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림책을 매개체로 한 사회적 소통 - 재해를 다룬 한국과 일본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

        안영신(Ahn, Youngshin)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 No.1

        0세부터 100세까지! 그림책의 독자층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이와 더불어 소재와 주제도 한층 다양해졌는데 본고에서는 그 중 최근 한국과 일본에서 발생한 재난을 다룬 그림책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그림책이 갖고 있는 특장(特長)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고찰해보았다. 나아가 가독성이 높은 매체로서 그림책이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 소통의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했다. 이는 재해를 피해자 개인의 문제로 국한시키지 않고 사회적 차원에서 추모하고 치유하려는 노력과 맥락을 같이 한다. From age 0 to 100! Age of picture book readers is expanding nowadays. As subject and theme have become diverse, the paper researched mainly about books that covered a subject about recent disasters occurr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examination, the paper considered about picture book’s special features and usage of it. Furthermore, as picture book has high readability, it considered the book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in society. This consideration goes along the line of cherishing and curing disasters in not only confining as personal matter but as societal dimension.

      • EU의 사회안보와 공동이민·망명정책

        이종서(Lee, Jong-Sue)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 No.1

        유럽연합(EU)은 리스본조약의 발효로 회원국가와의 공유권한 대부분이 공동체 권한으로 이전하였다. 그럼에도 역내시장, 사회정책, 지역정책, 환경, 에너지, 운송, 소비자보호, 자유·안전·사법지대와 같은 정책을 비롯해서 이민·망명정책은 여전히 유럽연합과 회원국 간의 공유권한으로 남겨 놓았다. 이는 회원국 별 정책선호의 차이와 자국의 사회안보가 위협받는 상황에 대해서는 여전히 공동체의 정책결정에 반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원국들은 초국적 차원의 공동이민·망명정책을 국가주권 및 자율성 문제 등과 함께 안보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이민자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시리아 난민사태로 인해 단일한 이민·망명정책의 규정을 만들고자 하는 집행위원회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실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고는 볼 수 없다. 이는 유럽연합이 회원국들의 전략적 이익을 무시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공동체 차원의 사회안보와 회원국 차원의 이민·망명정책의 부조화로 인한 충돌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e shared competency of the Member State moved to the EU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Lisbon Treaty. Nevertheless, internal market, social policy, regional policy, environment, energy, transport, consumer protection, autonomy, security and immigration and asylum policy is still left behind a shared authority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its Member States. This means that the Member States are able to oppose the EU policy when the social security of the country is threatened. Member states are accessing immigration and asylum policy issues along with national sovereignty and autonomy. They are trying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immigrant influx. Despite the ongoing efforts of the European Commission is to make single immigration and asylum policy, it does not work effectively. It is because the EU has a structure that can not ignore the strategic interests of member states. This paper purpor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nflict on immigration and asylum policy between social security of the EU and the nation"s interests.

      • 북유럽 소상공인 사회보장체계에 관한 연구

        홍세영(Hong, Saeyoung)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해외사례를 통해 한국의 소상공인의 사회보장체계를 모색하였다. 현재 한국은 소상공인이 증가하고 있으나 여기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사호보장체계가 비미한 상태에서 이들의 사회문제에 처할 취약성은 오히려 근로자 보다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복지국가인 북유럽인 스웨덴과 핀란드는 보편적 복지국가를 지향하고 한국처럼 자영업자의 비율이 크지 않지만 증가하고 있다. 또한 북유럽의 경제적 변화는 향후 소상공인의 증가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웨덴과 핀란드의 자영업자에 대한 정의는 상이하지만 공통적으로 고용자 없이 고용된 상태이며, 이들도 수익사업을 하는 근로상태이기 때문에 근로자와 유사한 지위에서 복지수급권을 보장받고 있다. 한국은 소상공인의 안정된 생활기반을 마련할 사회보험제도를 좀 더 정착시키고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안정망은 소상공인들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좀 더 신중할 수 있으며, 임시방편적인 업종을 선택하기 보다는 좀 더 미래지향적이면서도 전문적인 업종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 security system of small businesses in Korea through overseas cases, Sweden and Finland. Currently, the number of small business owners in Korea is increasing, but the problem is serious. In particular, the vulnerability of social security problems to the social security problems is worse than that of workers. Sweden and Finland, the welfare states of the Nordic countries, are aiming for a universal welfare state, and the share of self-employed people is increasing like South Korea, but it is increasing. In addition, economic changes in Northern Europe a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the number of small businesses. The definition of self-employed in Sweden and Finland is different, but they are employed without employer, and they are guaranteed a right to receive welfare benefits in a position similar to that of a worker because they are working in profitable businesses. Korea needs to establish and strengthen the social insurance system that will provide a stable living base for small business owners. Such a stable network can be more prudent for small business owners to enter the labor market, and it is more likely to seek a futuristic and professional sector rather than a temporary sector.

      • 가정폭력 가해자들에게 폭력경험이 미친 영향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가정폭력 수강명령 대상자 중심으로 -

        최근화(Choi, Kunhwa)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보호관찰소에서 가정폭력 가해자들을 대상으로 폭력 경험이 폭력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Yin(2002)이 제시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수강명령 처분을 받고 프로그램을 이수한 가정폭력 가해자 10명이며, 연구 방법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가해자들의 폭력의 원인적 특성을 개인차원, 가족차원, 부부관계 차원, 사회적 차원, 폭력인식 차원으로 제시했다. 개인차원에서 참여자들은 분노와 충동 조절에 어려움을 보였고, 불안과 심리적 위축이 되고, 외로움을 많이 표출하였으며 음주문제를 갖고 있었다. 가족차원 및 부부관계 차원에서는 생애초기 원가정에서 받은 폭력피해 경험이 결혼 이후 폭력의 대물림으로 이어졌고, 결혼생활에서 부부 갈등에서 원만한 의사소통보다는 폭력을 촉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사회적 차원과 폭력인식 차원에서 참여자들은 생계에 대한 어려움과 사회적 낙인에 대한 강한 두려움을 나타냈다. 그리고,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한 집착이 강했다. 또한 수강명령교육에 대한 반감과 폭력에 대한 부인, 자기합리화를 각각 뚜렷하게 표출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violence against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s at the probation center and to use it to prevent domestic violence. In order to do this, we interviewed 10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s who had been ordered to take the course and collected the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presented in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qualitative case study presented by Yin (2002),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individual dimension, family dimension, marital relationship dimension, social dimension, and violence recognition dimension. At the individual level, participants showed difficulty in controlling anger and impulse, anxiety, psychological atrophy, loneliness, and drinking problems. In the dimension of family and marital relations, experiences of violence suffered in the early life of the family led to violence after marriage, and it was an important factor to trigger violence rather than good communication in marital conflict. In terms of social dimension and perception of violence, participants expressed strong fear of livelihood and social stigma. And, there was strong obsession with stereotypes about the traditional sex role. In addition, they expressed their despicable discipline against education and violence,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ed a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 plan to prevent domestic violence.

      • 그림책에 묘사된 노인상 비교와 소통매체로서의 활용

        안영신(Ahn, Young-Shin)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 No.1

        현대사회에서 노년세대의 비율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세대 간의 갈등과 반목으로 인해 소통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맥락에서 기존에 연구된 유아나 아동의 관점이 아닌 노인세대의 관점에서 노인이 주요 등장인물로 나오는 그림책을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서구의 그림책에 나타난 노인상을 사회적 현상 및 특성과 연관 지어 최근에 출간된 그림책 안에서 비교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노년세대가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림책을 소통의 소재로 삼을 것을 제안하였다. Nowadays with a rapidly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communication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in modern society to resolve a generation discord. Unlike the previously researches for the characters on children’s poi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elderly’s side with elderly characters. Especially, this study has compared with Korean, Japanese and the Western picture books focused on elderly characters in social phenomenon and property. Within this study, it tried to suggest that the picture books can be the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also the way for the elderly to find who themselves are.

      • 일본에서의 〈영어 공용어화론〉에 대하여

        구명회(Koo, Myoung-Hoi)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 No.1

        일본을 언어사회적인 성격에서 고찰해 보면 일본어는 1억 3천만 명에 가까운 인구 중 그 대부분을 모어화자로 확보한 강력하고 핵심적인 구성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인구 중 약 2%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비일본어 모어화자의 경우 소수자로서 그 입지는 대단히 약한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영어를 중심으로 한 <제2공용어론> 및 <사내공용어화>의 논의가 나왔고 현재 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은 주류 언어로서의 일본어를 일정 부분 포기하고서라도 영어에 그 자리와 권력을 내어주겠다는 의도로도 비추어진다. 21세기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화 속에서 그간의 일본어 독점사회의 영역을 영어라고 하는 국제공통어가 조금씩 비집고 들어오기는 하겠지만, 언어적 가치관에서만큼은 대단히 보수적인 일본의 단일 언어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지수라 하지 않을 수 없다. Looking at Japan from a language society, Japanese is a powerful and vital component of almost 130 million people, most of whom are native speakers. In the case of non-Japanese speakers, which account for about 2% of the population, their position as a minority is very weak. Nonetheless, there has been a debate within the Japanese community about its own English as second official language and English as official language of company. And it is continuing to progress now. This is reflected in the intention of giving up its place and power in English even though it gives up some Japanese as mainstream language. In the rapidly globalization of the 21st century, there will be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common languages, such as the English language. However, it is still uncertain as to whether we can fundamentally change Japan"s monolingual society, which is highly conservative in its linguistic values.

      • 메이지기 독본교과서의 가나자체 표기변화에 관한 고찰

        송숙정(Song, Sookjeong)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메이지기 문부성 편찬 독본교과서에 수록된 가나자체 표기 변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한 것으로, 메이지5년 [학제] 이후 교과서에 게재된 가나의 표기는 초기에는 통일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였지만, 시간의 흐름과 함께 현대와 유사한 모습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타카나의 경우, 히라가나에 비해 가나자체의 변화가 크지 않았는데 그것은 가타카나가 이미 오래 전에 한자를 주로 사용하는 한학자와 승려들에 의해 자체가 많이 정착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히라가나는 메이지19(1886)년의『読書入門』이 발행되기 전까지「いろは」가 히라가나의 [50 음도]를 대신하여 수록되었다. 또한 메이지33(1900)년 제1호표에 의해 가나자체가 정리되기 전까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다수의 이체가나가 사용되었다. 특히, 교과서 서두에 나타낸 가나 자체 이외의 헨타이가나가 교과서 본문에 사용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헨타이가나의 사용은 메이지 33년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제2기 국정교과서의 시기가 되어 다시 헨타이가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것은 당시는 신문이나 여러 책에 헨타이가나가 널리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관용적인 표현을 알리기 위한 반영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Kana"s shape notation in the Meiji period of Japanese textbooks, and although the notation of Kana, which appeared in the textbooks after the Meiji 5th year [interdisciplinary], was not unified at the beginning, And it was settled in a similar shape to the modern. In the case of Katakana, the change of Kana itself was not large compared to Hiragana, because it was established by a lot of Korean scholars and monks who used kanji long ago. Hiragana was recorded as a substitute for Hiragana"s [50th Anniversary] until the "reading and writing introduction" of the Meiji 19 (1886) was published. In addition, a number of transfer Kana, which are not used now, were used by the first table of the Meiji 33 (1900) until Kana itself was arranged.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hentai Kana other than Ghana itself shown at the beginning of the textbook is used in the textbook text. My use of these hentai tends to decline until the 33rd year of the Meiji era, but in the second period of the state textbooks, the hectare GANA tends to increase again. It was a reflection to announce idiomatic expressions, since the hentai Kana was widely used in newspapers and books at the time.

      • 근세어의 특징에 관한 일고찰

        민승희(Min, Seung-Hee)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 No.2

        근세 전기 남성이 주로 사용한 인칭대명사로는「われら」,「身」,「身ども」,「拙者」,「お身」가 있으며, 여성이 주로 사용한 인칭대명사로는 「わたし」,「わし」,「こなさん · こなさま」가 있다. 남성이 주로 사용한 자칭대명사「われら」와 여성이 주로 사용한 자칭대명사 「わたし」는 그 사용영역이나 역할이 유사하면서, 성별이 중요한 용법의 차이로 작용하는 대명사이다. 「身」,「身ども」,「拙者」,「お身」는 무사를 비롯한 지배계층, 특히 지배층 남성에 의해 사용되어졌다. 다른 계층의 남성이 사용하는 경우, 「身」,「身ども」,「拙者」,「お身」는 화자의 특수한 감정을 표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자의 특수한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여성이 「身」,「身ども」,「拙者」,「お身」를 사용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わたし」,「わし」는 모두 여성이 사용주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わし」의 경우, 사용하는 여성이 유녀(遊女)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こなさん · こなさま」도 주로 유녀(遊女)가 사용하는 대칭대명사였다. This study compares second person pronouns in Japanese and Korean. Japanese. The warera is used mainly by males. And watasi is used mainly by females. The gender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warera and watasi. The mi, midomo, sesya, onmi is used mainly by the knight. Otherwise, mi, midomo, sesya, onmi express special feelings of the speaker. And mi, midomo, sesya, onmi is not used by female. The watasi, wasi are the same as its speaker is female. But the wasi is used by Yujo. Also konasan, konasama are used by Yujo like wasi.

      • 한국인 유학생의 유학 초기의 ‘대우커뮤니케이션관 (待遇コミュニケーション観)’의 형성

        송미연(Song, Mi-Yeon)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 No.2

        일본은 1950년대 처음 국비유학생을 받아들이고 2008년 유학생 30만명 계획을 발표한 뒤 꾸준히 유학생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유학생의 수는 늘고 있으나 유학생이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한 지원은 충분하지 않다는 판단 아래, 실제 일본에 유학을 간 한국인 유학생이 입국 초기부터 2개월간 어떤 일을 겪고 어떤 생각을 했는 지에 대해 인터뷰 조사를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주체의 이해와 판단이 행해지는 과정에 있어서 ‘인간관계(人間關係), 장소(場), 의식(意識), 내용(內容), 형식(形式)’을 연동하고 그 연동의 방법을 조정하는 것을 대우(待遇)커뮤니케이션이라 하고, ‘커뮤니케이션 주체의 행위의 근저에 있는 개개인의 인식 및 신념’을 ‘대우커뮤니케이션관(觀)’이라 정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 유학생의 ‘대우커뮤니케이션관’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현재의 ‘대우커뮤니케이션관’은 유학 전에 형성된 ‘대우커뮤니케이션관’과 차이가 있는가 등을 밝혔다. 그 결과, 유학 전에 형성되어 있던 ‘대우커뮤니케이션관’에 근거해 자기 나름의 사교적 방법을 궁리하며 새로운 ‘대우커뮤니케이션관’을 형성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지금까지와는 다른 사회에서 다양한 사람을 접하고 그 속에서 ‘유학생’이라는 새로운 자기인식의 ‘대우커뮤니케이션관’이 형성되었다. 즉, 한국인 유학생은 유학 전부터 갖고 있던 각자의 가치관, 성격, 모어(母語)문화 등의 ‘한국어에 의한 대우커뮤니케이션관’과 유학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경험을 통한 ‘일본어에 의한 대우커뮤니케이션관’이 어우러져 개개인의 ‘대우커뮤니케이션관’을 형성한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일본어 교육은 언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만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어떤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가, 학습자가 원하는 커뮤니케이션은 어떤 것인가, 학습자의 인간으로서의 성장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싶다. There has been a steady rise of international student population in Japan since 1950 when they first granted governmental scholarship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is trend continues to arise when Japanese government announced their plan to increase the population to 300,000. In this study, we questioned on the sufficiency of international students’ support with increasing population. Thu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interview survey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Korea; the survey question was focused on their opinions and experiences from their first couple months. Taigu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s defined as a linkage of “human relationship, space, congnition, contents, and form”in understanding and judgement of the principal communicating agent and its control of the means to linkage. The notion of Taigu communication is defined as “the foundation of the principal communicating agent’s action on the basis of individual cognition and belief.” We investigated on 1) how the “notion of Taigu communication”is formed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from Korea, and 2)whether the current “notion of Taigu communication”is different from the one before studying abroad. In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a new “notion of Taigu communication”is formed by applying one’s own social skills to its previous “notion of Taigu communication.”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a new “notion of Taigu communication” is formed through self-awareness of “international student”, which was inspired by meeting people from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In other words, individualized “notion of Taigu communication” is formed by combining elements of “notion of Korean Taigu communication”, which was shap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nse of values, and culture of origin, with “notion of Japanese Taigu communication”, which was acquired through various experiences from studying aborad. We believe that it would be potentially beneficial widen the conventional focu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on lingual communication issues to learner’s personal development, such as “what learners think”, “how the learner communicates”, and “what communication does learner w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