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성인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전문직업인 이미지 관련요인

        최혜정,박경화,Choi, Hye-Jung,Park, Kyung-Hwa 한국치위생학회 2020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0 No.2

        Objective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 image of the dental hygienist among adults who visit the dentist. Methods: From December 5, 2018 to January 25, 2019, 214 adults in Seoul or Gyeonggi filled out a Google onlin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the professional image of dental hygienists was 3.59.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age according to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The image according to the dental visit experience was highest for those providing orthodontic treatment. The difference in professional image recognized by the dental hygienists and the patients was highest in the case of those dental hygienists responding that they had been educated at a four-year university, who were considered as medical practitioners, and were called a dental hygienist. Lastly,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 image of the dental hygienist were positively affected in the case of preventive purpose of visit, and graduate or higher education of the patients. Conclusions: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image of dental hygienists, public relations for adequate occupational awareness of their work should be continued.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ole through the systematic expansion of the professional image and their being considered as medical professionals,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work field.

      • KCI등재

        식은 땀을 호소하는 진행성 암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제제를 이용한 치료

        최혜정,송하나,강정훈,Choi, Hye Jung,Song, Haa-Na,Kang, Jung H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진행성 암 환자에서 발열이 동반되지 않은, 암성 발한에서 NSAID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방법: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다. 1) 수술적 절제나 항암방사선 치료로 완치가 불가능한 진행성 암 환자 2) 숫자평가등급 4점 이상의 식은 땀을 호소하며 발열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 3) 식은 땀의 원인이 될 만한 감염이 없고, 마약성 진통 및 호르몬 차단제를 현재 최근 1개월 이내 새롭게 사용하지 않는 환자 4) 식은 땀 치료를 위해 NSAID를 사용하고, NRS 평가가 치료 전 후 시행한 환자. 결과: 총 13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남자가 9명(69%)이었고, 평균 59세(범위: 50~71)였다. 암종별 빈도는 담도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순이었다. 치료 전 환자들의 식은 땀은 평균 NRS 6.5 (최소값: 4, 최대값: 10) 이었고, 치료 후에는 NRS 1.9 (최소값: 0, 최대값: 5)이었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9.1일이었다. 결론: 진행성 암 환자에서 열이 동반되지 않은 중등도 이상의 식은 땀 환자에서 NSAID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Purpose: Advanced cancer may accompany cold sweat as paraneoplastic symptom. Few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efficacy of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 (NSAID) in advanced cancer patients who sweated without fever. Methods: To select study participant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who satisfied the following criteria: 1) incurable, advanced solid cancer; 2) Cold sweating of 4 or higher on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4; 3) No evidence of infection or hypoglycemia; 4) No newly started opioid or anti-hormonal agents within one month; 5) NSAID prescription for the management of cold sweating and 6) Documented NRS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NSAID administration. Results: A total of 13 patients were selected after excluding four patients due to lack of NRS information or fever. The mean age was 59 years old (range: 50~71), and nine patients (69%) were male. Bile duct cancer was the most common primary tumor followed by pancreatic cancer, gastric cancer and prostate cancer. The mean NRS of cold sweating dropped from baseline 6.5 (min-max: 4~10) to 1.9 at the follow-up assessment (min-max: 0~5).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9.1 days (range: 2~30 days) from NSAID treatment to assessment. Conclusion: NSAID was effective medication for management of sweating without fever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 KCI등재

        가족의례와 아내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최혜정,김득성,Choi, Hye-Jung,Kim, Deuk-Sung 한국가정관리학회 2009 가정과삶의질연구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amine the tendency in what kinds of activities are carried out as family rituals; what kinds of obstacles there are; and why any problems, if any, tend to arise. Second, the study seeks to discer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itual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surveyed 251 wives who had fourth, fifth, or sixth grade children and resided in Busan, and then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ing the dinner ritual, it turned out that a majority of subjects had a difficult time establishing a regular ritual due to 'their busy schedule at work' and 'children's studying at academies'. For the weekend leisure ritual, in the case of difficulty in spending this kind of time it tended to be because of the wives' 'busy schedules at work' and 'lack of mutually available time for all family members'. In birthday rituals, when wives reported having trouble with her family members regarding birthdays, they explained that this was most often' because family members forget their birthday'. Finally, when the subjects reported problems related to tradition rituals, it was mainly because of 'stress from the burden of housework (2) In every dimensions including occurrence, routine, deliberateness, attendance, affect, and symbolic significance, the top-ranked group showe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ir marriage.

      • KCI등재

        동두천지역 고등학생의 안굴절상태 조사 및 연구 II

        최혜정,차정원,박문찬,진가헌,Choi, Hae Jung,Cha, Jung Won,Park, Moon Chan,Chen, Ko Hsein 한국안광학회 1998 한국안광학회지 Vol.3 No.1

        현재 국내의 고등학생에 대한 굴절이상에 관한 조사는 아주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동일집단의 시력을 수년에 걸쳐서 추적 조사한 사례는 거의 전무한 설정이므로 동두천지역 중 고등학생의 3년 전과 현재의 안굴절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근시, 원시, 난시 등 굴절이상의 발생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또한 앞서 보고한 바 있는 일반성인의 시력에 관한 역학조사와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시력을 측정함으로서 성인과 학생의 시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시력을 spherical equivalent 기준으로 분류할 때 정시안이 총 대상안의 36.0%, 굴절이상안이 총 대상안의 64.0%(근시 60.6%, 원시 4.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 학생에 비하여 1998년 학생의 근시안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1998년 학생들이 1997년 일반성인보다 정시안의 비율이 7.4%, 근시안의 비율이 4% 높게 나타났고, 원시안의 비율은 성인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굴절이상안의 종류별 분포는 전체 대상안 1212안 중 단순근시가 전체 대상안 중 28.6%로 가장 많았고, 근시성 복난시가 22.4%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그 다음은 근시성단난시가 14.4%, 원시성단난시 3.1%, 혼합난시 1.7%, 단순원시 1.2%, 원시성복난시 1.2%의 순서로 나타났다. 난시안의 분포는 Cyl-0.25Dptr를 난시에 포함시켰을 때 전체 대상안의 76.7%를 차지하였으며, -025Dptr를 제외하였을 때는 전체 대상안의 45.6%를 차지하였으며, 학생의 직난시가 도난시의 약 4.5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안과 좌안의 굴절력을 비교한 결과 우안이 더 근시 쪽의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성인의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남녀의 굴절이상에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Until now, the study of eye refractive error examin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re a few report that in Korea. In particular, there is few report about the visual power for same group during several years. We compared the study of refractive error done this year with that reported three years ago at the same high school. From the these data, the distribution of ammetropia was investigated. The study of refractive error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also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before for the Adults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 When the visual power is refered to spherical equivalent, the 36% of the whole students examined above had emmetropia and the other part of them fumed out to be ammetropia which is classify to 60.6% belonged to myopia and 4.4% belonged to hyperpia. The ratio of myopia for this year students is increased in comparision with the students in 1995. The ratio of emmetropia for this year students is 7.4% higher, and the ratio of myopia for this year students is 4% higher, but the ratio of hyperopia is very lower than that for the adults in 1997. In the kind of refractive error, it is classified that a simple myopia is shown to highest ratio as a 28.6% of 1212 eyes examined, a compound myopic astigmatism to the next high ratio as a 22.4%, a simple myopic astigmatism as 14.4%, a simple hyperopic astigmatism as 3.1%, a mixed astigmatism as a 1.7%, a simple astigmatism as 1.2%, a compound hyperopic astigmatism as 1.2%,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an astigmatism is a 76.7% of total eyes examined if Cyl-0.25 Dptr is included to an astigmatism.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an astigmatism is a 45.6% of total eyes examined if Cyl-0.25 Dptr is excluded to an astigmatism. In the kind of astigmatism, the number of students had an astigmatism with the rule is about 4.5 times than that of astigmatism against the rule. From the result of comparision the right eye with the left eye, the right eye of the students had more a myopic refractive error than the left eye, which is same as adults' case, there is no difference in a refractive error between the boy students and the girl students.

      • KCI등재

        중추신경계 손상환자의 재활운동 사례

        최혜정(Choi, Hye-Jung),이강우(Lee, gang-woo) 대한운동학회 2008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손상 환자의 복합적인 재활운동이 신체특성 및 체력, 기능적독립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Embolic infarct & bacterial endocarditis 으로 Left side Weakness를 주 증상으로 중추신경계손상 운동재활에 참여한 여성(25세) 1명으로 하였다. 환자는 입원 초기 재활프로그램에 6개월간 참여 후 회복기 재활운동과 병행하여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운동 참여 전 신체조성검사, 기초체력검사 및 운동부하검사, 독립적기능검사(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ment : FIM)를 실시하였다. 재활운동은 초기에 가벼운 ROM 회복과 더불어 근력운동(4-items)을 실시하였다. 2개월부터 보행운동과 함께 트레드밀 워킹, 근력운동(4-items)을 대근육 강화위주로 실시하였다. 3개월에는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4-items)실시 하였다. 재활운동 3개월 후의 결과로서 체중은 0.5kg감소, 제지방량1.3kg과 골격근0.9kg 향상, 체지방율은 2.9kg감소하였다. 기초체력검사결과 좌측 무릎신전근 10.6kg, 무릎 굴곡은 5kg의 향상을 보였다. Trunk extension은 22.6kg의 향상을 하였으며, trunk flexion은 2.5kg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연성은 15.5cm 향상하였고, 평형성은 10초의 향상을 보였다. 기능적 체력항목의 tandem-gait 검사는 5,65초의 시간단축을 보였으며, time-up and go검사에는 7,08초 시간단축으로 기능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동부하검사시 운동수행력은 5METs 로 증가하였다. 독립적기능검사(FIM)는 참여전 115점 이었으나, 3개월 후 122점으로 독립적인 수행력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중추신경손상후 회복기 재활운동의 사례로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rehabilitation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functional independent on central nerve injury patient. The subject was a 25 years old female, who had central nerve injury d/t embolic infarct & bacterial endocarditis, and the main symptom was left side weakness. The patient participated in latter periodrehabilitation program after early rehab program for 6 months.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ergometer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ment(FIM) test were screened before and after exercise program. The rehab program was carried out ROM and strengthening(4-items) program in the early stage. After 2 month, exercise program added gait training, treadmill walk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focus on large muscle group. The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ening(4-items) was put in force after 3 month. Body weight(0.5kg) and % fat(2.9kg) decreased, on the other hand, lean body mass(1.3kg) and skeletal muscle(0.9kg) improved after exercise rehabilitation. Physical fitness function increased the leg extension power(10.6kg), leg flexion power(5kg), trunk extension(22.6kg) and trunk flexion(2.5kg). Flexibility and balance function also improved 15.5cm and 10sec respectively. After exercise rehabilitation, the patient showed faster tandem-gait(5.6sec) and time-up and go(7.08sec) than pretest. Moreover, Exercise performance on exercise stress test(5METs) and FIM test(from 115 to 122 points) also improved. This program would be useful data for exercise rehabilitation on latter period-rehabilitation program on central nerve injury patient.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도서관 관련 내용분석

        최혜정(Choi Hye-Jeong),현은자(Hyun Eun-J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과 친숙한 그림책을 통하여 그림책 속에 나타난 도서관 관련 내용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실제 생활에서 도서관이라는 공간에 대한 인지도와 친밀도를 높여 도서관의 빈번한 이용을 유도할 수가 있으며 도서관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어린이들의 폭넓은 글읽기를 신장시킬 수가 있다. 연구내용으로는 그림책의 글과 그림에 나타나는 도서관의 기능과 이용법, 독서의 흥미로움과 즐거움에 대한 내용, 평생교육의 장으로서의 모습들이다. 도서관의 종류와 각 자료실의 기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무수히 많은 자료들의 십진분류 배열 속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자료 검색을 알려주며 도서관에서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규칙과 규율을 보여준다. 또한 자료 관리자로서 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교육가로서 사서의 역할과 모습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실제로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자료들에 대해 효율적인 정보 찾기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엄격한 사서의 모습을 희화적으로 묘사하는 문학적 장치를 통해서 현실생활의 본질적 현상들을 유아들에게 더욱 명료히 보여주고 있다. 독서의 흥미로움과 즐거움은 유아들의 상상력이 자극되어 질 때 가장 크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그림책에 나타나는 여러 유형의 등장인물들과 다양한 내용들은 유아들의 풍부한 상상력을 충분히 자극하고 있다. 특히 스토리텔링과 많은 양의 정보 습득을 통한 어린이들의 호기심의 충족은 지속적인 독서를 유도할 수 있음도 나타낸다. 도서관이 그 고유한 기능과 함께 현대사회에서는 지역사회의 새로운 비형식적 교육의 장으로서 그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도 잘 나타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relative library education through the picture book which is familiar with children. This study will render the children recognize the library and its utility. Also it makes kids feel a library intimate and want to visit that place. The children can improve their ability of the power of reading because of reading the many books with wide scope. First, that shows what the library's function is and how to use the library in detail. Next, how is it described with pleasure and habit to read books regularly? Last, does it include place to make continual life long education system for community? The study shows the role of spaces in the library and various materials in them. We can know the rules to keep in a library basically and what the librarians should do for completing their duties as a educator or manager for lots materials as well as books. The happiness about reading the picture book comes from stimulating imagination. The acquisition of diverse information from the book makes the children get a habit to read a book gradually. Modern library's another role is helping neighbors around the library receive the benefit like the concept of Long Life Education.

      • 제5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의 한자사용

        최혜정 ( Hyejung Choi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3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일본어 교육이 처음 시작된 1973년의 제2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교육 과정인 2009년 개정 교육과정까지 약 40여 년에 걸쳐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되었던 일본어 교과서를 통해 한자 사용에 관한 변천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제2차~4차 교육과정에서 일본어교과서의 한자변천 과정을 분석했으며, 본 연구에서는 1988년 3월~1992년 10월 사이에 사용된 제5차 교육과정과 그 이전 교육과정인 제4차 교육과정의 일본어 교과서 上, 下권울 비교 분석해 한자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4차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제5차 교육과정에서 전체적으로 한자의 수가 늘었지만, 개별 한자 수는 비슷하다. 제5차 교육과정의 개별한자 수는 上권 990字, 下권 1.381字로 제5차 교육과정 교과서 내 개별한자 수가 가장 적은 교과서는 5C상권(400字)과 5D하권(749字)이며, 개별한자 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로는 5F상권(582字)과 5E하권(864字)의 교과서로 교과서별 개별한자수가 적게는 400字, 많게는 600字가량 차이를 보였다. (2) 제4차 교육과정의 한자와 제5차 교육과정의 한자를 품사별로 비교한 결과, 제5차 교육과정에서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사용이 소폭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제5차 교육과정에 새로 등장한 형용사는 46개(うす黑い, お忙しい, 面白い, 貧しい, もの足りない등)이며, 형용동사는 88개(お上手だ, 簡單だ, 苦手だ, 不便だ, 貧乏だ등)이다.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 형용사와 형용동사 앞에 ‘お, ご’가 붙게 되는데 이는 제5차 교육과정의 특징이 의사소통을 중시하되 언어의 4기능을 고르게 발달시킨다는 점과 일상생활의 회화에서 경어의 사용이 늘었음을 나타낸다. (3) 제5차 교육과정의‘언어 재료’는 제4차 교육과정에서 ‘소재, 발음, 어휘, 문형·문법’ 4개 항목으로 기술했던 것을, 문자’항목이 추가되어 5개 항목으로 ‘문자’항목은 히라가나, 가타가나, 한자를 사용하되 한자는 일본의 상용한자 범위 내로 한다는 내용으로, 필수 기본어휘는 제4차 교육과정 시 754개 어에서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 846개 어로 늘었다. 이에 제5차 교육과정의 日本語 上, 下권과 교과서 별 상용한자 사용과 필수기본어휘의 사용을 알아본 결과, 제5차 교육과정 日本語 上권에서는 1945字의 상용한자 중에 935字(48%)를 사용하였으며, 下권에서는 1,308字(67%)를 사용하였다. 또한, 필수기본어휘표에 제시된 846개의 단어(46개의 조사, 조동사 포함) 중 704개어가 한자어로 쓰였으며, 기본어휘의 사용이 적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transition of Chinese character use from the 2nd curriculum to the present 2009 curriculum and comprehends Chinese character use in Japanese textbook Vol. 1,2 based on the 5th curriculum. (1) Comparing to the 4th curriculum, number of overall Chinese character in the 5th curriculum increased but individual number is almost same. (2) Comparing to the 4th curriculum by part of speech, number of adjective and adjective verb has slightly increased in the 5th curriculum. (3) The language materials in the 5th curriculum are 5 items such as subject, pronunciation, vocabulary, sentence.grammar, letter and letter was not included in the 4th curriculum but newly added in the 5th curriculum.

      • 플라워테라피가 대학생의 전두엽 뇌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최혜정(Hyejung Choi),김미진(Mijin Kim),윤숙영(Sukyoung Yun) 인간식물환경학회 2020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추계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는 대뇌피질을 구성하는 신경세포들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형성된 전류를 두피에 부착한 전극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전기신호로, 정신 활동, 지각 자극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된다. 인간의 생리현상을 검토하는 방법 중에서 뇌파 검사는 정량적 뇌 기능의 정신생리학 연구를 위한 정량데이터를 제공해 주어 원예치료 분야에서도 대상자 분석을 위한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플라워테라피가 전두엽의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감마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D대학 재학생 62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18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플라워테라피 프로그램은 각자 선호하는 색상의 꽃을 선택한 후 ① 준비단계:벽을 바라보기(2분) ② 작업단계:꽃꽂이 실시(5분) ③ 감상단계:자신이 꽂은 꽃을 바라보기(3분)로 설계하였다. 뇌파 측정은 2-Channel Computerized EEG Measurement Analysis System (BTS-3000)을 부착하고 프로그램을 시행하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Raw data에서 수면 시 증가하는 델타파를 제외하고 준비, 작업, 감상 구간의 전체 상대값을 분석한 결과, 작업단계에서 세타파는 감소하였고(Left:p<.001, Right:p<.001) 이완과 휴식, 행복감 상태에서 나오는 뇌파인 알파파는 준비 및 감상단계에 비해 증가하였다(Left:p<.001, Right: p<.001). 성별 분석 결과 남학생의 경우는 감마파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변화가 있었고, 여성은 작업단계에서 알파파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Left:p<.001, Right: p<.001). 화색별 변화를 살펴본 결과 빨강(Left:p=.001, Right:p=.001), 주황(Left:p<.001, Light:p<.001), 노랑(Left:p<.001, Right:p<.001), 보라(Left:p<.001, Right:p<.001)에서는 다른 단계보다는 작업단계에서 알파파의 증가가 있었다. 그러나 녹색의 경우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Left:p=.053, Right:p=.069).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작업단계별로 나누어 뇌파 측정을 함으로써 활동유형에 따른 플라워테라피의 효과성을 구명할 수 있었고 성별, 화색별로도 분류하여 그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경험 요인 분석을 통한 패키지 디자인 개발 방법 연구

        최혜정(Choi, Hye Jeong),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최근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험 소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는 가운데, 패키지는 제품 보호 및 정보전달의 도구에서 고유의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 자체’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번 H. 슈미트(Bernd H. Schmitt)가 제안한 전략적 경험 요인인 감각(Sense), 감성,(Feel) 인지(Think), 행동(Act), 관계(Relate)의 다섯 가지 항목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에서 경험 유발의 요인을 분석하여, 새로운 패키지 개발 프로세스와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해 경험의 정의와 경험 디자인이 부상한 배경, 경험적 차원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개념을 정리하고, 다음으로 번 H. 슈미트의 다섯 가지 경험 모듈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에서 경험 유발 요인 유형을 기존 디자인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패키지 디자인 개발 사례에 대입하여 실증하였다. 다섯 가지 경험 요인은 패키지 안에서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패키지는 감각을 자극하여 만족을 제공하고, 즐거움, 따뜻함, 안정감 등의 감정을 경험하게 한다. 또한 합리적 소비라 설득하며, 제품을 운반하거나 개봉하는 과정에 차별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관계적 측면에서 이상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하여 사회 안에서 소비자 자신의 위치와 관계성을 재확인하게 한다. 다섯 가지 경험 요인들은 개별적이기 보다는 하나의 혼합물로서 작용한다. 디자인 개발 시 우선적으로 ‘총체적 경험 콘셉트(Holistic Experience Concept)‘를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등의 ‘세부적인 경험 요소(Experience Factors)‘를 개발하도록 한다. 이러한 디자인 접근은 창의적인 패키지를 통해 고객을 위한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유도한다. As the experiential consumption is gaining increasing interest in the recent market environment change, the perception on package is moved from a tool for protecting products or providing its information to a ‘product itself’ offering unique exper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nalyzed experience factors in package design through Bernd H. Schmitt’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of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a new approach and a process of package design development. As for research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experience, the background of the experience design appearance and the meaning of package design in the experience economy. Then the experience factors in precedent package design was analyzed through the Bernd H. Schmitt’s five experiential modules. Finally the study was demonstrated on package development case study. The five experience factors affect on package as follows. Package satisfy customers’ needs as a sense stimulus, and makes people feel delight, warmth or stability. And package persuade to think it is a rational consumption and it provides special experience in carrying and opening package. As for ‘relate’, ideal life style expressed on package convince customers of his/her position and relationship in their society. The five factors rather work as a mixture than individual factor in a package. On a design process, a ‘holistic experiential concept’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then ‘experience factors’ of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should be created based on the concept. This design approach is expected to create a new value of packag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