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입원한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최성은,강은실,최화숙,Choi, Sung-Eun,Kang, Eun-Sil,Choe, Wha-Sook 한국호스피스협회 2008 호스피스 학술지 Vol.8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ain and anxiety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is study's design was one-group pre-post test quasi-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7 patients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admitted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S hospital in P city with agreement in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ir terminal disease.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participated in 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took 12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1,200 minutes altogether for 10 session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6, 2004 to April 20,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A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named ‘Rainbow Program’) was used as a experimental tool in this study. This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It was provided by interdisciplinary hospice team (nurses, medical doctors, social worker, pastors, art therapists, and volunteers). In addition, 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 by Young-Ho Yun(1998) was used to test degree of pain in physical aspect. And State-Anxiety Inventory was developed by Spielberger(1975) and translated by Kim, Jung-Tack & Shin, Dong-Gyun(1978) was used to test the degree of state-anxiety in emotional aspect. Results: (1) Hypothesis No.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lower degree of pain than before" was supported (t=-10.585, P= .000). (2) Hypothesis No. 2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lower degree of state-anxiety than before" was supported (t=-8.234, P= .000). Conclusion: Our results testified that this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pain and state-anxiety of the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erefore it can be used and applied actively in practice as a useful model of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by hospice professionals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목적: 말기환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전인적인 고통을 겪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통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의 다학제(multi- discipline) 전문가들과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 팀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설계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P시 소재 S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제공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전인적, 다학제적, 개별 및 집단적인 중재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호협동적인 다학제 전문가팀(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무용치료사, 미술치료사, 자원봉사자)이 호스피스 대상자 병실이나 병동에서 매회 120분씩, 총 10회(총1,200분)에 걸쳐 실시한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통증 척도는 윤영호(1998) 등이 한국형 간이통증 조사지(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로 개발한 도구 중 일부를 윤매옥(2000)이 사용한 도구, 상태불안 척도로는 Spielberger (1975)의 상태불안 측정도구(State-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대값, 최소값,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입원 호스피스 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통증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10.585, P= .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8.234, P= .000).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 및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고 향상시켜 신체 및 정서적 차원에서 그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호스피스 임상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을 조절하고 불안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높일 수 있는 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동물보호소의 유기․유실 반려견에 대한 입양확률예측모형

        최성은,유현선,정희운,정희원,박유미,이관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5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운영하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 유기나 유실된 반려동물에 대한 공고들 중에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반려견의 자료 32만여 건을 크롤링(crawling)하여 전처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분석에 사용할 속성변수들을 정의하였다. 유기나 유실되어 동물보호소에 보호되고 있는 반려견의 입양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내고, 입양 확률을 예측하기 위해서 입양확률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전처리된 자료들은 먼저 k-프로토타입(k-prototype) 군집법을 이용하여 두 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두 군집에서 속성별 입양 비율을 분석하였다. 각 모형의 오즈비(odds ratio)와 오즈비의 95%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속성변수의 수준(level)간의 입양성공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두 집단의 입양확률예측모형에 대한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와 이들의 95% 신뢰구간을 구하였고, 모형의 ROC 곡선을 구하였다. 입양확률예측모형과 대체확률(threshold value)을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동물보호관리시스템 홈페이지이나 다른 반려견 입양관련 단체에서 입양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외 반려견 관련 연구의 영향력 속성변수와 비교․논의하였다. Data of over 320 thousand abandoned dogs impounded in animal shelters of local governments during years of 2014 and 2018 are crawled from the homepage of animal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run by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Data are preprocess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using k-prototype clustering method for modeling adoption probability prediction model. In order to find the optimal model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method of backward elimination is used based on AIC. Factors for adoption success are found using odds ratio. Odds ratio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are obtained and used for comparison of effects on adoption success of levels of each attribute.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and ROC curves of the optimal models are obtained. And also their 95%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s are calculated. The proper use of the threshold and predicted adoption probabilities is discussed. Some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adoption probability is suggested through the simulation.

      • KCI등재

        폴란드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에 대한 연구

        최성은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29 No.-

        This paper introduces how those Korean pop cultures are evaluated and appreciated among Poles and what the future prospects are. This paper mainly covers Korean pop culture, especially the following three areas: movie, TV drama and pop music.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the fastest growing genre among Korean cultural contents is pop music. Pop music is easily accessible through internet sites like You Tube or other MP3-file downloading websites, and it can appeal to many audiences who even do not speak Korean language or have no cultural background. Korean pop music is expected to attract more fans going forward. However, it is doubtful the popularity of Korean pop music can spread to the middle-aged considering it’s recent trend of craze for idol groups. In addition, for such popularity to continue to spread there should be more concerts held in Poland. In terms of TV drama, it would be challenging to attract Polish audience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s we can confirm in most European countries. Since TV drama series consist of many episodes unlike movies, well-planned strategy is needed to appeal audience in its beginning. It is crucial to choose a TV drama which most Poles with no background on Korean history or culture can easily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What’s more, accurate translation is also important to convey its story in an efficient way. Once a drama is selected, deciding airing time based on the ages of main viewers and advertizing it to the specific target viewers are also very important. As Korean movies have received awards several times at the film festival in various areas of Europe in 2000s, Korean movies with high artistic value were continuously screened in Poland through four major film festivals. However, most of them were the works of Korean high-profile and award winning film makers such as Park Chan-Wook, Kim Ki-Duk, Bong Jun-ho, and Lee Chang-Dong. And, except for <The Host>, box office hits in Korea had been rarely introduced in Poland. It can be said that those who watch Korean movies in Poland a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mania people. Many box-office-hit Korean movies needed to be introduced in Poland. The gentle Korean breeze, blowing in Poland in occasionally stronger gusts, is still insufficient in terms of constructing a distinctive image on Korean culture in Polish minds. Powerful media such as TV, radio and newspapers are almost empty of Korean cultural content, beyond images of Korean as “the nation divided by a Demilitarized Zone with the constant threat of a nuclear conflict” or “one of the Asian economic tigers conquering European markets." 한국의 대중문화가 K-pop을 필두로 아시아를 넘어 유럽 시장에서까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지금, 이 논문은 중동부 유럽 진출의 교두보라고 할 수 있는 폴란드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씌어졌다. 21세기에 한국의 대중문화가 폴란드에서 어떻게 향유되고 소비되고 있는지, 또 앞으로 폴란드에서 본격적인 한류 열풍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지를 진단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연구의 범위를 대한민국의 대중문화로 한정하고, 그 중에서도 3개 영역(영화, TV 드라마, pop music)을 본격적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아이템에 대한 폴란드에서의 수용 현황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타진하는 동시에 폴란드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바람직한 홍보 전략에 대해 제안해 보았다.

      • 지방복지재정의 특징과 지방복지부담 해소방안

        최성은 한국재정학회 2013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경제학

        보육 및 사회서비스의 확대와 더불어 최근 중앙정부 중심의 복지체제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강화되는 측면으로의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와 더불어 중앙과 지방의 합리적 재원배분을 위한 구조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전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복지부분의 중앙과 지방의 재원분담은 대범주에서의 earmarking 강화와 사회서비스사업등에 대한 포괄보조금화를 통한 개별 사업들의 earmarking 완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먼저, 국가적 책무가 강한 기초생활보장사업, 기타 노인소득보장 사업, 서비스를 제외한 영유아보육료지원 사업등의 경우는 국고보조율의 상향등을 통한 현 국고보조사업의 경우 국고 보조금의 기준보조율을 상향과 차등보조율 제도의 개선을 통한 국고보조강화를 포함한다. 지자체 유형별로도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데, 군지역의 경우는 보통재원을 통한 분담, 자치구등 복지지출 비중이 높은 지자체에 대한 보조는 차등보조율을 통한 재원분담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서비스 등 지역의 특성에 따라 자율성과 다양성을 가지고 운영할 필요가 있는 사업들에서는 지방정부의 재량을 강화할 수 있는 포괄보조금을 도입할 타당성도 존재한다. 향후 분권교부세는 기타 유사한 사회서비스등을 포함하여 확대된 형태의 포괄보조금화 하는 것도 제안하는 바이다. 이는 이전재원중 보통교부세의 축소를 의미하는데, 보통교부세의 기준수요산정시 사회복지시설 면적이나 시설수와 같은 요소들은 배제할 필요도 있다고 사료된다. 현행의 기준수요산정방식하에서 필요이상의 시설확대 유인을 부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보통교부세 산정에서는 사회복지시설수등의 요인을 배제하고, 광역자치단체의 수평적 재정조정장치인 조정교부금 산정시에 사회복지 대상자수와 같은 복지수요를 반영하는 것도 한 방안이라 보여진다. 지방정부의 보건복지분야 재정부담으로 인한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광역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도 있다. 기초자치단체 중심의 전달체계에서 광역자치단체의 재정관리 및 역할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광역자치단체 중심의 재정관계 및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포괄보조방식을 통한 광역자치단체와의 재정 파트너십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복지사업을 성과에 기반을 둔 재정지원 계약방식인 성과계약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광역자치단체의 평가 및 성과관리 능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 우리는 실패가 더 필요한가? : 1·2, 3차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의 조직학습 실패를 중심으로

        최성은 한국국정관리학회 2010 한국국정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환경오염사고는 일단 발생하면 그 영향이 경제적·정치적·환경적 측면에서 장기적·포괄적으로 나타나므로 사후 조치가 엄밀히 행해져야 한다. 또한, 차후 동일한 재난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예방절차도 준수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사후조치와 관련한 조직학습이 재실패하여 동일한 사고가 재발되곤 한다. 이 글은 그러한 사례 중 1, 2, 3차에 걸쳐 재발된 낙동강 페놀 유출 사건을 중심으로 조직학습 재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응과 복구 차원에서 조직학습이 일부 일어났지만,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실패, 정보흐름 차단 및 정보공유가 미비하여 조직학습이 재실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재난관리측면에서 조직학습의 재실패를 중심으로 그 원인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개인 및 조직, 네트워크 측면의 대응을 통하여 환경 재난을 예방하는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 신라하대 서남해안 지역의 철불 조성과 관련하여 -

        최성은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2

        해남 금강산 은적사에 봉안되어 있는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원만한 相好와 균형잡힌 佛身의 비례, 생기 넘치는 세부표현 등에서 조형적으로 매우 뛰어난 불상이다. 비록 불신 의 하체 부분이 파손되어 나무로 보수된 상태이지만, 분할주조법으로 제작된 철불의 외 형틀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최대한 감춰져 있는 섬세한 주조기법은 조각 장인의 노련 한 솜씨를 엿볼 수 있게 한다. 은적사 철불은 지금까지 고려시대 불상으로 알려져 왔으나, 양식적인 면에서 8세기 후반의 조각전통을 이으면서, 9세기 불상에 나타나는 여러 조형 요소들이 반영되어 있는 점에서 볼 때, 신라하대 9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해남의 鎭山인 金剛山 소재의 은적사에 봉안되어 있으나 원래는 해남 마산면 맹진리의 바닷가에서 옮겨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해안에 위치했던 철불의 原 봉안사찰과 신라하대에 이 지역을 근거로 활동했던 해상세력과의 연관성이 상정된다. 뛰어난 주조기법과 조형성에서 볼 때, 은적사 철불은 비슷한 시기에 실상사를 비롯한 서남해안 일대의 선종사찰에서 조성된 철불상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왕실이나 그에 버금갈만한 막강한 세력의 후원으로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9세기 전반에 서남해안 지역에서 이와 같은 규모의 수준 높은 철불을 주조할 수 있는 세력으로는 청해진을 설치 하고 서남해안 일대의 무역활동을 장악하고 있던 장보고의 해양세력을 꼽을 수 있다. 그 시기 해남의 화원면에는 대규모 초기청자 窯場이 조성되어 있었는데, 이곳에서 생산 된 다완과 茶具들은 신라 승려들과 진골 귀족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일본 수출을 목적 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 아래 서남해안 교통의 요충지 인 해남의 포구에 세워진 사찰에서 당시의 최신 도상인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이, 불상재 료로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하였던 ‘쇠’로 제작되었던 것은 이 지역 불교문화의 선진성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새로운 도상과 재료의 결합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화원 요장의 도자산업을 관리하 는 거점 사찰의 주존불로 봉안되었을 것이며, 철불의 제작시기는 장보고의 몰락 이전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추론은 신라하대 철불의 양식 및 도상적 특징과도 부합되는 것이므로 은적사 철불은 서남해안 지역에서 제작된 지권인 철조비로자나불상 가운데 조성시기가 가장 이른 불상이라고 하여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An Iron Vairocana Buddha image has been enshrined at the Eunjeoksa Temple (隱跡寺) located on Mt. Geumgang in Haenam(海南), South Cheolla Province. The image is commonly known to have been moved to Mt. Geumgang(金剛山), either from the seashore at Maengjinri or from the Gongsaepo port(貢稅浦) at Jangchonri sea. One thing that is for certain is that this image was originally in a temple at the seashore of Haenam. Although this image suffered heavy damage in the lower half of its body, which has since been repaired with wood, the oval-shaped face with a calm and bland expression and the precise proportion of its body show high sculptural quality. It demonstrates an exquisite technique that hides the joint-lines of the outer piece-mold casts in the neck-line or garment-lines. The Iron Buddha image at the Eunjeoksa Temple had been dated to the Goryeo period. However, the stylistic features discovered in this image seem to follow the style of the bronze Buddha images of the late eighth century, as well as being connected to the stylistic traits of the iron Buddha images of the first half of the ninth century. With a fair degree of certainty, the stylistic aspects of the Iron Buddha image at Eunjeoksa date this image to the first half of the ninth century. It is assumed that the Iron Buddha images at the monasteries of the South Jeolla Province near the South-west coast were constructed by the ardent support of the royal court in the nin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 process of making an iron Buddha image required highly skilled technical work, and skillful sculptors at capital Gyeongju were most likely sent to the temples on the Southwest coast by the royal court. Then, who was the powerful patron who supported the making of the iron Buddha image at the temple on the seashore of Haenam? It was most likely Jang Bogo (張保皐, 787∼846), known as the king of the seas who commanded a large and powerful fleet in the south-west coast in the first half of the ninth century. The celadon kilns at Hwawon of Haenam,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operated by Jang Bogo, supplied tea-utensils to monks and aristocrats of the Silla high society in the first half of the ninth century. The temple where the iron Vairocana Buddha image was originally enshrined was probably a business strategy base for making and distributing celadons. It is therefore assumed that the iron Vairocana was made before the fall of Jang Bogo in 846, whose styles correspond with the stylistic and iconographical aspects of the iron Vairocana image. It is quite probable that the iron Vairocana Buddha image was the first iron Vairocana image showing bodhaŚrī-mudrā(智拳印) from the Southwest coast.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불상 - 동아시아 불교조각과의 비교연구 -

        최성은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 at Sanggyong Yongchunbu(上京龍泉府), the last capital of Balhae(渤海) period from 794 A.D. to 926 A.D. when Balhae dynasty was collapsed. Sanggyong is located in present-day Bohaizhen(渤海鎭), south of Yongan City of Heirongjiang(黑龍江省). Hundreds of small Buddhist images, discovered at temple-sites of Sangyong since 1930's on, are now in the collec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okyo National University Museum, Heirongjang Province Museum and Bohai Sancheng Museum at Bohaizhen. These images are made with clay, gilt-bronze, gold and iron, and no stone image was found except the large stone Seated Buddha image at Xingrongsi, a temple of Qing Dynasty erected on the temple-site of Balhae period. Close examination of this stone image shows that it was made with basalt, which is too hard and rough for exquisite carving of Buddhist image. Among small terrcotta images, seated Buddha images, unearthed at the inner section of temple-sites, have been presumed to be 'Thousand Buddhas' decorated walls of a temple hall. In addition to this assumption, it is also assumed that some smallest seated Buddha images are likely to have been incarnated Buddha images attached on the halo of the Vairocana Buddha, just as those at the halo of the Seated dry-lacquer Vairocana Buddha image of Toshodaiji temple at Nara. A male-figure image in Seoul National Museum, showing facial feature of black race, indicates that he might be the attendant figure(崑崙奴) to Manjusri Bodhisattva(文殊菩薩), impounding his lion-pedestal. Since a standing Meditating Bodhisattve image in the collection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shows a similarity to seated meditating Bodhisattva images found in some scenes of West Paradaise sutra of Amitabha Buddha of early and middle Tang period at Donhuang, it is quite probable that temple wall at Sanggyong was also been decorated with West Paradise Scence as we can see at the niche 245 of Beishan(北山), Dazu(大足) Caves in Sichuan Province. There are some iconography of esoteric Buddhism. The gilt-bronze image of one-head and six-armed Avalokitesvara, having no exact precedent of Tang sculpture, seems to have much to do with eleven-headed Avalokitesvara of middle Tang period or with Amoghapasa(不空羂索觀音) image of Nara period at Todaiji temple, and could be one of transformations of Avalokitesvara. Seated Amitabha Buddha image shows Amitabha mudra(阿彌陀定印), which was prevalent in Tang from ninth century and also appeared in Japanese and Korean sculptures of the later half of ninth century. Buddhist sculptures at Sangyong demonstrate that Buddhist culture of Balhae period was quite international and unique. They reveal a variety of iconography and style, which were on the par with Tang sculpture in their variety and creativity. 본 연구는 흑룡강성 영안시 발해진에 위치한 발해 최후의 수도 상경성의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이다. 이미 1930년대에 발굴이 시작되어 다량의 소조불상을 비롯한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1960년대에 다시 조사가 이루어져 금동상등, 다수의 불상들이 수습되었다. 이 유물들은 현재 서울대학교박물관, 동경대학교박물관, 흑룡강성박물관, 발해상경유지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불상들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전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국내에서의 연구는 1930년대 출토품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각 소장처의 불상들을 조사하여 그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였다. 그 동안 서울대학교와 동경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소조불상들과 동일한 틀(范)로 제작된 불상들이 중국측의 조사로 발굴되어 현재 흑룡강성박물관과 발해상경유지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새로 발견된 불상들 가운데는 여러 구의 금동상들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가운데 일부는 발해시기로 편년되기 어려운 표현요소를 보이고 있어, 발해의 사원이 遼金代에 이르러서도 계속 존립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상경출토의 불상들은 거의 대부분 소형이며 재료면에서 소조불상이 가장 숫적으로 많다. 이에 반해서 석조불상은 드물어 현재 흥륭사에 봉안된 석불좌상이 유일한데, 석불상이 소조나 금속제 불상처럼 활발하게 조성되지 못한 것은 필시 상경의 석재가 섬세한 조각에 적합하지 않은 화산암계 현무암인데도 원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소형의 소조불상들은 기본적으로 불당 내부를 장엄하는 용도로 제작되었다고 추정되어왔는데, 사원지 내진에서 발견된 최소형의 소조불상들의 경우는 노사나불(비로자나불) 광배에 달려있던 化佛일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밖에 서울대학교박물관의 소조인물상은 흑인종의 외모를 한 모습에서 문수보살의 사자를 모는 곤륜노일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문수보살도가 불전의 벽면을 장식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찬가지로 소조사유보살상은 상체 1구와 하체 1구만이 출토되었는데, 당대의 관무량수경변상도나 서방정토변상도에 사유보살이 표현된 점으로 미루어 상경의 사찰 벽면에 소조상들로 이루어진 정토계 변상이 장식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마치 사천성 대족 북산 제 245감에서 서방정토의 변상을 석감내의 부조로 새긴 것과 유사한 경우일 것으로 생각한다. 상경의 불상들은 기본적으로 팔련성의 불상들에서 보이는 고식의 표현을 계승하고 여기에 당대의 새로운 요소가 가미된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점은 상경출토의 소조관음보살입상을 비롯해서 몇 구의 금동보살상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중당기 조각에 보이는 인간적이고 사실적이면서도 세속화된 특징이 잘 보이고 있다. 또한 일면육비보살입상과 아미타정인을 결한 소조아미타불좌상은 밀교적인 도상을 보여준다. 일면육비보살입상은 발해조각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우수한 보살상으로 사실적인 조각기법이 잘 나타나는 상인데, 이 보살상의 일면육비의 도상은 정확하게 일치하는 예를 당이나 일본조각에서 찾을 수 없다. 다만, 당시 유행하였던 십일면육비 관음보살입상이나 일면팔비의 불공견삭관음입상과 같이 하나의 변화관음으로 발해에서 형성된 독특한 도상이라고 해석된다. 한편...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