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음악 및 아날로그 음악이 악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최민지 ( Min Ji Choi ),홍지혜 ( Ji Hye Hong ),송영웅 ( Young Woong Song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1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9 No.1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e music type (analog and digital) on the grip strength. Five male and five female health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music type (analog, digital, no music) and listening time (5 min., 10 min., and 15 min.). The classic LP disc was used as the analog music and the LP was converted to mp3 to make the digital music source. Grip forces were measured every 5 minutes until 15 minutes using Jamar strain guqge. Mean forces and peak forces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nalog and digital music (p>0.05). Only, the gender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se results should be verified using different types of music (not only classical music) or preferred music, during different listening time duration (>15 minutes).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창의성 계발 수업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변화와 대면 수업과의 차이 탐색

        최민지 ( Choi Min J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비대면으로 실시한 창의성 계발 교육이 학습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COVID-19로 인한 사회 전반의 변화에 따라, 교육계 역시 다양한 우려와 문제를 안은 채 비대면으로의 전환을 시작했지만, 초유의 위기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또 다른 위기가 도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비대면 창의성 계발 교육의 사례와 과정, 효과를 밝히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C대학의 창의성 계발 수업을 대면으로 수강한 194명과 비대면으로 수강한 279명, 총 473명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사전과 사후로 측정했다. 그룹 내 효과 분석을 위해 대응 표본 t-test를, 그룹 간 사전-사후 차이가 유의한지 밝히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과정에 있어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더불어 하위 요인인 창의적 사고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수행 자기효능감을 함께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성 계발 수업에 따른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하위 요인들은 대면 그룹과 비대면 그룹 모두 유의한 상승이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 계발 수업에 따른 대면 그룹과 비대면 그룹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하위 요인들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동일한 창의성 계발 수업이 비대면으로 이뤄질 경우에도 대면만큼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비대면 창의성 수업의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how non-face-to-face creativity education at universities influences learners' creative self-efficacy. As society, as a whole, changed in response to COVID-19, the education community began to shift to non-face-to-face methods, but various concerns and problems were faced. Unfortunately, the unprecedented crisis is continuing, and the possibility of another crisis cannot be ruled out.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xamples, processes, and effects of non-face-to-face creativity education that can respond to crises and is sustainable, as well as to propose potential solutions. To attain this objective, a total of 473 students at C University in Seoul, including 19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ace-to-face classes and 279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classes, were studied to measure their creative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A response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of in-group effectiveness, whil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subfactors of creative self-efficacy, namely self-efficacy in creative thinking and self-efficacy in creative performance, were also examined in all proc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groups, creative self-efficacy based on creativity classes, as well as its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self-efficacy and its subfactors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groups following the creativity classe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even if the creativity classes are conducted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they could be as effective as face-to-face classes, which suggests that non-face-to-face classes may have potential for creativity education.

      • 검측장비 국산화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최민지(Min-Ji Choi),김영철(Young-Chul Kim),최일윤(Il-Yoon Choi)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현재 철도의 수송수요, 영업거리 증가 등 국가적인 철도투자확대로 철도 인프라의 효율적 유지보수에 대한 관심증가와 더불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이 중 검측장비 국산화 개발은 현재 성능검증 단계에 있으며, 차량 및 인프라 통합검측이 가능하도록 검측모듈을 개발하여 국내의 각 철도 운영기관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궤도분야 검측장비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이 반영될 수 있도록 운영자와 개발사 간 인터페이스 지원 및 검측장비의 성능검증을 위한 테스트 베드지원, 데이터의 누적관리를 통한 유지보수 방안, 국외장비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의견을 반영하여 국내 철도환경에 최적화된 검측장비 개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였다. A variety of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for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railway infrastructure in company with the current demand for rail, extension of the rail service length and increase of the rail investment. Among the studies, localization of testing inspection-equipment for the track is under the functional qualification stage, and it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testing inspection-equipment which can investigate not only infrastructure but also rolling stock to adapt it railway organisation in Korea. This study supported development of optimized inspection-equipment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user’s that interfacing support between operator and developer, test-bed support for functional qualification of inspection-equipment, the way to maintain through data accumulation, the operation problem of overseas equipment and improvement opinion.

      • KCI등재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예술창작활동의 속성 탐색

        최민지(Choi, Min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학습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예술창작활동의 영향과 속성에 관해 탐색하였다. 서울 소재 C대학의 공통교양인 A.C.T.(Action Communication Teamwork)는 학습자 중심수업 형태인 액션러닝(Action Learning)과 예술 기반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팀과 함께 예술창작활동을 수행해 나가며 창의성을 비롯한 핵심 역량을 키워갈 수 있는 수업이다.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성에 변화를 일으켰는지 알아보기 위해 창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점수를 측정하였다. 2017년 1학기부터 2018년 1학기까지 A.C.T.를 수강한 학습자 560명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차이를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예술 창작활동의 어떤 요소와 과정이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는지 심도 있게 탐색하기 위해 2018년 1학기 수강한 학습자 중 지원자를 모집하여 질적 분석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일 수 있는 기회’, ‘새로워서 두렵지만 나를 성장시키는 즐거운 경험’, ‘장기적이며 단계적인 교육’, ‘동료들과의 친밀한 소통과 교류’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예술창작활동의 속성을 탐색함으로써 창의성 교육의 패러다임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ve influence of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on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learners in order to explore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creativity education. At Seoul’s C University, the Action Communication Teamwork (A.C.T.) course, a general liberal arts class, aims to use creativity to nurture students’ key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teamwork skills, convergence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class, students can develop competencies that they want to cultivate on their own by conducting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with other team members using art-based content through “Action Learning,” a learner-oriented class format.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creativity level of students after the class, I measured pre- and post-class test scores using the creative self-efficacy scale. The trends of creative self-efficacy of 560 students who took the A.C.T. course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17 to the first semester of 2018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result, I conducted FGIs (focus group interviews) for qualitative analysis to more deeply examine which factors and processes of the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the participants’ creative self-efficacy. As a result, “opportunity to be creative,” “anxious because it is a new but pleasant experience of elevating myself to a higher level,” “long-term and staged education,” and “intimate communication and sharing with peer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s such, we intend, through this study,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paradigm of creativity education by exploring the features of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that positively affect creative self-efficacy.

      • KCI등재

        창의성 교육의 성적평가방식에 따른 창의적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최민지 ( Choi Min J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대학 수업으로 제공되는 창의성 교육의 성적평가방식 차이가 창의적 자기효능감 변화를 일으키는지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C대학의 창의성 교육 A.C.T.를 수강한 대학생들로 2018년 1학기부터 2019년 2학기까지 총 4개 학기 19개 분반 787명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예술창작활동으로 이뤄진 A.C.T.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특성과 형성체계에 관한 세부적인 접근을 위하여 성적평가방식의 차이가 있는 두 그룹을 탐색하였다. 이론 평가방식인 A유형으로 성적평가가 이뤄진 그룹A와 실기 평가방식인 B유형으로 평가받은 그룹B, 두 집단을 대상으로 창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설문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했으며 먼저 집단 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단변인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차이의 크기를 검증하기 위해 코헨의 효과크기(Cohen’d)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성적평가방식의 차이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차이를 일으켰다. 두 집단의 차이는 사전검사부터 사후검사에 이르기까지 존재했으며, 실기유형으로 평가한 그룹B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향상 수준이 이론유형으로 평가한 그룹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grading method of creativity education provided as a university course causes change to creative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787 university students divided into 19 classes during four semesters who took the common liberal arts course Action Communication Teamwork (A.C.T.)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18 to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t Seoul’s C University. Previous studies proved that participating in artistic activities in A.C.T. increases creative self-efficacy.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system of creative self-efficacy in more detail, two groups with different grading methods were examined: Group A was graded by Type A, a theory-based assessment method, and Group B was graded by Type B, a practice- based assessment method. Data from the pretest-posttest surveys were collected using the creative self-efficacy scale. SPSS/WIN Statistics 22.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ANC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Cohen's was used to verify the size of the dif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grading method affected creative self-efficac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existed throughout the pretest and posttest; Group B showed a smaller level of difference than Group A.

      • KCI등재

        영유아의 세치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민지 ( Min-ji Choi ),박지영 ( Ji-young Park ),임미영 ( Mi-young Lim ),솨이지엔페이 ( Jianfei Shuai ),허정 ( Jung Heo ),정다영 ( Da-young Jung ),류현수 ( Hyeon-su Ryu ),오나래 ( Na-rae Oh ),김순신 ( Sun-shin Kim ),양원호 ( Won-ho Y 한국치위생학회 2017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7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toothpaste usage to infants,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Also,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is necessary for oral health education about accurate cognition and usage of toothpaste. Method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5, we conducted a survey on parents of 0~4 years old infants and preschoolers about toothpaste usage based on the data of a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505 subjects. The survey questions were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and toothpaste usage. Results: Usage frequency of toothpaste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increased with age (p<0.001), and infants and preschoolers in homes with monthly income under 4 million won showed high frequency of toothpaste usage (p<0.001). Toothpaste mouth rinsing of infants and preschoolers increased with age (p<0.001), while on the other hand, toothpaste swallowing decreased (p<0.001).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factors that effect toothpaste usage in infants and preschoolers were age and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to parents about usage of toothpaste in infants and preschoolers.

      • KCI등재

        다공성 제올라이트 콘크리트의 수질정화 특성

        최민지 ( Min Ji Choi ),성낙국 ( Nack Kook Sung ),박성재 ( Sung Jae Park ),이정아 ( Jung Ah Lee ),윤홍수 ( Hong Su Yun ),홍인권 ( In Kwon Hong ) 한국공업화학회 2011 공업화학 Vol.22 No.3

        친환경 재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재료의 구조적 기능성 및 투수성을 동시에 갖는 다공성 콘크리트의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콘크리트에 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다양한 활용도를 갖는 다기능형 옥석 제품의 수질정화 능력을 평가하여 친환경제품으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흐름이 없는 시험용 수조에서 시간에 따른 오염도 제거율은 T-N (70.6%), T-P (67.0%), BOD (57.7%), TOC (50.6%) 순으로 우수한 수질정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에서 시간에 따른 유출부에서의 수질오염도 및 중금속 농도의 제거율은 Zn (99.9%), Pb (90.0%), BOD (69.2%), COD (33.5%) 순으로 흐름이 없는 경우에서의 오염도 제거율보다 수질정화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공성 콘크리트 시설물을 실제 하천 등에 시공했을 시에 우수한 오염도 제거율을 바탕으로 친환경제품으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our interests in eco-friendly materials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utilization of porous zeolite concrete that has structural functionality and permeability has been increased. In this paper, the mixture of porous concrete and zeolite, which can be used as multirole boulders, was investigated for the suitability of an environment-friendly product by evaluating of the water purification ability. The contamination removal rates of BOD, TOC, T-N, and T-P in stagnant water tank were 70.6, 67.0, 57.7, and 50.6%, respectively. Also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with the inflow and the outflow, the removal rates of Zn, Pb, BOD, and COD were 99.9, 90.0, 69.2, and 33.5%,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removal for the porous zeolite showed better than that of stagnant syste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porous zeolite concrete can play a role as an eco-friendly products by its high contamination removal.

      • KCI등재

        예술창작활동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차이와 변화 연구: 성별과 소속을 중심으로

        최민지 ( Choi Min J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별이나 소속과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창의성 교육을 시행했을 경우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밝히는 데 있다. 서울 소재 C대학 공통교양 A.C.T.(Action, Communication, Teamwork)는 예술기반 학습자중심수업으로 창의성을 비롯한 핵심역량 향상을 위해 만들어졌다. A.C.T.에서 학습자는 팀을 이뤄 다양한 예술을 경험하고 그를 토대로 다양한 예술을 융·복합하여 공연의 형태로 제작하는 예술창작활동까지 수행하게 된다. 선행연구를 통해 이러한 과정이 학습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4개 학기 총 22개 분반 812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개인 차이와 교육에 따른 변화에 관해 탐색하였다. 첫째,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성별 차이는 있었으며, 사전-사후 검사에서 모두 남학생의 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은 대학은 예술대학으로 드러났다. 셋째, 소속 별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경영경제대학이 가장 컸으며, 사회과학대학, 예술대학, 공과대학 순으로 드러났다. 흥미로운 것은 비교적 큰 점수 차이를 보여준 소속들이 사전 점수 기준으로 하였을 때 창의적 자기효능감 점수가 상위권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동향에 발맞춰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시도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self-efficacy by gender and major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orts applied to increase their positivity. The general mandatory course Action, Communication, Teamwork (A.C.T.) from C University of Seoul is a student-centered class that applies art-based learning materials. During A.C.T. classes, students participate in artistic and creative activities in teams. Through the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enrolled in such classes improved their creative self-efficacy. The study investigated 812 students from 22 classes to survey change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ree trends were identified.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creative self-efficacy by gender: 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than female students in both pretests and posttests. Second, the College of Arts had the highest levels of creative self-efficacy. Third, the greatest differences in creative self-efficacy levels were found in Business and Economics majors, followed by Social Sciences, Arts, and Engineering majors. Interestingly, majors with the greatest differences in creative self-efficacy scores were not limited to those with higher pretest sco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ovided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further development in creativ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