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췌십이지장 절제술후의 가성동맥류: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진단과 색전술

        정준용,이상현,김삼수,한헌,정혜원,한준구,최병인,정진욱,박재형,Jeong, Jun-Yong,Lee, Sang-Hyeon,Kim, Sam-Su,Han, Heon,Jeong, Hye-Won,Han, Jun-Gu,Choe, Byeong-In,Jeong, Jin-Uk,Park, Jae-Hyeong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7 No.2

        목적: 췌십이지장 절제술후 합병증으로 출혈을 보인 환자에서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가성동맥류의 진단 및 색전술을 통한 지혈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51개월 동안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 받은 298명의 환자 중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로 혈관조영술을 시행한 19명(6.4%)의 환자에서 가성동맥류가 발견된 9명(3.0%)을 대상으로 출혈 전후의 임상소견, 혈관조영술 소견 및 색전술의 지혈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9명의 환자에서 혈관조영술로 가성동맥류를 진단하였다(총간동맥 4명, 위십이지장동맥 3명, 고유간동맥 1명, 좌위대망막동맥 1명). 크기는 0.3 cm에서 6.5 cm로 평균 1.9 cm이었고 조영제의 혈관외유출은 5명(55.6%)에서 보였다. 혈관조영술을 시행받은 나머지 10명의 환자에서는 혈관조영에서 출혈의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수술 2주일 이내와 이후의 조기 또는 지연출혈에 동반된 경우는 각각 5명, 4명이었다. 가성동맥류를 진단받은 9명 환자 중 대량 출혈이전에 문합부 유출로 인한 복강내의 체액 또는 농양 배출을 위해 경피적배액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7명(77.8%)이었으며 9명 모두에서 소량의 예기출혈을 보였다. 혈관조영술로 정확한 가성동맥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는 8명에서 코일을, 나머지 한명에서는 gelfoam을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고 모두에서 지혈에 성공하였다. 색전술과 연관된 주요 합병증을 경험한 환자와 추적기간 중(72-1336일,평균 640일)재출혈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췌십이지장 절제술후 가성동맥류는 드물지만 출혈의 원인으로 중요하며 혈관조영술 및색전술로 가성동맥류의 조기 진단 및 성공적인 지혈을 하여 위험이 높은 응급수술을 최소화할수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giograph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seudoaneurysm manifesting arterial hemorrhage as a significant complication following pancreatoduodenectomy. Materials and Methods: For 51 months, of a total of 298 patients who had undergone pancreatoduodenectomy, 19 patients (6.4%) developed clinically significant hemorrhage and nine patients proved to have a pseudoaneurysm on angiography. These nine patients (3.0%) were managed by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We analyzed clinical feature, angiographic findings and hemostatic effect of embolization retrospectively. Results: In nine patients (3.0%), pseudoaneurysm was diagnosed on angiography (common hepatic artery in four, gastroduodenal artery in three, proper hepatic artery in one, and left gastroepoploic artery in one patient). The size ranged from 0.3 cm to 6.5 cm (mean 1.9 cm). And extravasation was noted in five patients (55.6%). The remained ten patients showed no evidence of bleeding on angiography. Those who manifested as early bleeding (within two weeks) or delayed bleeding (later than two weeks) were five and four patients respectively. Before the onset of major bleeding, among the nine pseudoaneurysm patients, seven patients (77.8%) had experienced percutaneous drainage due to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with or without abscess resulting from anastomotic leak, and all nine patients had had preliminary minor bleeding. The angiogram demonstrated an exact site of bleeding as a pseudoaneurysm followed by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microcoil in eight patients, gelfoam in one) and achieved complete hemostasis yielding a success rate of 100%. Overall, no patients experienced complications related directly to the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echnique. During the follow-up period (72-1,336days, mean 640), no recurrence of bleeding was noted. Conclusion: Although pseudoaneurysm is a rare complication, it is important as a cause of hemorrhage after pancreatoduodenectomy. Angiography followed by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allows early diagnosis and hemostasis of pseudoaneurysm and minimizes the need for high-risk emergency surgery.

      • KCI등재

        지역정보와 색 정보의 단계적 적용에 의한 능동 객체 추적

        정준용,이규원,Jeong, Joon-Yong,Lee, Kyu-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9 No.2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지역정보 및 색 정보의 단계적 적용에 의한 Pan, Tilt 카메라를 이용한 능동객체추적방법을 제안한다. 환경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우시안 필터링으로 전처리를 행한다. 적응적인 가우시안 혼합 모델링을 이용하여 배경과 객체를 분리한다. 객체가 분할되면 객체의 중심에 가깝게 탐색 윈도우를 설정하고 객체의 색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색 정보를 카메라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추적이 가능한 CAMShift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객체를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추적에 있어서 객체의 중심점이 화면의 중앙에 놓이도록 Pan, Tilt를 제어함으로써 적합한 추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수동 영역 설정 방법보다 효과적임을 보였다. An active object tracking algorithm using Pan and Tilt camera based in the stepwise application of region and color information from realtime image sequences is proposed. To reduce environment noises in input sequences, Gaussian filtering is performed first. An image is divided into background and objects by using the adaptive Gaussian mixture model. Once the target object is detected, an initial search window close to an object region is set up and color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region. We track moving objects in realtime by using the CAMShift algorithm which enables to trace objects in active camera with the color information. The proper tracking is accomplish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an and tilt to be placed the center position of object into the middle of field of view.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hand-operated window method.

      • KCI등재

        기울기 히스토그램 및 폐색 탐지를 통한 다중 보행자 추적

        정준용,정병만,이규원,Jeong, Joon-Yong,Jung, Byung-Man,Lee, Kyu-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감시 시스템에 부합하는 기울기 히스토그램 및 폐색 추적을 통한 다중보행자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연속 영상에서 보행자의 특징을 이용하여 보행자를 검출한다. 보행자의 특징을 획득하기 위해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를 기반으로 기울기의 방향성을 이용한 블록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고, Linear-SVM(Support Vector Machine)의 학습을 통해 보행자만을 분류한다. 다음으로 보행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추적을 행한다. 마지막으로 추적이 끝날 경우 내용기반 검색이 가능한 움직임 궤적 디스크립터를 생성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빠르고 정확한 움직임 추적에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In this paper, multiple pedestrians tracking system usin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and occlusion detec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is applicable to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First, we detect pedestrian in a image sequence using pedestrian's feature. To get pedestrian's feature, we make block-histogram using gradient's direction histogram based on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after that a pedestrian region is classified by using Linear-SVM(Support Vector Machine) training. Next, moving objects are tracked by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lassified pedestrians. And we create motion trajectory descriptor which is used for content based event retrieva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fast, accurate and effective than conventional methods.

      • '몰랐다'가 통용되지 않는 전쟁터

        정준용,Jeong, Jun-Yong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0 디지털콘텐츠 Vol.2 No.-

        이미 우리가 사는 환경의 일부가 되어버린 인터넷. 때문에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는 인터넷 문명 속에서 사회의 안정과 균형을 추구하는 추구하는 도구로서의 법의 역할은 장차 우리사회의 변화의 폭과 깊이를 결정짓는 주요한 척도가 될 듯 싶다. 어떻게 활용되고 대비를 해야하는지 살펴봤다.

      • KCI등재후보

        마음수련 명상이 화병, 스트레스 증상 및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

        정준용(Joon Yong Jeong),김정호(Jeong Ho Kim),김미리혜(Mirihae Kim),김정일(Jeong Il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5 스트레스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마음수련 명상이 일반인의 화병, 스트레스 증상 그리고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자는 매주 단위로 진행하는 7박 8일간의 마음수련 명상 합숙 프로그램 참여자를 총 7주에 걸쳐 누적 집계한 120명(남자 65명, 여자 55명)이며, 매주 평균 참여자는 15∼20명이다. 마음수련 명상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화병 증상척도, SCL-90-R 그리고 명상 후 주관적 경험 질문지를 SPSS 18.0으로 자료 분석 하였다. 확인된 결과는, 화병의 하위차원인 핵심증상, 신체증상, 정신증상, 고통지수 그리고 SCL-90-R의 하위 차원인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등 모든 증상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대처방식에서는 정서 지원추구, 정서표출, 소극적 철수에서 유의한 감소와 고집, 긍정해석, 적극대처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여 긍정적 대처방식으로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마음수련 명상이 화병증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시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on Hwa-byung symptoms,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yles. Participants were 120 people consisting of 65 men and 55 women who attended a MAUM meditation camp which lasted for 8 days. Ages ranged from 15 to 60 years (Men’s mean of age=41.8 years old, SD=11.2; Women’s mean of age=41.6 years old, SD=11.8). In the MAUM meditation camp, the participants were trained to meditate and be mindful for the total of 70 hours in groups of 15 to 20 peopl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UM meditation participants showed decreases in scores on all subscales of Hwa-Byung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and SCL-90-R. The participants also endorsed more adaptive coping strategies and less maladaptive strateg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UM meditation can help people reduce Hwa-Byung symptoms and stress from daily life events.

      • KCI등재후보

        이형성 협심증의 임상상

        강정아(Jeong A Kang),이유선(Yeu Seon Lee),정승현(Seung Hyeon Jeong),이정우(Jeong Woo Lee),김보영(Bo Yeong Kim),임대승(Dea Seung Im),이민수(Min Soo Lee),김정희(Jeong Hee Kim),정준용(Jun Young Jeong),최시완(Si Wan Choi),정진옥(Jin Ok J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2

        목적: 우리나라는 이형성 협심증의 발생 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임상상과 예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조사는 이형성 협심증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그 빈도와 임상상 그리고 예후에 대해 연구 조사하였다.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0년 7월까지 흉통을 주소로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 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 조영술를 시행한 결과 관상동맥의 내경의 협착이 50% 미만이며 에르고노빈(ergonovine)8, 9) 유발 검사로 이형성 협심증으로 진단된 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1) 관상동맥질환자 중 이형성 협심증 환자의 빈도는 13.2%로 높았다 2) 이형성 협심증의 위험인자는 흡연이 가장 많았다. 3) 이형성 협심증의 임상상은 대부분 불안정형 협심증의 양상이었고, 13.2%의 환자는 급성심근경색의 임상상을 보였다. 4) 흉통의 발생 시간대는 대부분 새벽이었고, 흉통의 지속시간 평균 11분으로 일반 협심증보다 길었다. 5) 흉통이 없을 때 검사한 심전도는 대부분에서 정상이었고, 운동부하 심전도검사는 76%에서 음성소견을 보였다. 6) 이형성 협심증의 진단에 에르고노빈 유발 관상동맥 조영술은 안전하고 유용한 검사이다. 7) 이형성 협심증의 치료에 칼슘길항제와 나이트레이트제제는 효과적인 약물이다. 8) 이형성 협심증의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나 임의로 약물이 중단된 상태에서 심장사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형성 협심증 환자는 흉통 발생에 대비한 나이트레이트의 준비가 필요하다. 결론: 본 조사에서는 관상동맥질환자의 13.2%가 이형성 협심증 환자였고, 이들은 약물 치료에 대한 효과와 예후가 비교적 양호하였다. 그러나 2.8%의 환자에서 심정지나 심장사가 발생하여 흉통 발생시에 적절한 나이트레이트제제의 사용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 Coronary artery spa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variant angina.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variant angina remain to be elucidated.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features of variant angina. Method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were analyzed in 178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documented coronary artery spasm, which developed spontaneously or was provoked by the admistration of intravenous ergonovine maleate. All patients were followed for at least 1 year or more or until their death. Results: One hundred and eleven patients complained of chest pain which developed especially at night and in the early morning. One hundred and thirty three patients (74.7%) were smokers. The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at the time of admission showed no changes in 147 cases (82.6%), testes showed ST segment elevation in 22 cases (12.4%), ST segment depression in 2 cases (1.1%), T wave inversion in 7cases (3.9%). The treadmill test was performed in 135 cases, ST segment elevation was noted in 6 patients (4.4%) and ST segment depression in 18 patients (13.3%). All of the other results were within normal range. The ergonovine provovative tests for coronary spasms were safe and effective. The right coronary artery was the most prevalent site of coronary artery spasm. Drug treatment was applied initially to all patients, but only 115 patients (64.5%) received the follow-up. Of these three died from cardiac arrest. The rate of cardiac death was low (1.7%) in patient, which made it difficult to know the risk factors for the cardiac deaths. Two (1.1%) had cardiac arrest. They didn't take any medication.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usually responded well to nitrates and calcium antagonists. Thus nitrates and calcium antagonists are useful in preventing attacks and abolished attacks of variant angina. Conclusion: In this study, 13.2% of coronary artery disease was variant angina. The effectiveness of drug therapy and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was quite good in the group. But when chest pain happens, the adequate use of nitrate agents is needed because of cardia arrest or cardiac death in 2.8% of the patients. (Korean J Med 63:195-202, 2002)

      • 지역정보와 색 정보의 계층적 적용에 의한 능동 객체 추적

        정준용 ( Joon-yong Jeong ),이규원 ( Kyu-w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본 논문에서 Pan, Tilt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을 위하여 초기 지역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색 정보를 이용하여 능동 객체를 추적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외부 환경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적응적인 가우시안 혼합 모델링을 이용하여 배경과 객체를 분리한다. 객체가 정해지면 카메라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추적이 가능한 CAMShift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를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CAMShift 추적 알고리즘은 객체의 크기를 계산하므로 객체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유동적인 객체 판별이 가능하다. Pan, Tilt의 위치는 구좌표계(Spherical coordinates system)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렇게 구해진 Pan, Tilt 위치는 Pan, Til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화면의 중심에 놓이게 함으로써 적합한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농촌 활성화를 위한 법 구성에 관한 기초연구

        정준용(Jeong, Jun-Yong),김상철(Kim, Sang-chul),문진우(Moon, Jin-woo),박형근(Park, Hyung-Keun),윤준선(Yun, Jun-Seon) 한국부동산학회 2014 不動産學報 Vol.58 No.-

        우리나라는 고도성장을 이루면서 도시의 수와 양은 늘어났지만, 상대적으로 농촌은 농가 인구 감소 및 노령화 현상이 나타나 낙후된 곳으로 전락되어, 이제는 농촌의 재생이란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발전을 위하여 현재의 농촌의 모습을 조망하고, 법률적인 차원에서 농촌의 재생을 위한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문헌고찰을 포함, 농촌의 현황을 파악하여 농촌을 대상으로 한 정부정책은 어떤 것이 있는 지를 조사한 후, 도심재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농촌을 재생시킬 수 있는 법의 체계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농촌과 관련된 법률을 모두 조사하여, 도시 재생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을 근간으로 농촌의 재생을 진작시킬 수 있는 법(가칭농촌재생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도록 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research aimed at presenting the direction on the law clauses' composition for Korea farm village's development through comparing urban regeneration to rural's.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focused on rural law clauses comparing to the urban regeneration' law. The urban law was used for legislating farm regeneration' law clauses that consequently were composed of existing farm laws. (3) RESEARCH FINDINGS The research team showed the guideline of farm generation's law which was composed of 34 clauses. 2. RESULTS A lot of Korea farms have been in difficulty due to aging of major constituents, lack of population, labor shortage, opening international markets, and farm household debts. However, a few research, which have dealt with the currently existing problem and status in farms, have been conducted to regenerate farm villages. Therefore, the research team proposed, so called, 'Farm generation law' clause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