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 취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지성애 ( Sung Ae Chi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교육과 보육을 수행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입학 정책안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입학에 대한 입장을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15명이었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χ2, 검증, t-검증, F-검증과 추후분석으로 Scheffe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교사들은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 취학 정책안은 ``유아교육과정교체``, ``취학 유예아 반 배정``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가 대두될 수 있는 정책으로 대다수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 취학에 따른 교육적 효과도 다각적 측면에서 유아발달을 저해하는 비효율적인 정책으로 교사들은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부모와 초등학교 입장에서도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적합하지 않는 정책으로 연구대상 유아교사들은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만 5세아 초등학교 조기 취학 정책보다는 ``육아 및 가족 복지 예산 증대``와 ``유아교육에 대한 투자 확대``, ``공교육 보육 정상화``, 그리고 ``출산친화정책``이 요구된다고 유아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policy ``early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for 5 year-old children`` while analyzing perspectiv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ngag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o analyze the point of views of the teachers about the polic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in collection of dat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5 early childhood teachers of kindergarten and early childhood center. Chi-square test, t-test, F-test and Scheffe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gainst the policy because of several problems such as replacement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class assignment for delayed children at school age. They also suggested that it was not efficient because it might cause to hinder child development.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ware that parents as well as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that it was not appropriate policy since it might lead to several negative issues. Finally, early childhood teachers suggested that substitute policies for increasing the rate of childbirth such as increasing budget of child-care and family welfare, encouraging investmen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and care were better than the policy ``early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for 5 year-old children``.

      • KCI등재

        보육시설장의 자격 강화와 전문성 확장을 위한 대안 모색

        지성애(Chi Sung-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1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 자격 강화와 전문성 확장에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보육시설장 자격과 전문성 관련 문헌분석 및 20명의 보육시설장 대상 심층 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안 모색은 보육시설장 자격제도와 보수교육으로 구분하고 보육시설장 자격강화와 전문성 확충을 극대화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보육시설장의 자격 강화를 위한 자격제도는 전공 관련자격기준과 경력기간을 중심으로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보수교육은 교육내용과 시간 그리고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대안을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lternative plan of reinforcing qualification and expanding professionalism for child-care center supervisor. It analyzed research on qualifying system and professionalism which concern with child-care center supervisor. And also it used an interview with 20 child-care center supervisors to collect of data. The searching for alternative plan of reinforcing qualification and expanding professionalism for chid-care center supervisor is based upon providing high quality of edu-care service for young children. The alternative plan is divided into two areas : qualifying system and in-service education for the child-care center supervisor. The major-related qualification criterion and the career period are discussed in the area of qualifying system for the child-care center supervisor. While the content, time,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education are discussed in the area of in-service education for the child-care center supervisor.

      • KCI등재

        유아 자아존중감과 제반 변인들 간의 관계 분석: 인지·정서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성인애착을 중심으로

        지성애 ( Chi Sung-ae ),백지혜 ( Baik Ji-hy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인지·정서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성인애착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03명이었으며, 평균 월령은 73.86개월이었다. `자아존중감`, `인지 실행기능`, `정서 실행기능`, `성인애착` 검사도구들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인지 실행기능, 정서 실행기능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성인애착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정서 실행기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정적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변인 별로 분석한 결과, 어머니 성인애착의 하위영역인 `회피`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부적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부가적으로 인지 실행능력의 `낮-밤 스트룹 과제`와 정서 실행기능의 `역보상과제`, `스티커찾기과제`가 추가적인 정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cool executive function, hot executive function and mother`s adult attachment. The subjects used in the study were 203 young children of mean age 73.86 months who were attending a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located in K state. This study used `Children`s Self-Esteem Scale`, `Cool executive Function task(Stroop like Day-Night Task, Card Sorting Task)`, `Hot executive Function(Less is More Task, Sticker Search Task)` and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ECR): Self 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in collection of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self-esteem, cool executive fun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mother`s adult attach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young children`s hot executive function is the predictable variable that affects children`s self-esteem the most. In subscale, `dismiss` were revealed to be the most significant negative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self-esteem. In addition, `stoop like day-night task`, `less is more task` and `sticker search task` were revealed to be additional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self-esteem.

      • KCI등재

        사회 · 정서유능감에 기반한 유아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 적용 효과 분석

        지성애(Chi, Sung-A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유아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을 처치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갈등문제해결에 기반한 이야기꾸미기중심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의 월령은 72.48개월(SD=3.42)이었고 수집된 연구자료는 t-test를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은 유의미하게 유아의 인지처리능력 중 순차처리와 동시처리 인지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은 전체 자아존중감과 인지적자아와 정서적자아를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사회ㆍ정서유능감에 기반한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이 갈등문제해결에 기반한 이야기꾸미기 중심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보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gram effect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treated to by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tory making on conflict problem resolution," was provided as the comparison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s whose mean age is 72.48 months (SD=3.42). To analyze the program effec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s a result, the "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effective in significantly enhancing the young children"s sequential processing and simultaneous processing skills, which are subcategories of cognitive processing skills. Also, the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was effective in significantly enhancing the overall sense of self-esteem, cognitive self-awareness, and emotional self-awar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s more effective to prevent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hen compared with the " Behavioral Problem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story making on conflict problem resolution".

      • KCI등재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지성애 ( Sung Ae Ch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신념과 태도,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의 체계는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구성하였으며, 교육내용은 오염예방, 자원절약, 자연친화, 동식물 관심/보호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적용 타당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무선으로 선정하고 처치하였다. ``유아 환경 신념과 태도 검사``, ``K-WPPSI``, ``유아 그리기표상능력 검사`` 도구들을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술표상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 신념과 태도,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visual art representa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hildren`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visual art representation maintains objective, education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continuum. Its education contents also are developed by considering four areas such as pollution prevention, resources conservation, nature affinity, and animal and plant concern/protection.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are assigned through random sampling. ``The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Scale for Young Children``, K-WPPSI`, and ``The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A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children`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linked to the visual art representation,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belief and attitude, languag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 KCI등재

        유아의 행동문제와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지성애 ( Sung Ae Chi ),김성현 ( Seong Hyu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행동문제와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110명으로 평균 월령은 55.79개월이었다. ‘K-CBCL1.5-5’, ‘K-ABC’, 그리고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문제와 인지능력 중 순차처리능력 간에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문제와 자아존중감 간에도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순차처리능력과 정서적자아는 유아의 내재화 행동문제에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수용자아와 순차처리능력은 유아의 외현화 행동문제에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cognitive ability and sense of self-esteem. Subjects were 110 young children, with a mean age of 55.79 months, in attendance at five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collecting data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K-CBCL 1.5-5,’ the ‘Korean version of the Kaufman Asse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and the ‘Young Children`s Sense of Self-Esteem Invento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Multi-Regression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cluding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cognitive ability. Seco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cluding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sense of self-esteem. Third, sequential processing and emotional self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Family-acceptance, self and sequential processing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the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 KCI등재

        유아의 지적능력과 실행기능, 언어능력,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분석

        지성애(Chi, Sung-Ae),신샛별(Shin, Set-Byeol),정진화(Jung, Jin-Hw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지적능력과 실행기능, 언어능력,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총 195명이었으며, 평균 월령은 62.38개월이었다. ‘K-ABC-Ⅱ’, ‘실행기능’, ‘수용․표현 언어’,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들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지적능력과 실행기능, 언어능력, 자기조절능력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언어능력은 지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실행기능은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 별로 분석한 결과, 언어능력의 하위변인인 ‘표현언어’가 지적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실행기능의 하위변인인 ‘인지실행기능’, ‘정서실행기능’, 언어능력의 하위변인인 ‘수용언어’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지적능력에 대한 이해와 지적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방법 모색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llectual ability, executive function, language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5 whose mean age was 62.38 month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K-ABC-Ⅱ’, ‘Cool-executive function(Stroop like day-night task, Card sorting task)’, ‘Hot-executive function(Less is more task, Sticker search task)’, ‘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nd ‘The Self-Regulation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ntellectual ability, executive function, language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Moreover,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language ab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llectual ability. Secondly, executive function was an additional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intellectual ability. Fu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xpressive language’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language ab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llectual ability. In additionally, ‘cool executive fun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 which are subordinate factor of executive function, and the ‘receptive language’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language ability were found to be an additional predictive factors that predict intellectual ability.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지성애(Chi Sung-Ae),김승희(Kim Se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상호작용, 놀이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180명이었으며, 평균월령은 78.75개월이었다.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놀이성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r를 사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 자아존중감과 전체 또래상호작용 간과 전체 자아존중감과 전체 놀이성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또래상호작용과 전체 놀이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들과 전체 또래상호작용 및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놀이성의 하위영역들과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self esteem, peer interaction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80 children whose mean age was 78.75 months. It used Children's Self-esteem Scal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and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to collect data. Pearson r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self-esteem and sub-areas of self-esteem and total peer interaction and sub-areas of peer interacti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playfulnes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playfulness and total peer inter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sub-areas of playfulness and sub-areas of peer interaction.

      • KCI등재

        유아놀이 유형과 유아의 언어 · 사회적 · 정서능력과의 관계 분석

        지성애(Sung-Ae Chi),심재연(Jae-Yeon Shim),김승희(Seung Hee Kim),임성혜(Sung-Hye L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유아 놀이유형과 놀이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 놀이에 대한 이해와 유아 교육현장에서 놀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놀이지도 방안 모색에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만 4, 5세 유아 105명이었으며, ‘유아놀이 유형검사’, ‘KEDI-WISC의 언어성검사’, ‘VSMSC, 그리고 ’정서능력검사‘ 도구를 통해 유아의 언어능력, 사회적능력, 정서능력을 검사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r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유아 놀이유형과 제반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놀이 유형과 언어  사회적  정서능력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아놀이 유형을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사회적능력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type of child play, language ability, social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 used in this study were 105 children consisted of four-year-old and five-year-old. The Type of Young Child's play Inventory, ‘The Verbal area of KEDI-WISC’, ‘VSMSC, and ’Young Child's Emotional Profile'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types of young child's play, language ability, social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It can be considered a practical knowledge for young children's play that should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 KCI등재

        유아 원예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분석

        지성애(Chi, Sung-Ae),김채연(Kim, Chay-Youn),정진화(Jung, Jin-Hw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교사 및 교육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의 ‘원예교육에 대한 교육현장 실태’ 영역은 ‘실시 정도’, ‘교육장소 및 자료’, ‘교육방법’ 3개의 범주로 구성하였고, ‘원예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인식’ 영역은 ‘원예교육 필요성과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누리과정 연계에 대한 인식’, ‘원예교육의 문제점’, ‘교사의 요구 및 만족도’ 5개 범주로 구분하여 총 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72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χ², t-검증, One-Way ANOVA를 통해 분석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는 Scheffé 검증을 통해 추후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discussion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2 questions related to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horticulture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categories: ‘frequency of implementation’, ‘place material’, and ‘teaching strategy’. To investigate ‘the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categories: ‘the awareness of teaching strategies’, ‘the awareness of linkage with the Nuri curriculum’, ‘the problem of horticultural education’, and ‘teacher’s demands and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χ²-te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stly, ways to promote the efficiency in delivery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