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rovement Direction for Efficient Operation of Fire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최원우,양수연,엄영호,류상일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13 No.7

        This study intends to create a detailed plan for establishing a fire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City. It seeks to analyze the current disaster environment in Busan and propose directions for enhancing fire education. Recent updates in the disaster and accident risk assessment for Busan indicate a rising fire risk, necessitating targeted strategies to address this issue. The existing Korean firefighting schools lack alignment with local disaster characteristics. Whil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s are operational, they face challenges due to unplanned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response, an urgent need exists to develop a fire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 tailored to Busan's disaster environment. A comparison of domestic fire schools, safety experience centers, and international fire education underscores that a uniform approach to fire education in Korea isn't suitable for Busan's evolving disaster landscape. Thus, the objective is to establish a Busan-specific fire safety education platform to better address the area's disaster realities and enhance fire safety education in line with citizen needs.

      • KCI등재

        완전이식형 인공심장의 좌,우 심박출량 균형의 개선에 관한 연구

        최원우,김희찬,김원곤,노준량,김인영,민병구,Choe, Won-U,Kim, Hui-Chan,Kim, Won-Gon,No, Jun-Ryang,Kim, In-Yeong,Min, Byeong-Gu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 의공학회지 Vol.19 No.4

        이동형 작동기 방식의 완전이식형 인공심장을 대상으로 부가적인 체적보상실(compliance chamber)이 필요없는 새로운 균형적 심방압 유지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동작동기으 lqleocld 원주운동을 통하여 좌우심박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두 시실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심박출량 차이를 보상하도록 고안되었다. 인공심장 표면이 가변적인 부분은 좌우 심박출량의 균형 보상을 도와주게 된다. 그러나 인공심장 표면의 가변성을 높일 경우, 전체 심박출량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심실사의 공기량을 조절하여 좌우 심박출량의 균형 및 전체 심박량에 대하여 좋은 조건을 모의 순환 실험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새로운 인공심장은 63kg의 양에 이식하여 3일간 생존하였으며, 생존기간중 평균심박출량은 4.21/min 이었으며, 심방압은 15mmHg 이하로 유지되었다. A new balancing method of atrial pressures balancing for the moving actuator total artificial heart(TAH) without an extra compliance chamber was developed. The asymmetric operation of the pendulous moving actuator have made it possible to compensate the left and right pump output difference by utilizing the interventricular air space as an internal compliance chamber in a pump housing. Furthermore, the balancing performance between left and right pump outputs is increas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flexibility of part of the polyurethane housing. However, the increase of the flexibility of the pump housing causes a little loss of the cardiac output due to the reduction of active filling property. In this paper., a good condition between the balance and pump output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djusting the air volume in the interventricular space through a series of in vitro experiments. This new pump was implanted in a sheep weighting 63kg, and it survived for 3 days and the average cardiac output during postoperative days was about 4.2 L/mim with the atrial pressures under 15 mmHg.

      • 딥러닝의 SU-net을 이용한 배 화상병 예찰 연구

        김현정 ( H. J. Kim ),노현권 ( H. K. Noh ),강태환 ( T. H.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화상병(火傷病, Fire blight)은 배와 사과 등 장미과 식물에 생기는 세균성 병해의 일종으로 병원균인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2015년 5월 경기도 안성과 충남 천안에서 최초로 화상병이 발생하였으며, 2020년 현재까지 새로운 지역으로 전염되고 있다. 강한 전염성으로 인하여 감염시 2일 이내에 확진여부가 판정되고, 판정 직후 발병된 과수를 중심으로 100 m 반경의 과수를 매몰하기 때문에 화상병발병과수의 충분한 영상취득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확산·전염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화상병 예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화상병 발병 과수에서 회전익 드론에 A6300 RGB 카메라를 장착하여 고도 10~12m 상공에서 영상을 취득하였다. 취득된 영상의 공간분해능은 6,000 pixel × 4,000 pixel 이었다. 화상병 검출을 위한 SU-net 구조는 Image input layer, Convolution layer, Batch normal layer, ReLU layer, Max Pooling Layer, Transpose Convolution layer 및 Sigmoid Layer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화상병 영상 검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Batch normal layer를 적용하였고, depthwize_conv 결과에 pointwise filter(가중치, 스칼라)를 곱한 후 (1x1 convolution) 다른 필터의 연산 결과와 Sum하는 방법으로 사과 화상병 영상을 분석하였다. 기존 U-net 학습결과는 화상병 감염 과수 영상 가운데 64장이 화상병 감염으로 인식하였고, 16장은 비감염으로 인식하여 예측율은 80.0%로 나타났다. SU-net 학습결과는 화상병 감염 과수 영상 80장 중 70장이 화상병 감염으로 인식하였고, 10장은 비감염으로 인식하여 예측율은 87.5%로 나타났다. 또한 비감염과수 영상 20장의 테스트 결과 19장이 비감염으로 인식하였고, 1장은 감염으로 인식되어 예측율이 95.0%로 나타났으며 개선된 SU-net 학습 알고리즘이 기존의 U-net 학습 알고리즘보다 화상병 예측이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현장에서 드론을 이용한 화상병 예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재난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협업 능력에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최원우,엄영호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bility to collaborate as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of firefighters in disaster situations and to suggest ways to promote collaboration between organizations to respond to disasters. Specifically, the impact of self-efficacy, work expertise, work experience, and risk perception on collaboration was analyzed, and the ag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hich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were also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like the general perception that collaboration with all organizations will be high in disaster situations, firefighters also had different factors affecting collaboration with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s and private volunteers. In detail, risk situation composure, situation judgment, and work responsi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bility to collaborate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Technology and knowledge, situational judgment, and work responsi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ability to collaborate with external institutions, and the rescue experience and age of the deceased, which are sub-variables of work experience, had a negative (-) effect. In the ability of volunteers to collaborate, coping with unexpected situations and community risk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the possibility of death and age had a negative (-) effect. In the case of the MZ generation, it was found to be negative for collabor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firefighters are organizations that solve problems and respond to situations at the forefront of disaster sites. Although resource mobilization and linkage are also important capabilities in disaster management,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in actual disaster situations, it leads to the limitations of disaster management.

      • KCI등재

        敍事巫歌와 古典小說의 關聯樣相一考

        崔元牛 中韓人文科學硏究會 2001 한중인문학연구 Vol.6 No.-

        敍事巫歌和音典小說約關聯樣相-考 本篇論文所討論的對象是,談事巫歌與古典小說「淑香傅」和「陳吉忠孝錄」. 我首先探討其兩者之間的影響關係, 而考素巫歌和小說裏共通出努的重要뿔또漂索生命水的異界努, 然後怒拱出來其母題所包含的意義.本來探索生命水的界旅行'是巫俗所固有的話素, 所以「淑香傳」和r陳吉忠孝錄」可能是在巫俗的誇響下財創作的, 而且'異界旅行'此話業躁追求永生的道仙思想的淺槃下榥容易受容到古典小說裏, 因爲古典小說本屬於道仙思想之類的. 允其'異界旅行'是一種普遍約話素, 那是在全國流傳的重要話素, 而所描寫的內春是有關王室內部問題飾, 在這兒報褙也可以考虜.享受敍事桑默和古典說階層約差異不大約事責.我認爲「陳吉忠孝錄」可能是在和的影響下所刻作崙來的作品, 驃爲「凍吉忠孝銖」一方面强調要懇誠約對待超越者, 那就是所强調的精神, 異一方面惜用古典小說「淑善傅」約敍事結構. 以外, 異本「陳吉忠孝錄」後面附記約內容大部分出於其池軍談小說和家 庭小說之類, 從雌我們可以猜測「練音忠축可能是把以前出版的小讒當中所有趣約地方溱合起來編造的, 醮此「陳吉忠孝錄」飾敍事結構缺乏全體的統一性. 07此看來, 「練吉忠孝錄」的作者可龍是對創作小說耉混多的關心, 可是沒有刻作能力 約某-個人業餘創作約.敍事巫歌與古典小說 「淑香傳」和 「輝吉忠孝錄」 約敍事指向各不一默, 蠻漏自的. 當然每篇作品裏都有'異界旒行'的母題, 但是其表現的樣態各不相同, 要說約是家族關係的解體及回根, 「淑香傳」要表現的是男次緣分飾必然性, 「輝吉忠孝錄」要發湯的是忠孝的理念.如果把焦點霜定在漂索生命水的方面, 我們可以發現擇索生命水的暹程等於生命約眞禁據索. 而且這츠母題受容在古典小說當中訓可擴大其外延, 那就是所謂'受容'的意義.

      • 완전이식 인공심장용 무선정보 전송장치의 개발

        최원우,강동우,박성근,최재순,김희찬,민병구,Choi, Won-Woo,Kang, Dong-Woo,Park, Seong-Keun,Choi Jae-Soon,Kim, Hee-Chan,Min, Byoung-Goo 대한전자공학회 1996 전자공학회논문지-B Vol.b33 No.1

        In this paper, a new biotelemetry system for a transcutaneous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implanted artificial heart with a control system and an external human-interfaced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A radio telemetry using radio frequency is a commonly used method in the conventional telemetry systems. But, it is not suitable for the medical applications because of not only an interference due to a radio broadcasting but also a harmfulness to the human body. In this paper, therefore, a new biotelemetry system applied to an artificial heart has been developed with the results of the recent research for an optical telemetry system based on the infrared light transmission with good skin permeability. The performance of the biotelemetry system developed has been assessed through mock circulatory experiments, and the clinical applicability has been also confirmed with the successful results in the animal experiments. 본 연구에서는 체내에 이식되는 인공심장 및 제어시스템과 체외의 환자관리시스템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무선 통신시스템(Biotelemetry System)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무선 telemetry라고 하면 전파 telemetry를 의미할 정도로 전파를 이용한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으나, 늘어나는 전파무선기기에 의한 전파장해 및 간섭현상과 무엇보다 인체에 유해한 단점으로 의료용 장비에의 응용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빛을 이용한 무선telemetry에 대한 연구결과를 응용하여 피부투과성이 좋은 근적외광(Infra Red Light)을 이용한 광통신 방식으로 인공심장용 무선정보 전달장치를 구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은 인공 심장용 모의순환실험을 통해 평가되었으며 아울러 동물실험에서의 성능평가로 임상에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