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액상화 가능 지수를 활용한 확률적 액상화 재해도

        정재원,Chung, Jae-won,Rogers, J. David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6

        공학적 측면에서 확률론적 액상화 재해 작성법이 점차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 액상화 피해 현장의 액상화 가능 지수(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를 이용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액상화 피해 확률을 예측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바탕으로 광역지역의 액상화 재해도 기법을 제시하였다. 사례 연구로서 미국 세인트루이스 지역 홍수평야의 표준관입시험(273 곳) 결과를 대상으로 LPI를 산정하였고 최대지반가속도를 코크리깅의 이차변수로 적용하여 보간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구역에서 연약지반과 얕은 지하수위로 인해 LPI 값이 5이상으로 나타나, 액상화로 인한 지반 피해 확률이 0.5 이상으로 예측되었다. Probabilistic liquefaction hazard map is now widely needed for engineering practice. Based on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calculated from liquefied and non-liquefied cases, we attempted to estimate probabilities of liquefaction induced ground failures using logistic regression. We then applied this approach for the regional area. LPIs were calculated based on 273 Standard Penetration Tests in the floodplains in the St. Louis area, USA and then interpolated using cokriging with the covariable of peak ground acceleration. Our result shows that some areas of $LPI{\geq}5$, due to soft soil layers and shallow groundwater table, appear probabilities of ground $failure{\geq}0.5$.

      • KCI등재

        이어폰 및 헤드폰의 정자기장이 인공심장 박동기 및 이식형 제세동기에 미치는 영향

        정재원,최수범,박지수,김덕원,Chung, J.W.,Choi, S.B.,Park, J.S.,Kim, D.W.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5 의공학회지 Vol.36 No.1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static magnetic fields of earphones and headphones on pacemakers an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ICDs). Five pacemakers and three ICDs were subjected to in-vitro test with three headphones which were an in-ear earphone, clip-on headphone, and closed-back headphone. Each implantable device was placed in close proximity(within 3 mm) to the ear-pad of each of the earphone and headphones for 3 min. As a result, no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pacemakers for the earphone and headphones during the test, but an effect was observed on one ICD for the clip-on and closed-back headphone during the test. When the ICD was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the headphones, the ICD temporarily suspended functions of tachyarrhythmia detection and therapy. The effect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when the headphones were at least 2 cm from the ICD. Based on these findings, patients with ICDs should be advised to keep earphones and headphones at least 2 cm apart from their ICDs.

      • KCI등재

        실내 온도, 상대습도, CO₂, 조도 값을 이용한 재실감지 방법에 관한 연구

        정재원(Jai-Won Chu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occupancy detection using indoor temperature, humidity, CO₂, and illuminance values. Indoo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CO₂, illuminance, and occupancy status were measured at one minute intervals through the experiment. About 80% of the total measured data (n = 13,894) was used as the training set data (n = 11,115), and about 20% of the data was used as the test set data (n = 2,779).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orward selection method and the training set to construct the model. All input variable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CO₂, illuminan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s for model construction, and Yoden index was calculated to be 0.433 that was used as the cut-off valu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occupancy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model using the test set,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0.878, 79.5%, 83.1%, and 76.4%, respectively.

      • KCI등재
      • 여성의 출산 후 체중변화와 생활양식

        정재원 ( Chung Chae Weon ),김혜원 ( Kim Hyewon ),김효정 ( Kim Hyojung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6 간호학의 지평 Vol.13 No.2

        Purpose: Gestational weight gain and prepregnancy body weight are important factors of childbirth outcomes, which further cause obesity, metabolic diseases, or psychological problems later in women’s lives. Changes in diet, westernized lifestyle, traditional postpartum care, and childbirth at older age are thought to be threats to proper weight management in Korean women of reproductive age. Public health and antenatal care need to focus on the proper body weight management of women by carefully planning pregnancy to postpartum period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body weight changes from pregnancy to postpartum and the related characteristics in women within 12 months after childbirth. Methods: A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02 Korean women within 12 months after childbirth.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system,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vailable for electronic self-administration was modified to include demographics, obstetrical history, and body weight at 6 time points.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Eating Habit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also used in data collection. A professional survey agency recruited the participants, and data were automatically saved and then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3.8 years, 48% were housewives and were well-educated. Seventy-two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primiparas and 82% had breastfed their babies. The body mass index (BMI) ranged from 17.3 to 27.8, indicating that 21.5% of the participants were overweight or obese. The mean gestational weight gain was 11.8 kg, and weight loss was apparent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The mean decline in weight was 3.4 kg at one year after childbirth. Women wanted to lose 5.6 kg (range: 3~20 kg), however 44% of them reported that they had not engaged in any weight control efforts. Further, 72% of them reported having engaged in a low level of physical activity. Body weight was not associated with women’s characteristics, physical activity score, and diet. Conclusion: Women’s awareness of gestational weight gain, lifestyle modification, and the risk of prolonged weight retention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antenatal and women’s healthcare systems. As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critical events that affect women’s health, integrative education to ensure healthy transition to life after delivery is required.

      • KCI등재

        임신 말기 뇌실확장증 및 미성숙폐가 합병된 과도신전 경부의 태아

        정재원 ( Jae Won Chung ),이은성 ( Eun Sung Lee ),백유진 ( Yu Chin Paek ),이경희 ( Kyung Hee Lee ),설현주 ( Hyun Joo Seol ),오민정 ( Min Jeong Oh ),김해중 ( Hai Joo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3

        과도신전된 태아두(hyperextended neck)는 산전초음파로 발견되어질 수 있는 다양한 태위들 중 하나로 과도신전된 태아두를 진단하는 것은 중요한 일인데 특히 질식분만을 시도하게 되는 경우 경추손상의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속적인 과도신전된 경부를 보이는 태아에서는 구조적 이상의 동반 및 다양한 증후군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고 구조적 이상이 동반된 경우 자궁내 또는 출생 후 사망이나 질병이환률이 현저히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과도신전된 경부를 보이는 태아에서 다른 구조적 이상여부 확인을 위해 좀 더 자세한 평가를 하고 그에 따르는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본 저자들은 산전임신중반기에 발견된 과도신전된 경부를 가진 태아가 임신후반기에 뇌실확장 및 폐미성숙 소견을 보였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Hyperextended neck of the fetal head is among the various fetal attitudes detected by prenatal sonography. Various etiologies may lead to hyperextension of the fetal head, including fetal anomalies such as structural abnormalities, conjoined twins and fetal neck masses, nuchal cord and uterine factors such as leiomyoma and uterine malformations. The importance of the precise prenatal diagnosis of this condition relates not only to the delivery mode, but also to the detection of associated conditions, as noted above. We report a case of a fetus whose persistent hyperextended neck was detected by midtrimester sonography, and who later demonstrated ventriculomegaly and lung immaturity in the 3rd trimester.

      •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센서 기반의 재실감지방법에 관한 연구

        정재원(Jai-Won Chung),장달원(Dalwon Jang),이재원(Jae-Won Lee),김미지(Mi-Ji Kim),김서율(Seo-Yul Kim),이종설(Jong-Seol Lee)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가정집 등의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센서와 기계학습방법을 활용한 재실감지방법에 대해 알아본 연구는 조사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센서 측정값을 사용해 주거 공간에서 재실여부를 감지하는 랜덤 포레스트 모형(random forest model)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1분 간격으로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재실여부를 측정했다. 측정된 전체 데이터(n = 4,665) 중 약 80%는 트레이닝 셋 데이터(n = 3,732)로 5차 교차검증방법(5-fold cross validation method)을 사용해 랜덤 포레스트 모형을 구축하는데 사용했다. 전체 데이터 중 약 20%는 테스트 셋 데이터(n = 933)로 사용해 구축한 랜덤 포레스트 모형의 예측 성능을 평가해본 결과, CO₂ 농도 및 소음레벨 값을 사용해 87.2%의 정확도로 재실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미디어 미학을 통해 본 공간 인식의 변화와 특성 연구

        정재원(Jae Won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문자문화에서 이미지 문화로 전환되었고, 이미지 수용방식의 변화를 통해 미디어 미학의 분석 대상이 변화하였다. 미디어 미학은 현대예술과 디자인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지녔다 할 수 있다. 특히, 지각이론으로서의 미디어 미학과 감성이론으로서의 미디어 미학은 현대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와 미디어에 의한 문화의 변화에 따라 공간에 대해 새롭게 나타난 시각과 인식의 변화에 대하여 미학적으로 접근하여 고찰하고, 미디어 미학적 관점으로 본 공간 인식의 변화와 미디어 발전에 따른 특성변화를 밝히고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과 표현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단행본, 관련 출판물과 학술정보 사이트의 D/B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최근의 미디어 기술이 접목된 공간디자인 작업 중에 2000년 이후의 작품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미디어 미학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미디어에 의해 발생한 평가체계의 변화를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았고,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근대건축과 비교하여 밝혀냈다. 미디어에 의한 공간 인식의 변화와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인식의 변화는 미디어에 의한 비물질화 경향과 형태적 모호성, 그리고 이미지 중시 경향을 알 수 있다. 공간에서 이미지는 의미를 내포하고, 재현 체계로써의 매체적 특성에 의해 발현되며, 수용 체계의 주체인 인간의 지각과 사고를 거침으로써 물질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특성이 복합적이고 동시적으로 나타난다. 공간에 표현되는 이미지는 결국 복합적인 현상이라 볼 수 있으며, 미디어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디어에 의한 공간에서의 주된 표현 양상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미디어 발전에 의한 미디어 공간의 특성은 연속성 개념과, 상호작용, 빗물질화, 유동성, 잠재적 관계성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출한 공간의 특성에 따라 사례를 분석하여. 그 결과 현대 미디어 공간의 미적 경향과 감성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transferred word-culture to image one and the changes in image acceptance mechanism has changed analyzing subject of aesthetics. The media aesthetics can be important to the modern art and design. Especially, the media aesthetics as perception and sensibility theories becomes the fundamental ke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of modern space. This research give an aesthetic contemplation on the changes in visual and conception, which are resulted from changes in culture caused by media, and examine changes in perception on space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aesthetic view. In doing so, this paper has conceptualized aesthetics and its importance though investigating relevant literatur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done by analyzing thesis, article of journal, research essay and books, D/B on site of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space design projects since 2000 that connect the recent media technology selected to analyze the case and were investigating. Through the theory consideration of media aesthetic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hanges in awareness of space which has been led by media. The tendencies in new perception on space have been classified into non-materialized, morphological ambiguity and image-focused ones. From this,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hanges in media has been focused on turning of space to image and the meaning of the image has changed as time has gone by. The image has characteristic of signal as a symbolic system. The image contains meaning and is manifested by characteristics of media as representation system and present physical characteristics through human`s, the main agent of acceptance system, and thinking. Such characteristic appears integrated and synchronistically The image presented on space can be seen as an integrated process and it is largely affected by media.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main tendency in presenting spatial image by media along with periodical stream. The modern new media has generated new equilibrium of sense and is leading to new type of environment-space. Through the aesthetics of new media as sensitivity theory, we can communicate with the aesthetic tendency of media space and emotionalized daily life.

      • KCI등재

        타지키스탄 내전과 그 이후: 민족주의, 이슬람 그리고 민주주의

        정재원 ( Jaewon Chung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이데올로기와 이슬람, 지역주의, 족벌(clan), 우즈벡 민족 문제등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도 체제전환 및 내전, 그리고 종전 이후 국민 국가건설 등 최근까지의 타지크 정치사회적 변화의 핵심으로 타지크 민족주의 적 요소가 있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즉 체제전환기와 내전에 이르는 기간자유주의 정치세력에서 이슬람주의 정치세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저항 세력의 공통적 분모는 타지크 민족주의였으며, 내전 이후 옛 공산정권과는 달리, 라흐몬의 권위주의 정부가 민족주의의 의제들 중 상당부분을 수용하면서 저항 세력들의 입지가 크게 약화된 측면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 소련 체제 붕괴 시기 반공산 민주화의 핵심 이데올로기였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는 각각 제도적 민주주의의 외피와 시장경제 발전 과정 속에서 이후 그 급진성을 상실하거나 국민 국가 건설 과정에서 라흐몬 권위주의 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일부가 됨으로써 그 진보적 성격이 사라지는 운명을 맞이하고 있다. 지역과 족벌, 종교 등에 기반한 정치가 아니라 이념과 정책에 기반한 정치로 전환할 때만이 민주주의가 정착될 수 있다고 할 때, 독특한 발전의 길을 걸어 왔던 타지크 이슬람 정치 세력의 부침과 새로운 정치 세력의 등장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슬람 지역에서의 민주주의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shed light on the Tajik nationalism among the other factors, such as ideologies, Islam, religion, clan, and Uzbek minority problems that has had strong influences on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Tajikistan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the civil war and nation-building so far. Throughout the period of transition and civil war, liberal and Islamist opposition parties-resistances have shared Tajik nationalism with each other. Since the end of the civil war, the opposition parties, including Islamic political party(Islamic Renaissance Party), have been weakened, because, unlike the former Communist Party, Rakhmon’s authoritarian regime have accommodated and adopted Tajik nationalism. However, liberalism and nationalism have lost their radical and progressive nature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system and have become a part of the ruling ideologies by the Rakhmon’s authoritarian regime. It is said that democratic system can be improved and developed when it is based not on regionalism, clan, and religion, but on the idea and policy. In this context, through the study on the fate of the existing liberal and Islamic political parties and the appearance of the new political actors, the article try to forecast the pa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democracy in the Muslim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