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동마을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공간 사회학적 연구

        채현수,이동찬,김정재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an architectural space objectively. To that end we made a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A space is generated in a society within a given social environment. The social environment arises from the context of a way of thinking that is shared by most members of the society. Therefore, we cannot understand the space thoroughly merely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chitectural space and its social background without regard for the society's metaphysical context understand a space objectively, both the space and the social environment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대학 강의지원시스템 이용성 향상을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개발

        채현수,이지연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 정보관리학회지 Vol.29 No.3

        The study goal is to develop the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s. To achieve the goal, a usability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and usability test. Eleven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for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 were developed based on the usability stud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student opinions were incorporated directly into the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of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 이 연구는 대학 강의지원시스템을 이용하는 학습자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사전설문과 이용성 평가 실험으로 구성된 이용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용성 조사로부터 얻어낸 결과를 종합하여 총 11개의 대학 강의지원시스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강의지원시스템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이용자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성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이용자의 의견을 시스템의 기능별로 제시하고 직접적으로 설계 원칙에 반영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 및 하중분배율

        채현수,윤영묵,Chae, Hyun Soo,Yun, Young Mook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4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파괴거동은 코벨의 전단경간비 및 주인장 철근비를 포함한 여러 변수들로 인해 복잡하다. 이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강도 및 거동 특성을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반영하여 전단경간비가 1.0 이하인 철근콘크리트 코벨을 설계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1차 부정정 트러스 구조의 스트럿-타이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을 정정 트러스 구조의 스트럿-타이 모델로 변환시켜 현행 스트럿-타이 모델 설계기준에 의한 코벨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하중분배율을 제안하였다. 하중분배율 결정 시 스트럿과 타이의 재료적 비선형 거동을 고려할 수 있는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의 비탄성 구조해석을 통해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강도 및 거동을 지배하는 전단경간비, 주인장 철근비, 수직하중에 대한 수평하중의 비, 그리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등의 주요설계변수들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 및 하중분배율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파괴실험이 수행된 다수의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ACI 318-11의 전통적인 설계기준 및 정정 트러스 구조의 스트럿-타이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현행 주요 설계기준의 스트럿-타이모델 방법에 의한 평가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The ultimat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corbel is complicated due to the primary design variables including the shear span-to-effective depth ratio a/d, flexural reinforcement ratio, load condition, and material properties. In this study, a simple indeterminate strut-tie model reflecting all characteristics of the ultimate strength and complicated structural behavior is proposed for the design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rbels with shear span-to-effective depth ratio of $a/d{\leq}1$. A load distribution ratio, defined as the fraction of applied load transferred by horizontal truss mechanism, is also proposed to help structural designers perform the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corbels by using the strut-tie model approaches of current design cod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ad distribution ratio, numerous material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es of the proposed indeterminate strut-tie model were conducted by changing primary design variables. The ultimate strengths of reinforced concrete corbels tested to failure were evaluated by incorporating the proposed strut-tie model and load distribution ratio into the ACI 318-11's strut-tie model metho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and load distribution ratio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strength analysis results with those by the ACI 318-11's conventional design method and strut-tie model methods of current design codes.

      • KCI등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

        채현수,윤영묵,Chae, Hyun Soo,Yun, Young Mook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4

        이 논문에서는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해석 및 설계 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비선형 파괴거동 특성 및 복잡한 하중전달 메커니즘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반영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행 설계기준서의 스트럿-타이 모델 규정을 이 연구에서 제안한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에 접목시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해석 및 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의 하중분배율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 및 하중분배율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파괴실험이 수행된 47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현행 설계기준서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 의한 평가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In this study, a statically simple indeterminate strut-tie model is proposed for the rational analysis and design of simply supported prestressed concrete beams by reflecting all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structural behavior and load transfer mechanisms. In addition, a load distribution ratio that allows to transform the proposed indeterminate strut-tie model to a determinate model is also suggested to help structural designers conduct the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of simply supported prestressed concrete beams by using the strut-tie model method of current design codes. For verifying of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and load distribution ratio, the ultimate strengths of 47 simply supported prestressted concrete beams tested to failure were estima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strut-tie model methods of current design codes.

      • KCI등재

        철근콘크리트 코벨 스트럿-타이 모델의 스트럿 유효강도

        채현수,윤영묵,Chae, Hyun Soo,Yun, Young Mook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4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은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극한강도 해석 및 설계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정확한 해석 및 안전한 설계를 위해서는 스트럿의 유효강도를 정확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문헌에서 제안된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대표적인 세 종류의 스트럿-타이 모델을 활용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기하학적 형상, 수직 및 수평 하중의 조합 비, 그리고 휨철근 및 수평전단철근 비 등 주요 설계변수들의 영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스트럿 유효강도 식을 개발, 제안하였다. 현행 여러 설계기준서의 스트럿 유효강도 식과 이 연구에서 제안한 유효강도 식을 이용하여 파괴실험이 수행된 243개 철근콘크리트 코벨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 제안한 스트럿 유효강도 식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The strut-tie model approach has proven to be effective in the ultimate analysis and design of structural concrete with disturbed regions. For the reliable analysis and safe design of the structural concrete, however, the effective strengths of concrete struts must be determined accurately. In this study, the equations of the effective strengths of concrete struts, which are useful for the three types of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strut-tie models of reinforced concrete corbels, were proposed. The effects of shear span-to-effective depth ratio, the vertical-to-horizontal force ratio, and flexural and horizontal shear reinforcement ratios wer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posed equation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posed and existing equations, the ultimate strengths of 243 reinforced concrete corbels tested to failure were evaluated by using the three types of corbel strut-tie models.

      • KCI우수등재

        대학 비대면 강의 플랫폼 이용성이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채현수,이지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1

        본 연구는 비대면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강의 플랫폼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파악하고, 비대면 강의 플랫폼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이용성 요인이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통해 비대면 강의 플랫폼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을 정리하고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구성원을 대상으로 대학 비대면 강의 플랫폼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충족도, 플랫폼 이용성, 플랫폼 만족도, 비대면 강의 만족도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응답 분석을 통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모형화하였다. 학습자 유형 및 비대면 강의 방식 유형별로도 동일한 모형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플랫폼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충족도가 플랫폼 활용 비대면 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이 향후 비대면 강의 환경 개선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platform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The literature review facilitated the summarization of maj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development process and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The follow-up survey verified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constituents regarding the fulfillment of the university online learning platforms’ user interface principles, platforms’ usability, satisfaction with platform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tested and modeled by analyzing survey results. We also confirmed that the same model can be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learners and various types of online learning metho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verifying that the fulfillment of the platforms’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can affect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using the platforms based on learners’ evaluation results. We expect that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도서관 고객화 연구정보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사서의 공감대 연구: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채현수,전정현,이지연 한국정보관리학회 2022 정보관리학회지 Vol.39 No.4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ustomerize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and to build librarians’ consensus on the need for customerize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The literature review enabled summarizations of the definition of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ustomerization, and research trends. A categorization process resulted in a list of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of academic libraries. The Delphi method survey reveal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and applying customerization to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opinions of librarians. The librarians agreed on eight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using customerization servi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it proposed new attempts to improve and develop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and explored ways to enhance the expertise and value of academic libraries by forming a consensus among librarians.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고객화 연구정보서비스 개념을 확립하고,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여 고객화 연구정보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연구정보서비스와 고객화의 정의 및 유형, 연구 동향 등을 정리하였고, 대학도서관의 연구정보서비스를 유형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 실무자를 대상으로 연구정보서비스 제공 필요성과 고객화 방안 적용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는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고객화 방안 적용 필요성 측면에서 사서 응답자들의 합의가 도출된 대학도서관 연구정보서비스 항목은 8가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연구정보서비스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 새로운 시도를 제안하고, 사서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전문성 및 가치 제고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