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자소유지분이 부채만기와 대리인비용에 미치는 영향

        최영목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2

        This study extends Data et al.’s (2005) study by rigorousl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managerial stock ownership and corporate debt maturity decisions. Datta et al. (205) reason that as managerial ownership declines, there will be less alignment of interests between managers and shareholders. They also reason that, in this situation, managers choose a smaller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since issuing short-term debt leads to frequent monitoring from stakeholders. In their study, Datta et al. (2005) show that the higher the managerial ownership, the larger the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impact of managerial ownership on corporate debt maturity varies between agent-led and owner- controlled firms. Specifically, we test whether, for agent-led firms, as managerial ownership increases, the alignment of interests with shareholders increase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In contrast, we also test whether, for owner-controlled firms, there is an inverse rel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corporate debt mat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ownership structure. This study also extends Datta et al.’s (2005) study by re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corporate debt maturity in the different types of ownership structure. This study also hypothesizes that the impact of managerial ownership on agency costs varies between agent-led and owner- controlled firms. We predict that, for agent-led firms, as managerial ownership increases, the alignment of interest between managers and external shareholders due to a larger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increases, decreasing agency costs. In contrast, we predict that, for owner-controlled firms, as managerial ownership increases, the alignment of interest between managers and external shareholders due to a smaller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become lower, increasing agency costs. Datta et al. (2005) argue that as managerial ownership increases, managers choose the larger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thereby increasing an alignment of interest between managers and external shareholders. They do not, however, provide evidence on the rel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agency costs. Furthermore, we complement Datta et al.’s (2005) study by considering agency costs in the determination of corporate debt maturity. Using the sample of non-financial firms listed on the Korean Exchanges (KRX) between 2005 and 201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corporate debt maturit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managerial ownership in the debt maturity decisions using a pooled OLS regression controlling for leverage, asset maturity, growth opportunities, the investment-grade dummy, abnormal earnings, stock volatility, firm size, and regulation industry dummy. For the entire sample firms, we find an insignificant rel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We also find that, for the subsample of owner-controlled firms, managerial ownership is in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while, for the subsample of agent-led firms, the relation is a positive and significant. Notably, for the subsample of agent-led firms, the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increases by about 8.48% as managerial ownership increase from median to 95 percentile. The increased managerial ownership is not only important statistically, but has also economical significance. Furthermore,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agency costs, we find consistent results with previous findings. This study uses the inverse of expense ratios and asset turnover ratios as proxy for agency costs. We expect that if managerial ownership increases and thus agency costs declines, the coefficient on managerial ownership will be negative. In regression models... 본 연구는 2005∼2011년까지 7년 동안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자소유지분이 부채만기와 대리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이는 경영자소유지분이 감소할수록 외부 이해관계자들로부터의 빈번한 모니터링을 회피하기 위해 장기부채를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경영자소유지분과 부채만기 사이의 관계는 기업의 소유와 경영의 분리 여부에 따라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다. 이는 전문경영자기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과 달리 소유경영자기업이 많은 한국기업의 소유구조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소유경영자기업에서는 경영자소유지분과 단기부채비중 사이에 뚜렷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지만 전문경영자기업에서는 경영자소유지분과 단기부채비중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경영자기업의 경우 경영자소유지분이 높아질수록 대리인 비용이 감소하여 단기부채비중이 증가하게 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또한 앞의 결과에 대한 강건성 분석 차원에서 경영자소유지분과 대리인비용 사이의 관계도 검증한다. 그 결과 소유경영자기업에서는 경영자소유지분이 높을수록 대리인비용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반면, 전문경영자기업에서는 경영자소유지분이 높을수록 대리인비용이 감소하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미국시장과 마찬가지로 국내 시장에서도 경영자소유지분이 증가할수록 단기부채 사용이 높아지며 이러한 패턴은 소유경영자기업보다는 전문경영자기업에서 보다 뚜렷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숙박업과 음식점업의 현금보유수준 결정요인

        최영목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국내 비상장 숙박업과 음식점업을 상으로 현금보유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현금보유정책과 관련한 상충이론, 자금조달순위이론, 잉여현금이론에 입각하여 기업특 성변수들이 현금보유수준에 어떠한 영향에 한 가설을 정리하였다. 상충이론은 기업이 거래적동기와 예비적동기를 가지고 현금을 보유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의 크기를 비교하여 최적수준의 현 금보유량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자금조달순위이론은 자금조달방법에는 비용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기업 보유한 현금 수준이 투자수요를 충족하고도 남으면 현금보유수준이 늘어나고 보유한 현금 수준 이 투자수요를 충족하지 못하면 현금보유수준이 감소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잉여현금흐름이론은 경영 자가 사적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초과현금을 보유할 유인이 있다는 이론이다. 회귀모형을 통해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현금보유에 영향을 미칠 것 으로 예상되는 변수로서 배당더미, 자본적지출, 순운전자본, 현금흐름변동성, 매출성장률, 유형자산비 율, 영업현금흐름, 자산규모, 레버리지를 선택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발견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본에서 배당지급 기업, 순운전자본이 많은 기업, 영업현금흐름이 많은 기 업, 레버리지가 높은 기업이 보다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반면 유형자산비율이 높은 기업, 자산규모 가 큰 기업은 현금보유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금조달비용과 관련된 담보가치 로 현금보유를 설명할 때에는 상충이론의 설명력이 높고 현금흐름창출능력으로 현금보유를 설명할 때에는 자금조달순위이론의 설명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숙박업과 음식점업은 서로 관련성 이 높은 업종이지만 현금보유전략의 결정요인은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업 표 본에서는 자본적지출과 현금보유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레 버리지의 회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식점업의 경우 투자정책(자본적지출), 자본구조(레버리지), 현금보유전략이 동시에 결정되는 뚜렷한 증거가 될 수 있 다. 이와 달리 숙박업의 경우 자산규모나 유형자산비율과 같은 외적 규모와 현금보유수준이 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숙박업에 비해 음식점업의 경우에는 재무적으로 보다 정교한 현금보유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cash holdings using a sample of private lodging and restaurant firms. Based on the trade-off, pecking order, and free cash flow theories, this study tests the determinants of cash holdings. The trade-off theory proposes that firms determine their optimal cash holdings in terms of costs and benefits of cash holdings due to transactional and precautionary motives. The pecking order theory suggests that cash remaining after investments increases the level of cash holdings and vice versa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debt financing costs. The free cash flow theory proposes that managers have incentives to hold excess cash for the purpose of their private interests. This study includes a dummy variable for dividends, capital expenditures, working capital, cash flow volatility, sales growth, tangible asset ratios, free cash flow, firm size, and leverage in the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nds that firms with paying dividends, high working capital, high free cash flows, and high leverage tend to have more cash holdings, while those with high tangible asset ratios and large size have less cash holding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trade-off theory better explains firms’ cash holdings in terms of collateral values associated with debt financing costs. On the other hand, the pecking order theory has higher explanatory power for cash holdings as cash flow generation. Second, both lodging and restaurant sectors are closely linked; however, the determinants of cash holdings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For the sample of restaurant firms, the level of cash holdings is negatively related to capital expenditures. Moreover, this study find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ash holdings and leverage. These findings provide decisive evidence that regarding restaurant firms, investment policies capital structure and cash holding strategies are jointly determined. With respect to lodging firms, firm size and tangible asset ratio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cash holdings. Thus, these results imply that restaurant firms should establish more financially sophisticated cash holding strategies compared to lodging firms.

      • KCI등재

        경제정책불확실성과 숙박업체의 재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영목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경제정책불확실성과 국내 비상장 숙박업체의 재무성과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정부의 경제정책불확실성은 숙박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수요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숙박업체의 재무성과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경제정책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소비자 입장에서 숙박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의 연기 혹은 취소가 쉽다는 점, 자본비용이 상승한다는 점, 투자지출을 줄인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경제정책불확실성과 재무성과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할 것이라는 논리를 제시하였다. 핵심변수로서 국내 신문기사를 바탕으로 하여 산출된 경제정책불확실성지수를 사용하고 종속변수로서 총자산순이익률, 자기자본순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을 사용하였다. 회귀모형을 추정한 결과는 경제정책불확실성과 숙박업체의 재무성과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정책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숙박업체의 재무성과는 하락함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총자산순이익률을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총자산회전율로 나누어 경제정책불확실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제정책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총자산회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정책불확실성이 높아질 때 숙박업체는 재무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 매출 상승을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원가관리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 상장기업의 경영자지분율과 부채만기

        최영목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1

        본 연구는 중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자지분율과 부채만기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가를 분석한다. 중국은 자본주의의 경험이 짧아 전문경영자의 역할을 분석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영자지분율이 부채만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인센티브시스템으로서 경영자에 대한 주식부여의 효과를 검증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기업의 경우에도 미국기업과 같이 경영자지분율과 장기부채비중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표본을 정부지배기업과 민간지배기업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부지배기업은 경영자지분율과 장기부채비중 사이에 유의하지 않은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반면에 민간지배기업은 경영자지분율과 장기부채비중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a sample of publicly-traded Chinese firms, this study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corporate debt maturity decisions. China has transformed dramatically into a market capitalist economy over the past decades. However, so fa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ole of professional manager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stock grants to managers as incentive system by providing evidence that managerial ownership affects corporate debt maturity decis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 find that like US firms, managerial ownership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proportion of long-term debt. Second, I divide the entire sample into two subsamples of state-owned and privately owned firms. For the privately owned firms, I find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proportion of long-term debt. In contrast, for the state-owned firms, the relationship is positive and insignificant.

      • KCI등재
      • 투자자의 군집행동 연구에 대한 소고

        최영목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7 경상논총 Vol.9 No.2

        본 연구는 자본시장에서 투자자의 군집행동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본 연구는 투자자의 군집행동의 원인을 이론적으로 접근한 연구들로부터 정보비대칭성이 높은 기업의 군집행동 강도가 높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비대칭이 군집행동의 주요 원인이라면 소규모기업, 배당지급 수준이 낮은 기업, 레버리지가 낮은 기업, 애널리스트의 관심에서 소외된 기업 등과 같이 투자자와 경영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이 큰 기업에 투자할 때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군집행동 측정방법은 한계점이 존재하므로 투자자의 군집행동을 측정한 결과를 참조하는 정책당국이나 투자자들은 다양한 방법론들의 한계점을 명확히 인지하고 결과를 해석함으로써 판단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셋째, 투자자들의 군집행동은 자본시장이 발전한 선진국 시장보다는 정보의 투명성이 낮은 이머징마켓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기업의 회계처리 방식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에 대한 공시 제도를 선진국 수준으로 보완하는 대책마련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외국인소유지분, 배당정책, 그리고 기업의 성장률

        최영목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경상논총 Vol.11 No.2

        이론적으로 배당지급 기업일수록(유보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성장률은 감소하므로(증가하므로), 외국인소유지분이 높고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은 중장기성장률이 낮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외국인투자자들이 경영진을 감시하여 대리인비용을경감시키는 효과가 존재한다면 오히려 외국인소유지분이 높은 기업에서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이 미래 성장률이 높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비금융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외국인투자자의 배당선호가 기업의 미래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먼저, 본 연구는 회귀분석을 통해 외국인투자자의 소유지분이 높을수록 배당지급 확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배당지급 기업이 배당미지급 기업에 비해 미래 성장률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외국인소유지분이 높은 기업에서는 배당지급 기업이 오히려 미래 성장률이 높은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투자자의 배당선호가 기업의 성장과 기업가치 측면에서 긍정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