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의 자아존중감, 우울·불안, 위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종설,정하은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2006년 한국복지패널의 아동 부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의 정서적 특성인 자 아존중감과 우울ㆍ불안, 위축성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 구결과 아동의 우울ㆍ불안은 평균 17.25(SD=3.91), 자아존중감은 평균 39.03(SD=5.46), 위축성은 평균 11.84(SD=3.00), 학교생활적응은 평균 29.30(SD=3.53)로 드러났다. 학교생활적응의 평균은 성별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높았으며 빈곤여부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독립변수를 자아존중감, 우울ㆍ불안과 위축성으로 설정하고 통제변수로 아동의 성별, 연령, 건강인식, 빈곤 여부로 설정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독 립변수에서는 자아존중감 만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통제변 수에서는 아동의 성별, 연령, 건강인식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아동이 여학생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그리고 자아존중감 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아동을 위 한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약물의존과 정신장애 이중진단에 관한 조사 연구 -미국 청소년을 중심으로-

        전종설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6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dual diagnosis of substance dependence and mental disorders among adolescents in substance treatment settings, and to assess relationships between substance dependence and mental disorders including major depression disorder, general anxiety disorder, traumatic stress disorder, attention-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and conduct disorder among adolescents in this population.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baseline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n=1,947) entering residential or continuing care programs, using Global Appraisal of Individual Needs(GAIN). The prevalence of dual diagnosis of substance dependence and mental disorder was about 80%. The study found that the substance depend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major depression disorder, general anxiety disorder, traumatic stress disorder, ADHD, and conduct disorder compared to non-dependent group(p < .001).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as found that conduct disorder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substance dependence among adolescents. That is, the odds of being dependent on substance were decreased by 55.7% among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out conduct disorder(OR= .443; p < .001). Adolescent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s need to provide assessment and treatment for dual diagnosis, focusing on conduct dis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약물의존과 정신장애의 이중진단율을 조사하고, 약물의존과 정신장애(주요우울장애, 범불안장애, 스트레스성장애,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품행장애)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미국의 17개 약물치료 기관에 있는 총 1,947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Global Appraisal of Individual Needs(GAIN)를 가지고 수집한 자료를 이차분석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약 80%가 약물의존과 정신장애를 동시에 갖는 이중진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의존 청소년들과 비의존 청소년들의 정신장애를 비교한 결과, 약물의존 청소년들은 비의존 청소년들에 비해 주요우울장애, 범불안장애, 스트레스성장애, ADHD, 품행장애를 가지고 있는 비율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p < .001).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정신장애 중 품행장애만 약물의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행장애를 갖지 않은 청소년들이 품행장애를 갖은 청소년들에 비해 약물의존이 될 가능성이 55.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R= .443; p < .001). 따라서 약물치료 기관에서는 청소년들의 약물의존과 정신장애의 이중진단에 대한 사정 및 치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약물의존 청소년들의 품행장애에 대한 적극적인 사정 및 치료가 요구된다.

      • KCI등재

        국내 비만관리 디지털 헬스케어 프로그램의 체계적 고찰

        전종설,윤석현,한혜원,김진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1

        비만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헬스를 활용한 프로그램들이 비만관리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국내외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비만관리 디지털 헬스케어 프로그램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총 22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의 목표로는 주로 체중조절, 비만관리, 체중감량, 비만치료, 운동지속성 향상 등이, 주요 내용으로는 영양교육, 영양상담, 심리교육, 행동수정, 체중관리, 정보공유, 개인상담이 포함되었다. 개발과정의 측면에서는 이론적 모델이 없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참여한 대상자는 주로 성인이었으며,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이 다수였다. 총 22개의 연구 중, 부분적 효과성을 보인 연구가 12편이었고, 전반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프로그램이 10편이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는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 엉덩이 및 허리둘레, 혈액 성분 등과 같이 실질적인 수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디지털 헬스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목표를 정확히 개념화 및 분류화하고, 개발과정과 이론적 모델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As the obese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worldwide, studies have proven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health programs in obesity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digital health programs for obesity management in South Korea by analyzing 22 articles. For the program objectives, obesity management, weight control, weight loss, obesity treatment, and improving exercise adherence were commonly used. Many programs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 behavioral treatment, weight management, sharing information (via SNS), and individual counseling as the major components of the programs.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did not develop the programs based on the concrete theoretical background or conceptual model. Participants of the programs were mainly adults, and more specifically targeting the female population. Out of 22 studies, twelve studies reported their programs to be partially effective whereas the other ten studies reported the programs to be effective in all domains. Studies have focused primarily on the numerical changes in height, weight, BMI, waist-hip circumference, or blood composition of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for future studies to clearly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s, strength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o use reliable and valid scales to tes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 국내 비만관리 디지털 헬스케어 프로그램의 체계적 고찰

        전종설,윤석현,한혜원,김진영 한국감성과학회 2020 춘계학술대회 Vol.2020 No.-

        비만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헬스를 활용한 프로그램들이 비만관리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국내외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비만관리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이러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 22개의 국내 비만관리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들을 발행 연도, 프로그램 목표, 개발과정, 프로그램 주요 내용, 대상 및 표본 크기, 사용 매체, 층 진행기간, 회기, 연구설계, 효과성 척도에 따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비만관리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는 2011년을 기점으로 연구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디지털 헬스케어 프로그램의 목표로는 주로 비만관리, 체중조절, 체중감량, 비만치료, 운동지속성 향상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명확한 구분 없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으로는 영양교육, 영양상담, 심리교육, 행동수정, 체중관리, 정보공유, 개인 상담이 있었다. 초기 디지털 헬스 연구는 컴퓨터가 프로그램 사용 매체로 많이 활용되었지만, 2008년부터는 핸드폰 사진 촬영 또는 업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사용 매체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추가된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도 있었는데, 이는 타인과 나의 상태나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공유’영역이었다. 그에 반해, ‘영양i육’이나 ‘개인상담’요소는 프로그램에서 점차 제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발과정에서는 이론적 모델이 없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참여한 대상자는 주로 성인이었으며,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이 다수였다. 연구별로 프로그램 총 진행기간과 회기는 상이했으나, 최소 2주에서 최대 12주까지, 횟수로는 최소 4회에서 최대 36회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설계방법으로는 전실험설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어서 유사실험설계도 사용되었다. 총 22개의 연구 중, 부분적 효과성을 보인 연구가 12편이었고, 전반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프로그램이 10편이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척도는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 엉덩이 및 허리둘레, 혈액 성분 등과 같이 실질적인 신체의 변화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5년간의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신체변화의 측정뿐만 아니라 동기부여와 같은 개인 내적의 변화도 측정하려는 시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디지털 헬스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목표를 정확히 개념화 및 분류화하고,개발과정과 이론적 모델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적·태도·내적 요인이 청소년 흡연에 미치는 영향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전종설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ether social, attitudinal, and intrapersonal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 smoking, and to explore how these factors affect adolescent smoking differently across the gender line. We conducted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2010 Adolescent Health Survey, which was taken from 3,933 high school students (2,004 boys and 1,929 girls). Our study found that 22.2% of the participants (33.1% of male and 10.8%of female students in the survey) have experienced smoking at least once in the past. Among those with experience in smoking, 37.5% of male, and 26.8% of female students were daily smok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parental attitude” and “smoking friends”among social factors, “school life” and “perception toward smoking” in attitudinal factors, and “self-efficacy” in intrapersonal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were analyzed separately, the social factor of “having friends who smoke” was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adolescent smoking, while attitudinal factors such as “school life” and “perception toward smoking”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we found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intrapersonal factors. High levels of “self-efficac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moking among male adolescents, while high levels of “stress” had a similar effect among female adolescents. This result suggests it is important to provide gender-specific smoking prevention or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More specifically, intervention should be designed to focus on improving smoking efficacy for males, while skills for coping with stress should be emphasized for female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적, 태도, 내적 요인이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이 남녀 청소년 간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0 청소년 건강실태조사’중 전국의 일반계 및 전문계 고등학생 총 3,933명(남 2,004명, 여 1,929명)을 포함한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체 청소년의 22.2%, 남자 청소년의 33.1%, 여자 청소년의 10.8%가 흡연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흡연 청소년 중 매일 흡연율도 남자 청소년 37.5%, 여자 청소년 26.8%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요인 중 부모태도와 친구흡연이, 태도 요인에서는 학교생활과 흡연인식이, 내적 요인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청소년을 분리하여 살펴보면, 사회적 요인 중 친구흡연이 남녀 청소년 흡연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요인인 학교생활과 흡연인식은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성별 차이는 내적요인에서 나타났는데, 남자 청소년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흡연 가능성이 높아지는 반면, 여자 청소년은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흡연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는 청소년 흡연 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들이 성별 차이를 고려하여 시행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남자 청소년에게는 바람직한 금연효능감 증진을 위한 개입에 중점을, 여자 청소년에게는 스트레스 대처훈련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 약물사용 청소년들의 흡연행동 요인에 관한 연구

        전종설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약물사용 청소년들의 흡연 실태를 조사하고, 흡연이 약물 및 정신장애 관련 요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약물치료 기관 내 총 1,97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로 이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현재 흡연율은 64%로 나타났으며, 흡연자의 48%가 니코틴 중독자이거나 일일 흡연자였다. 흡연 청소년들은 90일 동안 평균적으로 48일 흡연을 하였고, 하루에 평균 9번 정도 담배를 피웠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약물의존, 약물 및 흡연 가족력, 약물 및 흡연을 하는 친구, 주요우울장애, 범불안장애,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품행장애가 청소년의 흡연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조사한 결과, 약물에 의존한 청소년들은 비의존 청소년들과 비교하여, 흡연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R=4.363; p < .001). 또한 약물이나 흡연을 하는 친구가 없는 청소년들과 비교하여, 약물이나 흡연하는 친구가 있는 청소년들은 흡연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OR=1.885; p < .001). 정신장애 중 품행장애가 있는 청소년들이 품행장애 진단을 받지 않은 청소년과 비교하여 흡연을 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OR=1.411; p < .05). 따라서 청소년 대상의 약물치료 프로그램들은 약물치료와 동시에 흡연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을 반드시 제공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정신장애, 특히 품행장애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기술 훈련, 거절 훈련 등을 실시하여 청소년들이 건전한 교우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와주어야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smoking among adolescents in substance treatment programs, and to assess relationships between smoking and substance dependence, and between smoking and mental disorders including major depression disorder, general anxiety disorder, attention-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among adolescents in this population.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baseline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entering substance treatment programs. The prevalence of smoking in the past 90 days was 64%, and 48% of current smokers were either nicotine dependent or daily smokers. Adolescents in this study smoked an average of 48 days during the past 90 days.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as found that the odds of being smokers were increased among substance dependent adolescent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out substance dependence(OR= 4.363; p<.001). The odds of being smokers were increased among adolescents with substance using friend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out substance using friends(OR= 1.885; p<.001). The odds of being smokers were increased among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out conduct disorders(OR= 1.411; p<.05). Therefore, adolescent substance treatment programs must also address their clients’ smoking issues by providing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intervention services. Also,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for mental disorders, especially conduct disorders, need to be provided.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services to enhance social skills and refusal skills for these adolescents to help them build selective positive friendships.

      • KCI등재

        Development of Stress Measurement Scale Tailored to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전종설(Jong Serl Chun),김진석(Jin Seok Kim)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3 No.-

        본 연구는 미국 내 한국 유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을 살펴보고, 이들의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다차원 척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양적인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혼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12명의 포커스 그룹 참여자로부터 53개 문항을 이끌어 냈다. 이차원 MDS을 사용하여 한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요인을 살펴본 결과, "학교 내·외 요인"에 의하여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하여 5가지 스트레스 요인으로 언어장벽, 재정적 문제, 차별, 외로움과 문화적 상실감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연구에 척도개발 시 5가지 스트레스요인과 학교 내·외 요인의 포함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ressors among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an item pool for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scale to measure stress among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as used. Based on qualitative method, an initial pool of 53 statements to describe various pers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was generat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dentified stressors of Korean students are distributed along the axis of “intra-to-extra school” dimension. Using two-dimensional MDS, the identified stressors of Korean students are distributed along the axis of “intra-to-extra school” dimension. Final cluster analysis solution revealed five clusters of stressors: “language barrier,” “financial concern,” “discrimination,” “isolation,” and “cultural depriv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on Korean students` stressors should take the intra-to-extra school dimension as well as the five domains of stressors in developing an instru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