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딸기온실에서 점박이응애의 화학적방제와 생물적방제 효율 비교

        정효진,강주완,이현승,장호중,박정준,Jeong, Hyo Jin,Kang, Ju-wan,Lee, Hyun Seung,Jang, Hojung,Park, Jung-Joon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1

        환경친화적 생물적방제를 위해 수출딸기온실에서 해충인 점박이응애 밀도 감소 효율을 화학적방제와 생물적방제로 나누어 동일한 크기의 동일한 온실에서 각각 비교하였다. 생물적방제 온실은 점박이응애의 천적인 칠레이리응애만을 이용하였고, 화학적방제 온실은 일반 화학합성 농약을 이용하여 점박이응애의 밀도를 조절하였다. 화학적방제 온실에 비해 생물적방제 온실에서 점박이응애 모든 태의 밀도가 낮게 관찰되었으며, 생물적방제를 위한 비용이 화학적방제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출딸기의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의 방제에 칠레이리응애를 이용한 생물적방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biological control of two-spotted spider mites (TSSM), Tetranychus urticae, in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the TSSM density reduction efficiency of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measures was compared in commercial,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In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only Phytoseiulus persimilis, a natural enemy of TSSM, was released, and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was only sprayed with commercial chemical pesticides. The density of each developmental stage of TSSM was higher in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than in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The management costs were lower for the biological control greenhouse than the chemical control greenhou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SSM using P. pesrsimilis in exported strawberry greenhouses.

      • KCI우수등재

        도시재생 뉴딜 집수리 지원사업 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방안 고찰 - 안양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정효진(Jeong, Hyojin),김충호(Kim, Chung Ho)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1

        This study aims to diagnose actual conditions of house repair support projects in Urban Regeneration New Deal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is, the study focused on house repair support projects implemented in Urban Regeneration New Deal Area of Anyang-si, Gyeonggi-do, analyzing housing repair support criteria, implementation systems, and budget execution types, and assessing whether the results of house support projects were equivalent to the government-set purpose. As a result, the current status of hous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was insufficient due to high proportion of old houses and old ages of owners. In addition, house repair support projects did not contribute sufficiently to urban landscape because they focused more on building performance of old houses.

      • KCI등재

        구성주의 상담 접근 방식의 비예약 말하기 상담에 관한 연구 : ‘D대학 글쓰기말하기센터’를 중심으로

        정효진(Hyo-Ji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D대학의 글쓰기말하기센터에서 이뤄지고 있는 구성주의 상담 접근 방식의 비예약 말하기 상담 사례를 소개하고, 새로운 형태의 말하기 상담 방법론을 확장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말하기 상담과 구성주의 상담 접근 방식의 세부적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2019년 5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실시한 78건의 비예약 말하기 상담 사례를 수집하고, 그중 대표 상담 사례인 체험 학습을 통한 말하기 상담, 협력 학습을 통한 말하기 상담, 해결 중심 단기 상담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이 방식의 말하기 상담은 센터의 기능이 단순히 교정 또는 첨삭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다차원적인 사고가 가능한 통합적, 창의적 말하기 상담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는 점, 말하기 상담 영역을 인지적 측면에서 정의적 측면까지 확장할 수 있다는 점, 상담 교수가 내담자의 반성적 성찰을 돕는 촉진자의 역할이 강조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어느 방식이 더 우월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각각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상황 또는 목표에 따라 적합한 방안을 채택하거나 필요시 통합적인 시도를 수 있는 말하기 상담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구성주의 상담 접근 방식은 말하기 상담의 대안적인 인식론적 기초를 마련해주는 단초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s of non-scheduled speech counseling of constructivism counseling approach conducted in the Writing&Speech Center of D University, and to investigate ways to expand a new form of speech counseling methodology.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detailed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speech counseling and constructivism counseling approach. Then, this study collected 78 cases of non-scheduled speech counseling conducted from May 2019 to August 2019 and among them, this study specifically introduced representative cases of counseling as speech counseling through experience education, speech counseling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nd solution-focused brief counseling. Through this method of speech counseling, the function of the center did not only focus on checking or correcting errors but showed a possibility of integrative and creative speech counseling of multidimensional thinking, expanded the speech counseling section from cognitive aspect to emotive aspect, and emphasized the facilitator role of a counselor of helping with reflective self-examination of counselees. It is hard to say which method is more superior, but constructivism counseling approach will be the beginning of preparing an alternative epistemic basis of speech counseling in terms of considering a speech counseling method of understand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dividuals, adopting a suitable method according to circumstances or goals, or of making an integrated attempt if necessary.

      • 대구가톨릭대학교의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과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

        정효진 ( Jeong Hyo-jin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대구가톨릭대학교의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말하기 교과목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주요 대학의 ‘말하기’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을 살펴본 후, 대구가톨릭대학교의 ‘말하기’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 2017년 대학생핵심역량진단(K-CESA) 결과 분석, 그동안의 말하기 교육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구가톨릭 대학교 말하기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에서는 크게 ‘말하기 교육내용의 다각화’, ‘적절한 수강 인원 배치’, ‘글쓰기와의 연계 방안’, ‘비교과 활성화를 통한 교과연계 학습 효과 증대’로 나눠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peaking subject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the speaking subject development. To this end, the author firs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peaking’ related subjects at major domestic universities, then examined the opening status of ‘speaking’ related subject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the 2017 university student core competency diagnosis result analysis, and the speaking curriculum. Based on this, in the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speaking subject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discussion was made largely dividing into ‘diversification of contents of speaking education,’ ‘arranging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connection plan with writing,’ and ‘increase the effect of subject related learning through activation of comparative subjects.’

      • KCI등재

        온라인 강의에서 과제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상호작용 활성화 교육 사례 연구 -‘논어’를 중심으로-

        정효진 ( Jeong Hyo-ji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0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에서 과제 중심 교수법을 통한 논어 인성 교육사례를 소개하고, 온라인 강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상호작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 온라인 강의로 진행된 D 대학 ‘독서와 토론’ 교과목 수강생 58명을 대상으로 ‘개인적인 경험 공유하기’ 과제의 3가지 유형인 ‘질문 성찰형’, ‘행동 실천형’, ‘가치 존중형’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논어의 핵심 덕목을 기계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자기 성찰을 통해 고전을 통찰적으로 바라보는 자세를 기를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자기 성찰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는 점, 지루하지 않고 흥미로운 수업이었다는 점, 소통하는 분위기였다는 점은 긍정적인 측면으로 꼽혔다. 이를 통해 온라인 강의에서의 효과적인 고전 수업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 of theory education through a task-oriented teaching method in online lectures to seek a way to activate interactions that ca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online lectures. To this end, with 58 students taking the 'Reading and Discussion' course at D University, which was held as an online lectur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as the subject, three types of the task of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question-reflection type’, ‘action practice type’, and ‘value respect type’ were presented. As a result,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an insightful view of classics through self-reflection, rather than mechanically accepting the core virtues of the Analects. In addition, even though it was an online class, the fact that it was possible to have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that it was an interesting class without boring, and that it was an atmosphere of communication, were considered as positive aspects.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classical classes in online lectures and presented concrete action plans to promote active interaction.

      • KCI등재

        유아의 삶 속에서 구성한 수학·윤리적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간식 나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정효진 ( Jeong Hyo Jin ),정정희 ( Chung Chung 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6

        본 연구는 유아들이 그들의 삶 속에서 구성한 수학 · 윤리적 경험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 봄으로써 유아의 수학 · 윤리적 경험에 대한 이해와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만 5세 누리반에서 진행된 ‘간식 나눔 프로젝트’ 속에서 참여관찰, 교사 및 유아면담, 유아표상, 교사 및 연구자 일지를 자료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간식을 나누어 먹는 동안 점차 친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나눔의 방법을 찾아가고 있었으며, 자신의 몫만 신경 쓰다 차차 친구의 몫까지 챙겨주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은 ‘나와 너’의 욕구와 생각, 상황의 다름과 차이를 알고 ‘공평함’에 대한 정의를 구성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원하는 만큼’이라는 ‘상호 호혜적 보살핌’으로 그리고 서로의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고 이해의 지평을 넓혀가는 방식으로 ‘수(數)’와 ‘수학’을 적용하고 그 의미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자신의 삶의 맥락과 ‘나-너’의 관계 속에서 ‘수(數)’와 ‘수학’을 만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수학 · 윤리적 문제를 함께 다루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thematical and ethical experiences of children in their daily lives and its meaning and to offer implications for children mathematics education.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eacher and children interview were conducted during the Snack Sharing Project with 5 year olds children in Nuriban. Classroom observation, children’s artifact, dialogue, interview etc. and teacher and researcher's journal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Snack Sharing Project’ conducted. As children participate in the project during a snack time, they seem more likely to eagerly to their friends look for ways to speak up and share snacks with friends. In this process, the children were able to view differences in the desires, thoughts, and situations between 'I and Thou' and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fairness'. In addition, they applied the concept of 'number' and 'mathematics' in a way that recognizes the differences understand 'mutual reciprocal care'. We suggest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tackle mathematical-ethical problems and integrate their understanding of a relation between 'I and Thou' into learning 'number' and 'mathematics’ in daily lives.

      • KCI등재

        풍선덩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성분 분석

        정효진 ( Hyo Jin Jeong ),김아랑 ( A Rang Kim ),이건수 ( Keon Soo Lee ),박소현 ( So Hyun Park ),신혁수 ( Hyuk Soo Shin ),이상래 ( Sang Rae Lee ),송바름 ( Ba Reum Song ),이윤주 ( Yun Ju Lee ),안현진 ( Hyun Jin An ),이재덕 ( Jae Duk 대한화장품학회 201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그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평가와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는 풍선덩굴 건조 잎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수율은 16.4, 0.9 및 0.3%로 나타났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SC<sub>50</sub>)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92.5 μ g/mL)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대조군인 (+)-α-tocopherol의 FSC<sub>5</sub>은 8.9 μ g/mL이었다.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계를 이용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sub>50</sub>)은 아글리콘 분획(4.2 μ g/m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L-ascorbic acid (1.5 μ g/mL)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sup>1</sup>O<sub>2</sub>로 유도된 사람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에서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분획은 모두 농도 의존적(5.0-25.0 μ g/mL)으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추출물/분획물 중에서 아글리콘 분획(τ<sub>50</sub>, 76.4 min)이 가장 큰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TLC, HPLC, LC/ESI-MS를 이용하여 풍선덩굴 잎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pigenin-7-O-glucuronide, apigenin-7-glucosdie 및 quercitrin hydrate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들은 풍선덩굴 잎 추출물 또는 분획이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effect and component analysis for extract and fractions of Cardiospermum halicacabum leaf were investigated.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dried C. halicacabum leaf. The yields of extract and fractions were 16.4, 0.9 and 0.3% per dried powder, respectively. DPPH (1,1-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sub>50</sub>) of ethyl acetate fraction (92.5 μg/mL) was the great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lower than (+)-α-tocopherol (8.9 μg/mL).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total antioxidant capacity, OSC<sub>50</sub>)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aglycone fraction (4.2 μg/mL) was the highest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similar to L-ascorbic acid (1.5 μg/mL).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C. halicacabum leaf extract and fractions on the <sup>1</sup>O<sub>2</sub>-induced cellular damage of human erythrocytes were exhibited at all concentration-dependent (5.0-25.0 μg/mL). Especially, aglycone fraction (τ<sub>50</sub>, 76.4 min) in 25.0 μg/mL showed the most protective effect among extracts. Componen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from C. halicacabum extracts were analyzed by TLC, HPLC chromatogram and LC/ESI-MS. Results showed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contained some flavonoids, such as apigenin-7-O-glucuronide, apigenin-7-glucosdie and quercitrin hyd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and fractions of C. halicacabum leaf may be applied as antioxidant functional cosmetic raw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