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빈곤 편모가족을 위한 이세대(二世代) 프로그램

        정익중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사회과학연구 Vol.8 No.-

        본 연구는 빈곤 편모가족을 위한 개입프로그램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는 이세대(二世代)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빈곤 편모가족을 위한 개입프로그램들은 아동중심 프로그램이거나 성인중심 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었다. 아동중심 프로그램은 아동에게 적절한 발달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편모가족의 빈곤탈피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고, 성인중심 프로그램은 편모의 경제적 자활을 위해 교육이나 고용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편모가족에서 자라나는 아동의 발달적 욕구나 편모의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반면 이세대(二世代) 프로그램은 건강한 아동발달과 편모의 경제적 자활을 동시에 증진시키기 위해 이세대(二世代) 모두를 대상집단으로 하여 서비스를 통합조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세대(二世代)에 대한 동시적 접근은 시너지적 효과를 통해 편모의 경제적 자활 능력은 물론 육아능력과 가족자원의 증대를 가져와 조기 아동기 발달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얻어진 효과를 계속 지속시켜 아동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이세대(二世代) 프로그램의 궁극적 목표는 편모의 교육과 직업준비정도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장려하여 빈곤의 세대간 전이를 막고 만성적 빈곤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결론부분에서는 이세대(二世代) 프로그램의 예상결과를 중심으로 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좀 더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행해져야 할 향후 과제와 한국 사회정책에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I am grateful to Lewayne Gilchrist, Brian Smith, and Inhoe Ku for their helpful comments on earlier drafts. Also I would like to acknowledge the support of the Social Develoment Research Group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where I was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when this work was completed.

      • KCI등재후보

        성역할 고정관념과 청소년비행의 성별 차이

        정익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5 한국청소년연구 Vol.16 No.1

        This study addresses gender issues that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empirical research-sex differences in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mechanism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stereotypes and delinquency. Data come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dministered b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levels of delinquency. Boys and girls share common predictors and have a few gender specific predictors of delinquency. This study performs a Chow test for equality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across male and female subsamples. Results of a Chow test indicate assuming that the same model parameters apply equally to both groups by pooling the data is more appropriate than treatment of the data as two different subsamples. This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stereotypes and delinquency is mediated by self-esteem and aggres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mediating processes that girls experience are different from those that boys experience. Girls who accept traditional sex role stereotype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 self-esteem. By contrast, boys who accept traditional sex role stereotype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self-esteem.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and delinquency preventio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 1차년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비행의 경험 측면, 예측요인 측면, 비행경로 측면에서의 성별차이를 분석하였다. 청소년패널 내 중학교 2학년 여자청소년의 51.9%, 남자청소년의 49.7%가 14가지 종류의 비행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자기보고식 비행경험에 있어서는 성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여자청소년 비행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청소년비행의 예측요인 측면에서도 성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분리된 모형에서의 일련의 회귀계수가 동등한지 상이한지를 살펴보기 위한 Chow 검정을 실시한 결과, 성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여자청소년과 남자청소년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전체집단으로 동일 모형을 구성해도 별 무리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성역할 고정관념이 청소년비행에 이르는 경로를 자아존중감과 공격성 두 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 차이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자아존중감과 공격성 모두 성역할 고정관념과 청소년비행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매개하였다.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이 여자청소년에게는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반해 남자청소년에게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별로 상이하게 작용하여 비행의 위험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청소년 비행예방 및 교정을 위해서 이러한 남녀청소년의 경험적 특수성을 프로그램에 일부 반영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Identifying and Predicting Adolescent Smoking Trajectories in Korea

        정익중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8 사회복지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identify different adolescent smoking trajectories in Korea; and 2) to examine predictors of those smoking trajectories within a social developmental frame. Data were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 longitudinal study of 3,449 youths followed since 2003. Using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ing, four smoking trajectories were identified: non initiators, late onsetters, experimenters, and escalator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were then used to identify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trajectory groups from one another. Among non smokers at age 13, late onsetters were distinguished from non initiators by a variety of factors in every ecological domain. Among youths who already smoked at age 13, escalators who increased their smoking were distinguished from experimenters who almost desisted from smoking by age 17 b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practice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흡연, 음주, 인터넷 게임 이용의 공존이환이 청소년의 학교 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익중,김세완,신희주,박미경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40

        본 연구는 청소년의 흡연, 음주, 인터넷 게임 이용의 공존이환이 학교 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3의 중1 패널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첫째, 공존이환을 포함한 청소년의 흡연과 음주는 각각 학교 내 사회적 관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존이환을 포함한 인터넷 게임 이용은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존이환을 포함하지 않은 흡연, 음주, 인터넷 게임 이용 각각은 사회적 관계에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위비행 1가지만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학교 내 사회적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위비행 2가지 이상(공존이환)을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에서만 학교 내 사회적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지위비행의 공존이환을 반영할 수 있도록 청소년복지 정책 및 실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Since prior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single status delinquency, there is a natural lack of research on comorbidity of status delinquency.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comorbidity among smoking, drinking and internet game usage on adolescents’social relations in high school. This study utili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4th wave data(1st grade in high school)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game usage with comorbid data did not have an effect on social relations, smoking and drinking with comorbid data negatively influenced among high school students. Second, smoking, drinking and internet game usage without comorbid data were not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rela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multiple status delinquencies(comorbidity) impacted social rela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youth welfare policy and practice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morbidity i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status delinquency.

      • KCI등재

        가정위탁종결청소년의 자립경험

        정익중,김주현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가족복지학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structure of independent living of adolescents after their termination from the foster care system by using Giorgi research method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how their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s were. The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s of foster adolescents was examined from the stage of living in the foster home to the stage of independence from the foster hom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ntext and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ir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such as ‘living in a foster home during adolescence’, ‘life without biological parent’s deficiency’, ‘being forced to leave early without enough preparation’, ‘struggling alone in the rough world’, ‘living in desolation without support and guidance’, and ‘setting the direction and principles correctly’. These results provided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how preparations were made in the process of independent living and how independent living life was after the termination.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lternativ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independent living support policy and practice field within foster care system. 본 연구는 가정위탁종결청소년의 자립경험이 어떠했는지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Giorgi의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위탁가정으로부터 분리 후 자립경험의 일반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가정위탁종결청소년의 자립경험은 전후 맥락과 시간성을 고려하여 위탁가정에서 생활하는단계부터 위탁가정으로부터 분가 후 자립하는 단계까지 도출한 결과, ‘청소년기에 위탁가정에서 살기’, ‘친부모 없는 내색 안하고 삶’, ‘준비부족해도 어쩔 수 없이 조행(早行)함’, ‘거친 세상에서 홀로 휘청거림’, ‘발판이 없는 황량한 삶’, ‘방향과 틀을 바로잡아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가정위탁종결청소년의 자립과정에서 사전준비가 어떠했는지, 분가 후 자립생활이 어떠했는지를 맥락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위탁제도의 자립지원정책및 실천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 종합토론 3 : 토론: 한국의 나눔교육 실태

        정익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2015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기획포럼 자료 Vol.2015 No.-

        청소년 비행이 성인범죄 수준으로 흉포화되고 있으며 물질만능주의와 이기주의의 폐해 속에서 인면수심의 행위들이 만면하면서 우리 사회 전반을 돌아보게 하고 있다. 학교 교육이 인성교육은 도외시한 채 입시와 취업 위주의 교육에 몰두하고 학교폭력, 왕따, 자살 등 숱한사회문제를 야기하면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 결과 대학입시에 인성을 평가하는 항목을 넣자는 주장까지 나오게 되었고, 그 바탕에는 입시 위주 교육이 옳고 그름을 구별하고 공동체에 대한 존중을 가르치는 방향에서 벗어났다는 문제의식이 깔려 있다. 이렇게 아동청소년의 인성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고,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면서 인성교육의 맥락에서 나눔교육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나눔교육 실태조사는 매우 시기적절하고 의미있다고 판단된다.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현황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 실태조사는 우후죽순 격으로 확대되고있는 인성교육이나 나눔교육의 정책방향을 제대로 잡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빈곤-비빈곤 아동청소년집단별행복감에 이르는 꿈 관련 변인 탐색: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적용

        정익중,조윤호,오은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2

        The happiness of our children is at the lowest level among OEC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 dream as a major factor in the happiness of children, what is relatively important among dream-related variables, and how those variables predict a happin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2017 Korea future generation's dream survey” for 11 to 18 year-old youth in nation wide. As a result, the more concrete the dream is, the more self-determined the dream is,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dream realization, the less change of dream, the more often they talk about the dream, the more they realized their dreams, the higher the happiness is. In addition, among the dream-related variables, except for self-determination and change degree of the dream, the difference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youth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in the prediction model of happiness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youth, the possibility of dream realization is suggested as common important factor of both models. However, realizing the dream is relatively important in the non-poverty group, while the existence of dream is important in poverty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we emphasized that the intervention for dreams should be executed differently in order to achieve happiness for youth.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행복감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하여 최하위 수준이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행복에 있어 꿈을 주요한 요인이라 보고, 다양한 측면에서의 꿈 관련 변인들 중 행복에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인이 무엇인지, 빈곤 집단과 비빈곤 집단별로 행복감에 어떠한 꿈 변인이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1세~18세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꿈 실태조사결과를 집단간 차이분석과 비모수 통계방법인 의사결정나무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꿈이 구체적이고 분명할수록, 꿈의 자기결정권이 보장될수록, 꿈의 실현가능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꿈의 변화정도가 적을수록, 꿈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나눌수록, 오늘 자신의 삶 속에서 꿈을 실현하며 살아갈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꿈 관련 변인들 중 꿈의 자기결정과 변화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에서 모두 빈곤과 비빈곤가정 아동청소년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빈곤과 비빈곤가정 아동청소년 간 행복감 예측모형에 있어, 양자 모두 꿈의 실현가능성이 중요한 변인으로 제시되었으나, 빈곤 집단에서는 꿈 유무, 비빈곤 집단에서는 꿈에 따라 살아가는지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변인으로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청소년의 행복을 위해 꿈에 대한 개입이 계층별로 상이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 다차원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익중,이승진,안선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5 No.-

        본 연구는 가구의 다차원 빈곤 잠재계층 유형이 아동의 발달에 횡단 및 종단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0차, 13차, 16차 가구, 가구원 및 아동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은 아동이 속한 304가구와 336명의 아동이다. 다차원 빈곤 잠재집단 유형화를 위해 잠재계층분석(LCA)과 잠재계층성장분석(LCGA)을 실시하였고,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BCH 보조변수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횡단적으로 살펴본 다차원 빈곤의 잠재계층은 3개의 집단(다차원 빈곤, 중간 다차원 빈곤, 다차원 비빈곤)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분류된 잠재계층 유형에 따라 10차 자료에서는 우울 및 불안, 공격성, 주관적 행복감에, 13차 자료에서는 학업성적에, 16차 자료에서는 부모와의 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차원 빈곤 유형 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4개의 집단(다차원 빈곤 지속형, 다차원 빈곤 가중형, 다차원 빈곤 회복형, 다차원 비빈곤 지속형)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분류된 변화궤적 잠재계층 유형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다차원 빈곤의 접근 필요성 및 실천·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