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 취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지성애 ( Sung Ae Chi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교육과 보육을 수행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입학 정책안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입학에 대한 입장을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15명이었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χ2, 검증, t-검증, F-검증과 추후분석으로 Scheffe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교사들은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 취학 정책안은 ``유아교육과정교체``, ``취학 유예아 반 배정``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가 대두될 수 있는 정책으로 대다수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 취학에 따른 교육적 효과도 다각적 측면에서 유아발달을 저해하는 비효율적인 정책으로 교사들은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부모와 초등학교 입장에서도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적합하지 않는 정책으로 연구대상 유아교사들은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 취학 정책보다는 ``육아 및 가족 복지 예산 증대``와 ``유아교육에 대한 투자 확대``, ``공교육 보육 정상화``, 그리고 ``출산친화정책``이 요구된다고 유아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policy ``early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for 5 year-old children`` while analyzing perspectiv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ngag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o analyze the point of views of the teachers about the polic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in collection of dat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5 early childhood teachers of kindergarten and early childhood center. Chi-square test, t-test, F-test and Scheffe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gainst the policy because of several problems such as replacement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class assignment for delayed children at school age. They also suggested that it was not efficient because it might cause to hinder child development.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ware that parents as well as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at it was not appropriate policy since it might lead to several negative issues. Finally, early childhood teachers suggested that substitute policies for increasing the rate of childbirth such as increasing budget of child-care and family welfare, encouraging investmen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and care were better than the policy ``early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for 5 year-old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육,보육 통합 모델 구축

        지성애 ( Sung Ae Chi ),홍혜경 ( Hae Kyung Hong ),이정욱 ( Jeong Wuk Lee ),장명림 ( Myung Lim Ch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현행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이원화 체제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유아교육·보육통합의 필요성과 효과를 근거로 향후 우리나라에 적합한 한국형 유아교육·보육 통합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유아교육·보육 통합 모델은 기관 형태, 대상연령, 운영시간 및 이용시간, 프로그램 등의 측면에서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3-5세는 유치원 운영방식, 0-2세는 어린이집 운영방식에 근거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특징과 장점을 반영하여 구축하였다. 유아교육ㆍ보육 통합 모델의 기본 요소는 ① 관리부처, 전달 체계 및 지원 체계,② 대상 연령, ③ 운영 및 이용시간, ④ 교육·보육과정 운영 및 질 관리, ⑤ 교사 자격, 양성및 처우, ⑥ 시설기준, ⑦ 부모 비용 부담으로 각 요소별로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유아교육·보육 통합 모델이 추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일원화 체제를 위해 유아교육·보육 통합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동일 유형 및 조건으로 운영되는 기관의 격차를 해소해 나가며 우리나라실정에 맞는 합리적인 유아교육·보육 통합이 추진될 수 있는 모델이라 하겠다. This paper was addressed the problems with split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reviewed the benefits and efficiency of delivery of an integrated ECEC, and finally suggested the integration model of ECEC. The model was based on the review of reports related to efforts for the integration of ECEC by OECD countries and domestic reports conducted by KEDI, KICCE, as well as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The proposed model for equity and quality was based on two assumptions; to sustain the diversity of programs and to reflect the educational and developmental benefits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Seven dimensions for integration system of ECEC were considered: administration, regulation, and support system, age, hours, curriculum, teacher training, qualification, and salary, standards of facility funding and service fee paid by parents. This model will be helpful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and to reduce the gap in terms of efficiency, equity, and quality.

      • KCI등재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지성애 ( Sung Ae Chi ),정하나 ( Ha Na 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공감교육 이해와 효과적인 공감교육 운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및 유아교육 전문가와의 협의과정을 통해 연구도구인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유아 공감교육실태’의 2개 범주로 총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25명의 유아교사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χ2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감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empath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discuss the way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empathy education for.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 items of 17 question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empath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inally, ways to promote efficiency of empath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유아 원예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분석

        지성애(Chi, Sung-Ae),김채연(Kim, Chay-Youn),정진화(Jung, Jin-Hw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교사 및 교육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의 ‘원예교육에 대한 교육현장 실태’ 영역은 ‘실시 정도’, ‘교육장소 및 자료’, ‘교육방법’ 3개의 범주로 구성하였고, ‘원예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인식’ 영역은 ‘원예교육 필요성과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누리과정 연계에 대한 인식’, ‘원예교육의 문제점’, ‘교사의 요구 및 만족도’ 5개 범주로 구분하여 총 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72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χ², t-검증, One-Way ANOVA를 통해 분석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는 Scheffé 검증을 통해 추후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discussion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2 questions related to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horticulture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categories: ‘frequency of implementation’, ‘place material’, and ‘teaching strategy’. To investigate ‘the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categories: ‘the awareness of teaching strategies’, ‘the awareness of linkage with the Nuri curriculum’, ‘the problem of horticultural education’, and ‘teacher’s demands and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χ²-te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stly, ways to promote the efficiency in delivery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지성애 ( Chi Sung-ae ),조유진 ( Cho Yu-jin ),연규승 ( Yeon Gyu-se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10명이었으며, 유아지적능력검사(K-WISC-IV), 유아공감능력검사, 적응기술검사(K-BASC-Ⅱ), 유아낙관성검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적응기술이 유아의 지적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공감능력이 지적능력을 예측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적응기술의 하위요인인 ‘기능적 언어소통’이 지적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행복’이 지적능력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empathy ability,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Moreover, in this research try to explore indicate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influence their intellectual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0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S cit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WISC-IV), the Affective Situation Test for empathy ability, the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BASC-II), and the Optimism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llectual ability, empathy ability,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Seco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aptive skills of children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intellectual ability; furthermore, empathy ability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functional communicat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adaptive skills of children, ha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In addition, ‘happiness,’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empathy, was additional a predictor of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 KCI등재

        유아놀이 유형과 유아의 언어 · 사회적 · 정서능력과의 관계 분석

        지성애(Sung-Ae Chi),심재연(Jae-Yeon Shim),김승희(Seung Hee Kim),임성혜(Sung-Hye L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유아 놀이유형과 놀이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 놀이에 대한 이해와 유아 교육현장에서 놀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놀이지도 방안 모색에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만 4, 5세 유아 105명이었으며, ‘유아놀이 유형검사’, ‘KEDI-WISC의 언어성검사’, ‘VSMSC, 그리고 ’정서능력검사‘ 도구를 통해 유아의 언어능력, 사회적능력, 정서능력을 검사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r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유아 놀이유형과 제반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놀이 유형과 언어  사회적  정서능력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아놀이 유형을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사회적능력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type of child play, language ability, social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 used in this study were 105 children consisted of four-year-old and five-year-old. The Type of Young Child's play Inventory, ‘The Verbal area of KEDI-WISC’, ‘VSMSC, and ’Young Child's Emotional Profile'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types of young child's play, language ability, social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It can be considered a practical knowledge for young children's play that should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지성애(Chi Sung-Ae),김승희(Kim Se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상호작용, 놀이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180명이었으며, 평균월령은 78.75개월이었다.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놀이성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r를 사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 자아존중감과 전체 또래상호작용 간과 전체 자아존중감과 전체 놀이성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또래상호작용과 전체 놀이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들과 전체 또래상호작용 및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놀이성의 하위영역들과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self esteem, peer interaction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80 children whose mean age was 78.75 months. It used Children's Self-esteem Scal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and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to collect data. Pearson r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self-esteem and sub-areas of self-esteem and total peer interaction and sub-areas of peer interacti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playfulnes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playfulness and total peer inter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sub-areas of playfulness and sub-areas of peer interaction.

      • KCI등재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지성애 ( Sung Ae Ch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신념과 태도,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의 체계는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구성하였으며, 교육내용은 오염예방, 자원절약, 자연친화, 동식물 관심/보호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적용 타당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무선으로 선정하고 처치하였다.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 검사``, ``K-WPPSI``, ``유아 그리기표상능력 검사`` 도구들을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 신념과 태도,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visual art representa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hildren`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visual art representation maintains objective, education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continuum. Its education contents also are developed by considering four areas such as pollution prevention, resources conservation, nature affinity, and animal and plant concern/protection.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are assigned through random sampling. ``The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Scale for Young Children``, K-WPPSI`, and ``The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A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children`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visual art representation,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 KCI등재

        민간운영주체의 인식에 기초한 보육정책 개선 방안 모색

        지성애(Chi Sung-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7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현황에 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을 법인, 민간, 개인보육시설장으로 구분지어 비교?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민간운영 주체 보육시설의 개선방안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정책과제에 근거하여 설문지를 개발하고 212명의 보육시설장들을 대상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χ² 검증, ANOVA와 추후분석으로 Sheffe검증을 실시하여 민간운영주체 보육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민간운영주체 보육시설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공보육기반조성’, ‘부모육아부담’, ‘다양한 보육서비스’, ‘아동중심의 보육환경’, 그리고 ‘보육서비스 관리 체계’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private child-care center and discuss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it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government`s policy projects and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2 principal of child-care cen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χ2-test, one-way ANOVA, and post hoc(Scheffe alpha). The status and direction for development for private child-care center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prepare foundation of public child-care, parents' child-care cost, various child-care service, child care environment, and management system for child-care service.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언어능력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효과

        지성애(Chi Sung-Ae),윤은경(Yun Eun-Gyung),민순옥(Min Soon-Ok),김희영(Kim Hee-Yung),윤유중(Yun Yoo-Joo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6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언어능력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이었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무선 배정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극화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전검사를 실시한 다음 총 4주 동안 일주일에 3회 총 12회 처치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언어능력은 K-WPPSI의 언어성 검사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마음이론은 ‘내용교체과제’, ‘위치이동 과제’ 그리고 ‘이차틀린 믿음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하여 극화놀이를 하였던 실험집단의 언어능력 점수 및 마음이론 발달 점수가 그림책을 보고 듣고 토의를 하였던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마음이론에 기초한 극화놀이 지도와 마음이론 발달 이해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ramatic play using picture book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theory of mi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5-year-old children attending an 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located in G city(the experiment group 20, the control group 20). The Verbal Area of K-WPPSI and The Theory of Mind Inventory were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Using SPSS 12.0 program,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ate group in the scores of language abilities. The scores of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mparate group i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cores of theory of mind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The scores of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mparate group in young children's the theory of mind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ramatic play using picture books is effect to promote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theory of mi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