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청지역 판소리 문화 유적 현황 연구

        최혜진(Choi, Hye Jin)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8

        본 논의는 충청지역의 판소리와 관련된 인물들과 지역을 살피고, 발굴해야 할 문화유적과 기초자료의 중요성을 강조한 글이다. 특히 충남지역의 판소리적 위상을 살피면서 현장 답사를 시행하였고, 판소리 지형도를 살펴, 시급히 조사 연구해야 할 명창과 유적에 대해 논하였다. 먼저 조선창극사에 나타난 충청지역의 명창 23명과 후대의 주요 명창, 명고 등 35명의 생애과 정보, 의의를 정리하고 충남지역이 판소리 발생기와 일제강점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밝혔다. 다음으로는 현지 답사를 중심으로 홍성, 서산, 서천, 공주, 논산 지역의 명창 관련 정보와 문화유적 등을 조사하여 보고하였다. 홍성에서는 판소리의 시조 최선달의 가계와 묘역이 밝혀졌으며, 김창룡의 주거지 등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성준 관련 여러 유적도 제대로 보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동편제의 다른 맥을 만든 정춘풍에 대한 지역조사가 시급하다. 서산에서는 심정순 일가와 연관되어 낙원식당 등이 중요한 유적지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고수관 등의 유적지를 조사하였고 방만춘 일가 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서천에서는 이동백과 김창룡 관련 유적지가 발굴되고 보호되어야 한다. 공주에서는 박동진 전수관의 현황을 둘러보았고, 황호통이 중요한 명창으로 활약했음을 밝혔다. 이와 함께 황해천, 김석창, 박상도, 이동백과 김창룡, 고수관 등이 활약했고 거주했던 지역으로 공주의 판소리 문화를 함께 연구할 필요성을 논했다. 논산은 중고제의 시조라 불리는 김성옥이 태어난 곳이고, 그의 생가터가 추정 발굴되고 있다.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초기 판소리는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위로는 경기권, 아래로는 전라권으로 뻗어나가 판소리 문화를 확산 개발시킨 중요한 역사적 사명을 감당하였다. 현재적 의미에서 중고제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발굴, 보전되어야 할 필요가 절실하며 이를 위한 기초연구가 시급히 시행되어야 한다. 흩어져 있는 중고제 관련 명창과 유적지의 정보를 최대한 모아서 충청도 판소리의 위상을 세우는 작업을 하는 일이 필요하다. 중고제 소리를 제대로 전승할 수 있는 실력있는 명창을 보호하고 육성할 필요도 있다. This artic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s that should be developed upon reviewing persons related to Joonggoje Pansori in the Choongchung area and its basic data. It reviews,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Pansori in South Choongchung by dividing the territory of Pansori, and discussing the master singers and heritages that should be prioritized. First, it summarizes the information about 23 master singers in Choongchung, the history of Chosun traditional opera, and 35 masters in the late period, including their lifetime achievements and meanings, and reveals that they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period of Pansori in South Choongchung, an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ext, it is reported that the information and cultural heritages relate to the master singers in Hongsung, Seosan, Seochun, Gongju, and Nonsan, focusing on field visits. In Hongsung, the family history and the boundaries of Sun Dal Choi’s grave, the founder of Pansori, were found, and Chang Ryong Kim’s residence was revealed. It is necessary to conserve a variety of heritages related to Sung Jun Han. In addition, it is urgent tolocally investigate Choonpoong Jung who developed the different roots of Dongpyunje. In Seosan, the Nakwon restaurant, and so on, relate to the family of Jung Soon Shim, and could be an important historical place, which should be utilized. A historical place, such as Gosoogwan, was investigated, suggesting the needs to investigate the family of Man Choon Bang. In Seochun, the historical places related to Dong Baik Lee and Chang Ryong Kim should be developed and conserved. In Gongju, the statuses of Dong Jin Park and Soo Gwan Go were reviewed, and it was revealed that Ho Tong Hwang had been performed as an important master singer. Together with thi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Pasori culture in Gongju, where Hae Chon Hwang, Suk Chang Kim, Sang Do Park, Dong Baik Lee, Chang Ryong Kim, and Soo Gwan Go were actively performed and lived. Nonsan is where Sung Ok Kim, a founder of Joonggoje, was born, and his place of residence is under development. Hence, attention in this is required. Joonggoje Pansori took part in the important historical mission to expand and develop Pansori culture up to the Gyunggi area, to the North, and Cholla area, to the South, in the center of South Choongchung. It is urgently required that Joonggoje Pansori is developed and conserved in the center of the Choongchung area, which requires basic research on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Choongchung Pansori by collecting the information of master singers and historical places related to Joonggoje, which are scattered around. Also,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develop the master singers who are well placed to succeed Joonggoje Pansori.

      • KCI등재

        참돌꽃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현탁세포배양에서 Salidroside 생산을 위한 외재 호르몬의 영향 및 처리 농도의 최적화

        최혜진,김수정,황백,안준철,Choi Hye-Jin,Kim Su-Jeong,Hwang Baik,Ahn Jun-Cheul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2 No.2

        참돌꽃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현탁배양에서 salidroside 생산성을 개선하고자 auxin인 NAA와 cytokinin인 BA와 kinetin, 그 외에 $GA_3$, TDZ, zeatin, spermine과spermidine을 조합하여 조사하였다. NAA/BA 조합은 NAA/kinetin조합과 비교했을 때 생장과 salidroside 함량이 증가하였다. Salidroside 함량의 증가에 의한 생산성 ($64.6{\pm}8.9$ mg/L medium)은 1 mg/L. NAA와 5 mg/L BA가 첨가된 $2B_5$ 배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salidroside 의 생산성은 1 mg/L NAA, 5 mg/L BA와 1 mg/L $GA_3$이 첨가된$2B_5$ 배지에서 $90.3{\pm}8.34$ mg/L로 나타났다. 그 밖의 TDZ. zeatin, spermine과 spermidine 처리에서는 생산성에 있어서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며, spermidine의 경우에 약간의 유의적인 생산성 증가를 보였다. To enhance salidroside productivity from a cell suspension cultures of Rhodiola sachalinensis, various combinations of auxin (NAA) and cytokinins (BA, Kinetin) concentration and addition of $GA_3$, TDZ, zeatin, spermine and spermidine at a hormone combination to be established were examined. NAA/BA combination is superior to NAA/kinetin combination in biomass and salidroside content. Maximum salidroside production ($64.6{\pm}8.9\;mg/L$ medium) was obtained from $2B_5$ medium with 1 mg/L NAA and 5 mg/L BA. The adding of $GA_3$ ($0.01\;mg/L{\sim}5\;mg/L$) was beneficial for salidroside accumulation an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salidroside, $90.3{\pm}8.34\;mg/L$, was obtained from $2B_5$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NAA, 5 mg/L BA and 0.1 mg/L $GA_3$. On TDZ, zeatin, spermine and spermidine, expectant results were not obtained except a little affirmative effect of spermidine ($69{\pm}2.88$ at 1 mg/L).

      • KCI등재

        박동진 <심청가>의 전승 맥락과 중고제적 특징

        최혜진 ( Choi Hye Jin ) 판소리학회 2021 판소리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박동진 명창이 보유했던 바탕소리 중 <심청가>를 대상으로 중고제적 특성과 전승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박동진 명창의 스승 김창진에 대한 정보와 학습 내력, 활동상황 등을 알아보았다. 김창진은 김창룡의 <심청가>를 바탕으로 당대 명창이 되었으나, 말년에 서천에서 불우하게 생을 마감하였다. 박동진은 그의 <심청가>를 전승했는데, 1970년 최초로 <심청가> 완창을 하였으며, 1976년 뿌리깊은나무 감상회를 통해 전편을 다시 완창(연창)한 바 있다. 박동진의 <심청가>는 중고제적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심정순본, 김창룡본, 허흥식본 등의 창본과 매우 비슷한 부분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사적인 면에서 박동진의 <심청가>는 심봉사의 서사를 강화하고 심봉사의 몰락과 회복의 과정을 중요한 축으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으로 운명론적 세계에 맞서는 적극적인 심청을 형상화하고 있다. 사설이 풍부하고 극적 묘사가 매우 뛰어나다. 박동진의 <심청가>는 개안초로 눈을 뜨는 환상적 결말을 지향하였으나 여러 맹인들과의 축제나 잔치가 축소되고, 교훈적인 사설로 마무리되고 있다는 점에서 보수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중고제의 전통 속에서 전승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고제적 전통과 박동진 특유의 사설을 통해 박동진 명창이 중고제 <심청가>를 창의적이고 유연성있게 전승하였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Junggoje school and the transmission context of Shimcheongga among Pansori by master singer Park Dong-jin. To this end, we first looked into information about Kim Chang-jin, the master of Park Dong-jin's master, his learning history, and his activities. Kim Chang-jin became a master singer of his time based on Kim Chang-ryong's Shimcheongga, but unfortunately, he passed away in Seocheon in his later years. Park Dong-jin handed down his Shimcheongga, and completed the first Shimcheongga in 1970, and performed the full part again at the Deep Rooted Tree appreciation party in 1976. Park Dong-jin's Shimcheongga has strong middle-class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parts that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Sim Jeong-soon, Kim Chang-ryong, and Heo Heung-sik. In terms of narrative, Park Dong-jin's Shimcheongga strengthens the narrative of Mr Shim(Shimcheong’s father) and sets the process of his downfall and recovery as an important axis. It embodies the active Shimcheong against the fatalistic world. The editorial is rich and the dramatic depiction is excellent. Park Dong-jin's Shimcheongga aims for a fantastic ending that awakens the eyes with plants that see again, but shows a conservative worldview in that festivals and feasts with various blind people are reduced in number and ended with a didactic editorial. This point can be said to have been handed down in the tradition of the middle cla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aster singer Dong-jin Park transmitted Shimcheongga creatively and flexibly through the middle-class tradition and editorial peculiar to Park Dong-jin.

      • KCI등재

        불소 함유 및 낮은 pH의 구강 양치액이 초기우식법랑질 표면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 ( Hye Jin Choi ),이혜진 ( Hye Jin Lee ),정성숙 ( Seong Soog Jeong ),최충호 ( Choong Ho Choi ),홍석진 ( Suk Jin Hong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2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6 No.3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luoride mouthrinse with low pH on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artificial incipient carious enamel. Methods: Firstly, the concentration of sodium fluoride and pH values were measured in commercially available mouthrinse. Secondly, DOCTOR Clean & Fresh(R) (Jang In Pharm, co., LTD. KOREA) with 0.02% sodium fluoride and pH value below pH 4.0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0.02% sodium as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distilled water as the negative control group. Enamel samples of n vine teeth (n=36)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respectively and treated with the mouthrinse solutions for 3 and 20 minutes. The surface microhardness (Vickers hardness number, VHN) was measured with microhardness tester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s. Results: The average pH of DOCTOR Clean & Fresh(R) was 3.45±0.00, and it was acidic enough to cause tooth erosion. The difference of surface microhardness (ΔVHN) before and after the 20 minute trea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groups: DOCTOR Clean & Fresh(R) (12.77±2.25 ΔVHN), distilled water (0.24±0.75 ΔVHN), 0.02% sodium fluoride solution (―0.62±1.62 ΔVHN) (P<0.05). The DOCTOR Clean & Fresh(R) group with low pH showed greater changes on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the carious enamel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5).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mouthrinse with low pH can reduce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incipient carious enamel.

      • KCI등재

        권삼득 명창의 등장과 판소리사적 의미

        최혜진(Hye jin Choi)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18세기는 판소리 명창이 탄생한 시대이다. 권삼득은 최선달의 뒤를 이른 양반 광대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다. 권삼득에 앞서 최선달과 하한담은 판소리 광대의 정체성을 가장 일찍 수립한 인물들이다. 그간 우리는 이들을 전설적인 인물로 생각했지만, 최선달의 실존과 생몰이 밝혀짐으로써 초기 판소리사의 윤곽을 그려낼 수 있게 되었다. 본 논의는 권삼득 명창 등장의 맥락을 살펴, 그가 18세기 말 판소리사에 큰 영향을 끼쳤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권삼득 명창의 등장으로 이루어진 판소리사적 의미를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권삼득의 판소리는 전 시대와 달리 호기있고 씩씩한 창법을 구사하며, 사설의 극적 내용을 음악적으로 보완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남긴 설렁제 창법과 제비가 더늠, 중모리가 특장이라는 기록 등은 판소리의 음악적 발전이 어떤 식으로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두 번째는 권삼득의 판소리는 익산의 송첨지 일가, 염계달, 김성옥, 모흥갑 등 후배 명창들에게 영향을 끼치면서 중고제의 법제화, 동편제의 등장을 이루는 데 기여했을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세 번째는 권삼득은 최예운을 잇는 비가비 광대로 후대에 많은 비가비 광대들이 활약하고 태어나는 데 영향을 끼쳤으며, 판소리의 이론과 실기면에서 발전을 이루는데 역할을 했음을 밝혔다. 권삼득의 후배로 활약한 양반 광대 정춘풍은 고창의 신재효에 버금가는 인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권삼득은 초기 판소리에서 유파의 생성이 이루어지던 시점에 활약한 명창으로 유적과 가계, 관련기록과 설화 등이 많이 남아 있는, 보기 드문 명창이라 할 수 있다. 향후 초기 판소리사를 해명하는데 권삼득 시대의 문화적 맥락이 더욱 규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18th century was the era in which the greatest pansori singers were born. Choi Seondal and Ha Handam were the firs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pansori clown. Until now, we have thought of them as legendary figures, but as the existence and birth and death of Choi Seondal have been revealed, it has become possible to establish early pansori history. This discussion examines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of master singer Kwon Sam-deuk in order to reveal his grea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pansori in the late 18th century. We examined three major meanings in the history of pansori with the emergence of master singer Kwon Sam-deuk. First, unlike the style of previous periods, Kwon Sam-deuk’s pansori uses an energetic and spirited singing style and sought to musically complement the dramatic content of the lyrics. The recordings of his Seolleongje singing method, Jebi-Ga, and Jungmori as special features that he left behind reveal the musical development of pansori. Second, Kwon Sam-deuk’s pansori influenced younger master singers such as Song Cheom-ji’s family in Iksan, Yeom Gye-dal, Kim Seong-ok, and Mo Heung-gap,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Joonggoje system and the emergence of the Dongpyeonje system. Third, Kwon Sam-deuk was a Bigabi clown who succeeded Choi Ye-un; he influenced the creation and performance of many Bigabi clowns in later generations and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both pansori theory and practice. Jeong Chun-pung, who played an active role as Kwon Sam-deuk’s junior, is known as a figure comparable to Gochang’s Shin Jae-hyo. Kwon Sam-deuk was a master singer who was active at the time when the early Pansori school was being created. He can be said to be a rare master singer with many relics, genealogy, related records, and stories remaining. In the future, the cultural context of Kwon Sam-deuk's era needs to be further identified in order to explain the early history of Pansori.

      • KCI등재

        개별논문 : 정응민 바디 <심청가>의 성립과 전승 실태 연구

        최혜진 ( Hye Jin Choi ) 판소리학회 2005 판소리연구 Vol.20 No.-

        정응민이 이룩한 <심청가>는 박유전, 정재근을 이어 확립된 강산제 유파로 현대에 강한 전승력을 지닌 소리이다. 정응민은 동편제의 김세종제 소리와 서편제의 박유전제 소리를 함께 지니고 `보성소리`를 만들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정응민의 소리가 전승 계보 측면과 사설의 통시적 측면에서 어떻게 바디로 형성되어 갔는지를 살폈다. 다음으로 정응민의 소리를 잇고 있는 조상현, 성우향, 성창순, 정권진의 소리가 현대에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살폈다. 이를 통해 <심청가>의 분화 과정과 전승 원리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현대의 정응민 바디 <심청가>는 조상현, 성우향, 성창순이 각기 다른 길을 걷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성우향은 조상현과 거의 비슷하지만 소리와 사설이 좀더 세련되고 기교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네 명의 소리가 분화되는 요인으로는 전승 시기, 명창의 자질과 능력, 소리 이념 등을 들 수 있다. 박유전이나 김세종으로부터 전승된 소리가 정응민에 이르러 하나의 바디로 성립되어 가는 과정은 판소리의 변화, 생성해가는 생명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스승의 법제를 전수하는 동시에 자신만의 장기를 첨가하여 사설이나 소리면에서 새로운 바디가 성립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의 주요 연창자군을 형성하고 있는 정응민 바디의 역동성과 그 실체를 추적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Jung, Ung-Min established "Simchungga" is very powerful transmission Pansori, a section of Kangsan-je through Park, Yoo-Jun, Jung, Jae-Geun. Jung, Ung-Min made "Bosung-song" with Kim, Se-Jong pansori of Dongpyun-je and Park, Yoo-Jun pansori of Seopyun-je. First, I looked how it was made `Body(version)` transmission genealogy from Jung, Ung-Min`s sori. Then, I looked how different they are, that Cho, Sang-Hyun, Sung, Woo-Hyang, Sung, Chang-Soon, Jung, Kwon-Jin`s pansori, who continued from Jung, Ung-Min`s pansori. Through that I research the specialized processes and transmission theories of Simchungga. Now, Cho, Sang-Hyun, Sung, Woo-Hyang, Sung, Chang-Soon, Jung, Kwon-Jin have their own way of Jung, Ung-Min Body Simchungga. Sung, Woo-Hyang is very similar to Cho, Sang-Hyun, but music and words of song are more advanced and technical than him. The reason why these four people`s pansori are different is, because they had different education, each with their own quality, ability, and their own pansori ideology. It shows us life power that Pansori`s changing and rebirth, how they established `Body` by Jung, Ung-Min from Park, Yoo-Jun and Kim, Se-Jong. You can see that they learned from teacher, at same time they made their own style in music and words of song, and they made their own new `Body`. It is very meaningful that we learned about Jung, Ung-Min Body`s power and substance of singers from now.

      • KCI등재

        설득과 소통을 위한 판소리계 소설의 말하기 방식 -〈춘향전〉〈옹고집전〉 〈장끼전〉을 중심으로-

        최혜진(Choi, Hye-Jin)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8

        본 연구는 고전소설에 나타난 의사소통의 맥락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술서사의 모습을 가장 잘 담고 있는 판소리계 소설본을 대상으로 수사학적인 면에서 표현기법과 특징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수사학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다. 기본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대한 정의, 즉 에토스, 로고스, 파토스의 종합이 인간 본성 연구의 기본 구성요소라 할 때 이 3대 요소에 대한 적절한 정의와 복합적 결합 양상에 주목한다. 이 중 로고스는 ‘논리적 정당성’을, 파토스는 ‘정서적 공감대’를, 에토스는 ‘윤리적 정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구술적 담화와 소통의 맥락이 잘 드러나 있다고 판단되는 <춘향전> <옹고집전> <장끼전>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의 방식과 내용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춘향전>에서는 에토스가, <옹고집전>에서는 파토스가, <장끼전>에서는 로고스가 중심적으로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소설을 바탕으로 소통맥락의 최종 목표가 독자임을 감안할 때 설득을 위해서 에토스나 파토스가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in classical narratives is examined. Therefore,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in a rhetorical aspect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the Pansori novels that employ the use of oral narratives. To this end, rhetorical research methodology is used in this study. When Aristotle"s definition of rhetoric (i.e., the synthesis of Ethos, Logos, and Pathos), is a basic component in the study of human nature, we focus on the appropriate definition and complex combination of these three elements. Among these three elements, Logos is perceived as representing “logical legitimacy,” Pathos as “emotional consensus,” and Ethos as “ethical legitimacy.”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can be established by focusing on human knowledge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details of interactions. In the ethnographic approach of communication for discourse, communication patterns are analyzed as cultural knowledge and behavior. The primary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methods used by cultural members to find meaning from experiences and communicate those interpretations. The tradition of persuasive rhetoric was derived through the aspects of Ethos, Pathos, and Logos that appeared in classical novels. In this study, the methods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were investigated in 〈Chunhyangjeon〉, 〈Ongojipjeon〉 and 〈Jangkijeon〉, which are judged to have the context of oral discourse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thos was mainly used in 〈Chunhyangjeon〉, Pathos in 〈Ongojipjeon〉, and Logos in 〈Jangkijeon〉. Based on these novels,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communication context is the reader, it can be seen that Ethos and Pathos are exerting greater influence for persuas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is as an overall characteristic shown in classical narratives and as a Korean tradition of persuasive rhetoric.

      • KCI등재

        일반논문 : 동초제 수궁가의 유파적 특성과 전승 양상

        최혜진 ( Hye Jin Choi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4

        본 논의는 동초제 <수궁가>의 역사적 통시성과 현재의 전승을 공시적으로 함께 바라보면서 그 특성을 알아본 것이다. 동편제의 큰 줄기로서 유성준제를 이어받은 김연수의 동초제 <수궁가>는 다른 유파에 비해 사설의 합리성과 개작이 두드러지며, 음악적으로는 연극적 발림과 정교한 너름새, 분명한 성음과 부침새가 특징적인 바디라고 할 수 있다. 김연수가 신재효의 사설을 받아들이고 진양 24박을 규칙적으로 실현하며 만든 <수궁가>는 그의 제자 오정숙에게 이어졌다. 그러나 오정숙은 10여개의 대목을 축소, 삭제하는 방향으로 그의 소리를 다듬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김연수제의 내용을 충실히 이어받았다고 볼 수 있다. 오정숙의 제자인 초기 제자 고향임과 후기 제자 이일주의 현재 전승 상황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오정숙의 소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판소리는 보존과 창작이 아울러 이루어질 때 시대에 맞는 좋은 소리가 될 수 있다. 김연수가 이루었던 소리가 그 시대 향유층이 원하는 연극적인 소리, 성음이 분명한 소리, 정교한 부침새 놀음이었다면 이제 변화할 소리는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동초제를 계승하는 명창들은 깊이 고민해보아야 할 때이다. This study is to officia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by researching history and the current transmission of Dongcho-je <Sugung-ga>. As a big branch of Dongpyeon-je, Kim Yeon Su`s Dongcho-je <Sugung-ga> which succeeded to Yu Sung Jun-je shows more rationality of narration and adaptation than other sects as showing more mus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dramatic dance, elaborate movement, clear voice and beats. <Sugung-ga> which was created by Kim Yeon Su after adopting Sin Jae Hyo`s narration and realizing Jinyang 24 beats regularly was connected to his disciple, Oh Jung Suk. However, Oh Jung Suk revised his pansori by reducing and deleting around ten parts. Overall, it is considered to fully take over the contents of Kim Yeon Su-je. In the results of looking at the current transmission status of Go Hyang Im(initial disciple) and Lee Il Ju(latter disciple), it was shown that they succeeded to Oh Jung Suk`s pansori. Pansori can be a good song only when preservation and creation are harmonized well. While Kim Yeon Su`s song was the dramatic song with clear vocal sound and elaborate beats, it is the time for the master singers of pansori who are succeeding to Dongcho-je to deeply think about what pansori should be changed into.

      • KCI등재

        중고제(中古制) 김성옥 명창과 강경의 지역적 위상

        최혜진 ( Choi Hye Jin ) 판소리학회 2022 판소리연구 Vol.53 No.-

        본 논의는 판소리 중고제의 시조 김성옥 가문과 강경 지역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중고제의 시조 김성옥은 『조선창극사』에 관련 정보가 있으나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김성옥이 살았던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강경지역의 위상을 살펴보고, 새로운 판소리 음악의 탄생 배경을 다양한 관점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기호유학의 중심지역이었던 논산의 양반문화, 무인과 중인층을 중심으로 한 덕유정계의 활동과 유흥문화, 용왕제를 중심으로 한 강경포구의 민속문화 등을 살펴보았다. 금강권을 따라 많은 포구와 장시가 발달했지만 19세기 무렵 강경은 가장 번성한 상업도시이자 문화도시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인근 웅포지역은 김성옥의 처가인 여산 송씨가 무업을 했던 곳으로, 김성옥과 처남 송흥록·송광록은 매우 교분이 두터웠다. 김성옥은 진양조를 창안하고 일찍이 병사했지만 송흥록 송광록이 이를 바탕으로 더늠을 남김으로써 진양조 개발은 판소리 예술을 한층 더 발전시킨 계기가 되었다. 김성옥의 아들 김정근은 진양조에 이어 삼궁접 장단을 개발하면서 중고제의 유파를 발전시켰고, 처남 송흥록과 송광록은 호남 이주 후 새로운 동편제 유파를 탄생시켰다. 김성옥 가문은 김정근, 김창룡, 김시준, 김채돈으로 이어지는 5대 판소리 명문가로서 근대까지 중고제의 전통을 이어왔다. 강경은 바로 중고제 발원지로서의 의미가 큰 지역이다. 우리는 충남지역 판소리의 전통을 제대로 확립하고 중고제 복원과 문화 자긍심을 되살릴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Kim Seong-ok family, the progenitor of the Pansori Joonggoje and the Ganggyeong region . Kim provided information in < The History of Chosun Changgeuk >, but no full-sca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is article, We examine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status of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y Ganggyeong, where Kim Seong-ok lived, and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new pansori music. We examine noble culture in Nonsan, which was the center of Neo-Confucianism, the activities and entertainment culture of the Deogyujeonggye centered on soldiers and the middle class, and the folk culture of Ganggyeong port, centered on the Yongwangje. Although many ports and cities developed along the Geumgang area, by the 19th century, Ganggyeong had become a very prosperous commercial and cultural city. In particular, the nearby Ungpo area was where Kim Seong-ok's wife, Yeosan Song, worked, and Kim Seong-ok and her brothers-in-law Song Heung-rok and Song Gwang-rok were very close. Kim Seong-ok founded Jinyangjo and died early, but Song Heung-rok and Song Gwang-rok left a mark based on this. Kim Seong-ok's son Kim Jeong-geun developed not only Jinyangjo, but also Samgungjeop Jangdan, and developed the school of Joonggoje, while his brother-in-law Song Heung-rok and Song Gwang-rok created a new school of Dongpyeonje after moving to the Honam area. The Kim Seong-ok family has continued the tradition of Joonggoje until modern times as five major pansori artists, following Kim Jeong-geun, Kim Chang-ryong, Kim Si-jun, and Kim Chae-don. Ganggyeong is a region with great significance as the origin of Joonggoje. We need to properly establish the tradition of pansori in the Chungnam region, restore Joonggoje, and revive cultural pride through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