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북한군의 정치사상교육과 조직생활 -일탈과 변화-

        정은찬 ( Eun Chan Jeong ) 한국군사학회 2016 군사논단 Vol.86 No.-

        The education of political ideas for the North Korean military has been going through reform with the intensified leadership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over the North Korean military since Kim Jong-un came to power, introducing an id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composed of 5 subjects: greatness, ideology, Kim Jong-un patriotism, anti-classism and ethics to strengthen their socialistic ideology. In particular, policie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ought indoctrination are being presented facing that the North Korean military’s deviation and changes in awareness are becoming amplified due to North Korea’s economic difficulty. However, disquiet among military elites, corruption and irregularities of middle-management military officers, deviation of soldiers (rule violation, leaking military secrets, misappropriation of military supplies, damaging civilians, corruption, capital accumulation, drinking and beating) and changes in military’s awareness (longing for the outside, military service avoidance and deviationism) are becoming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instability of the system in North Korea. This phenomenon shows lack of reality and receptive capacity in the education of political ideas in North Korean military; North Korea is moving further away from their policy to achieve ‘peninsula unification under communism’with their revolutionary military spirit while escorting their leader and protecting the system.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for South Korean military to establish diversified counterstrategies accordingly.

      • KCI등재

        북한의 비공식 노동시장 개혁에 대한 고찰

        정은찬 ( Jeong Eunchan ) 평화문제연구소 2023 統一問題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북한의 비공식 노동시장을 공식화하였을 때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북한은 현재 생산물시장만을 허용하고 있고, 생산요소시장인 노동시장은 공식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돈주, 개인수공업 중심의 사경제업자들이 권력층과 유착해 만들어내는 비공식 노동시장이 아래로부터 확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의 비공식 노동시장이 공식적으로 허용되었을 때의 북한 내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했다. 분석방법은 북한경제 현실을 반영한 일반균형(General Equilibrium)모형 기반의 경제모형을 구축하고, 북한이 현재의 비공식 노동시장을 공식화 하였을 때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경제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도출했다. 분석결과 북한당국이 현재 비공식적으로 운영되는 노동시장을 공식 허용할 경우 실질GDP와 고용은 증가하고, 물가는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장기업소의 공식적 생산물생산은 증가하고, 비공식적 사경제 부문의 생산 및 고용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the economic effect of formalizing North Korea's informal labor market was analyzed. Currently, only the product market is allowed in North Korea, and the labor market, which is a market for factors of production, is not officially allowed. However, the informal wage labor market created by the new rich and donju's close association with the powerful is spreading from below, and the informal labor market by private economic activities is expanding day by da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mplicitly allow the informal labor market in exchange for sharing the profits arising from these private economic activities. However, this type of market operation has limitation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 effects in North Korea when such an informal labor market was officially permitted and drew implications. As for the analysis method, an economic model based on the General Equilibrium model reflecting North Korea's economic reality was established, and economic effects were derived quantitatively by analyzing through simulation when North Korea formalized its labor marke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i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officially allow the unofficially operated labor market, real GDP and employment would increase and prices would decreas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production of official products of enterprises increased, while production and employment in the private economy sector decreased. This is because the current North Korean economy has an abnormal structure that revolves around the private economy, and if the labor market is officially allowed, the size of this private economy sector will decrease and production of traditional industries centered on enterprises will increase.

      • KCI등재후보

        남북경협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은찬(Jeong, Eunchan)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19 북한법연구 Vol.22 No.-

        남북경제협력은 1988년 7월 7일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선언’(7.7선언)이 채택된 이후 경제외적 환경에 의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발전하여 왔다. 우리 정부는 대북 식량차관과 비료지원을 중심으로 한 인도적 지원으로부터 시작하여, 금강산과 개성공단 같은 대북경제투자를 동반한 상업적 교역(일반교역·위탁가공무역) 등의 방법으로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주도해왔다. 그러나 남북경제협력의 실효성을 둘러싼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해결에 실증분석결과로 답할 수 있는 전제를 마련하고, 특히 북한과의 경제협력에서 어떤 산업부문을 특화시켜야 할지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계정행렬(Social Accounting Matrix, 이하 SAM) 승수분석을 활용하였다. SAM은 경제 전반의 회계계정을 행렬의 형태로 표현한 도구로, 산업부문으로부터 가계, 정부, 투자 및 해외부문 등을 연결하는 균형상태를 나타낸다.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산업연관표를 추정하였다. 둘째, 추정된 북한의 산업연관표를 이용, 북한의 SAM을 구축했다. 북한의 SAM은 2007년에 연구된 선행연구 자료가 있으나, 변화한 북한경제 변화상황을 반영하여 2012년 북한의 SAM으로 새롭게 추정하였다. 셋째, 2012년 북한의 SAM을 활용하여 남북경제협력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투입금액이 4.3억 달러로 가장 큰 중공업 부문이 약 10.2억 달러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4억 달러가 투입된 경공업 부문이 약 8.1억 달러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투입금액 대비 효과는 경공업(2.0)에 비해 중공업(2.4)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업과 광업은 각각 약 3.1억 달러와 2.2억 달러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액대비효과를 보면 농림수산업은 투입금액 대비 9.8배의 효과가, 광업은 6.1배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농림수산업과 광업의 경제협력 대비 효과는 경공업과 중공업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북경제협력 실시에 따른 총 생산유발효과가 약 23억 달러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has developed steadily in spite of the constraints of the non-economic environment since the July 7, 1988 Special Declaration on Residents and Prosperity for Reunification. Starting with humanitarian aid centered on food loans and fertilizer aid, the Korean government will begin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rough commercial trade (general trade and entrusted processing trade) accompanied by economic investment to North Korea such as Mt. Has led. However, controversy continues over the effectivenes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is paper focuses on research to find the answer to which industry sector should be specialized in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In this study, the social accounting matrix (SAM) multiplier analysis was used. SAM is a tool that expresses the accounting accounts of the economy in matrix form and shows the balance between the industrial sector, household, government, investment and foreign sector. First, we estimated North Korea s industrial relations table. Second, North Korea s social accounting matrix was constructed using the estimated North Korean industrial relations table. North Korea s SAM had previous research data in 2007, but it was newly estimated as North Korea s SAM in 2012 to reflect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North Korean economy. Thir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on the North Korean economy was analyzed using the North Korean SAM in 2012. The analysis shows that the heavy industry sector has an effect of about $ 110 million with an input of $ 400 million, and the light industry sector with an investment of $ 400 million has an effect of about $ 800 millio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y and the mining industry were analyzed to be about $ 310 million and $ 220 million, respectively. The effect on the value of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was 9.8 times that of the input, and the mining, 6.1 times. The effect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mining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light and heavy industries.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 total production induction effect of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ould be about $ 2.3 billion.

      • KCI등재후보

        북한의 시장화와 주민 의식변화 : 반사회주의 통제를 위한 법규범 탄생과 관련하여

        정은찬(Jeong, Eun-Chan)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21 북한법연구 Vol.25 No.-

        이 글은 북한의 시장화 현상과 북한주민 의식변화의 상관성을 반사회주의 통제 관련 법규범과의 연관 속에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시장은 북한주민의 자립적 생존장터인 동시에 외부문물 및 정보 유통 공간으로 기능함으로써 북한주민 의식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북한의 시장 확산에 따라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자립적 경제의식→ 문화의식→ 정치의식 변화로 진화하고 있다. 둘째, 시장 확산과 더불어 진화하는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반사회주의 통제 법규범의 탄생과 이에 기반한 사회통제 강화에 의해 성숙된 의식화로 승화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재한다. 즉,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시장도입이 공식화된 이후 시장 확산에 힘입어 단계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나, 궁극적인 정치의식 변화, 자유와 인권의 본질을 깨닫는 깨어진 의식변화 수준까지 더디게 진화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주민의 자발적 의식변화가 더욱 성숙되기 위해서는 시장을 통해 외부정보를 자유롭게 접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북한주민 스스로 변화의 주체가 되어 현상적 변화가 아닌 본질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in the context of anti-socialist control related legal n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rket of North Kore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by functioning as a place for the independent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as a space for the distribution of external relics and information. In other words, as the market spreads in North Korea,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s is evolving into a self-reliant economic consciousness → cultural consciousness → political consciousness change. Seco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has been changing step by step because of market expansion after the market introduction was formalized. However, the change in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has inherent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sublimate into a mature consciousness by the birth of anti-socialist legal norms and strengthening social control based on it. In other words, there is a limit to the change in political consciousness, which slowly evolves to the level of consciousness change that breaks the essence of freedom and human ri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for the voluntary change of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to become more mature,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freely access external information through the market must be prepared, and the North Koreans themselves should become the subject of change and actively promote essential change rather than phenomenological change.

      • KCI등재

        북한의 기업개혁에 대한 일고찰 - 기업경영방식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정은찬 ( Jeong Eun-cha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21 東亞 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북한의 기업개혁이 추진되어 온 경과를 살펴보고 그 성과와 한계, 경제성장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북한의 기업경영방식을 계획에 따른 방식과 시장을 활용한 자율적 방식으로 구분하고, 자율적 방식에 의한 기업경영이 확대될 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연산 가능한 일반균형모형(CGE 모형)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북한이 기업경영에서 시장을 활용한 자율적 방식 비중을 축소하면 실질GDP가 감소하고, 투자가 줄어드는 등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생산 감소는 시장물가를 크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장을 활용한 자율적 기업경영방식 비중이 증대될수록 실질GDP, 소비, 투자가 모두 증가해 경제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며, 생산량 증가에 따라 물가도 크게 하락해 북한 주민들의 경제생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자율적 대외무역 범위 확대에 따른 수출 증가로 무역수지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김정은 정권이 기업의 소유구조 개혁을 배제한 채 지배구조와 생산체계에서의 부분적 개혁만을 추진하고 있는 현실적 한계가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지표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북한의 기업개혁이 향후 자율적 기업경영방식 비중을 더욱 증대시키는 등의 더 높은 단계의 개혁을 지향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이 이러한 바람직한 기업개혁을 추진할 경우 북한 기업의 직접적인 대외무역 및 외국기업과의 합영·합작 추진 환경이 더욱 확대될 것이므로 이는 남북한 경제협력 활성화를 통해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고착시키고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우리의 대북정책 목표 실현에서 주요 동인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gress of North Korea's corporate reform, its achievements, limitations, and economic effects on economic growth using general equilibrium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if North Korea reduces the proportion of autonomous methods using the market in business management, real GDP decreases and investment decreases, which adversely affects the overall economy. In addition, this decrease in production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market price. In other words, as the proportion of autonomous business management using the market increases, real GDP, consumption, and investment all increase, which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economy. Has been shown to affec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trade balanc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export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autonomous foreign trade by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show how the practical limitations of the Kim Jong-un regime's only partial reforms in the governance structure and production system, excluding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reform, appear in the indicators promoting economic growth. This raises the need to pursue higher-level reform, such as further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autonomous business management methods in North Korea's corporate reform.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f North Korea pursues such desirable corporate reform, the environment for direct foreign trade of North Korean companies and joint ventures and joint ventures with foreign companies will be further expanded. This implies that it will be a major driver in realizing our North Korean policy goals, which are to be fixed and realize the new economic concept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시장도입에 따른 북한여성의 경제적 역할변화

        정은찬 ( Jeong Euncha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4

        북한경제의 환경변화에 따른 북한여성의 역할변화는 주로 경제난 이후 경제적 자립과정에서의 가계경제 주역으로서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북한여성의 역할은 경제적 주역으로의 위치에 따른 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실제로 시장화 현상과 더불어 북한여성의 역할확대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경제에서 상설시장도입이 공식화된 2003년 이후 북한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정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북한여성의 경제적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자가소득에서 북한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남성과의 상대적인 수준에서는 공적인 경제활동 참여정도가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시장도입 이후 남성과의 상대적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시장도입에 따른 북한여성의 역할이 공적 영역이 아닌 자립생존을 위한 자가소득 취득에서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시장도입 이후 북한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대해서는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경제난 이후 가계경제로 회귀하도록 한 북한당국의 정책적 조치에 의해 북한여성의 공적영역에서의 경제활동이 위축되고, 둘째, 공장기업소의 ‘8.3근로자’ 활용과 관련하여 남성근로자의 시장에서의 경제활동이 확대된 현상에서 기인된다. The discussion on North Korean women’s changing economic roles brought about by its economic environment changes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ir roles as a main player of household economy in the process of economic independence after the economic crisis. This perception might be due to North Korean women’s new economic position as a main household income earner, and given this,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the role of North Korean women has been actually expanded due to marketiz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hange in North Korean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before and after the July 1st economic reform, which brought marketization into full swing, and based on these findings, also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n North Korean women’s economic rol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orth Korean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was increased by a significant level in terms of self-earned incomes. However, North Korean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level was estimat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ir male counterparts, but the gap became insignificant after the July 1st economic reform measure. This indicates North Korean women’s continuously expanding economic role in terms of the acquisition of self-earned incomes thanks to marketization. However, precaution must be paid to the analysis results that North Korean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showed a relatively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First, this phenomenon is presumed to be due to North Korean women’s shrinking economic activities in the public sector after Nor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o revert back to household economy. Second, the rampant practice of the so-called ‘8.3 laborers’ at factory enterprises, in which workers paid money to their boss in return for their absence at workplace, is considered to expand the male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market.

      • 남북 문화유산의 교류협력 현황과 과제

        정은찬(Jeong, Eun-Chan),문철훈(Moon, Chul-Hoon)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 No.1

        이 글은 남북 문화유산 교류협력의 필요성과 과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화유산 교류협력은 남북한 주민들이 실제 생활에서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분야이다. 문화유산은 남북 주민의 삶을 통해 같은 역사, 같은 문화 속에서 형성된 것이며, 감정이나 유대감이 담겨 있는 자산이다. 때문에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많으며 이념이나 정치적 의도에 의해서 영향 받을 가능성도 적다. 남북한 간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이나 관리방식에서는 현재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그동안 남북 문화유산 교류협력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어왔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남북한 주민의 동질성 회복을 위해 적극 추진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무엇보다 교류협력의 범위와 내용을 확대하고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남한의 물질·기술적 지원, 교류협력을 위한 인프라 구축, 민간단체와의 협조체계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북한은 문화유산발굴과 보호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김정은의 담화 발표, 법제정, 문화유산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 관리 우수자 표창 등의 노력들은 교류협력 활성화 가능성이 보이는 부문이다. 물론, 남북이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적지 않아 분단현실을 실감하게 하는 부분도 많다. 그럼에도 우리는 점진적으로 문화유산 교류협력을 확대하면서 북한지역의 문화유산 보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남북 문화유산 교류협력이 궁극적으로 통일로 나아가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 간의 갈등을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discusses the necessity and tasks of the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in cultural heritage. The South-North cultural heritage is an area which can form a sentimental sharing between the South and North residents as it was formed through the same history and culture and is still experienced in their daily life. It is definitely a valuable asset which can be shared to a great extent for the sentiments and fellowship embedded in it. This field also has little risks of being influenced by political purposes or ideologies. Thus, promot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seems appropriate and urgent. Although there has been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has made some accomplishment. However, there are several tasks we need to solve in order for activat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Expansion of scope and content of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material and technical support from the South for preserving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North; building infrastructure for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liaison with private organizations are the necessary tasks. Recently, the North has showed positive interest for excavating and protecting the cultural heritage. Jung-eun Kim"s announced statements, legislation, UNESCO registration, commendation of excell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re among the efforts. These efforts suggest that there is a great potential for invigorat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As a matter of fact, differences between the perspectives on the cultural herita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cannot be overlooked. Despite that, we should gradually enlarge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cultural heritage and pay close attention to the preserving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North region. Ultimately,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he cultural herita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can play a great role in progressing towards unification and it also can contribute to reducing conflicts among residents after unification.

      • KCI등재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의 실질 소득격차 분석

        정은찬(Jeong Eun-chan),김재현(Kim Jae-hy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4 아시아여성연구 Vol.53 No.1

        1990년대 중반 경제난으로 근로소득 연체가 장기화되고, 식량 및 기타 생활필수품 공급이 단절되면서 북한 여성들의 경제생활은 자생적 생존방식에 의존하여 왔다. 그 결과 국가로부터 지급 받는 근로소득보다 장사, 소토지(텃밭) 경작 등 자가소득이 북한 여성들의 경제생활에서 주축을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북한의 현실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이탈 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의 소득격차가 실질적으로 존재하는지와 불평등 지수의 크기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북한 여성의 소득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변수는 학력, 직업 및 지역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해당 변수들이 실질 근로소득과 자가소득 형성에 영향을 주었는지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세 변수 모두 소득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분산분석을 통한 실질 소득격차 분석 결과 근로소득은 학력, 직업 및 지역에 따라 모두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가소득은 세 가지 요인에 따른 격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가소득 형성에서 북한 여성 개인의 시장적응력, 개인 친화력과 같은 요소들이 격차 발생의 주요인이었음을 보여준다. 북한 여성 내 소득불평등 지수 산출결과, 지니계수, 타일계수 및 십분위분배율 모두 자가소득이 근로소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경제난 이후 자생적 생존 방식이 북한 사회 전반에 보편화?고착되면서 시장 활성화와 맞물려 자본주의에 버금가는 소득 형성에서의 격차를 발생시켰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Survey, focuses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real income of North Korean women and estimates the level of differences in the real incomes of theirs. The factor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on income of the women are the followings;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job, and region.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all the three factors affect both the self-earned income and the real earned income which do not cover overdue payments. ANOVA shows the result that while real earned income is affected and has differences by the facto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se of self-earned income. This refers that the gaps in self-earned income between the individuals is mainly caused by individuals" market adaptability and sociability rather than previously mentioned three factors. Also, the self-earned income has higher inequality indexes including GINI coefficient, rank size coefficient, and deciles distribution ratio than the case of real earned income. This study shows that as self-sustaining economy is emerging and getting to be rooted slowly in North Korea, the income inequality is stepping in and growing as outcome like capitalistic economy.

      • KCI등재

        도입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과 식물체 부위에 대한 사료가치와 생산성 비교

        김종근,정은찬,김학진,Kim, Jong Geun,Li, Yan Feng,Wei, Sheng Nan,Jeong, Eun Chan,Kim, Hak J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2

        본 시험은 도입되는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과 식물체 부위에 따른 사료가치와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옥수수 품종은 미국 Pioneer Hybrid Co.에서 도입된 8개 품종(P1184, P1151, P1194, P1543, P1345, P1429, P1443 및 P2105)으로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내에 있는 시험포에서 수행하였다. 수확한 옥수수는 전체 5개 부위(leaf, stem, cob, husk 및 grain)로 분리하여 건조한 후 각 부위별 비율을 산정하였고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옥수수의 출현율은 P1151 및 P2105품종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평균 7월 24일, 출사기는 7월 27일 이었으나 P2105 품종은 7월 28일 및 8월 1일로 늦었고 나머지 품종은 비숫하였다. 초장 및 착수고에 있어서는 P1345 품종이 가장 컸으며(289 및 123 cm), P1151 품종이 가장 작았다(267 및 101 cm). 질병 저항성은 P1184, P1443 및 P1429에서 낮았고 P1197 및 P1345는 높았다. 건물함량은 경엽의 경우 P1151 품종에서 19.6%로 가장 낮았으며 P1429 품종에서 2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이삭은 만생 품종인 P2105 품종이 가장 높았고(55.5%) P1184(54.2%) 및 P1345(54.3%) 품종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P2105, P1429 및 P1194 품종의 경엽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P2105, P1345 및 P1443 품종의 암이삭 건물 수량이 높았다. 5개의 부위로 분리된 식물체(Leaf, Stem, Husk, Cob 및 Grain)의 각 부위별 비율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암이삭에 해당하는 grain과 cob 합의 비율이 50~60%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포엽(husk)와 속대(cob)의 비율은 대체적으로 비슷하였으며 잎과 줄기는 약 20% 내외의 비율을 보여주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잎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grain이었다. 줄기의 조단백질 함량은 가장 낮았으며 포엽(husk)은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ADF 함량은 곡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비슷하였지만 잎 부분이 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줄기와 잎을 제외한 다른 부위는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NDF 함량은 husk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부위는 품종간에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품종별로 부위에 따라 특별한 차이를 보였는데, 줄기는 P2015, 잎은 P1197, 속대는 P1151 포엽은 P1197 그리고 알곡은 P1197에서 NDF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건물 소화율은 줄기와 알곡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잎과 암이삭을 구성하는 포엽과 속대에서는 품종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시험에 P2105 품종의 건물수량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알곡의 비율은 P1543 및 P1345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사료가치는 잎과 곡실 부분이 높았으며 잎과 줄기가 husk나 cob보다는 사료가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 comparison of the productivity according to variety and forage quality by plant parts of imported silage corn (Zea mays, L) in Pyeongchang. The corns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were 8 varieties (P1184, P1151, P1194, P1543, P1345, P1429, P1443, and P2105) introduced from the United States, Pioneer Hybrid Co. The harvested corn was divided into 5 plant parts (leaf, stem, cob, husk, and grain), and the ratio of each part was calculated using dry weight and the feed value was analyzed. The emergence rate of corn was generally good except for the P1151 and P2105 varieties. The average tasseling date was July 24<sup>th</sup> and the silking date was July 27<sup>th</sup>, but the P2105 variety was late to July 28<sup>th</sup> and August 1<sup>st</sup>, and the remaining varieties were similar. P1345 was the highest (289 and 123 cm), and P1151 varieties were the lowest (267 and 101 cm) in the plant and ear height. Disease resistance was low in P1184, P1443 and P1429, and P1197 and P1345 were high. In the case of stover, the dry matter (DM) content was the lowest at 19.6% in the P1151 and the highest at 24.9% in the P1429. DM content of ear was the highest in the P2105 (55.5%), and P1184 (54.2%) and P1345 (54.3%)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p<0.05). The DM yield of stover of P2105, P1429 and P1194 varie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and ear yield of P2105, P1345 and P1443 was higher. The proportions of each part of plants (leaf, stem, cob, husk, and grain) divided by 5 was high, with 50-60% of the ear(grain+cob) ratio. The ratio of husk and cob was roughly similar, and the leaf and stem part showed a ratio of about 20%. The crude protein (CP) content was highest in leaf, followed by grain. The CP content of the stem was the lowest, and the husk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eties (p>0.05).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was similar to the rest parts except grain, but the leaf part tended to be lower, and other parts except the stem and leaf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DF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in husk,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in other parts (p<0.05). In addition, there was a special difference by plant parts for each variety, P2015 on the stem, P1197 on the leaf, P1151 on the cob, P1197 on the husk, and P1197 on the grains with high NDF content. IVDM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ems and grains,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in cobs and husks. According to the results, DM yield of P2105 variety was the best in the experiment, and the ratio of grain was excellent in P1543 and P134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eed value was higher in the leaves and grains, and the leaf and stem had higher feed values than husk or co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