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계적인 식품 위해 정보 수집.공유 체계 구축 방안

        최성락,Choi, Sung-Rak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7 No.3

        Food safety has been a growing consumer concern over the last few decades, and remains a priority for consumers, the food industry, and regulatory agencies alike. Although consumer concern for food safety has increased, consumer confidence has decreased. The emphasis on food safety is related to that of preliminary risk management. The ability to collect and provide food risk information is a key element in enhancing the way food safety authorities protect consumers from risk. This review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well as several countries' systems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food risk informatio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each system, this review proposes strategies to establish a systematic collecting of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infrastructure in Korea. To develop a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suited to Korea's situation,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strengthen interactions and cooperation with other trade partners through the enlargement of international networks. Such efforts on food risk communication should be made by providing high quality and clear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고고학에서 영상의 필요성과 영상고고학

        최성락,조우택,Choi, Sung Rak,Cho, Woo Tack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3

        영상매체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지난 20세기의 대표적인 영상이 사진이라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의 대표적인 영상은 동영상이다. 영상매체의 변화는 고고학 기록 수단의 변화를 가져왔다. 현장조사를 통해 물질적 자료를 획득하는 고고학의 특징으로 볼 때 신뢰성 있는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동영상의 활용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의 발굴과정은 하나의 콘텐츠로 볼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유적이나 유구의 입지적 환경, 불가피한 개발로 인한 경관 보존의 기록 수단으로서 혹은 인류의 기록 유산으로서 영상은 탁월한 효용성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영상은 고고학이 지닌 사회적 학문적 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한 대중고고학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다면 고고학에서 시각자료의 기록과 보존을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적극적인 대안으로 영상고고학을 제창한다. 영상고고학은 고고학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영상고고학의 연구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는 조사과정의 영상기록과 영상아카이브(기록관리)에 관한 연구이다. 둘째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미디어로서의 연구이다.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고고학 이론과 방법의 영역에서 심도 있게 다뤄져야 할 것이다. Changes in a society and visual media has a tight relationship. Photography represented the last 20th century in the visual media; while the 21st century we live in is represented by moving image(video). The change of visual media also brought changes to the archaeological recordings. As information is gathered from the field work in archaeology, it seems that use of video recording, a reliable way of collecting and recording data, will increase. The proces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can be considered as a contents itself. Also, video recording has many advantages when recording environmental surrounding of the sites and artifacts, for the reservation of the scenery, and as recorded heritage of the humankind. Video recording can be a tool of conversion to public archaeology to devote to its social and academic role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studying ways to record and preserve visual materials is essential in the field of archaeology and we should be prepared for it. We strongly propose reinstatement of the visual archaeology, which should be studied in archaeological perspective.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visual archaeology can be summarized into two. First is the study on the video recording during field work and the archive of video recordings. Second is the study on the media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More detailed and organize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in the archaeological theory and methods.

      • SCOPUSKCI등재

        액화석유 가스 (L. P. G) 와 산소 혼합물의 폭발특성 및 점화조건에 관한 연구

        최성락,심규선,김은식,윤석승,김웅,Sung Nak Choi,Kyu Sun Shim,Un Sik Kim,Sock Sung Yun,Ung Kim 대한화학회 1986 대한화학회지 Vol.30 No.4

        Detonation reaction in L.P.G./$O_2$ mixture gas has been investigated over the L.P.G. concentration range of 3∼45 volume%. The variation of detonation velocity with mixture ratio is very interesting as it shows and inflection point near at the stoichiometric ratio. This might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detonation reactions at fuel-rich condition and fuel-lean condition proceed via different mechanisms. The maximum detonation velocity of 2.65km/sec occurs not at stoichiometric ratio(${\phi}$=1) but at fuel-rich condition (${\phi}$=1.57). Assuming that a stable detonation wave must propagates with the constant velocity, The upper and lower limit of detonation were determined and found to be 40.0 and 3.40 L.P.G. volume% respectively. The shock-heating technique was also utilized for the measurement of self-ignition temperature onsetting a stable detonation wave at varous mixture ratios. The self-ignition temperature at stoichiometric ratio is $742{\pm}3{\circ}K$ and the self-ignition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mixture ratio deviates from the stoichiometric condition. 충격관을 사용하여 L.P.G./$O_2$혼합기체의 폭발반응에 대해 L.P.G. 농도 3~45 부피 % 범위에 걸쳐 조사하였다. 본실험조건하에서 폭발가능한 하한농도조건은 L.P.G.농도 3.4%, 상한농도조건은 40.0%로 측정되였다. L.P.G.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폭발파속도는 증가하였으나 당량비조건(${\phi}$=1, L.P.G. 농도 17.2%)에서 변곡점을 나타내었으며 최대속도는 당량비보다 1.57배 큰 농도조건(${\phi}$=1.57)에서 2.65km/sec를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량비근처에서 변곡점이 나타난 것은 L.P.G. 농도가 당량비보다 적은 조건과 당량비보다 큰 조건하에서 폭발반응메카니즘이 다른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충격가열 방식을 사용하여 L.P.G./$O_2$ 조성비에 따른 자동점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파를 형성시킬 수 있은 자동점화온도는 당량비조건에서 $742{\pm}3{\circ}K$의 최저값을 나타냈으며 당량비로 부터 벗어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KCI등재

        실과교육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성락(Choi Sung Iak),최유현(Choi Yu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for conducting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op Jigsaw learning approach on the students’ task performance ability. Two classes of sixth grade students (N = 68) from Dang-Ha elementary school were involved in this study. One class was instructed using a Co-op Jigsaw learning approach and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class was exposed to a traditional approach and used as a control group.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ive weeks between 9. 16 and 10. 17 in 2003 and a lesson ‘My life to preserve an environment’ was extracted from the textbook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Test and SPSSWIN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 number of findings emerged from the data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instructed with Co-op Jigsaw learning approach displayed higher score on task performance abilit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instructed with Co-op Jigsaw learning approach displayed higher score on test in terms of the subordinate elements of task performance ability; data collection ability, planning ability to solve problems, performance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problem assessment ability. This result proves that the use of Co-op Jigsaw learning approach had a positive effect upon the ability or data collection, planning to solve problems, task performance ability, task assessment ability.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for the direction of the future research could take. Firs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on instruction approach, an exhaustive arrangement of the class design should be assumed. Namely, teachers should be fully aware of curriculum and construct it to catch up with learner’s needs. Additionally, in school environment, various information and reference materials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need to be provided to learners and the classroom environment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learners can solve their problems by themselves.

      • KCI등재

        원통형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최성락 ( Sung Rak Choi ),김성미 ( Sung Mi Kim ) 호남고고학회 2012 湖南考古學報 Vol.42 No.-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된 원통형토기의 연구성과를 정리하면서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원통형토기는 크게 세 형식으로 나누어진다. Ⅰ형 원통형토기는 돌대가 없는 형식으로 ⅠA형과 ⅠB형으로 나누어진다. ⅠA형은 중서부지역의 분묘에서 발견되었는데 의례적인 성격을 띤 가장 이른 형식이다. ⅠB형의 조형을 일본 하니와에서 찾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자는 IA형과 유사하기에 이를 조형으로 보고자 한다. Ⅱ형은 옹관고분에서 출토된 것으로 역시 일본 하니와에서 조형을 찾기가 어렵다. 그리고 Ⅲ형의 원통형토기는 주로 전방후원형고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일본 하니와와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원통형토기를 고분의 분구에 수립하는 풍습은 일본지역에서 영산강유역으로 전달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중서부지역에서 고분의 분정에 원통형토기를 의례적으로 매장한 것으로 보아 당시에 분구 수립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원통형토기의 조형이나 고분의 분구에 원통형토기를 세워 놓는 풍습을 일본지역이 아닌 국내에서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밖에도 원통형토기와 관련된 많은 과제들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러한 과제들을 풀기 위해서는 원통형토기의 제작기법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일본 하니와와의 비교 검토가 있어야 하고, 또 원통형토기의 출토양상에 대한 분석과 출토된 유구의 세밀한 편년도 필요하다. Cylindrical potteries have been recognized since 1917, but it hasn`t been studied until 1990s when they were discovered in Yeongsan River basin. This paper looked back at what has been studied in the past and proposed what need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Cylindrical potter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ype I which has no raised band is subdivided into type IA and type IB. Type IA is the earliest form with ceremonial characteristics which was found among tombs in the central-west region. Type IB is commonly thought to be modeled after Haniwa of Japan but it has similarities with type IA which could be its model. Type II is found with Jar-coffin tombs which seems apparently to be unrelated to Haniwa. Type III is usually found around keyhole-shaped tombs and it seems to be related to Haniwa. The general idea regarding cylindrical potteries set up around tombs is that Japanese culture influenced Yeongsan River region. However, they were buried on the top of mound for ceremonial purposes in the central-west region. It is possible that the setting up cylindrical potteries around tombs originated at that time. Therefore, we should try to find the model of the cylindrical potteries and its custom within the country rather than in Japan. Moreo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regarding cylindrical potteries. To solve these problems, we need to break the preconceived notion and look at it with fresh and objective eyes. That is, analysis of production technique and detailed comparison to Haniwa has to be done. Furthermore, research into positioning of the cylindrical potteries and exact dating of the features needs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and research, we have to find out why and how the custom of setting up cylindrical potteries were started and maintained.

      • KCI등재

        피아노 연주자의 표현적 시간조절 (Expressive Timing) 방식 차이에 관한 실증연구: 엔니오 모리꼬네(Ennio Morricone)의 ≪러브 어페어≫(Love Affair) ‘피아노 솔로’의 연주자 간 표현적 타이밍의 프레이즈 내부, 프레이즈 간, 큰악절 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최성락 ( Choi Sungrak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5 No.-

        본 연구는 연주자들이 연주에 표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중 템포 조절을 통하여 연주자의 음악적 해석 및 개성을 표현하는 개념인 표현적 시간조절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연주자들의 표현적 시간조절 적용 방식을 비교 분석해보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피아노 솔로 음악 중 영화음악가 엔니오 모리꼬네(Ennio Morricone, 1946-2020)의 작품인 영화 ≪러브 어페어≫(Love Affair, 1994)의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중 ‘피아노 솔로’ 음악을 선정하여 네 명의 피아니스트의 연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IOI(Inter-Onset Intervals) 분석을 바탕으로 한 템포 변화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프레이즈 내부 분산 및 프레이즈 간 분산, 그리고 큰악절 간 분산 등 미시분석과 거시분석을 종합적으로 진행하여 연주의 표현적 시간조절 방식을 실증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온셋 식별(onset detection) 데이터를 활용한 템포 변화 분석 결과, 연주자마다 템포 조절에 있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연주자의 표현적 어법 구성에 있어서 표현적 시간조절이 주요 변수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을 프레이즈 내부, 프레이즈 단위, 큰악절 단위에서 진행한 결과, 연주자마다 표현적 시간조절의 미시적, 거시적 조절 방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연출되는 음악의 전체적 인상 및 느낌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연주에 있어 미시와 거시의 통합적 관점에서 타이밍 조절을 사용하는 것이 연주자의 음악적 고유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명의 클래식 피아니스트와 한 명의 재즈피아니스트의 동일 작품 연주를 대상으로 실증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연주자의 활동분야에 따라서도 표현적 시간조절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수립할 수 있었다. 향후 좀 더 많은 연주자의 연주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연주자 및 연주분야별 비교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expressive timing, the concept of expressing the musician’s musical interpretation and personality by using tempo control used by performers to give expressiveness to performance.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thod of applying expressive timimg between performers, ‘Piano Solo’ music was selected from the original movie soundtrack of Love Affair (1994) among the works of film musician Ennio Morricone (1946-2020), and the performances of four pianis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this end, not only analysis of tempo change based on IOI(Inter-Onset Intervals) analysis, but also micro-analysis and macro-analysis such as intra-phrases variance, inter-phrases variance, and inter-peroids variance are comprehensively performed to control the expressive timing of the performance. The methods were compared and reviewed empirically. As a result of tempo analysis using Onset Detection data, different aspects of tempo control were found for e ach performer, and it was found t h at expressive timing became the important variable in musical languages for expressiveness of the perform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within the phrase, in the phrase unit, and in the large section uni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icro and macro controlling methods of expressive timing for each performer, and accordingly, the overall impressions and feelings of the music produced were different. In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using timing control from this integrated perspective can be a effective means of expressing the musical uniqueness of the performer.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classical pianists and one jazz pianist performing the same composition, and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using expressive timing depending on the field of the performer.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data on the performance sound sources of more performers will be extracted and comparative analysis by performers and performing field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지역 축제 방문객 지출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최성락(Seong Rak Choi),김철회(Choel Hoi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1 관광연구저널 Vol.25 No.4

        These days, there are many local festivals led by local government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local festivals is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important to increase visitors` scale of spending. However, existing previous studies do not suggest specific guidelines to increase the scale of spending. Therefore, in this study, authors suggest specific implication on which part local governments should put more focus on in order to increase visitors` scale of spending.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cale of spend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local festival shows that the spending on shopping increases as the satisfaction level goes up. Furthermore, the increase in spending on shopping indirectly affects the increase in overall scale of spending. There are various factors such as infrastructure, public relations, diversity and culture which lead to the success of local festival.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o come up with unique products of food.

      • KCI등재

        음악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팝음악의 라우드니스와 다이내믹 레인지 변화에 관한 실증연구 : 1965년에서 2020년 빌보드 No.1 싱글 음원의 LUFS, PLR, LRA의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최성락(Sungrak Cho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본 연구는 최근 방송 및 음반 산업에서 디지털 콘텐츠 유통 환경에 적합한 오디오 마스터 표준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라우드니스(Loudness)에 대한 개념 및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러한 개념이1990년대 이후 음반 산업의 큰 이슈였던 라우드니스 전쟁(Loudness War)이라 불리는 음압경쟁현상 속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고찰해보며, 음반 산업의 초기부터 최근까지 발표된 팝 음악의 라우드니스 및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한 장르/연대별 추이를 실증적으로 고찰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65년부터 2020년까지 빌보드 연말차트(Billboard Year-End Chart)의 No.1 싱글곡을 대상으로 미국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뮤직(Apple Music)에서 해당 음원을 추출하여Integrated LUFS, True Peak, LRA(Loudness Range), 순간 최대 라우드니스(Maximum Momen tary LUFS) 등의 변수를 스펙트럼 분석기 Insight 2.0로 측정하였으며 해당 측정값들의 연대별시계열 분석, 장르/연대별 분산분석, 장르 간 차이분석(t-test), 연대 간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시계열 분석 결과, 분석대상 음악의 라우드니스 레벨(LUFS)은 1980~90년대에 비하여 최근평균 30%정도 상승하였고 PLR값으로 측정한 라우드니스의 다이내믹 레인지 또한 25%이상 증가하였다. 그리고 LRA값은 2000년대까지 작아지다가 2010년대 이후 30% 커지면서 라우드니스관점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 1980년대 이후 LUFS(Int.) 및 PLR의 분산 값이 지속적으로 작아지면서 음악라우드니스의 획일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Pop장르의 경우 2010년 이후 라우드니스 분산 값 이다시 커지면서 라우드니스 획일화 정도가 완화되고 있다. 장르 간 차이분석 결과, LRA값을 제외한 나머지 라우드니스 관련 변수들에서 분석대상 두 장르간 차이가 없고 전체적으로 비슷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대 간 차이분석 결과LUFS(Int.), True Peak, PLR, Max. Momentary LUFS 값이 연대별로 유의미하게 달라진 것으로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oudness, which has recently begun to be used as an audio mastering standard suitable for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in the broadcasting and music industry. The increasing loudness of music tracks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music industry since the 1990s.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it is applied during the sound pressure competition phenomenon called the “Loudness War.”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trends of loudness and dynamic range of pop music by genre/age rel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record industry to the latest. To this end, the list of No. 1 single song on the Billboard Year-End chart from 1965 to 2020 was considered,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was extracted from Apple Music, an American music streaming service, and variables such as integrated LUFS, True Peak, LRA (Loudness Range), and Maximum Momentary LUFS were measured with a spectrum analyzer, “Insight 2.0.” Additionally, the time series analysis by age, variance by genre/age, t-test between genres, and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decade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loudness level (LUFS) of the music has recently increased by an average of 30% as compared to the 1980s and 1990s, and that the dynamic range of the loudness measured by the PLR value has also increased by more than 25%. Additionally, as the LRA value decreased until the 2000s and increased by 30% after the 2010s, it was found that the dynamic range in terms of loudness is expan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since the 1980s, the continuous decrease in the variance values of integrated LUFS and PLR have led to rise in the uniformity of the musi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res that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other loudness-related variables except for the LRA value, and the overall trend was similar. It was found to have changed significantly.

      • KCI등재

        문화유산의 보존·활용과 대학박물관

        최성락(Choi Sung-rak)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8 고문화 Vol.91 No.-

        문화유산이란 우리 선조들의 삶의 방식과 그 결과로 남겨져 있는 물질적인 잔존물들이다. 문화유산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좋은 점을 살리면서 새로운 문화유산을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특히 유형의 문화유산은 파괴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막고, 가능한 한 보존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한다. 문화유산을 지키는 것은 문화재청, 지자체 등 행정당국과 연구자들만의 힘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지역주민들이 나설 때 비로소 그 지역의 문화유산을 잘 지킬 수 있다. 문화유산은 보존될 뿐만 아니라 이를 적절하게 활용되어야 한다. 문화유산이 교육자원이나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기에 앞서 발굴조사와 고증연구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정비·복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박물관은 과거와 달리 문화유산과 관련 연구조사는 매우 제한적이지만 유물의 전시, 사회교육, 문화유산의 활용 프로그램 참여 등 여러 가지 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제 대학박물관은 대학 내에서만 위상을 찾을 것이 아니라 대학 밖으로 나가 좀 더 적극적으로 지역문화유산의 보존·활용과 관련된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Cultural heritage is the legacy of physical remains or properties pass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as a result of ancestor’s ways of life. We need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for its succession and advancement. Especially, by focusing on preservation and preventing destruction or damage. Cultural heritage cannot be preserved by efforts of government such as Cultural Property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ment or researchers of this field alon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is important and critical. If cultural heritage is applied properly as well as preservation, it can be beneficial in education and tourism. Before this to work, maintenance and restoration has to be done based on archaeological excavation and historical research. University museums are limited in the direct research of cultural heritages compared to the past, but more active in exhibition, community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ultural programs. University museums should no longer be finding a status just within the university, but reach out to the community for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