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항원 감작 및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이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중증도에 미치는 영향

        채희선,정변경,송도영,강임주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3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3 No.3

        목 적 : 아토피피부염은 소아에서 심한 가려움을 동반하는 아주 흔한 만성 피부 알레르기 질환으로 중증도는 발병연령, 사회적 환경요인, 적절한 치료유무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음식이나 흡입항원에 의한 Th2로의 세포분화 및 천식 및 비염 같은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중증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항원 감작 및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이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중증정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2-3년간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11명의 아토피피부염 환아를 병변의 침범범위, 증상의 심한 정도, 치료 반응 정도에 따라 중증도를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분류하여 MAST CLA Korea IgE Panel을 통한 항원 감작 정도와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이 중증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결 과 : 총 211명의 아토피피부염 환아 중 경증이 81례(38.4%), 중증도가 71례(33.6%), 중증이 59례(28%)로 나타났다. 발병 년령은 2세 이하가 101례(47.9%), 2-4세가 69례(32.7%)로 4세까지가 약 80%를 차지하였고 2세 이하의 발병 년령군에서 중증의 빈도가 좀더 높게 나타났다. 항원 감작은 총 211례 중 138례(65.4%)로 나타났고, 중증정도가 심할수록 항원 감작의 빈도가 높았고 항원별로는 음식항원의 감작이 중증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흡입항원의 감작은 중등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은 총 138례 중 91례(65.9%)로 나타났고 경증, 중등도, 중증에서의 동반은 각각 27례(75%), 34례(66.6%), 30례(58.8%)로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이 중증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Antigen Sensitization and Development ofRespiratory Allergy Disease on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Hee Sun Chae, M.D., Bung Kung Jung, M.D., Do Young Song, M.D.* and Im Ju Kang, M.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지식공유: 동료지원과 집단 협동성의 조절효과

        채희선,박지성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0 專門經營人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그간 긍정적인 개인특성을 초점으로 다루어진 지식공유의 선행요인과는 달 리, 자원보존 이론을 중심으로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성격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성격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부(-)의 효과를 완화시켜주는 상황요인으로 개인 수준에서는 동료지원을, 집단 수준에서는 집단 협동성 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상사-부하 설문을 실시하여 총 159쌍(dyad)의 응답을 실증 분석하였다. 2수준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 결과,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성격을 가진 구성원일수록 지식공유 를 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과인 동료지원과 집단 협동성은 자기 비판적 완벽 주의 성격과 지식공유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특히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구성원의 경우 개인 수준에서의 동료지원보다 집단 수준에서의 팀 내 동료 간 협동 정도가 지식공유에 대한 부(-)적 효과를 보다 상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본 연구는 지식공유 행동을 설명하는 개인의 특성이 무엇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집단 수준의 경계 조건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지식공유와 관련된 분야 에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lf-critical perfectionism on knowledge sharing, unlike dealing with the positive antecedents of knowledge sharing in the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coworker support at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team cooperation at the team level as the critical contingencies to weaken the negative effects of self-critical perfectionism on knowledge sharing.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study analyzed the 159 dyad samples collected from domestic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the high level of self-critical perfectionism were reluctant to share their knowledge with others. In addition, coworker support as well as team cooperation positively moder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thereby weakening the negative effect of self-critical perfectionism on knowledge sharing. In the discussion part, this study propo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s the limitations as well as meaningful topics for future research on knowledge sharing.

      • KCI등재

        생쥐 무릎관절 공간 발생에 있어 아포프토시스 세포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채희선,김경용,이원복,임형수,황덕호,장가용,Chae, Hee-Sun,Kim, Kyung-Yong,Lee, Won-Bok,Lim, Hyoung-Soo,Hwang, Douk-Ho,Chang, Ka-Yong 한국현미경학회 1998 Applied microscopy Vol.28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ppear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optotic cells and the process of the joint cavity formation in mouse knee joint. Fetal mouse knee joints from 15 to 19 days of gestation were used. Paraffin-embedded serial sections, stained with H & E for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Epon 812 embedded thin sections for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Lowicryl HM 20 embedded thin sections for immune-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were prepared. Monoclonal antibodies to $\beta-tubulin$ and polyclonal antibodies to tissue transglutaminase were used for immune-electron microscopic stud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t 15 days of gestation, blood vessels, which have invaded in the mesenchymal cells, were present in the synovium, to form the joint cavity in the future. 2. At 16 days of gestation, the joint cleft was first appeared and several RBCs were present in the joint cleft. The invasion of blood vessels into the joint cleft was continuing, and apoptotic cells were present in the inner cell layer, adjacent to the joint cleft. Necrotic cells were also present in the outer cell layer; they were present 18 days of gestation, but apoptotic cells did not appear after 17 days of gestation. 3. In the apoptotic cells, transglutaminase were localized around vacuoles and the marginal site of the cytoplasm. 4. In the apoptotic cells, tubulin was around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the marginal site of the cytoplasm. In the late stage of apoptotic cells, tubulin was localized diffusely in the cytoplasm. Tubulin was also strongly labeled around in the cytoplasm of the neighboring cell at which the apoptotic body was phagocytosed. Tubulin labeled particles were apparently increased in the seperated apoptotic bodies.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it is proposed that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mouse knee joint, blood vessel invasion first occurs and then apoptosis and cell necrosis follow it. In the apoptotic cell, present in the synovium of the developing knee joint of the mouse. it is suggested that the redistribution of tubulin is associated with apoptotic process. And transglutaminase overexpressed in the apoptotic cell.

      • KCI등재

        착취적 리더십이 지식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무감의 매개효과와 동료지원의 조절효과

        채희선,신인용 한국윤리경영학회 2023 윤리경영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을 적용하여, 착취적 리더십이 지식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의무감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착취적 리더십이 어떻게 조직구성원의 지식공유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고, 부정적인 매개 관계를 완화시켜 주는 상황변수로 2가지 차원의 동료지원(도구적 동료지원과 감정적 동료지원)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양한 산업군에 종사하는 359명의 상사-조직구성원 설문 데이터를 2차에 걸쳐 수집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착취적 리더십과 지식공유 행동 간의 부(-)적인 관계가 의무감에 의해서 완전 매개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의무감에 의한 부(-)적 매개효과는 감정적 동료지원이 높을 때 완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업무환경에서 착취적 리더십의 부정적인 효과에 대한 논의와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동료의 역할에 관해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pplied social exchange theory to examine the impact of exploitative leadership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how exploitative leadership negatively influences employees’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felt obligation. Additionally, we considered two dimensions of coworker support (instrumental and emotional coworker support) as situational variables that mitigate this negative mediating relationship. To test these research hypotheses,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359 supervisor-employee dyads working in various industries in two phases.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felt obligation fully mediate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xploitative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Furthermore, the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felt obligation was found to be attenuated when emotional coworker support was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etrimental effects of exploitative leadership in the workplace and the significant role of coworkers in alleviating these effects.

      • KCI등재

        성과입증 목표성향과 성과회피 목표성향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동료 과업관련 명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희선,전수아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ne of the sub-dimensions of goal orientation, on knowledge sharing. To evaluate this effect, the concept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performance prove-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void-goal orientation), and the effect of each dimension was examined independently.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agues whose importance is increasing as providers of situational cues and specified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performance orientation could be optimized. By applying the trait-activation theory, the moderating effect of coworker professional respect, which is highly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was examined. To verify this relationship, the data from 162 employee-coworker dyads were analyzed. The results could not confirm the effect of performance 'prove-goal' orientation on knowledge sharing but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 was strengthened when the level of coworker professional respect was high. In the case of performance 'avoid-goal' orientation, the analysis did not prov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is orientation and knowledge sharing, but it was confirmed that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knowledge sharing was strong when the level of coworker professional respect was high. These results revealed that colleagues constitute meaningful subjects as situational cues, and this has grea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clues to motivate employees who are not interested in knowledge sharing. 본 논문은 목표성향의 하위 차원 중에 하나인 성과성향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성과성향의 효과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2가지 차원(성과입증 목표성향과 성과회피 목표성향)으로 개념을 다원화하여 독립된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는 상황변수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동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과성향이 어떠한 상황에서 발현될 수 있는지를 구체화하였다. 특성 활성화 이론을 적용하여, 지식공유와 관련이 높은 동료의 과업관련 명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성원-동료 162쌍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성과입증 목표성향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동료의 과업관련 명성이 높은 수준일 때 정(+)적 효과가 강화되었다. 성과회피 목표성향의 경우도 지식공유에 미치는 유의미한 관계가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동료의 과업관련 명성이 높은 수준일 때 지식공유와 부(-)적인 관계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가 상황적 변수로 의미있는 주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가 할 수 있으며, 지식공유에 관심이 없던 구성원을 동기부여 시킬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었다는 점에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이 크다고 하겠다.

      • KCI등재

        전문직 종사자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직무특성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채희선,박지성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2 專門經營人硏究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ys for stimulating professionals’ creativity that performing more creative jobs compared to other occupations. This study extensively reviwed previous studies on creativity and job characteristics in advance, and then suggested three factors such as job complexity, time pressure, and work overload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job characteristics that are closely relevant to creativity these days. After that,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three factors influence creativity as an exploratory stud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d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tested them. This study utiliz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255 professionals dyad samples.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job complexity positively influeced creativity, but both time pressure and work overload negatively affected creativity. Based on theoretical arguments and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stimulating professionals’ creativity and discussed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