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북한의 사회주의 민사법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통일 한국민법 구상의 기본방향

        김상용(Sang Yong Kim)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19 북한법연구 Vol.22 No.-

        북한 민사법은 인간의 존엄과 독자성을 인정치 아니하고, 사회주의 대가정을 내세워 수령이 북한전체의 가장이라는 북한주민의 자연적이고 인격적인 존엄한 존재로서의 인간을 인정치 않고 있다. 북한의 민사법은 이러한 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의 실천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법이다. 통일이 이루어지기까지 사회주의 북한민사법은 인류보편의 가치를 실천하는 민사법으로의 변화가 있을 것을 기대한다. 또한 북한민사법이 인간의 존엄과 자유와 평등을 인정하고 시장경제를 실천하는 법으로 변화해 나갈 것을 기대한다. 그리하여 남북한이 통일이 되었을 때의 통일 한국민법은 인류의 영원한 보편가치를 실현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민사법이 되어야 한다. 인류보편의 가치를 이상과 목표로, 그것이 실현가능할 수 있도록 우리 민법도 북한 민법도 계속적인 변화와 승화가 있기를 소망하고 기대한다. North-Korea is a collectivistic political regime embodied with orthodox socialism and self-reliance (Juche) ideology. North-Korean civil law does not recognize human dignity and individuality of natural person, and it recognizes ‘Suryŏng’ as the head of the entire North-Korean society. The civil law in North-Korea is a kind of means for the practice of socialism and ‘Juche’ ideology. Until unification, the socialistic North-Korean civil law is expected to be progressed into the civil law that shall realize the values of universal values. It is also hoped that the North-Korean civil law could be transformed into the law that recognizes human dignity, freedom and equality and practices the market economy. Thus, when the two Koreas would be unified, the new Korean civil law shall be compiled with contents that realize the eternal universal value of mankind. I hope and expect that the civil law of South- and North-Korea could continue to be changed and to be sublimated for realization of the ideals and goals of universal human values. Ultimately it is thought that justice and love shall be basic universal values to be realized in the new Korean civil law after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북한과 중국의 입법체계 비교 연구 : 통일시대 법제통합의 관점에서

        김준영(Kim, Jun Young)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21 북한법연구 Vol.26 No.-

        분단국가의 법제통합은 서로 다른 정치⋅경제 체제하에서 장기간 분리 존속해오던 복수의 법체계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으로 단순한 법제도적 통합 이상의 복잡한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일 한국에서의 남북한 법제통합 과제의 측면에서 북한과 중국의 법체계 특수성을 이해하고 그 문제점과 해결책 찾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북한과 중국의 법체계는 사회주의 법계를 기초로 하여 자본주의 법계와는 다른 발전 과정을 거치고 있다. 특히 법에 대한 이념적 기초, 용어상의 차이, 사회 구조의 상이함 등으로 그동안 기초 법체계의 이해에 많은 어려움과 혼란이 있었다. 최근 북한과 중국은 ‘법에 의한 통치’를 내세우면서 법률 정비 작업을 서두르고 있고 그 성과로 중국은 2000년 <입법법>을 제정하였고, 북한은 2012년 <법제정법>을 제정하고 2016년 ‘북한법전’을 공개하였다. 최근 북한과 중국의 일련의 입법체계 정비는 법률의 양적증가는 물론 법체계 측면에서도 상당히 구체화되어서 그동안의 불명확성과 모호성을 상당 부분 해소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선제적 법체계 정비 작업은 북한의 입법과 법체계 변화의 모델이 되고 있다. 중국은 개혁개방으로 인한 산업화의 진전으로 입법 수요가 급증하였고 양적인 입법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괄목할만한 질적 성장을 가져오고 있다. 북한 법체계의 바른 이해를 위하여 그 모델이 되고 있는 중국과의 비교분석 연구는 북한과 중국 법체계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시너지효과를 가져오는 작업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통일시대 법제통합의 관점에서 북한과 중국의 입법 현황과 법체계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남북한 사회의 핵심적 공유 가치를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법 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상호 법률문화의 이해는 통합의 첫걸음이자 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 Legislative integration in a divided country is the unification of multiple legal systems that have been separated for a long time under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to each other.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eculiarities of the North Korean and Chinese legislativ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sk of legislative integration in the unified Korea.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and China go through different development process to capitalist legislation based on the socialist legal system.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a lot of difficulties and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basic legislation in the meantime due to the differences in ideological foundation of legislation, terminologies, and social structure, etc. Recently, North Korea and China have been rushing to reorganize their legislation promulgating ‘rule by law’ and as the outcome of it, China enacted <Act of Legislation> in 2000, and North Korea enacted <Act of Enactment> in 2012 to announce ‘North Korean Legislation’ in 2016. Recently, North Korean and Chinese reorganization of legislation has been considerably materialized in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legislation but also in the legislation system; therefore it resolves a lot of the uncertainty and vagueness of the legislation system in the meantime. Recently, a series of reforms in particular, Chinese preemptive organization of the legal system has been a model of North Korean changes in legislation and legal system. In China, the demand for the legislation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progress through reform and open has been increased rapidly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legislation has resulted in noticeable qualitative growth. The research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a, which has been a model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legislation, is judged to be the task that brings the synergy effect to understand North Korean and Chinese legal systems more accurately. This paper contemplates focusing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North Korean and Chinese legislative status and legal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legislative integration in the unification era. Since the best means to confirm the shared core values of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ies can be ‘law’, understanding of mutual legal culture can be the first step and the completion of integration.

      • KCI등재후보

        북한의 시장화와 주민 의식변화 : 반사회주의 통제를 위한 법규범 탄생과 관련하여

        정은찬(Jeong, Eun-Chan)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21 북한법연구 Vol.25 No.-

        이 글은 북한의 시장화 현상과 북한주민 의식변화의 상관성을 반사회주의 통제 관련 법규범과의 연관 속에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시장은 북한주민의 자립적 생존장터인 동시에 외부문물 및 정보 유통 공간으로 기능함으로써 북한주민 의식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북한의 시장 확산에 따라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자립적 경제의식→ 문화의식→ 정치의식 변화로 진화하고 있다. 둘째, 시장 확산과 더불어 진화하는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반사회주의 통제 법규범의 탄생과 이에 기반한 사회통제 강화에 의해 성숙된 의식화로 승화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재한다. 즉,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시장도입이 공식화된 이후 시장 확산에 힘입어 단계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나, 궁극적인 정치의식 변화, 자유와 인권의 본질을 깨닫는 깨어진 의식변화 수준까지 더디게 진화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주민의 자발적 의식변화가 더욱 성숙되기 위해서는 시장을 통해 외부정보를 자유롭게 접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북한주민 스스로 변화의 주체가 되어 현상적 변화가 아닌 본질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in the context of anti-socialist control related legal n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rket of North Kore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by functioning as a place for the independent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as a space for the distribution of external relics and information. In other words, as the market spreads in North Korea,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s is evolving into a self-reliant economic consciousness → cultural consciousness → political consciousness change. Seco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has been changing step by step because of market expansion after the market introduction was formalized. However, the change in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has inherent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sublimate into a mature consciousness by the birth of anti-socialist legal norms and strengthening social control based on it. In other words, there is a limit to the change in political consciousness, which slowly evolves to the level of consciousness change that breaks the essence of freedom and human ri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for the voluntary change of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to become more mature,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freely access external information through the market must be prepared, and the North Koreans themselves should become the subject of change and actively promote essential change rather than phenomenological change.

      • KCI등재후보

        북한의 외국인 투자보장 법제 소고

        장원규(Jang, Won-kyu)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19 북한법연구 Vol.22 No.-

        남북의 경제발전을 촉진하는 남북경제협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립국가경제를 강화하면서 다른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북한 정권의 일관된 정책이다. 현재까지도 남북경제협력은 좌초된 반면, 북한은 대외경제정책(예를 들어, 금강산 국제관광특구, 경제개발구 등)을 대폭 변경하였다. 북한은 외국투자가의 이익을 보장하는 한편 정부, 투자가, 기업과의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는 데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수경제지대의 지정과 투자유치에 대한 북한의 정책은 남북경제협력의 전망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북한 정권의 대외경제정책과 함께 외국인투자관계법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의 주요 내용은 투자보장을 중심으로 북한의 외국인투자관계법제를 살펴보고, 주요한 대외경제법제를 비교법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남한과 북한 사이에 보다 더 나은 경제교류와 협력을 위한 차원에서 내국민대우와 초국민대우, 안보 등 투자보장의 예외조치, 숨은 규제 해소, 국제규범의 국내법화 등 북한의 법제적 변화 전망과 제언을 하고 있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at propel North and Sou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It is a consistent policy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o enhance economic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while beefing up its self-reliant national economy.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as held in abeyance while the North Korea made significant changes in its external economic policy, e.g., MT. Kumgang Special Zone for International Tourism and Economic Development Parks etc. The North Korea pay deep attention to ensuring the interests of foreign investors, while invigorating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governments, investors and businesses. The North Korea’s Policies on designation and investment attraction of special economic zones can be cor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rojection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is article is aimed at understanding and analysing legislation on North Korean foreign investments with government external economic policy. The main contents of this article include charactors of legislation on North Korean foreign investments focused on investment promotions and protection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evant external economic legislations. In parallel, the author would like to submit prospects and proposals of changes in North Korean’s foreign investment legislation for better economic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g., national and transnational treatment, security exceptions, shadow regulation settlement, domestic law of international norms, etc.

      • KCI등재후보

        통일 후 북한지역 부동산의 처리문제 : 주택 및 건물을 중심으로

        김성욱(Kim, Sung-Wook)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19 북한법연구 Vol.22 No.-

        이 논문의 제목은 “통일 후 북한지역 부동산의 처리문제”라고 정하였다. 현재 북한은 사회주의 소유제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남한은 자본주의 소유제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장래 남한과 북한이 통일을 할 경우에, 부동산소유제도의 통합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남북한의 부동산 소유제도의 통합문제는 장래 북한경제의 향상을 위하여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데 남북한의 부동산소유제도의 통합문제는 북한주민을 보호하는 방향에서 검토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남북한의 부동산소유제도의 통합문제는 북한지역의 발전을 위하여 검토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는 남북한의 통일 후 북한지역의 부동산 중에서 주택과 건물의 소유권의 재편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The title of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Disposal of Real Estate in North Korea after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focusing on houses and buildings-”. Currently, North Korea has a socialist ownership system. But South Korea has a capitalist ownership system. Therefore, if South and North Korea unify in the future, many problems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property ownership system. In particular, the integration problem of real estate ownership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needs a careful approach in that it will have a lot of influe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North Korean economy in the future. However, it is reasonable to examine the integration of real estate ownership system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direction of protecting North Koreans. In addition, the integration problem of real estate ownership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needs to be examined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This paper examined the reorientation of ownership of houses and buildings among real estates in North Korea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 KCI등재후보

        북한의 외국인투자법제와 행정소송 도입

        정대진(JUNG, Dae-Jin)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20 북한법연구 Vol.23 No.-

        향후 북한이 외자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법제도적 준비사항이 필요할 것인가? 본 연구는 여기에 대한 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북한의 외국인투자법제를 개괄하고 외국인투자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 행정소송의 도입 필요성을 검토해보았다. 현행 북한의 행정처벌법에서도 권한 밖의 행정처벌적용금지(제247조), 행정처벌 변경 및 취소(제250조), 신소제기(제252조), 행정처벌적용과 집행에 대한 감시(제254조)와 같은 규정들이 마련되어 있으나 신소제기의 당사자는 공민으로 제한되는 점 등이 문제가 되어 외국인투자가 입장에서는 자신의 권익에 대해 직접 항변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부족해 보인다. 북한이 외국인투자자의 권리와 이익을 존중하고 보호한다는 신호를 국제사회에 충분히 보여줄 때 외국인 자본도 투자처로서의 북한 시장에 관심을 보일 수 있을 것인데 행정소송의 도입은 이러한 신호 보내기(signaling)의 일환이 될 것이다. 북한도 실정에 맞도록 가능한 수준에서부터 적용하면서 점차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발전시켜나가는 중장기 법제개혁 준비와 계획이 필요하다. What kinds of legal and institutional preparations are required to promote foreign investment for North Korea? This study suggests an introduct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nto the North Korean legal system. After reviewing North Korea’s foreign investment laws comprehensively, I pinpointed that it is necessary to equip legal means for the protection of foreign investor’s rights and benefits. North Korea’s administrative punishment act prescribes prohibition of administrative punishment out of authority(article 247), change and cancel of administrative punishment(article 250), petition(article 252), monitoring over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administrative punishment(article 254). However, the subject of the petition is also limited to North Korean citizens. Foreign investors still do not have sufficient legal means to claim their own rights and interest by themselves in North Korea. It is required to introduce administrative litigation into the North Korea’s legal system in order to facilitate foreign investment and let North Korean legal system be advanc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 introduct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will be a good signaling of North Korea’s willingness to protect foreign investor’s rights and respect foreign investor’s legal status. For North Korea,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epare legal reform step by step to fit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s.

      • KCI등재후보

        북한의 법적 지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북한의 국가성 인정의 관점에서

        권은민(Eun-Min, Kwon)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21 북한법연구 Vol.25 No.-

        새로운 평화질서를 모색하는 신한반도체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이를 계기로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고 이를 남한의 법체계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지 검토한다. 남북관계와 관련된 법제를 연구하다 보면 북한의 국가성과 관련되는 문제가 있는데, 북한의 국가성을 부인하는 다수의견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것도 있다. 이에 필자는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북한의 법적 지위에 관한 기존의 관점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지 검토한다. 기존의 학설과 판례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는, 북한의 이중적 지위로 인한 법적 불안정성 문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관되지 않은 정책 문제, 북한에 대한 ODA 지원 가능성 등이 있고, 이는 북한의 법적지위 문제와 관련 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문제를 검토하면서 시간이라는 변수에 유의하고자 한다. 헌법이 제정된 1948년과 남북기본합의서가 체결된 1991년 그리고 2021년 현재의 상황이 다를 수 있는 것은 시간의 흐름이라는 변수가 있기 때문인데, 북한의 법적 지위란 문제도 이제는 달리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문제의 원인이 된 1948년 제정된 대한민국 헌법 상 영토조항 규정과 그 당시의 정치상황에 대한 검토를 통해 기존 주장의 변화가능성을 모색한다. 또한 국제법학계의 연구성과를 참고함으로써 국내적 시각을 넘어 객관적 근거를 찾으려는 시도를 해 보았다. 이런 검토를 통해 필자는 기존의 주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e new Korean Peninsula regime, which pursues a new community of peace, has inspired the author to review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 In essence, the author suggests that North Korea be recognized as a state, and such recognition be incorporated into the legal system of South Korea. Legislative research on inter-Korean relations is often interrupted by multiple roadblocks relating to the Stateness of North Korea. The existing view not only goes against the common sense at this point in time, but also is inadequate to fundamentally resolve the questions raised. In this regard, the author reviews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change the existing perspective on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 to prepare for the new future. There are several incongruities regarding North Korean issues in the South Korean law and court ruling. These include the legal instability of North Korea due to its dual status, inconsistencies among the policies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availability of ODA for North Korea, etc., which are issues pertaining to the status of North Korea under the South Korean legal system. The common cause of these issues is that North Korea is not recognized as a country. In reviewing this issue, the author takes note of the variable of time. The flow of time caused the view of 1948, the promulgation year of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of 1991, the year in which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was signed; and the view today in 2021 to deviate from each other. To keep up with the times, a new view on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 should be adopted. The author deems that the issues above stem from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 of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which is a provision on the nation’s territory.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existing argument could be sought by reviewing the Founding Constitution provisions and the polit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The author also considered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 in the international legal community, in an attempt to develop an objective view beyond the constraints of domestic perspective. Through this review, the author confirmed that shifting away from the existing view could prevent the past judgment from holding back the progres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북한의 군인연금에 대한 일고 : 통합 쟁점을 중심으로

        이철수(Lee chulsoo)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20 북한법연구 Vol.2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한국의 사회복지 통합을 감안할 때, 예상되는 남북한 군인연금제도의 통합 쟁점을 제시, 이를 근거로 거시-구조적 수준에서 남북한 군인연금통합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의 군인연금제도에 대해 북한이탈주민의 증언을 바탕으로 논증하는 한편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남북한 군인통합의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무엇보다 통일이후 군인연금을 포함, 남북한 사회복지제도의 과도기적 이중체제 운영의 불가피성이다. 둘째, 통일직후 여타 사회보험제도도 마찬가지지만 만약 남북한 사회보험 통합을 추진한다면, ‘선 가입자 통일, 후 수급자 통일’ 방식으로 진행해야한다. 셋째, 통일 이후 북한주민의 ‘노후 생활보장 기준액’을 준비·제시해야 한다. 넷째, 북한주민들에게 노후보장을 위한 다층연금체제 도입을 검토, 수급자의 경우 주택연금-사유화 전제-활용, 가입자의 경우 개인연금, 퇴직연금, 주택연금, 농지연금-협동농장원- 가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질서 있고 평화로운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을 추진해야한다. 여섯째, 남북한 사회복지통합 기준의 ‘정치성’을 배제해야한다. 일곱째,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은 현실적으로, 전략 전술적으로 남북한의 공동책임과 공동부담 방식으로 진행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expected integration issues of the military pension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taking into account the integration of social welfare programs in a unified country, and based on those, present the direction of integration on military pensions between the two Koreas on the macroscopic and structural dimension. The outcome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inevitable to operate a transitional dual system of the inter-Korean social welfare system, including the military pension after reunification. Second, The other social insurance systems right after reunification are the same, but if the two Koreas are pursuing to integrate the military pension, it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subscriber unification first, recipient unification next’. Third, “the sum of senior standard for living security” after reunification should be prepared and presented. Fourth, the government needs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a multi-layered pension system for the North Korean people with the aim of age security, and for the pensioners,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housing pension-on the premise of privatization system, and for the subscribers, individual pension, retirement pension, housing mortgage reverse and farmland pension(in the case of cooperators). Fifth, we must push ahead with the peaceful integration of South-North social welfare system. Sixth, we must exclude the “political nature” in the inter-Korean social welfare integration standards. Seventh,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s social welfare system should be carried out in a realistic, and strategic and tactical way, in a joint burden manner with the joint responsibility of the two Koreas.

      • KCI등재후보

        남북한 경제통합시 법적 쟁점과 과제

        박정원(PARK, Jeong Won)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21 북한법연구 Vol.25 No.-

        남북한 경제통합은 현실적인 남북의 경제적 격차의 현실을 인정하고 그 격차를 해소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통일이란 법과 제도의 통합 이전 또는이후에서 남북의 정신적⋅정서적 결합을 통한 지역간 차별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실질적인 남북 사이의 경제격차는 통합 내지 통일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이러한 경제적 격차의 극복은 단시일에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래서 경제통합은 단계적으로 점진적인 조치를 통해 완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북 간의경제교류와 협력의 기반이 확충되고, 북한에서 시장화가 촉진되어 남북 간의 경제부문의 통합적 접점을 확대하는 과정이 강조된다.남북한 통일시 경제통합은 남북 간 경제격차 해소와 사회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균형점을 찾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 접근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남북의 경제통합을 위한 잠정적 조치의 불가피성과 관련한 법적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여 그 대응방안을찾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동서독의 경제통합 사례에서 남북한 경제통합에 주는 법제도정비의 교훈을 찾아본다. 이러한 상황은 통일 직후의 과정을 염두에두고 다루지만 현실의 남북한의 경제적 격차에 기초한 변화도 고려하여 판단한다.남북 사이의 경제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남한의 시장경제질서의 사회주의계획경제에 대한 압도적 우위를 증명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통일국가의 경제질서는우리의 경제체제의 우위성을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하지만 그 모순적 현상을 해결하는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남북한의 경제통합과정에서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과도체제형성의 불가피성이 제기된다. 경제통합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통일 후 북한지역의 한시적인 분리 운영의 정책에 대해 법적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논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should be materialized by acknowledging the reality of the realistic economic gap between the two Koreas and suggesting ways to bridge the gap. It is important to overcome regional discrimination through the spiritual and emotional union of the two Koreas before or after the integration of laws and systems for un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tual economic gap of South and North Korea can act as an impediment to integration or unifica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economic gap cannot be overcom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economic integration be completed through step-by-step measures.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economic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expanding the integrated interface between the two Koreas by promoting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is emphasized. Economic integration at the time of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should be approached with a focus on finding a balance point that can bridge the economic gap between the two Koreas and secure social stability. It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examine the legal problems related to the inevitability of interim measures for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find a countermeasure by analyzing them. In the case of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we look for lessons from the reform of the legal system for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s situation is dealt with with the process immediately after unification in mind, but changes based on the actual economic disparity between the two Koreas are also considered and judged. In a reality where the economic gap between the two Koreas is widening, South Korea s market economy is proving the overwhelming superiority of the socialist planned economy. Considering this, the economic order of a unified nation must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uperiority of our economic system, but efforts to resolve the contradictory phenomenon must also be made. In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inevitability of forming a transitional system for the formation of an economic community is raised. There is a need for an argument to give legal justification to the policy of temporary segregation operation in North Korea after unification, which is inevitably formed in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 KCI등재후보

        대북한 투자시의 분쟁해결 방안의 모색에 관한 소고 : 북한과 중국간의 민형사 사법공조 조약을 중심으로

        허욱(Huh Wook)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19 북한법연구 Vol.22 No.-

        북한에 대한 열기가 높다. 한국에는 남북통일이 되면 단기적으로는 북한의 우수하고 질좋은 노동력을 이용할 수도 있고, 장기적으로는 남북한을 합한 소비시장이 형성되면서 지금같이 부진한 한국 경제에 돌파구를 마련해 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북한에 대한 투자를 망설이게 되는 것은 투자의 불확실성 때문이다. 투자의 불확실성은 개성공단 폐쇄와 같은 정치적인 문제에 기인할 수도 있고 기본적으로는 법적으로는 북한에 투자를 해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어떻게 해결하여 우리의 재산과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이해와 예측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북한과의 경제협력에서 분쟁의 해결이라는 각도에 착안하여 향후 북한과 우리의 경제협력에 있어서 중국을 통한 우회적인 협력이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북한과 중국은 역사적으로 서로의 관계가 부침을 겪기는 했지만 여전히 국제사회에서 끈끈한 우방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사법 분야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민사와 형사 사법공조에 관한 조약”《中华人民共和国和朝鲜民主主义人民共和国关于民事和刑事司法协助的条约》을 체결한 바 있다. 이 조약은 두 나라간의 민사와 형사절차에 있어서의 상호 공조에 관한 규정들을 담고 있는데 특히 이 조약에 따라 두 나라는 상호간의 법원의 판결을 서로 승인하고 집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북한과 중국은 모두 사회주의 국가이다. 두 나라의 민사소송제도는 양당사자가 대등한 지위에서 주장과 입증을 통한 해결방법을 찾는다기보다는 국가가(공산당이) 가부장적 지위에서 인민들간의 분쟁을 해결해준다는 성격이 강하다. 이런 민사소송법에 대한 공통적인 시각은 서로의 판결을 승인하고 집행하는 동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판결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북한법의 현황을 살펴보고, 위 조약의 내용들을 소개한다. 앞으로 한국은 중국의 동북3성 지역을 북한과의 경제협력과 투자의 전진기지로 삼아 중국기업과 합작기업을 설립하여 북한에 투자를 진행하고 그 분쟁해결방안으로는 중국을 분쟁해결 관할로 하여 거기서 내려진 판결을 본 조약에 근거하여 북한에서 집행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만 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북한법이나 정책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인바 중국을 거점으로 중국의 대학이나 연구기관이 추진하는 북한 관련 세미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북한 법학교수, 변호사들과의 교류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Interest in North Korea is high all over the world. Expectations are high that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will bring about a breakthrough in the current slug the Korean economy is going through. Uncertainty regarding investment in North Korea is causing us to hesitate to invest. The uncertainty of investment may be due to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case of the closure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or basically due to ways of solving a dispute when investing in the North legally, facing problems with regards to the protection of our property and rights. From the point of view of dispute resolution in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is text believes that indirect cooperation through China could be an important channel in future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In other words, Chinese companies and South Korean companies could set up joint ventures in China, and through them proceed with transactions with North Korea and investment in the North. North Korea and China still maintain strong ti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espite their strained relations, and in the field of justice procedure, they signed a Treaty between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and the Democratic People s Republic of Korea on judicial assistance in civil and criminal matters. The treaty contains provisions on mutual cooperation in civil and criminal proced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particular the two countries require each other to recognize and enforce mutual resolutions. Both North Korea and China are socialist countries. The two countries civil litigation system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state (the Communist Party) resolves disputes between the people in a patriarchal way rather than finding solutions through arguments and verifications in equal standing through the rule of law. This common view of the civil action law has become the driver of recognizing and enforcing each other s judge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North Korean law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judgements, and introduces the contents of the above mentioned treaty. From now on, South Korean companies should consider establishing a joint venture with a Chinese company to invest in North Korea, using China s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as an outpost for cooperation with China and investment in North Korean. China could be considered as a place to settle the dispute between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companies, as according to China-North Korea Treaty decisions taken by Chinese courts are fully enforceable in North Korea being these recognized by North Korean courts. South Korean counterpart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North Korea-related seminars promoted by Chinese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or law firms based in China to expand exchanges with North Korean law professors and law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