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경제학 학문체계와 연구현황 -북한 학술지 분석을 중심으로

        진유정 평화문제연구소 2007 統一問題硏究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and synthesize the academic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literatures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of North Korean economics. And it also aims to analyze the study status, tendency and its characteristic through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major scientific journals related to North Korean economics after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for 60 years. Academics can be divided into a various types according to a scholar``s subjective point of view or the characteristic of its own academia. Economics which is classified to a part of social science in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divided into a various forms, too. Therefore, in any academic parts, if a scholar needs a new type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tudy, the classification of academics can be reclassified into a new type and economics as well. In this context, in the first place, this article attempted the analysis for the new classification of North Korean economics system in the basis of major literatures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of North Korean economics such as ECONOMIC DICTIONARY1·2, THE TABLE OF BOOK CLASSIFICATION, CHOSUN JUNGANG ALMANAC, ect.. In the second place, i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classified North Korean economics especially, political economy, pure economics, department economics, world economics, demography and statistics. Those classification can be divided in detail. And then, it showed the whole classified table of North Korean economics. In the third place, it classified all the articles of Studies on Economy and the Gazzettes of Kimilsung Univ. which were the major scientific journals related to North Korean economics according to the whole classified table. Finally, it analyzed North Korean economics study tendency and characteristic for 60 years through the general analysis of the whole classified table.

      • KCI등재

        북한의 남한경제 연구

        진유정 평화문제연구소 2010 統一問題硏究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tudy status, tendency andcharacteristic of North Korea``s study on the South Korea Economy through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literatures related to studies on the South Korea Economy. And it also aims to identify the major causes related to the choice and durability of the main research topic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article determine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and classified the areas of North Korea``s study on the South Korea Economy into three parts < economic system area, macroeconomics area, department economics area(related to each industry part and enterprise) >. Along with this it classified 1,147 papers related to North Korea``s study on the South Korea Economy according to eachclassifiedtimeandarea. And then it sorted out the main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each classified time and area and identified the major causes related to the choice and durability ofthem.And the results show that despite various factors, North Korea``s choice and durability of the main research topics related to South Korea Economy are fundamentally caused by North Korea``s purpose to ascertain, emphasis,justify superiority of North Korea Economic System through criticizing South Korea Economy. 이 글의 목적은 북한에서 연구된 남한경제분야 연구 관련 글들을 수집·조사하여 그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연구주제들의 선정 및 지속성 요인을 연구영역별로 찾아보는 것이다.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북한의 남한경제 연구영역을 크게 경제체제영역, 거시경제영역, 부문경제(산업·기업)영역으로 나누고 그 각각을 다시 소분류부문들로 세분함과 동시에 그 분류기준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조사·수집된 1,147편의 북한의 남한경제 연구 관련 글들을 그 분류기준에 의거하여 4시기로 나누어 영역별로 분류한 결과,시기별로는 1948~1959년이 69편, 1960~1979년이 419편, 1980~1999년이 498편, 2000~2009년이 161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경제체제영역이 351편,거시경제영역이 506편,부문경제영역 290편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어 남한경제분야 연구의 주요 연구주제들을 영역별 및 시기별로 정리하고 이들 연구주제들의 선정과 지속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북한의 남한경제분야 연구의 주요 주제들은 다양한 요인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는 남한경제에 대한 비판을 통해 북한경제의 우월성을 확인 또는 강조하고 북한경제체제의 정당성을 설파하려는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것들이 선별적으로 선정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북한의남한경제 관련 연구는 기본적으로 남한경제를 미국에 예속된 식민지경제로 전제한 상태에서, 해방이후의 남한경제의 전개과정을 철저하게 미국(또는 일본)독점자본의 단계별 침투과정과 결부시켜 시기별 및 영역별로 관련 주제들을 선정하고 지속시키는 측면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의 남한경제분야 관련 연구는 객관적인 기준에 입각한 분석보다는 오로지 비판 일변도로 편중되는 목적 지향적인 측면이 강한 연구라는 점을시종일관 보여줌으로써 적실성과 신뢰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암환자의 연명의료 사전의사결정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ㆍ가족ㆍ사회적 측면을 중심으로

        진유정,전종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3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dignified death of patients with cancer by investigating psychological, family, and social factors affecting patients’ advanced directives(AD). From March to September 2021, a 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on 182 adult cancer patients aged 19 or older in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family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D(β=.280, p<.01). Through analysis including sub-areas of major variables, the lower the anxiety regarding loss of existence(β=-.332, p<.001) among the sub-areas of death anxiety, the higher the support of medical personnel(β=.179, p<.01)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support, and the higher the family adaptability(β=.347, p<.05) among the sub-areas of family function,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s were toward AD. This suggested that the supportive approach of medical personnel and experts and the evaluation of family dynamics are important, along with mitigating death anxiety through the assignment of subjectivity to patients in the AD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activating AD for patients with the No. 1 cause of death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암환자의 연명의료 사전의사결정 태도를 확인하고, 이러한 태도의 심리ㆍ가족ㆍ사회적 영향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3~9월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내 만 19세 이상의 성인 암환자 182명에게 대면 설문조사를 진행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족기능이 연명의료 사전의사결정에 유의한 정적 관계(β=.280, p<.01)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주요 변수들의 하위 영역을 포함한 분석을 통해 죽음불안의 하위 영역 중 존재상실에 대한 불안이 낮을수록(β=-.332, p<.001), 사회적지지의 하위 영역 중 의료인의 지지가 높을수록(β=.179, p<.01), 가족기능의 하위 영역 중 가족 적응성이 높을수록(β=.347, p<.05) 대상자의 연명의료 사전의사결정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이는 연명의료 사전의사결정 과정에 환자에게 주체성 부여를 통한 죽음불안 완화와 함께 의료인 및 전문가의 지지적 접근과 가족 역동성의 평가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사망원인 1위인 암환자의 연명의료 사전의사결정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활성화하는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User Intention towards Metaverse Shopping: An Application of the S-O-R model

        진유정,김은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3 지능정보연구 Vol.29 No.2

        Metaverse shopping has emerged as a new phenomenon in social commer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r experience of metaverse stores shopping based on the S-O-R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elepresence, entertainment,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nd social interac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in metaverse shopping. Additionally, satisfaction and flow experience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ser intention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metaverse stores to improve user experience and increase user intention.

      • KCI등재

        한국 일간지의 미국 대통령 선거 보도사진 프레임 분석 : 조선일보, 한국일보, 한겨레를 중심으로

        진유정,이상학,홍성구 현대사진영상학회 2023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6 No.3

        A news frame is a linguistic and visual device that helps readers understand what the news means. As presidential election coverage photos are taken in elaborately staged situations on the campaign trail, the frames they contain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a bilateral interaction between politicians and the media. This study analyzes the framing of the 2020 U.S. presidential election coverage in Korea's major daily newspapers, including Chosun Ilbo, The Korea Times, and Hankyoreh, in terms of the newspapers' adoption of coverage and politicians' framing strateg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hree newspapers' coverage o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did not show any bias in favor of or against any candidate. However, in terms of coverage adoption, the Chosun Ilbo preferred an interesting frame compared to the other two newspapers, while the Hankook Ilbo and Hankyoreh preferred a relational frame and a factual frame. In terms of politicians' choice of strategic frames, Trump adopted the "strong America frame" and Biden adopted the "regime change frame" as a choice of substantive emphasis. Biden's campaign image of adhering to coronavirus quarantine protocols served as a counter-emphasis frame of choice, pointing to Trump's failure to do so. We can see that Biden actively utilized the 'competitive emphasis choice' to show his connections with various forces compared to Trump.

      • 전주지역 딸기 재배 온실 겨울철 광 환경 분석

        진유정 ( Yujeong Jin ),박민정 ( Minjung Park ),강태경 ( Taegyoung Kang ),임류갑 ( Ryugap Lim ),윤성욱 ( Sung-wook Yoon ),손진관 ( Jinkwan So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시설원예 온실의 딸기 재배 농가에서 작물의 품질과 수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요인에는 광, CO₂, 온도 등이 있다. 특히 외부 광량이 적은 겨울철의 경우 광 부족에 의해 기형과 및 병해충으로 인한 작물의 수량과 품질이 저하되며(Choi 등, 2019), 딸기의 경우 겨울철 약광기에 광합성 저하로 생육 60일~90일째 식물체 고사율이 높아져 최대 전체 식물체의 77.8%가 고사하며, 탄수화물 전류량 부족으로 과실 비대 및 품질에 영향이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등,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약광기 온실 내외부 광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수집을 위해 전주지역 딸기 재배 온실 내 일사량센서(S-LIB-M003, HOBO, USA)와 광합성 광량자속 센서(S-LIA-M003, HOBO, USA)를 설치하여 광환경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 연구 온실은 국립 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단동 비닐 온실(피복재, PE 0.1mm)로 폭 7m, 동고3.7m, 측고 1.7m, 길이 29.5m이며 측정 위치는 구조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온실 내부의 광량을 균일하게 얻기 위해 온실 중앙부 및 동서남북 방향 5지점을 선별하였고, ‘20년 11월 1일부터 ’21년 2월 28일까지 10분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겨울철 약광기 딸기 온실 광환경 분석 결과 11월부터 2월 온실 내 평균 일사량은 각각 173.8, 163.8, 162.8, 194.9W/m²으로 12월, 1월이 가장 낮은 것을 보였으며 최대 일사량은 279.9, 243.3, 252.8, 285.8W/m²이고, 최소 일사량은 10.3, 48.7, 52.1, 71.2W/m²으로 나타났다. 외부 일사량과 온실 피복재 및 단열재를 통과하여 측정된 내부 일사량을 비교하였을 때 11월에서 2월까지 각각 49.6±3.7, 52.3±1.2, 52.7±2.3, 55.3±5.4%로 평균 약 52.5±2.3%의 감소율을 보였다. 광합성 광량 자속 요인을 살펴보면 11월부터 2월까지 각각 일별 평균 320.3, 273.6, 289.0, 348.5μmol/m²/s으로 나타났으며 11월의 경우 딸기의 광보상점(50μmol/m²/s)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도 보였으나, 기상영향으로 인해 일사량이 부족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든 기간에서 광포화점(800μmol/m²/s) 이하의 수치가 측정되어 작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광량이 겨울철 동안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는 겨울철 약광기 및 봄철까지 작물의 생산량과 품질 향상을 위한 보광 시설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 SCOPUSKCI등재

        홍국발효가 백태와 서리태의 생리활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진유정(Yoo-Jeong Jin),표영희(Young-Hee Pyo)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3

        Monascus pilosus KCCM 60084를 백태와 서리태에 각각 접종시켜 30℃에서 발효한 후, 홍국발효 콩에 함유된 미량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였다. 천연 스타틴 성분인 mevinolin은 발효 전의 미 검출에서 홍국 발효 20일 후에 건조시료 g당(㎍/g DW) 최대 568.18 ㎍ 생산하였고, CoQ10의 함량은 발효전의 농도에 비해 발효 20일 후에 백태와 서리태 모두 2배 이상 증가하여 각각 65.59±9.53과 54.92±5.27 ㎍으로 나타났다. 토코페롤 함량은 홍국발효에 의해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발효 전의 백태에 함유된 총 토코페롤 함량은 312.87 ㎍으로 서리태의 256.76 ㎍ 보다 약 22% 더 높았으며(p<0.05), 가장 많이 함유된 토코페롤 종류는 γ-토코페롤로 전체 농도의 약 55%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홍국발효는 콩의 메비놀린과 CoQ10 성분의 농도를 발효과정을 통해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in the contents of mevinolins (natural statins, 0-568.18 ㎍), coenzyme Q10 (CoQ10, 26.41-65.59 ㎍), and tocopherols (232.80-312.87 ㎍/g dry weight) in Monascus-fermented soybean were determined using HPLC. Significant increases (p<0.05) in mevinolins and CoQ10 were obtained in Monascus-fermented soybean after 20 days of fermentation compared with unfermented soybean (0 days), whereas no significant change (p>0.05), or a slight decrease, in tocopherols was observed. The results indicate that Monascus-fermentation has great potential for enriching mevinolin and CoQ10 in soybeans.

      • KCI등재

        수경재배 시설원예단지 작물 유형별 배액 특성 및 부하량 평가 연구

        진유정(Jin Yujeong),강태경(Kang Taegyoung),임류갑(Lim Ryugab),김현우(Kim Hyunwoo),강동현(Kang Donghyeon),박민정(Park Minjung),손진관(Son Jinkwan)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에서 배출되는 배액 내 포함된 영양물질의 부하량을 평가하여 양액 재이용방안 및 수처리장도입 설계 등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경재배 대표 재배 작물을 토마토, 파프리카, 오이, 딸기로 선정하여 총 80 샘플을 수질분석하였다. 분석결과 N, P, K+ , Na+ , Mg2+, Ca2+, Si4 + , HCO3 - , Cl- , S2-, Fe, Mn, Cu, Zn, Mo, B 등의 각종 비료성분은 배액 내 매우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어 수처리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해 딸기의 배액농도가 토마토, 파프리카, 오이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마토의 경우 이러한 필수이온 농도가 가장 높으므로비료의 재이용 측면에서는 가치 있는 자원의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시설원예단지 1m2 에서 배출되는 배액의 N과 P의부하량을 분석하였다. N은 1ha 기준 일간 토마토는 4.0kg, 파프리카 3.3kg, 오이 3.0kg, 딸기 1.5kg의 처리용량이 계산되었다. P농도는 일간 토마토 0.5kg, 파프리카 0.6kg, 오이 0.4kg, 딸기 0.2kg을 일간 처리할 수 있는 규모와 용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물별 시설온실에서 배출되는 배액에 포함된 질소와 인의 양을 평가하여배액에서의 양분적 가치산정을 통한 경제성 분석과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시설원예단지의 수처리 시설 도입 시 반영해야 할 처리용량 산정 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ad of nutrients contained in the drainage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horticultural complex and to use them for re-use of fluids and design for introduction of water treatment plants. Representative hydroponic cultivation crops were selected as tomato, paprika, cucumber, and strawberry, an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analyzed for water quality was 8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nce various fertilizer components such as N, P, K+ , Na+ , Mg2+, Ca2+, Si4 + , HCO3 - , Cl- , S2-, Fe, Mn, Cu, Zn, Mo and B are contained at very high concentrations in the drainage, the need for water treatment was confirm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drainage concentration of strawberries was lower than that of tomatoes, paprika, and cucumbers. In the case of tomatoes, these essential ion concentrations are the highest, so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subject to valuable resources in terms of reuse of fertilizers. The load of N and P of the drainage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horticultural complex 1m2 was analyzed. For N, the daily processing capacity of 4.0 kg of tomatoes, 3.3 kg of paprika, 3.0 kg of cucumbers, and 1.5 kg of strawberries was calculated based on 1 ha. It was suggested that the P concentration needs a scale and capacity that can handle 0.5 kg of tomatoes, 0.6 kg of paprika, 0.4 kg of cucumber, and 0.2 kg of strawberries per day. Through this study, the amount of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drainage discharged from the greenhouse of each crop was evaluated to analyze the economy.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treatment capacity to be reflected when introduc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facility horticultural complex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