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CP 플로우 간의 공정성 개선을 위한 새로운 큐잉 알고리즘

        채현석,최명렬,Chae, Hyun-Seok,Choi, Myung-Ryu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2

        TCP Vegas 버전은 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TCP Tahoe나 Reno 버전에 비하여 높은 성능과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TCP vegas는 다른 버전의 TCP와 병목 링크를 공유하여 사용하게 되면 TCP Tahoe나 Reno 버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나타낸다. 이는 각 버전의 TCP가 수행하는 혼잡제어 알고리즘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링크의 대역폭에 따른 TCP의 최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윈도우 크기를 분석하고 중간 라우터의 큐에서 각 TCP 연결에 적절한 윈도우 크기를 할당하기 위한 패킷 폐기 정책을 수행함으로써 TCP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는 각 TCP 연결에 의하여 종단 시스템간에 전송된 데이터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은 높은 TCP 성능을 유지하면서 공정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TCP Vegas version provides better performance and more stable services than TCP Tahoe and Reno versions,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current Internet. However, in the situation where TCP Vegas and Reno share the bottleneck link, the performance of TCP Vega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CP Reno. This unfairness is due to the difference of congestion control mechanisms of each TCP use. Several studies have been executed in order to solve this unfairness problem.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minimum window size to maintain the maximum TCP performance of link bandwidth. In addition, we propose an algorithm which maintains the TCP performance and improves fairness by selective packet drops in order to allocate proper window size of each TCP connection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have measured the number of data bytes transmitted between end-to-end systems by each TCP connec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maintains the maximum TCP performance and improves the fairness.

      • KCI등재

        표고 400m 제주 중산간 지역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채현석,김남영,우제훈,신문철,손준규,성필남,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Chae, Hyun Seok,Kim, Nam Young,Woo, Jae Hoon,Shin, Moon Cheol,Son, Jun Kyu,Seong, Pil Nam,Lee, Wang Shik,Kim, Si Hyun,Hwang, Kyung Jun,Kim, Young Jin,Par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ol (C1) and warm season grasses (C2)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to establishing pasture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pastures mixed with tall and short type grasses on the intake characteristics of horses. C1 used in this study was Kentucky bluegrass, redtop (short type grass) and tall type grasses were orchardgrass and tall fescue, respectively. Treatmen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our groups and the short type grass used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was mainly bermudagrass. Four treatment groups were follow as; Treatment 1 (bermudagrass + Kentucky bluegrass + redtop) 2) Treatment 2 (bermudagrass + tall fescue + orchardgrass) 3) Treatment 3 (Kentucky bluegrass + redtop) 4) Treatment 4 (tall fescue + orchardgrass). Bermudagrass was a little winter killing and inhibition of plant growth at an altitude of 400 m. Plant heights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were grown better than that in pastures mixed with C1. Especially, plant height in Treatment 4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Dry matter yield was in the following order: Treatment 4> Treatment 3> Treatment 2> Treatment 1. Dry matter yield in pastures mixed with C1 increased as compared with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Dry matter yield in Treatment 3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In the first investigation regarding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11.7 and 13.3%, respectively. The growth of bermudagrass in winter was low due to the cold damage. However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redtop, tall fescue and orchardgrass was good. In the second investiga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5.0 and 11.7%, respectively. Growth of forage in the second investigation was poor as compared to the first investigation. nutritive values(crude protein content,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digestibility) were good in pastures mixed with C1 Especially, nutritive values in pastures mixed with tall was higher than those of pastures mixed short grasses. P content among minerals in Treatment 1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 content of Ca, Mg and Mn were lower. The contents of Ca, K, Mg, Na, Cu, Zn and Fe in Treatment 2 were higher. However, the contents of K, Mg, Na, Cu, Zn and Fe in Treatment 3 were lower. Therefore, we suggest that cool season grasses with short grasses were sowed to establishing pasture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활용하여 북방형과 남방형 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 목초 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방목 시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 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 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페스큐(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형태에서 처리 1은 하번초 위주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북방형 목초 만으로 혼합한 형태인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인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4는 상번초인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입어 생육이 저조하였다. 초장은 평균적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 만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크게 자랐으며 특히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성장하였다. 건물 수량은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구에서 더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하번초인 켄터기블루그라스+레드톱 혼합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량은 나타내었다. 식생분포에서는 1차 조사의 경우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11.7%, 13.3%으로 저조한 생육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겨울철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받아 생육이 저조하였고 반면에 켄터키블루그라스, 레드톱, 톨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은 양호 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5.0%, 11.7%으로 1차 조사 때 보다 더욱 생육이 위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과 NDF, ADF의 소화율에서는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우수한 목초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번초 보다는 하번초 혼합 처리구에서 좋은 값을 나타 내었다. 무기물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와 북방형 하번초가 혼합한 처리 1의 경우는 P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Ca, Mg, Mn 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남방형 목초와 북방형 상번초인 처리 2는 Ca, K, Mg, Na, Cu, Zn, F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북방형 하번초로 구성된 처리 3은 K, Mg, Na, Cu, Zn, Fe의 함량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제주지역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 목초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생육이 저조하여 북방형 하번초위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제주지역 표고 200 m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채현석,김남영,우제훈,박설화,손준규,백광수,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Chae, Hyun Seok,Kim, Nam Young,Woo, Jae Hoon,Park, Seol Hwa,Son, Jun Kyu,Back, Kwang Soo,Lee, Wang Shik,Kim, Si Hyun,Hwang, Kyung Jun,Kim, Young Jin,Park, 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를 선발하기 위하여 북방형과 남방형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목초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목초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 페스큐 (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목초로는 하번초인 버뮤다그라스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파종으로 처리 1에서는 하번초위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 + 레드톱을 혼파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를 혼파하였다.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의 북방형목초 캔터키부루그라스+ 레드톱을 혼합 파종하였다. 처리 4는 상번초인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 파종하였다. 표고 200 m에서는 한해와 도복 피해는 없었다. 초장은 평균적으로는 처리 1이 53.9 cm, 처리 2가 58.2 cm, 처리 3이 57.5 cm, 처리 4가 78.1 cm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목초구에서 초장이 더 컸으며 특히 북방형목초 중상번초로 구성된 처리 4의 초장이 가장 컸다. 건물 수량은 처리 1이 12,412 kg, 처리 2가 12,077 kg, 처리 3이 14,884 kg, 처리 4가 16,496 kg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보다는 북방형목초구에서 더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상번초인 처리 4가 가장 많았다. 식생분포는 1차 조사에서 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70%, 66.7%으로 버뮤다그라스가 우점이 되어 켄터키 블루그라스, 레드톱,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이 전체적으로 저조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에서 버뮤다그라스가 80.0%으로 버뮤다그라스 우점 현상이 더욱 심하여졌다. 조단백질과, NDF, ADF, TDN을 고려했을 때 켄터키블루그라스와 레드톱이 들어간 처리구가 사료가치가 우수하였고 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가 들어간 처리구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방형목초인 버뮤다그라스를 혼합하였을 때는 중간 정도의 성적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목초와 북방형목초를 혼파하였을 때는 남방형목초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북방형목초의 생육을 방해하므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의 혼파를 피하고 서로 포장을 분리해서 한쪽은 남방형목초를 파종하고 다른쪽은 북방형목초를 파종해서 말을 윤환방목 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ol ($C_1$) and warm season grasses ($C_2$) in pastures mixed with $C_1$ and $C_2$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nd effect of pastures mixed with tall and short grasses on the intake characteristics of horses. $C_1$ used in this study was Kentucky bluegrass, Redtop (short type grass) and tall type grasses were orchardgrass and tall fescue, respectively. The short type grass used as $C_2$ was Bermudagrass.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four treatment groups: 1) Treatment 1 (Bermudagrass + Kentucky bluegrass + Redtop) 2) Treatment 2 (Bermudagrass + tall fescue + orchardgrass) 3) Treatment 3 (Kentucky bluegrass + Redtop) 4) Treatment 4 (tall fescue + orchardgrass). There was no winterkilling or lodging problem at an altitude of 200 m. Plant heights in mixed pasture of Treatment 1, 2, 3, and 4 were 53.9, 58.2, 57.5, and 78.1 cm,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4. Dry matter yield was in the following order : Treatment 4 > Treatment 3 > Treatment 2 > Treatment 1. In the first investigation regarding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70% and 66.7%, respectively. Overall, other grasses showed poor growth. In the second investigation of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80% and 60.7%,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digestibility value, and nutritive values were the lowest in Treatment 4, followed by those in Treatment 1, Treatment 2 and Treatment 3.

      • KCI등재후보

        오골계 증탕액 급여가 흰쥐의 혈중 호르몬, Cytokine 및 특이항체에 미치는 영향

        채현석,안종남,유영모,함준상,이종문,윤상기,최양일,Chae Hyun-Seok,Ahn Chong-Nam,Yoo Young-Mo,Ham Jun-Sang,Lee Jong-Moon,Yoon Sang-Ki,Choi Yang-Il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흰쥐(S.D, ♂)에 각 처리에 따라 기초사료로 시판사료(T$_1$)를 무제한 급여하면서 시험사료로 한약 증탕액 (T$_2$), 오골계 증탕액(T$_3$), 오골계 교잡종 육에 Flavourzyme을 0.1%첨가하여 가수 분해시킨 후 한약제와 혼합하여 증탕시킨 증탕액(T$_4$)을 35일간 경구 투여한 후 흰쥐의 혈청에 대한 glucose및 hormones과 면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비만하였을 때나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insulin 함량이 증가한다고 하였으나 효소 처리 오골계 교잡종 증탕액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체중 증가가 일반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어도 insulin 함량이 일반사료 급여구보다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바람직한 생리현상을 나타냈다. Aldosterone은 스테로이드 계통의 호르몬으로 물의 생리적 밸런스와 혈압조절에 관여하는데 일반사료 급여구에 비해 한약 증탕액, 오골계 증탕액,효소 처리 오골계 증탕액 급여 구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 고농도 단백 식이의 급여에도 불구하고 aldosterone수치의 저하로 혈압 저하의 효과를 나타 낸 것은 한약을 첨가시켜 고압으로 처리시킨 증탕액의 효과와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소화가 용이하도록 처리한 결과로 사료된다 Cortisol은 스트레스 측정에 감도가 높은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반사료급여구가 0.67 nmol/L인 반면 증탕액을 급여한 구에서는 0.40∼0.49 nmol/L으로 cortisol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aldosterone에서와 같이 한약제와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함에 따른 효과로 사료된다. 흰쥐에 증탕액 급여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IL-4, IFN-v 및 anti-BSA IgG의 역가는 일반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에 비해 오골계 증탕액 및 효소 처리 오골계 교잡종 증탕액 급여구에서 spleen과 serum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한약(십전대보탕)의 효과와 소화시키기 쉬운 고농도의 단백질 가수분해 물질의 다량 섭취에 의해 면역 활성이 증가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eeding effects of the high pressure boiled extracts (HPBE) of the Ogol chicken with herbs on glucose, hormones and immunological response (cytokine, specific antibody) of serum in the rat which fed either with normal feed (T$_1$), normal feed + herb HPBE (T$_2$), normal feed + Ogol chicken HPBE (T$_3$), normal feed + mixture of cross-bred Ogol chicken HPBE (T$_4$) hydrolyzed with Flavourzyme 0.1% for 35 days.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re was a weak trend to have a higher glucose content for the T$_4$ group with 102.27${\pm}$5.95 mg/dL,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For insulin level, T$_1$ group showed numerically a slightly higher level with 6.79${\pm}$4.64 ${\mu}$IU/mL,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statistic term due likely to a large vari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treatments. The treatments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estosterone level in rat plasma with 1.09, 1.46, 0.98, 1.13 ng/mL in T$_1$, T$_2$, T$_3$ and T$_4$, respectively. T$_4$ treatment increased the aldosterone level to a significantly (p<0.05) higher level (273.33 ng/dL) than other treatments. The extract treated rat showed a tendency in the cortisol level of lower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it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_3$ group than other groups. T$_3$ and T$_4$ groups showed higher levels for interlukin-4 (IL-4) and anti-BSA IgG in immune cells and plasma. T$_2$, T$_3$ and T$_4$ treatments showed a slightly higher levels in v-interferon (INF-r) than the control, with a greater effect for T4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PBE of the cross-bred Ogol chicken hydrolyzed with Flavourzyme increased immunological activity and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and aldosterone hormones.

      • KCI등재

        고온기 육계의 수송 스트레스에 대한 버퍼제 급여에 따른 닭고기 품질 및 PSE 발생에 미치는 영향

        채현석(Hyun-Seok Chae),최희철(Hee Chul Choi),나재천(Jae Cheon Na),장애라(Aera Jang),김민지(Min Ji Kim),방한태(Han Tae Bang),강환구(Hwan Ku Kang),김동욱(Dong Wook Kim),서옥석(Ok Suk Seo),박성복(Sung Bok Park),함준상(Jun Sang Ham)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2

        고온기 때 육계 수송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대비책으로 농가에서 출하 2일전에 버퍼제(sodium phosphate,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sulfate)를 급여함으로 육계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닭고기의 품질 1? 등급 평가에서 버퍼제를 급여하지 않는 대조구에서 4%를 차지하였으나 sodium phosphate 급여구가 8%, sodium bicarbonate 급여구 14%, magnesium sulfate 급여구가 28%로 대조구에 비하여 버퍼제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1?등급 출현율이 증가하였다. PSE 발생율은 대조구에서 경증 및 중증 모두 합하여 92%를 차지하였으나, sodium phosphate 급여구가 88%, sodium bicarbonate 급여구 28%, magnesium sulfate 급여구가 56%로 대조구에 비하여 버퍼제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PSE 발생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닭고기외관의 멍은 대조구에서는 1~6 ㎝의 멍이 32%를 차지하였으나, sodium phosphate 급여구는 22%, sodium bicarbonate 급여구 24%, magnesium sulfate 급여구가 44%로 magnesium sulfate 급여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에 비해 멍 발생율의 8~10% 정도 저하하였다. 닭고기의 명도(L<SUP>*</SUP>) 값의 변화는 가슴근육 부위에서 대조구가 67.88을 나타내었고, sodium phosphate 급여구가 67.05, sodium bicarbonate 급여구 66.27, magnesium sulfate 급여구가 65.89로 magnesium sulfate 급여구에 명도가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전체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버퍼제를 급여한 구에서 명도 값이 저하되었다. 상기와 같이 고온기 때 육계 수송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버퍼제(sodium phosphate,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sulfate)를 급여함으로 사계 및 닭고기의 이상 도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suggest a method to decrease the adverse effects of transportation on chicken meat quality. The groups were prepared as follows; Control group and three groups of treatments (sodium phosphate, sodium bicarbonate and magnesium sulfate). The chicken fed magnesium sulfate showed higher chicken meat quality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 groups. Also, minor and severe PSE incidence of chicken breast was found at 88% in sodium phosphate group, 24% in sodium bicarbonate group and 56% in magnesium sulfate group. Control group showed 92% higher minor and severe PSE incidence of chicken breast compared to other groups. In control group, the external bruise of chicken showed 32% but 22, 24 and 44% in other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Lightness (L*) of chicken containing sodium phosphate treatment, sodium bicarbonate treatment and magnesium sulfate were 67.05, 66.27 and 65.89, while Lightness (L*) of chicken containing control group was decreased of 67.88. In conclusion, dietary buffer material (sodium phosphate,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sulfate) under heat stress decreased adverse effects including death, wound or abnormality of chickens.

      • KCI등재

        CO<sub>2</sub>와 N<sub>2</sub> 혼합 비율에 따른 포장 닭고기 가슴육의 냉장 저장 중 품질 특성

        채현석,나재천,최희철,김민지,방한태,강환구,김동욱,서옥석,함준상,장애라,Chae, Hyun-Seok,Na, Jae-Cheon,Choi, Hee-Cheol,Kim, Min-Ji,Bang, Han-Tae,Kang, Hwan-Ku,Kim, Dong-Wook,Suh, Ok-Seok,Ham, Jun-Sang,Jang, Ae-Ra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1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were determined to identify the optimal ratio of $CO_2$ and $N_2$ to maintain chicken breast quality during cold storage for 6 d. The mixing ratios of $CO_2$ and $N_2$ were 20:80, 40:60, 60:40, and 80:20, respectively. The pH of the chicken breast packed with 80% $CO_2$ and 20% $N_2$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on day 1 (p<0.05). The lightness ($L^*$) of the breast increased with increasing $CO_2$ during storage (p<0.05), whereas no difference was found for redness ($a^*$) and yellowness ($b^*$). A lower volatile basic nitrogen level was found for chicken breasts exposed to higher $CO_2$ levels. Furthermore, lipid oxidation of the chicken breast packed with $CO_2$ decreased with increasing $CO_2$ level, and 40% $CO_2$ significantly reduce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n days 1 and 6. The total number of microbes was reduced in chicken breast exposed to more than 40% $CO_2$ during storage days 3 and 6 (p<0.05); however, Escherichia coli was not affected by $CO_2$ level. Coliforms of chicken breast were reduced in the 40% $CO_2$ level on storage day 3. Moreover, tray-packed chicken breast exposed to 40% $CO_2$ did not collap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40% $CO_2$ and 60% $N_2$ were the optimal conditions for packaging chicken breasts during cold storage. 닭고기 가슴육에 대하여 가스를 넣지 않는 대조구와 $CO_2$와 $N_2$를 혼합 처리한 가스치환포장구로 나누어 냉장저장($4^{\circ}C$)한 결과 저장 1일에 80% $CO_2$의 첨가구에서 pH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가슴육의 명도($L^*$)는 모든 저장 기간 동안 $CO_2$의 농도가 60% 이상일 때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가스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변성도(VBN)와 지방산패도(TBARS)는 대조구에 비하여 60% 이상의 $CO_2$ 처리구에서 감소를 보였다(p<0.05). 닭가슴육의 총균수는 저장 1일에는 가스 처리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장 3일과 6일에는 40% $CO_2$ 처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CO_2$를 60-80%으로 고농도 처리 포장 하여 냉장 저장 시 포장 용기가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품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성적을 고려할 때 닭가슴살을 $CO_2$, $N_2$를 이용한 가스치환하여 포장 시에는 $CO_2$는 40% 이하로 $N_2$ 는 60%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지역 오차드그라스 및 톨 페스큐 혼파초지의 비축시기별 사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 변화

        채현석,김남영,우제훈,백광수,이왕식,김시현,황경준,박설화,박남건,Chae, Hyun Seok,Kim, Nam Young,Woo, Jae Hoon,Back, Kwang Soo,Lee, Wang Shik,Kim, Si Hyun,Hwang, Kyung Jun,Park, Seol Hwa,Park, Nam G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오차드그라스와 톨 페스큐 혼파초지에서 비축 시기별(8월 1일, 15일, 30일) 으로 처리하여 11월 중순경(11.10~11.12)에 수확할 때 목초의 비축시기에 따른 생산량과 목초의 사료 가치 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목초 비축시기에 따른 오차드그라스와 톨 페스큐 혼파초지(동량 혼파초지)의 건물수량은 8월하순구가 2,983.0 kg/ha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목초의 비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목초의 생산량도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조사료의 조단백질은 16.5~18.16%으로 목초 비축시기별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NDF와 TDN는 비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반면에 ADF 비율은 목초 비축시기가 감소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무기물의 변화는 비축기간이 증가할수록 P, Ca, Mg, Na, Zn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Mn, Cu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8월 초순부터 초지를 비축할 경우 고온으로 인한 생육 위축으로 목초의 수량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주도에서 가을철에 활용하기 위한 초지를 비축할 경우에는 8월 하순 이후에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tockpiled periods on the nutritive value and productivity of mixed orchardgrass tall-fescue pasture (MOTP).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Jeju (island), South Korea, from Sep. 2012 to Nov. 2012. The DM yield of the MOTP had the highest in treatment in late August (2,983 kg/ha). The DM yields of sward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shortening the stockpiled period. The CP of the MOTP was 16.5% to 18.16%, and there did not appear to be a consistent trend in accordance with the duration of the stockpiled periods. The NDF and TDN content of the MOTP increased with the delay of the stockpiled period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hort- and long-stockpile periods; however, the ADF content of the MOTP decreased with shortened stockpile periods, but agai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In addition, P, Ca, Mg, Na, and Zn of MOTP increased by delaying the stockpile period, but Mn and Cu of MOTP decrease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yield of MOTP was not increased by the atrophy of the growth of MOTP due to high temperatures in case where the MOTP was stockpiled from the beginning of August. The stockpile period of MOTP should therefore be started at the end of August to yield a stockpile of MOTP in the autum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