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패각 칼슘 입자 크기에 따른 흡수율

        한정희(JeungHi Han),최현선(Hyeon-Son Choi),나경수(Kyung Soo Ra),정승식(Seungsik Chung),서형주(Hyung Joo Su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3

        본 연구에서는 패각에서 유래하는 칼슘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분쇄한 패각 칼슘을 입자 크기별로 제조하여 이온화율과 흡수율을 조사하였다. 패각 칼슘분말 현탁액을 알코올 중에서 비중차이별로 분리하고 입자 크기를 측정하여 4개의 시료군으로 나누었다; NC(일반 패각 칼슘), C-1(1,000 rpm 상등액), C-2(2,000 rpm 상등액), C-3(3,000 rpm 상등액). 이들의 입자 크기는 각각 2,280.3±64 nm, 521.3±83.3nm, 313.9±29.5 nm, 280±3.4 nm를 보였다. 각 칼슘군들을 대상으로 이온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C-3군이 오차범위내에서 다른 군들에 비해 이온화율이 다소 증가했다. In vitro상에서 dialysis 막을 이용한 나노칼슘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나노칼슘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막 투과성이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rat의 내장주머니 막(intestinal sac)을 이용하여 장내 환경별 나노칼슘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C-3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십이지장(pH 4.2)과 공장(pH 6.2) 환경보다는 회장(pH 7.2)에서의 나노칼슘의 장투과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C-3군에서는 십이지장환경에서의 투과율이 다소 높았다. 특히 십이지장 환경에서의 샘플 간 투과율을 비교할 때 C-2와 C-3군이 가장 높은 투과율을 보였고 NC 칼슘이 가장 낮은 투과율을 나타내어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장 투과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패각에서 유래하는 칼슘을 적절한 가공처리를 거쳐 나노칼슘으로 만들면 칼슘의 이온화율과 장내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onization rate and permeability of nanocalcium prepared from oyster shells with various particle sizes. Four particle sizes of the calcium samples were prepared by centrifugation according to their density disparity in alcoholic solution: NC (normal calcium), C-1 (supernatant of 1,000 rpm), C-2 (supernatant of 2,000 rpm), and C-3 (supernatant of 3,000 rpm). Particle sizes of NC, C-1, C-2, and C-3 were 2,280.3±64.3 nm, 521.3±83.3 nm, 313.9±29.5 nm, and 280.0±3.4 nm, respectively. C-3 showed a slight increase in ionization rate compared with the other calcium samples, but their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Dialysis membrane-employed analysis showed that nanocalcium permeability increased as its particle size smaller; 32% of C-3 nanocalcium was transported to the outside of the membrane, whereas C-1 showed a 25% transport rate. We determined the permeability of the nanocalciums by using rat intestinal sacs, in order to provide different intestinal environments depending on pH level. Nanocalcium generally showed a higher permeability at pH 7, which represents an ileum environments compared to the duodenum and jejunum environments at pH 4.2 and pH 6.2, respectively. However, C-3 calcium showed the highest permeability, followed by C-2, C-1 and NS calciums. This result shows that the size of calcium positively affected its permeability in the intestinal sac. Taken together, nano-sized calcium derived from discarded oyster shell shows improved permeability in intestinal environments.

      • KCI등재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

        유석영,이영준,송호성,홍희도,임정호,최현선,이부용,강석남,이옥환,Yu, Seok-Yeong,Lee, Young-Jun,Song, Ho-Seong,Hong, Hee-Do,Lim, Jeong-Ho,Choi, Hyeon-Son,Lee, Boo-Yong,Kang, Suk-Nam,Lee, Ok-Hwa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오가피순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6.33{\pm}6.09mg\;GAE/g$, $65.07{\pm}4.10mg\;RE/g$으로 나타났다.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FRAP, Reducing power, ABTS, ORAC assay)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ORAC assay를 제외한 위의 항산화 모델에서는 0.1, 0.5 및 $1.0mg/m{\ell}$의 농도로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오가피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23.3{\pm}0.8$, $28.8{\pm}1.3$ 및 $33.7{\pm}3.7%$로 평가되었고, ABTS 경우에는 6.42, 12.47 및 16.69%로 측정되었다. 또한, FRAP 활성은 0.081, 0.160 및 0.259로, Reducing power는 0.034, 0.097 및 0.180으로 나타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도 증가하였다. 한편 $0.1mg/m{\ell}$에서의 ORAC value는 $103.4{\pm}3.6{\mu}M\;TE/g$으로 나타났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0.1, 0.5 및 $1.0mg/m{\ell}$의 농도에서 각각 3.6, 9.0 및 13.2%로 나타났다. 최근 건강기능 식품의 관심도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오가피순 추출물은 기능성식품 또는 천연 항산화제의 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xtract from Acanthopanax cortex shoot. The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s contents of extract from Acanthopanax corex shoot were $116.33{\pm}6.09mg\;GAE/g$ and $65.07{\pm}4.10mg\;RE/g$, respectively.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measured by various in vitro models such 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AP, reducing pow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RAC assay.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 of Acanthopanax cortex shoot was effective in scavenging radicals and protecting oxidation when assessed various in vitro systems. Similarly,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xtract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ORAC value at a concentration of $0.1mg/m{\ell}$ was $103.4{\pm}5.6{\mu}M\;TE/g$. Considering high consumer demand beneficial health effects, Acanthopanax cortex shoot can be utilized to develop functional food health-promoting and natural antioxidant agents.

      • SCOPUSKCI등재

        홍삼 비사포닌 분획의 단핵세포 분화와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효과

        강보빈(Bobin Kang),김채영(Chae Young Kim),황지수(Jisu Hwang),최현선(Hyeon-Son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홍삼 비사포닌 분획(NSF)의 항 염증 효과를 마우스 대식세포와 인간유래 단핵세포에서 확인하였다. NSF는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 iNOS 그리고 COX-2의 양 뿐만 아니라 IL-6, TNF-α, MCP-1과 같은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성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인간 유래 단핵세포에서는 PMA에 의해 유도되는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분화인자인 CD11β와 CD36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마우스 대식세포에서와 마찬가지로 염증성 싸이토카인들의 생성량 또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NSF의 항 염증 효과는 두 전사인자의 조절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즉 NSF는 NF-κB의 핵으로 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사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성 싸이토카인들의 발현을 저해하고 이와 반대로 Nrf2의 발현과 핵으로의 이동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소이면서 항 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HO-1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NSF는 NF-κB와 Nrf2의 두 가지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함으로써 항 염증 작용을 나타냈으며 이를 홍삼 NSF의 항 염증 기작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d ginseng-derived non-saponin fraction (NSF) on inflammatory responses and monocyte-to-macrophage differentiation in RAW264.7 and THP-1. NSF effectively inhibited inflammatory responses by downregulat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protein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NSF (2000 μg/mL) decreased the levels of NO, iNOS, and COX-2 by 33, 83, and 64%, respectively. NSF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monocyte-to-macrophage by decreasing cell adherence along with downregulation of the cluster of differentiation molecule 11β (CD11β) and CD36. In addi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6,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MCP-1),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NSF treatment. The NSF-mediated inhibi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was due to the regulation of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κB) and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like 2 (Nrf2). NSF effectively suppressed the translocation of NF-κB into the nucleus, while nuclear Nrf2 and its target protein, heme oxygenase-1,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KCI등재

        연구노트 :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ROS 생성에 대한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효과

        이영준 ( Young Jun Lee ),윤보라 ( Bo Ra Yoon ),최현선 ( Hyeon Son Choi ),이부용 ( Boo Yong Lee ),이옥환 ( Ok Hwan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3

        Obesity, a strong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diseases,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adipocytes differentiated from precursor cells, preadipocytes.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L1 adipocyte facilit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fat accumula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reduced ROS production by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 (SME) could protect the development of obesity through inhibition of adipogenesis.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SME for up to 8 days following standard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The extent of differentiation reflected by amount of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nd nitroblue tetrazolium (NBT) assay. Treatment of SME significantly inhibited ROS production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that is depend on down regulation of NADPH oxidase 4 (NOX4), a major ROS generator,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α), a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E can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 reduced ROS level that involves down-regulation of NOX4 expression or via modulat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무증자 발아현미를 이용한 단양주와 이양주의 이화학적 특성

        류지수(Ji Soo Ryu),신지은(Jee Eun Shin),조민아(Min A Cho),신장호(Jang ho Shin),최현선(Hyeon-Son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5

        본 연구에서는 발아현미를 이용해 단양주와 이양주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생물 생균수인 단양주 세균수는 발효 1일차에 2.6×10<SUP>8</SUP> CFU/mL로 최대치를 나타낸 후 계속 감소하여 7일차에는 4.5×10<SUP>6</SUP> CFU/mL로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이양주의 세균수는 발효 1일차에 5.0×10<SUP>8</SUP> CFU/mL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7일차에는 9.4×10<SUP>6</SUP> CFU/mL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단양주 효모수는 발효 1일차에 2.5×10<SUP>8</SUP> CFU/mL로 증가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7일차에 2.2×10<SUP>6</SUP> CFU/mL로 감소하였다. 이양주 효모수는 발효 1일차에 2.7×10<SUP>8</SUP> CFU/mL으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7일차에는 1.1×10<SUP>4</SUP> CFU/mL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에서 단양주와 이양주 모두 발효 기간이 경과될수록 백색도(L)가 감소하였고, 이양주의 경우 적색도(a)와 황색도(b)의 값이 단양주에 비해 조금 더 빨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는 단양주와 이양주 모두 발효 3일차까지 급속도로 증가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단양주와 이양주 모두 발효 1일차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 증가하였다. 단양주와 이양주 7일차에는 0일차보다 단양주는 5.17배 이양주는 13.08배 증가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단양주는 6.44배 이양주는 5.50배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단양주의 경우 발효 3일차까지 감소하였으며 발효후반부에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양주의 경우 발효 초기 감소하였다가 발효 후반부에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산도는 단양주의 경우 발효 3일차까지 증가하였으며 이양주의 경우 발효 1일차까지 급격히 증가하다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코올 함량의 경우 단양주와 이양주 모두 3일차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단양주보다 이양주가 알코올 함량이 높았다. DPPH는 단양주와 이양주에서 모두 5일차까지 증가하다가 7일차에는 더 이상의 증가는 없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전과 비교하여 7일차에 단양주는 3.83배 이양주는 3.03배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양주의 7일차가 단양주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GABA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단양주의 경우 GABA의 증가하는 폭이 미비한 반면 이양주의 GABA 함량은 발효 전에 비해 약 10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anyangju and Iyangju fermented using uncooked germinated brown rice. Total bacteria and yeast from Danyangju and Iyangju showed the maximal value on day 1 of fermentation, but their numbers decreased by the seventh day. On the seventh day, the total bacteria were higher in Iyangju than in Danyangju, but yeast was the lowest in Iyangju. Both Danyangju and Iyangju showed decreased whiteness in color,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with fermentation. Sugar contents, reducing sugar, acidity, alcohol, and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in both Danyangju and Iyangju; this increase was higher in Iyangju than in Danyangju. Iyangju and Danyangju showed gradual increases in 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ntil day 5. The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creased with fermentation in Iyangju and Danyangju, and Iyangju showed over 10-fold increase after fermentation.

      • SCOPUSKCI등재

        허브 추출물-아미노산 혼합물의 자외선 유도 광노화 억제 활성

        유예림(Ye-Lim You),변하준(Ha-Jun Byun),김민하(Minha Kim),강남길(Namgil Kang),최현선(Hyeon-So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3 No.6

        본 연구에서는 허브 추출물과 아미노산의 혼합비율을 달리 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피부 표피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광노화에 대한 억제 활성을 검토하였다. 허브 추출물의 7가지 조성 중 생강 추출물과 스타아니스 추출물이 주된 성분으로 구성된 배합(H7)이 ABTS 소거 활성 및 FRAP 환원 활성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이어서 아미노산인 아르기닌과 글루탐산이 50%를 차지하는 비율로 첨가되어 얻은 배합(HA1, HA2, HA3)을 대상으로 피부세포 모델에서 자외선 유도 광노화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허브 추출물 배합인 H7과 아미노산(아르기닌 : 글루탐산=3:1)이 혼합된 조성물(HA3)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 표피세포의 세포독성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다. HA3은 세포 내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mRNA 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효소인 히알루론산 분해효소와 기질분해효소인 MMP-1/2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더 나아가 HA3은 피부장벽 인자로 알려진 filaggrin, loricrin, involucrin의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면 HA3은 자외선에 의해서 유도되는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부 보호 작용을 하는 기능성식품의 개발을 위한 조성물로써 허브 추출물과 아미노산(아르기닌, 글루탐산)의 최적 혼합비를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al ratio of herb extract to amino acids, effectively protecting skin cells from UVB-induced photoag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rogram suggested seven mixture ratios of herb extracts, including ginger and star anise extracts. Among them, the H7 mixture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rginine and glutamate were added to H7, producing HA1, HA2, and HA3 mixtures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UV-induced photoaging. The HA3 mixture had the highest protective effect against UV-induced cell death. HA3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collagen 1, hyaluronic acid,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1/2) while reducing the activity of hyaluronic acid lyase. HA3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skin barrier genes, including filaggrin, loricrin, and involucrin. Overall, the HA3 mixture effectively protects skin cells from UV-induced photodamage. This study suggested an optimized herb extract/amino acid mixture ratio for developing skin-protective functional foods.

      • KCI등재

        연구노트 : 3T3-L1 지방세포내 ROS 생성에 대한 천년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윤보라 ( Bo Ra Yoon ),이영준 ( Young Jun Lee ),김선구 ( Sun Gu Kim ),장중영 ( Jung Young Jang ),이효구 ( Hyo Ku Lee ),이성갑 ( Seong Kap Rhee ),홍희도 ( Hee Do Hong ),최현선 ( Hyeon Son Choi ),이부용 ( Bo Yong Lee ),이옥환 ( Ok Hw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3

        Recently, NADPH oxidase 4 (NOX4)-mediate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proposed to accelerate adipogenesis of 3T3-L1 cell.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downregulation of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gene expressio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NOX4, G6PDH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antioxidant enzymes i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3T3-L1 adipocy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Cheonnyuncho extracts markedly inhibits ROS production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cells. Cheonnyuncho extracts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the pro-oxidant enzyme such as NOX4 and the NADPH-producing G6PDH enzyme. In addition, treatment with Cheonnyuncho extract was found to upregulate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Mn-SOD (manganese-superoxide dismutase), Cu/Zn-SOD (copper/zinc-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 reductase (GR), and catalase, all of which are important for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These data suggest that Cheonnyuncho extract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rise of oxidative stres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mechanism(s) that involves direct down regulation of NOX4 and G6PDH gene expression or via upregula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