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예비교사의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온라인 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조형숙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1

        Improving pedagogical competence of English pre-service teachers(PSTs), a college course of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Underachie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U-ELLs)' was designed. It consists of 3 stages: 1) understanding U-ELLs, 2) teaching U-ELLs, and 3) evaluation and reflection. During the stage of understanding U-ELLs, PSTs participated in a workshop about online platform Classcard, micro-teaching with Classcard, and preparing 3-week teaching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second stage, the PSTs taught U-ELLs through a one-on-one English tutoring program. After completing 3-week tutoring, the PSTs and U-ELLs evaluat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survey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of Cho(2018). The teaching logs an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the participating PSTs, showed that utilizing online platform was useful for teaching U-ELLs but that PS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being familiar with the various functions of online platform and in effectively utilizing the platform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s and leaner factors. Also,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realizing the importance of online platform while tutoring U-ELLs, PSTs explored teaching methods and their career paths. This paper provides suggestions for teacher educators to improve PSTs’ pedagogical competences to support U-ELLs for English basic competency. COVID-19로 인하여 대면수업이 어려워짐에 따라, 기초학력 미달 학습자가 증가하였고, 영어과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기초학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교수역량 배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영어학습부진아 이해와 지도’ 과목을 개설하고 ① 영어학습부진아 이해, ② 영어학습부진아 지도, ③ 성찰과 평가 세 단계로 구성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온라인 플랫폼 클래스카드 실습, 수업시연, 교육과정 설계, 학습 자료 제작 후, 영어 기초학력 미달 중학생을 3주간 1:1로 멘토링하였다. 중학생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평가회에서 수집된 설문조사의 결과는 조형숙(2018)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수 일지와 최종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온라인 플랫폼 활용이 유용하지만 플랫폼의 기능을 익히기 어려웠고 학습 환경 및 학습자 특성에 따라 활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예비교사는 영어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온라인 플랫폼의 중요성을 깨닫고 예비교사로서 영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수법을 고민하며 진로를 탐색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해 어떻게 예비교사의 교수역량을 배양할 것인지 제안을 덧붙였다.

      • KCI등재

        초임 유아 교사의 중도 퇴사 동기 및 지원 방안

        조형숙,박연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초임 유아 교사의 중도 퇴사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초임 유아 교사의 중도 퇴사 동기 및 지원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도 퇴사를 경험한 초임유아 교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김영천(2016)의 분석 절차에 따라 2차 범주를 도출하고 2차범주화된 목록을 토대로 유아교육과 교수 1인과의 검토 및 협의를 통해서 최종 범주를 생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초임 유아 교사의 중도 퇴사 동기 4가지와 중도 퇴사한초임 유아 교사의 지원 방안 4가지로 최종 범주화되었다. 초임 유아 교사의 중도 퇴사 동기 4가지는 직장 내 인간관계에서 온 퇴사 동기, 근무 환경에서 온 퇴사 동기, 정확하지 않은 업무 전달로 인한 잦은 야근과 의욕 저하와 좌절, 유아 지도의 한계에서 온 중도 퇴사 동기이다. 중도 퇴사한 초임 유아 교사의 교직을 지속하기 위한 지원 방안 4가지는 인간관계의 갈등 해결, 개선된 근무 환경, 체계적인 매뉴얼과 지도, 도움이 필요한 유아에 대한 지원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초임 유아 교사의 중도퇴사의 이유와 그들의 요구를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초임 유아 교사들이 유아 교육 현장에 안정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탈진적 수영운동과 Selenium투여가 혈액 내 지질과산화물과 항산화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조형숙,김문희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4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lood MDA(malondialdehyde), SOD(superoxide dismutase), CAT(catalase) and GPX(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response to acute exhaustive swimming and selenium administration in rats. The animals in this study were chosen fourty-eight rats (Sprague -Dawley, male, 10 weeks, 300g), they were separated selenium group and placebo group. Selenium (sodium selenite, 2ppm/300g) solved in distilled water 1.0ml was administrated to them using by zoned needle at before 10 minutes swimming. The blood sampling time of two groups were three times (rest, after 30min swimming, exhaustion), 6ml blood were collected by abdominal aorta after the ethyl ether inhalation. The blood samples were centrifuged 3,000rpm for serum CAT, plasma SOD, plasma GPX and blood MDA activities analyzing. The statistical method was used by 2-way ANOVA. In summary, selenium, as a component of GPX, as a lipid soluble free radical scavenger serve and biological antioxidant defense system. selenium supplementation and acute exhaustive swimming within blood in rats enzyme activities (SOD,CAT,GPX) increase but MDA decrease. Also, our findings indicate that selenium have a positive effects to prevent the exercise induced increase in oxidative stress. Acute exhaustive swimming the improved of the body's defense capacities against free radical generation, likely as a result of adaptable increase in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 system.

      •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향상을 위한 발생적 탐구학습 모형(Generative Learning Model)의 활용

        조형숙 中央大學校 韓國敎育問題硏究所 1998 韓國敎育問題硏究所論文集 Vol.- No.13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theoretically explores the ways of utilizing Generative Learning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of science. Many researchers have indicated that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have crucial influence on their science instruction. These attitudes have direct bearing on the amount of the time that becomes devoted to science and to the specific methods of instruction that are adopted. Particularly, it is importan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be emphasized as scientific exploration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is inadvertently derived from young children's involvement and responses rather than from teachers' planned instruction. Accordingly, the improvement of teachers' attitudes have become ever-increasing issue in the field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Generative Learning Model is a science teaching strategy, which was developed by Wittrock and Osborne. it was intended to give an opportunity of direct exploring scientific object and phenomena to student and expected to change their understanding.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approach is appropriate to adopt in teacher education course for facilitating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 KCI등재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건강소양에 미치는 영향

        조형숙,유은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program utilizing multimedia as the means to promote health literacy which would be divided into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among 5 year-old childre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four sub-factors of health: physical health, nutrition, mental health, and safety. This study adopted the Keller's model which consisted of four step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ARCS). This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56 five-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 group, 28; the comparison group, 28) with 26 sessions for 16 weeks from September 30 to December 22, 2010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Korea.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s 'total' health perception score in post-test was higher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se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utilizing multimedia methods. Specifically, the sub-factors of 'nutrition' and 'mental health' were higher in the multimedia using experimental health education group at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overall health perception: t=4.01, p<.001, nutritional awareness: t= 5.56, p<.001, mental health awareness: t=3.06, p<.001). Second, the total score for health-promoting behavior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total scor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particular, 'physical health', 'nutri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an the comparison group(overall health-promoting behaviors: t=2.92, p<.01, physical health-promoting behaviors: t=2.84, p<.01, nutrition-promoting behaviors: t=3.36, 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ltimedia based health education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health literacy.

      • KCI등재

        애플리케이션 기반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애플리케이션 활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형숙,김민정,조은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ication-based mathematics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to application utilization.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For this purpose, 87 children aged 3 to 5 years (45 experimental group and 42 comparative group) were selected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mathematical activities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application with parents at home, and the comparative group used the activity sheets consisting of the same concept as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experienced by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program for SPSS 25.0 Window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fant's mathematical ability, and the attitude of using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measur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covariance analysis (ANC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Application-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to use applications. The mathematical ability of the children was found to affect the number, operation, geometry, and measurement of the sub-areas, and the attitude of the children's use of educational appl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etence of the sub-area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application-based mathematics activities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목적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 기반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애플리케이션 활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기관 만3~5세 유아 87명(실험집단 45명, 비교집단 4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며 총 10주간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수학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내의 수학 활동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실험집단 유아가 경험하는 수학교육의 내용과 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된 활동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Window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실험처치 전⋅후 실험집단과 유아 수학능력,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태도를 측정하고, 공변량분석(ANCOVA) 및 독립표본 T검증(t-test)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애플리케이션 기반 유아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애플리케이션 활용 태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수학적 능력은 하위 영역 중 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태도는 하위 영역 중 유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 활동이 유아기 수학교육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조형숙,정우영,길민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6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eral research trend in job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present further research task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s a total of 96 studies including 65 domestic graduation theses and 31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89 and 2018. It also examines those studies in accordance with research chronology, methods, subjects, and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ations on job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have steadily increased. Second, in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methods form a large portion. Among them, the questionnaires method was mostly used. Third, in the subjects of research, most researchers conducted integrated studies abou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compared the degree of job stress by teacher's person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Fourth, in research contents, lots of research about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as well as class activities and professionalism have been don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research tasks and the direction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여 체계적인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2018년까지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연구한 석․박사 학위논문 65편,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 31편을 합친 총 96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 시기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연구 시기별 동향은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둘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국․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구분 없이 복합적으로 연구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교사의 개인변인이나 기관변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비교한 연구도 많았다. 넷째, 연구 내용은 개인 관련이나 수업 및 전문성과 관련된 내용이 비교적 많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연구과제와 교사교육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과학교수효능감이 높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과학수업의 의미

        조형숙,유은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과학교수효능감이 높은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유아과학수업의 의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현장 유아교사들이 지향하는 과학수업의 의미, 교수전략, 교사의 자질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현장경력 3년 이상의 유치원 교사 11명을 연구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 발달에 적합한 수업, 교사들이 즐거워하는 수업이 좋은 유아과학수업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수업을 위한 교수전략으로는 흥미 있는 도입, 수업계획의 융통적인 운영, 유아들과 함께 과학 정보 수집하기, 그룹 구성을 통한 상호작용의 묘미 살리기, 과학활동 결과물을 활용한 확장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좋은 과학수업을 위해 필요한 유아교사의 자질로는 열심, 솔직성, 과학에 대한 두려움 없는 태도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유아교사들이 구성주의적 교수신념과 발달에 적합한 교수법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한편, 현장 경험을 통하여 나름대로 좋은 과학수업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좋은 과학수업 관찰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s regarding good science teaching by probing the insights of experienced teachers. Participants were 11 experienced kindergarten teachers, each having 3 or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either Seoul or Kyunggi provin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onceptualiz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ing are 1) active children's participation, 2) developmentally-appropriate teaching, and 3) teachers who are themselves excited about science. Second, the teaching strategies of good science teaching noted as: 1) prepared interesting introductions, 2) flexible learning plans, 3) collaborative data collections. 4) diverse evaluation methods, and 5) expanded activities to develop the scientific attitudes of children. Third, the most pervasive characteristics good science teachers of kindergarten children must possess are enthusiasm, honesty, and fearlessness to teach science. Based on these insightful articulations, future research would do well to focus on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the context of children's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