees` true performances. Second, appraisers are susceptible to errors such as halo error, central tendency error, and first impression error. And, third, appraisees tend to be generous to, or overevaluate, themselves that they would not admit unfavorable ratings as valid or fair. Thus the issues in the PES in the West rest mainly on the tools, methods, procedures, and other concerns about objectivity in the evaluation. The central issue in the PES of the Korean Civil Service is its intentional misuse or abuse. PES is used as a means to justify seniority-based promotions by giving high scores to the prospective promotees, i.e.. seniors, regardless of their actual performances. This practice is so prevalent that the evaluation results hardly make reliable information for any decision purposes. This study seeks to explain and find solutions to this problem, namely, abuse of P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Abuse of PES is attributed 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which the latter take much greater a part. The latter include: (1) fairness-as-equality perception and paternalism. An absolute majority of government employees perceive fairness as equality. To them, a fair distribution of something good is to give everyone an equal share or chance. Seniority-based allocation is a good, if not the best, way to achieve equality in promotion, for everyone will eventually become a senior and get the chance. Thus, they widely accept it fair to give seniors high evaluation scores―the most critical factor to affect promotion under current personnel systems. Besides, most supervisors as paternalists would give seniors high evaluation scores unless critically underperforming. (2) Appraisers` personal interests. Appraisers see little to gain and much to lose, if insisted on truth in evaluation, for truth-seekers should expect bad reputations, like being cold-blooded or poor in human relations. (3) Government personnel and remuneration systems that allow, if not encourage, evaluations under fairness as equality norm, paternalism, and personal interests. Under current personnel and compensation systems, appraisers are free from the effect of evaluations: whoever may get promoted and whatever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y be as a consequence of untruthful evaluations, appaisers have little to lose, for their own status and compensations are also seniority- and grade-based. Internal factors include: (1) Limited use of PES. With evaluation data being used only for determining the ranking in the list of promotion candidates, appraisers arc expected to be preoccupied by promotion concerns when evaluating their subordinates;(2) No clear definitions or rating standards provided for evaluation items and no supporting materials required for ratings. Given this, subjective and arbitrary evaluations are likely; (3) A single appraiser and a single reviewer system in a society where paternalism prevails and secrets are not kept well. This gives appraisers a great deal of pressures to consider human relations in evaluating subordinates. Strategies to curb the abuse of PES, recommended by this study, include: First, simplify the PES. Simpler forms, procedures and steps in evaluation may reduce the chances of distortion. Second, diversify the usage of FES by, e.g. mandating feedbacks and determining the increments, bonuses, and position assignments based on evaluation results. This will help appraisers be less preoccupied by promotion concerns. Third, adopt a 360° evaluation, or multi-rater, system. This is to reduce the human relations concerns and paternalism in evaluation. Fourth, abolish the total score system. Stop transforming ratings into scores, summing them up to a total score, and using it for determining the rankings in the promotion candidate list. Instead, use the ratings on each evaluation criterion or item separately for different purposes, while adopting Yes/No system of recommendation for promotion. This will help appraisers reconsider the practice of a reverse procedure―assign the total score first and then distribute to each evaluation item afterwards―to make it sure that the subordinates are given predetermined rankings. Fifth, provide clear definitions and rating standards for evaluation items. Besides these, there are needs for clarifying the purpose of evaluation in relation with government-wide performance management; and discretion to individual agencies of powers to decide evaluation items, procedures, appraisers and other specifics. Modification of the PES itself, however, cannot be very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for this comes in most part from external factors. Appraiser responsibility is central to any effective strategy. Thus, there are needs for new personnel systems designed to tie the status and compensation of managers with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al units they manage. Key elements of this mechanism should be: performance-contract-based appointment of managers; and recruitment by open competition, instead of promotion, for vacancies in the government

      • KCI등재

        GFRP 보강근으로 겹침이음된 휨 부재의 휨성능

        하상수(Ha Sang-Su) 대한건축학회 2011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7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behavior of flexural member reinforcing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GFRP) bars with lap spliced at middle of the member. In this study, the specimens of 12 beams reinforced using GFRP bars were tested. In ten specimens, the GFRP bars were lap spliced at center. Test variables were lap spliced length, cover thickness, and ratio of reinforcing bar. The lap spliced length at center is 45db , 60db, and 75db. Cover thickness is 30㎜ and 50㎜. All beams were tested under 4-point loads so that the spliced length be subjected to a constant moment. No stirrups were used in the spliced region so that the tests result in conservative bond strengths. As a result of this test, the failure of all specimens with lap spliced results in concrete splitting. The flexural strengths of flexural member reinforcing GFRP bars with lap spliced at center were predicted through non-linear analyses of the cross-sections. The flexural capacities of members using GFRP bars can be determined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1960년대 『창작과 비평』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 백낙청의 초기비평을 중심으로-

        하상일(Sang-il Ha) 어문연구학회 2005 어문연구 Vol.47 No.-

        This thesis studies literary criticism in 1960's by focusing on “Chang-Bi”. This thesis examines the critical spirit and realistic character of Chang-bi, which accepted the meaning of the Western civilian ideals and reestablished civilian literature to nationalism. The fact that Chang-bi was founded in 1966 was an important event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t that time, the contents and the editing system of Chang-bi were epoch-making and the editorial policy which emphasized on the culture and current issues led a guiding criticism to epoch spirit and attitud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bi lay in critical participation in Korean society and extended not only the field of literature but also of politics, economics, sociality, and culture, as Cheong-maek and Han-yang. Especially, Chang-bi systematized and organized the literature of participation in actual society through the Western intellectual theory, and pursued for the reestablishment of prosaic genius and methods of actual participation. It criticized the falsehood, abstraction of purism, and gropes that seek modernity through critical observation to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Also, the civilian literature, which Paek, Nak-Cheong(백낙청) insisted on, had the same vein as nationalism in the 1960s.

      • KCI등재
      • KCI등재

        IPTV에서 평가주기 변화가 주관적 영상 화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하상용(Sang-yong Ha),김진철(Chin Chol Kim),정운영(Woon-Young Jung),최재영(Jae-young Choi),노병희(Byeong-hee Roh) 한국통신학회 201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6 No.4B

        영상 품질의 주관적 측정을 위한 다양한 표준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나, 이들 방법들은 원본 기준 영상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10초 내외의 짧은 시간의 시청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IPTV 시청 환경에서는 장시간의 시청(예를 들어 30분이상)이 이루어지므로, 표준 방법들에서의 10초 시간 주기의 평가는 현실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IPTV 제공 환경에서 주관적 화질 평가를 위하여, 평가 주기 변화가 MOS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IPTV의 주관적 화질 평가에 적합한 평가 주기를 선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standardization works to measure subjective video quality. However, these standardization methods are based on the situation where they have original or reference video sequences, and measure the video quality by looking the sequence during short time duration, e.g. 10 seconds. Since people’s TV watching time durations in IPTV services are very long (e.g. more than 30 minutes), the quality measurements by the standards are not practical.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video quality rating period to MOS (Mean Opinion Score), and suggest a proper rating duration of subjective video quality for IPTV services.

      • KCI등재

        김현의 비평과 『문학과지성』의 형성과정

        하상일(Ha Sang-il) 한국비평문학회 2007 批評文學 Vol.- No.27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Kim Hyun's criticism from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Sanmunsidae(『산문시대』) tried to observe the process which reaches to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Moon-ji(『문학과지성』) in the center. Kim Hyun's criticism was the symbol flag ticket which understands the spirit private genealogy of the Moon-ji. Also 1960's it will be able to evaluate the role as objection base of liberalism literature whom one of our literature history of criticism it wets approximately is serene with criticizing hitter anger became the centripetal point of 4.19 generation criticizing which it does. It was developed in the namely Chang-bi(『창작과비평』) center and all 1960's realism literature history of criticism it flows it called forth an opposition and the discord which the history of criticism which faces each other are healthy. old generation criticizing and approximately criticizing it ran simultaneously and and it went over and and and brings a history of criticism maturity role an opposition and the discord which the history of criticism which faces each other are healthy decisively, there is a possibility of doing. Kim Hyun's criticism was 1960's to become the center axis which understands our history of criticism from like this point to be sufficient, like this history of criticism it flows Moon-ji it makes clear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 which Kim Hyun's criticism causes in formation process with more to be clear, to reveal and quality possibility.

      • KCI등재

        소프트 컴퓨팅에 의한 자율 이동로봇의 충돌 회피 및 최적 경로계획

        하상형(Sang-Hyung Ha),최인찬(In-Chan Choe),김현성(Hyeon-Seong Kim),전홍태(Hong-Tae Jeo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2

        최근 넓은 활동 범위를 제공하고 작업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율 이동 로봇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동로봇이 장애물을 회피하여 최단 경로를 통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용성을 검증하도록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micro-GA와 λ-geometry MRA을 사용한 알고리즘이다. 시뮬레이션 영역은 320(가로)×200(세로) 픽셀로 제한하고, 한 픽셀의 단위를 1cm로 하였다. λ-geometry MRA 만을 사용하여 경로를 계획했을 경우에는 경로 계획을 위한 방향성은 제공하였지만 최단 거리 경로는 제공하지 못했다. 반면 micro-GA를 함께 사용했을 경우에는 최단 경로 탐색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경로의 방향성과 함께 최단 경로 탐색을 제공하고 있다. Recently, the necessity of the autonomous mobile robot is emphasized in order to enlarge the scope of activity and actively cope with the change of work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e algorithm which enables the mobile robot to avoid obstacles and lead it to the destination by the shortest path. And we verify the usability by a simulation. We made the algorithm with micro-GA and λ-geometry MRA. The area of simulation is limited to 320(width)×200(length) pixels and one pixel is one centimeter. When we planned the path with only λ-geometry MRA, we could find the direction for path planning but could not find the shortest path. But when we planned the path with λ-geometry MRA and micro-GA, we could find the shortest path. So the algorithm enables us to find the direction for path planning and the shortest path.

      • KCI등재

        한국 경찰사의 변천에 관한 연구: 치안, 민주성, 봉사를 중심으로

        하상군 ( Ha Sang Gun ) 한국행정사학회 2014 韓國行政史學誌 Vol.34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경찰의 역사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 경찰 ‘개혁·쇄신·혁신’의 변천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경찰사 연구의 필요성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경찰의 변천사를 미군정기와 한국전쟁기, 민주화 이전, 민주화 이후로 나누었고 치안, 민주성, 봉사라는 세 가지 기준으로 파악했다. 주요 시사점으로 첫째, 치안 측면에서 미군정기와 한국전쟁기의 치안 분야는 일제 강점기의 고문과 악행 폐지, 전투 수행이 중심이었다. 민주화 이전에는 법률 제정과 경찰관 교육 실시, 조직 기능과 범위가 넓어졌다. 민주화 이후 경찰은 세부적으로 개혁 과제를 추진했고 온라인으로 치안 업무가 확장되었으며 국민 요구나 여론에 따라 초점을 달리하면서 대응했다. 둘째, 민주성 측면에서 영미법계 경찰 형태의 도입과 전시에 다양한 업무를 담당했기에 민주성을 논의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 민주화 이전 경찰은 정치적 영향에 따라 경찰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민주화 이후 경찰은 시기마다 쇄신 노력을 기울이고 전반적인 부분에서 대내외적으로 개혁을 추진했다. 다만, 민주성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따라 판단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분석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 셋째, 봉사 측면에서 미군정기와 한국전쟁기는 경찰이 봉사하기 어려운 상황이었고 민주화 이전에는 파출소 등의 확대 설치와 민원 행정의 불편을 덜어주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민주화 이후 더 근원적인 차원에서 개혁을 추진해 대국민 봉사, 현대적 개념의 치안서비스라고 부를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implications for Korea National Police. It focused on police reform, democracy and innovation. It is studied to need for the police history and previous studies for military government, before democratic and after democratic time. It was identified three criteria(public order, democracy and service for civil). Public order aspect, the military police aspects of security sector and abolish of torture and atrocities. Every police officers carried out Korea War. Prior to democratize, legislate about law and educated police officers. After democratic, police reforms detail part, promote online security and focus people with different needs and the public responded. Democratic aspect, military police introduced Anglo-American poli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political influence before the democratization of the police identity and had difficulty maintaining independence. After democratic, police reform effort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However, how to define the concept of democratic results may be different results. Service for civil aspect, it is difficult to service regular in Korea War. Before democratic time, Many city was installed police station and police improves the administrative complaint. After democratization, police reforms more fundamental level. Especially, police service has expanded various area.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history of the police in Korea. This paper generally helps the police to read the flow of the future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