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FPR법을 활용한 북극정책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해양수산부 정책을 중심으로

        최수범,박성훈,김동명,이해찬,여기태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4 No.3

        In the case of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the Arctic Ocean, there is a “Northern Sea activity promotion basic pla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bu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timing of the policy enforcement and consider the importance of policies because no concrete order of enforcement of policies or weight has been presented by the government. In view of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iorities of the government’s Arctic policies.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presents priorities for “support measures” and “foreign cooperation measures” fo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Arctic policies. A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CFPR (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s) method, which can comprehensively estimate expert opinions,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ost important Arctic policy of the government was shown to be “Cooperation for Shipping and Logistics, such as Pioneering Northern Sea Routes” (0.087), followed by “Fostering Professional Manpower” (0.086), and “Preparing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Blueprint” (0.085).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rctic Ocean-related policies by policymakers as well as authorities. 북극해 관련 정부정책의 경우 해양수산부에서 제시된 “북극활동 진흥 기본계획”이 있으나, 구체적인 정책 집행의 순위 및 가중치 등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정책집행의 시기조절 및 경중을 고려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제시한 북극정책의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북극정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지원방안” 및 “대외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론은 전문가 의견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CFPR(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s)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해양수산부의 가장 중요한 북극정책은 ‘북극항로 개척 등 해운물류 협력’(0.087)이며, ‘전문인력 양성’(0.086), ‘제도적 기반 및 청사진 마련’(0.085)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극해 관련 정책입안자 혹은 당국의 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수도권 5개 역세권 복합개발 및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분석

        최수범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6 부동산경영 Vol.14 No.-

        본 연구는 역세권 복합개발이 지역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향후 주민 입장에서 개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역세권 복합개발 방향과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 차이를 감안해 일반철도 역세권(왕십리, 청량리)과 고속철도 역세권(서울, 용산, 광명)으로 유형을 분류했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평가지표 체계를 구축하였고, 전문가 표적집단면접을 통해 분석변수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주요 도입기능’ 관련 5개 변수, ‘활성화 지원 방안’ 관련 4개 변수, ‘핵심 복합시설’ 관련 5개 변수를 설정하였다. 둘째, 확정된 분석지표를 바탕으로 연구가설 및 설문을 설계한 뒤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해 일반철도와 고속철도 역세권을 나누어 분석한 뒤 5개 역세권을 개별 분석하였다. 역세권 복합개발이 지역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적으로 교통·정보교류·상업업무·주거 기능이 지역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철도 역세권에서는 핵심 복합시설(기업 및 산업단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등)이 지역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고속철도 역세권에서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서울 5개 역세권 개발 및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최수범,임석우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7 부동산경영 Vol.15 No.-

        역세권 복합개발이 지역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량리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 핵심 복합시설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주요 도입기능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왕십리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지역 활성화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주요 도입기능과 활성화 지원 방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 검증되었다. 광명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 핵심 복합시설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주요 도입기능과 핵심 복합시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산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주요 도입기능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울 5개 역세권 복합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 분석 결과, 매우 유사한 영향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일반철도와 고속철도 역세권개발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분석

        최수범(Choi, Soo-Beom),송호창(Song, Ho-Chang) 한국부동산정책학회 2016 不動産政策硏究 Vol.17 No.1

        This study examines how mixed development around railroad station area affect regional revitalization and residents’ quality of life. We attempt to draw strategies for railroad station area mixed-use development for betterment of residents’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different types of railroad station area development (SAD hereafter), I divided two different groups: general SAD (Wangsim-ri, and Cheongryang-ri), and high-speed rail SAD (Seoul, Yongsan, and Gwangmyeong).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assessment indicators related to railroad station area mixed-development are synthesiz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important points. First, transportation, information exchange, commerce and office, and residence has common impacts on regional revitalization and residents’ quality of life. Second, in the general SAD model, core mixed facilities groups (industrial business district, government buildings, etc.)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egional revitalization; however, the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high-speed rail SAD model.

      • KCI등재

        러시아와 한국 간 석탄 자원 운송경로에 관한 연구

        최수범 ( Choi Su Beom ),이해찬 ( Lee Hae Chan ),최영서 ( Choi Young Seo ),여기태 ( Yeo Gi Tae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2

        최근 석탄운송의 다변화로 인한 러시아 석탄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운송루트 개발 측면에서 러시아 내륙수로와 북극해를 연계하는 연구가 대두하고 있다. 북극해 해빙 감소로 연중 북극해 통항 기간이 점차 길어지고 있어 새로운 운송루트의 활용은 더욱 현실화 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러시아와 한국 간 석탄 자원 운송경로를 살펴보고, 각 경로 대안에 대한 개괄적 평가를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운송루트 2 안인 “시베리아 횡단철도 및 해상운송을 이용한 복합운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 안 루트인 북극해 이용항로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향후, 온난화에 따른 선박 운항 일수가 늘어나고, 해상운송의 대용량 운송 장점이 고려되면 순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진행되지 않은 전략자원 즉 석탄의 북극해 운송에 대한 평가 요소, 평가경로 등을 제시하였으며, 전문가 심층 면담을 통해 경로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또한 벌크화물 운송을 영위하는 국내 해운선사 및 물류 관련 기업에게 석탄 자원 운송정보를 제공하여, 북극해 운송을 포함하여 다양한 비즈니스에 참여하여 국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산업적인 시사점이 있다. Recently,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coal transport, the import of Russian coal has been increasing. Along with the foregoing, studies on the linkage of Russian inland waterways and the Arctic Ocean are emerging in terms of development of new transport routes. Since the period of passage through the Arctic Ocean per year is gradually getting longer due to the decrease in sea ice in the Arctic Ocean, the utilization of new transport routes is being realized further.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al resource transport routes between Russia and South Korea, and generally evaluate individual route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ultimodal transportation using Russian railways and sea transport”, which is the second transport route plan, was found to be the most excellent. However, this plan showed only a slight difference from the sea route using the Arctic Ocean, which is the first plan route. Hereafter, if the number of days of sailing increases due to global warming and the merits of large-scaled transportation by sea transportation are considered, the ranking may change.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presented the evaluation elements and evaluation routes for the transport of the strategic resources, that is, coal, through the Arctic Ocean, which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in South Korea and presented the priorities of rout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addition, this study has industri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d diverse information on coal resource transportation to domestic shipping companies and logistics-related companies that carry out bulk cargo transportation thereby enabling them to participate in diverse businesses including transportation through the Arctic Ocean to help the national interests.

      • KCI등재

        철도역세권 복합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최수범(Soo-Beom Choi),이주형(Joo-Hy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철도역세권을 단순한 개발과 계획적 측면에서만 접근하지 않고, 실제 개발에 따른 도입 기능 및 프로그램이 지역의 발전과 주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철도역세권 복합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역세권 주변 실거주민들을 대상으로 철도역세권 복합개발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요소와 구조를 PLS 구조방정식을 활용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마케팅 지원, 환승시스템 지원, 설계 및 디자인 지원, 복합용도개발 지원, 법 · 제도 개선 등의 소프트웨어 요소들과 교통 기능, 정보교류 기능, 상업업무 기능, 주거 기능, 어메니티 기능 등의 하드웨어 요소들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소프트웨어적 요소나 네트워크적 요소는 유효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네트워크 요소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관한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at introduction function and program how influence about quality of life local resident and development of region according to real development. Also, it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of area activation plan through complex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area. In research method, the factor and structure affecting area activation in complex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area analyzed positively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focused on citizen near station area. As a result of study, in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the factors of software(marketing support, transfer system support, plan and design support, complex development support, law institution improvement, etc) and the factors of hardware(traffic function, information exchange function, commercial business function, housing features, amenity function, etc) are represented to influence significantly and then, in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 the factor of hardware analyzed to influence significantly, but the factor of software and network did not. In comparison, the factor of network is represented that it did not contributed in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and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 So, political supplementations are needed.

      • EPDW 이벤트 흐름 지향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최수범 ( Choi Su Beo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EPDW는 Event-Process-Data-Work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이 아키텍처는 Event 지향적인 프로그래밍 아키텍처이다. Event 가 발생하면 Process에서 가공하고 Data로 만들어 Work가 처리하는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든 Event는 EventDivider 흐름이 관리되며 Process는 EventDivider에 등록된다. Work는 하나의 기능단위로써 필요한 controller들과 Process들을 가진다. 이를 통해 Event 가공의 코드의 재사용 및 분산방지가 된다. 그리고 Event 흐름의 단순화와 추적의 용이성을 증대해 디버깅에 이점을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