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활동자료 보유현황 및 활용정도에 관한 교사 인식

        최남정(Choi NamJeong),배지미(Bae JiMi),서현아(Seo HyunAh)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수학활동자료 보유현황 및 활용정도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시 소재 공ㆍ사립 유치원교사 38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x2(chi-square)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경력에 따라 분류하기와 순서짓기, 수의 기초개념 이해하기,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하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기, 컴퓨터에서 보유현황 및 활용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의 학력에 따라 분류하기와 순서짓기는 보유현황에, 수의 기초개념 이해하기,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하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기는 보유현황 및 활용정도에, 기초적인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는 활용정도에, 컴퓨터는 보유현황 및 활용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사의 담당유아연령에 따라 분류하기와 순서짓지는 보뉴현황에, 수의 기초개념 이해하기,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하기느 보유현황 및 활용정도에, 시간에 대한 기초개념 알기는 활용정도에,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기, 기초적인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 컴퓨터는 보뉴현황 및 활용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분류하기와 순서짓기는 보유현황에, 수의 기초개념 이해하기,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하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기, 컴퓨터는 보유현황 및 활용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of possession and use of mathematical activity materia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utiliz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86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Busan.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through x2(chi-square) test.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ossession and use of mathematical activity materials such as "classification and ordering",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 of number", "experience related to basic measurement", "knowing basic concepts of space and figure" and "computers" based on the amount of teaching experience of those surveyed.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ossession of such mathematical activity material as "classification and ordering, the possession and use of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 of number", "experience related to basic measurement" and "knowing basic concepts of space and figure", use of "experience related to basic statistics" and in the possession and use of "computers" based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surveyed.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ossession of such mathematical materials as "classification and ordering", the possession and use of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 of number" and "experience related to basic measurement", use of "knowing the basic concept of time", and in the possession and use of "knowing basic concepts of space and figure", "experience related to basic statistics" and "computers" based on the age of the students the surveyed teachers were in charge of educating. La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ossession of such materials as "classification and ordering" and the possession and use of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 of number", "experience related to basic measurement", "knowing basic concepts of space and figure" and "computers" based on the type of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심미적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최남정(Choi Nam-Jung),임부연(Lim Boo-Y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해야 하는 유아교사의 역할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연수는 이미 짜여진 교과목을 집단강의 형태로 진행되던 관주도 연수의 한계를 벗어나, 스스로 앎과 배움에 매혹되고 자신이 처한 교실상황을 개선해 갈 수 있는 내적 힘과 전문성을 지원해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동일한 주제에 관심을 가진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를 특성으로 하는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의 수업능력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는 최근에 유아교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심미적 수업’이라는 주제 하에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강의와 워크숍, 멘토링 중심의 교사연수를 진행한 후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학습공동체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9년 7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5개월 동안 매월 1회 6시간씩 총 30시간 동안 현직 유아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심미적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연수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학습공동체를 통해 매너리즘에 빠지기 쉬운 자신들의 교수방법과 사물을 이해하는 안목을 뒤돌아보는 반성적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며, 심미적 수업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자신감과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과 실천의 병행을 통해 교사 전문성과 수업능력을 향상시키고 유아교사의 앎과 배움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학습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model based on the concept of ‘learning community’ which is recently gaining attentions from educational fields. The learning community, a newly arising concept’ to support teachers’ volunteering interest of learning for their own teaching ability, should also be an appropriate way to empowe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self confidence on their own lesson. This study, particularly utilized the‘aesthetic teaching skill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to sustain a learning community because of its fascination of interes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51 of highly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ttended in 6 hours of learning in every month from May to November in 2009. The learning community centered teacher training model included various types of teaching methods such as lectures, workshops, and mentoring online and off line. The participated teachers were also given an assignment to design and apply of an aesthetic lesson plan to their own classrooms at the end of the trai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os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ressed their feeling of ‘change’ on their own views of the world which is fresher, more beautiful and artistic. They also mentioned that they became more confident to design and to enact aesthetic lessons because of their changed views by reflecting the past where they were more likely passive and disinterest of their own lesson skills. Therefore, this study came into conclusion that the newly developed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model based on ‘learning community’ has a much possibility to help teachers to become continuously growing learners, who can search for the way of learning to improve their own teaching expertise.

      • KCI등재

        유아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연구

        최남정 ( Nam Jung Choi ),임부연 ( Boo Yeun L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지금도 많은 교사들이 다양한 교사교육과 연수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론적·형식적 지식을 전달해 주는 교사교육에서는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구체적·실천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러한 교사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장한 것이 교사학습공동체이다. 그러나 교사들의 필요에 의해 구성된 교사학습공동체라 할지라도 형성초기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아니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장과 변화의 발달단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실천적 지식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유아교사들이 구성한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의 사례를 통해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의 성장과 발달의 특성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도 교육청 내 유아교사들의 교과교육연구회인 수업사랑연구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은 공동체 학습을 참여관찰하고, 공동체 구성원들을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사랑연구회의 발달단계는 공동체를 구성하고, 구성원을 모집하면서 조직의 형태를 갖추어 가는 형성기, 구성원 간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공동의 가치를 찾아가는 내면화기,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주인의식을 고양하고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성장기, 공동체의 학습결과가 외부로 확산되면서 외부로부터의 관심이 증가하는 확장기, 공동체가 소멸되거나 새로운 공동체로 거듭나는 전이 및 소멸기라는 다섯 단계로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학습공동체의 발달단계는 공동체 및 구성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며, 역동적이라는 점과 공동체의 성장을 외적·양적 및 내적·질적으로 이해해야 된다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다. 또한 학습공동체의 발달을 위해 개별교사와 기관 및 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Learning communities in communities of practice (CoP), the term coined by the social scientist, Etienne Wenger to designate a group of people who share a common concern and who deepen their knowledge by interacting on an ongoing basis, have been enthusiastically embraced by practicing teachers who always need to acquire specific and practical knowledge for integrating their theoretical and formal knowledge into the live classroom context. Wenger (2004) stresses the sociality of learning in all CoPs and has suggested five broad developmental stages for each such CoP: latency, integration, maturity, preservation, and transformation. This case study is of a grou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ch concerned with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who formed a research group on the study of love in a curricular research society for the Office of Education in C Province, South Korea. The study seeks to elicit the special meanings of each developmental stage in their CoP. Data, deriv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CoP, yields the following descriptions of each developmental phase process:1) formation (organizing and recruiting members) 2) internalization (establishing values and intimacy among members) 3) growth (members experience spirit of community ownership in sharing knowledge) 4) expansion (spreading learning outcomes outside of the CoP), 5) transfer and extinction (the CoP ends or is reborn with new learning goals). This analysis suggests that the diverse and dynamic developmental stages of specific CoPs comprise many levels, and thus need the support of individual teachers,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to realize their goals.

      • KCI등재

        곧은 사각채널을 통과하는 물성 변화가 큰 유동에 대한 수치해석

        최남정(Nam-Jung Choi),최윤호(Yun-Ho Choi)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7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ol.12 No.4

        The flowfield characteristics in a straight rectangular channel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a numerical model to analyze the regenerative cooling system that is used in rocket engine cooling. The supercritical hydrogen coolant introduces strong property variations that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developing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uch flows through parametric studies. The approach used is a numerical solution of the full Navier-Stokes equations in the three dimensional form including the arbitrary equation of state and property variations. The present study compares constant and variable property solutions for both laminar and turbulent flow. For laminar flow, the variation of aspect ratio is examined, while for turbulent flow, the effects of variation of channel length and Reynolds number a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

        최남정(Choi Nam-Jung),오정희(Oh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6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사의 일반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과 경남의 유아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의 유머감각은 경력, 담당학급, 학력, 연령,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임파워먼트는 경력, 담당학급, 학력, 연령,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 간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성과 자아 효능감이 높은 임파워먼트 된 유아교사가 되기 위한 방안으로 개별 교사들의 유머감각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풍토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는 점을 제안 하고자 한다. This study researched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humor and empowerment by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Convenient samples of 204 early childhood teachers obtained in Busan and Gyeongnam. The data were collected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sense of humor, and empowerment through questionnaires and SPSS version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e of humor by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tly correlation in empowerment by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eachers' sense of humor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empowerment. Suggest that based on the results, the systems or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o use humor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팔당호에 유입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혼합거동

        서일원,최남정,전인옥,송창근,Seo, Il Won,Choi, Nam Jeong,Jun, In Ok,Song, Chang Geun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9 No.3B

        국내 주요 상수 취수원은 동일한 하천 및 호수에 하수 처리장이 위치해 있어 처리 방출수로 인한 악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하천을 따라 건설된 도로나 교량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나 수질 오염사고로 인한 하천 내의 오염물 유입은 취수장 운영에 큰 어려움을 주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 주요 상수원에 해당하는 팔당호의 경우 호수면적에 비해 유역면적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다양한 수질 오염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전에 발생 가능한 수질사고를 모의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질 오염사고에 대한 수질모의를 수행하였다.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사고로 유입된 오염물질의 혼합거동을 모의하였고, 팔당호에 위치한 주요 취수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2차원 흐름모형인 RMA-2를 이용하여 유속장을 모의하고, 이 결과를 2차원 하천수질 해석모형인 RAM4에 입력하여 오염물질의 시간에 따른 거동을 분석하였다. 갈수기 수질사고 발생시 저감방안으로써 남한강과 북한강의 유량증대에 따른 오염물질의 희석 및 수세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량증대에 따라 오염물질의 최대 농도는 더 높아지면서 더 빠르게 이동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주입된 지점에서의 초기 희석 효과보다는 빨라진 흐름에 의한 수세 효과가 훨씬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독성 오염물질로 인한 수질사고 발생시 유량증대에 의한 수세 효과가 취수장 운영에 있어 유리한 대책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Korea, many water intake plants are easily affected by effluents of sewage treatment plants because sewage treatment plants are usually located upstream or nearby the plants of the same riverine area. Furthermore, the inflow of harmful contaminants owing to pollutant spills or transportation accidents of vehicles using the roads and bridges intersecting the river causes significant impact on the management of water intake plants. Paldang lake, the main water intake plants in Korea, is especially exposed to various water pollution accidents, because the drainage basin area is significantly large compared to the water surface area of the lak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possible pollutant spill in advance and consider measurements in case of water pollution. In this study, water quality prediction was performed in Paldang Lake in Korea durig the dry season using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s. In order to represent the cases of pollutant accidents, the difference of pollutant transport patterns with varying injection points was analyzed. Numerical simulations for hydrodynamics of water flow and water quality predictions were performed using RMA-2 and RAM4 respectively. As a result of simulation, the difference of pollutant transport with the injection points was analyz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pollutant accident, the augmentation of the flow rate is proposed. In comparison with the present state, the rapid dilution and flushing effects on the pollutant cloud could be expected with increase of flow rate. Thus, increase of flow rate can be used for operation of water intake plants in case of pollutant spill accidents.

      • KCI등재후보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교사 이미지 : 권력자

        김영연(Kim Young-Yeun),최남정(Choi Nam-J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8 No.2

        근대 교육의 등장은 아동의 사회화라는 명목 하에 교사의 권력을 허락하였다. 교사는 아동을 사회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그림책을 활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문헌을 바탕으로 미셀 푸코의 권력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존 버닝햄의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교사의 이미지를 미셀 푸코의 권력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이미지는 ‘나를 감시하고 구속하는 교사’, ‘나를 비난하는 교사’, ‘상상과 놀이를 억압하는 교사’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탈근대 시대의 아동들을 교육하는 교사는 아동의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아동들의 요구에 귀기울이며, 개별 아동들의 시간사용에 대해 허용적이어야 할 뿐 아니라 교사 스스로 권력자가 될 수 있다는 의식을 버려야 할 것을 제안한다. An appearance of early modern education allowed the authority of teacher in the name of socialization of a child. Teacher used to picture book in order to socialize a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ucault's power concept based on a literature that appeared in the picture book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y : The boy who was always late』 illustrated by John Burningham, and the teacher character was analysis into Foucault's power concept.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teacher character shows that "monitoring and restrictive teacher", "critical teacher" and "restrict to imagination and playing".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eacher who teaches children in post-modernism should understand the way of their thinking, lend an ear that children needs, not only have permissive attitude in children spending time, but also stop the thinking that teacher can be a man of power to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의미 찾기

        정진성 ( Jin Sung Jung ),최남정 ( Nam Jung Choi ),임부연 ( Boo Yeun L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3

        이야기 나누기 시간은 유아교육현장의 대표적인 교육활동이며 유아와 교사 간의 교육적이고 질적인 상호 작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분위기의 정서가 가진 교육적 중요성을 인식한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근거하여 유아교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재조명 해보고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야기 나누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만 5세반을 대상으로 10회기의 비참여관찰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해석학적관점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실에서의 이야기 나누기 시간은 몸의 통제로 즐거움이 사라지고, 수업만을 위해 존재하며, 생동감이 없어 훼손된 교육적 분위기로 보이고 있었다. 한편,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교육적 분위기로 민주적 분위기, 유아와 동행하기, 유아와 교사의 지평 좁히기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야기나누기 시간은 세계 내 존재인 교사와 유아의 교육적 만남이 되어야 하며, 유아 중심이나 교사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배움이 숨 쉬는 관계중심의 교육을 위한 교육적 분위기를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Circle time is one of the maj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ctivities that accounts for two-thirds or more of normal daily classroom hours. Preschoolers and their teachers can have an educational and quality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at this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ircle tim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and the meaning of it based on Bollnow`s theory of encounter and pedagogical atmosphere who was aware of the pedagogical importance of atmospher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year old preschoolers in a class named "sunshine." They usually had a lot of circle time,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in this class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After observation data were gathere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a hermeneut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consider and reflect what interrupts interaction and what makes preschoolers unhappy to create a good pedagogical atmosphere from the viewpoint of preschoolers. Teachers should have confidence in preschoolers and get themselves to be patient enough. Finally, the kind of pedagogical atmosphere should be created so that teachers and preschoolers can be receptive to each other and enjoy circle time to realize their pedagogical encounter.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circle time should function as a way of pedagogical encounter between teachers and preschoolers who exist in the same world, and that a good pedagogical atmosphere useful for relationship-centered education which can lead to authentic, genuine learning should be generated instead of merely sticking to preschooler-centered or teacher-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실에서 교사가 활용하는 "노래"의 의미탐색

        임부연 ( Boo Yeun Lim ),최남정 ( Nam Jung Choi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6 No.4

        인류의 탄생 이래 인간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노래는 유아교육에서도 빈번하게 활용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하루 일과 속에서 자주 활용되는 노래가 교사들에 의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노래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명의 유아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학급을 각각 7회씩 총 28회기 동안 비참여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노래를 교수활동을 위한 매체로 활용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교수활동을 위한 매체로서의 노래는 새노래를 가르치기, 지식 전달하기, 활동에 관심 높이기, 정리정돈 및 주의집중 시키기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노래는 유아의 세계에 함께하기, 유아와 놀이하기, 지루한 틈새를 매우기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는 단순한 활동으로 노래를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서 유아들과 함께 노래하는 즐거움을 가짐으로써 노래가 흘러넘치는 교실, 가르침과 배움이 충만한 심미적 교실문화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songs by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day`s program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used phenomenological skills to observe 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classroom. The data collected through 28 times of observation, observation notes, in-depth interviews with classroom teacher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used songs when teaching for Materials. Teachers used songs when communicated with childre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leasure by songs constructed joyful classroom for song and constructed esthetic classroom culture which a rich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