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時代의 耽羅 關聯 史料

        鄭雲龍(Jung Woon-yong)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9

        이 글은 『三國史記』·『魏書』·『北史』·『日本書紀』 등에 보이는 耽羅(지금의 제주도) 관련 사료의 검증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검토 결과, 일본서기 神功 49년 기사에 보이는 ‘南蠻 忱彌多禮’는 탐라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자료로 사용하기 곤란함을 밝혔다. 현재 神功紀 자체에 대해 사료로서의 신빙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기사의 침미다례를 탐라와 유사한 音이라 하면서, ‘남만’은 백제와 육로로 연결되는 곳이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의 康津이라 보고, 그 결과 탐라 또한 강진이라는 주장은 입론의 근거가 박약하다 본다. ‘남만’은 육로나 해로로의 연결 여부와는 무관한 표현이기 때문이다. 한편 『삼국사기』·『위서』·『북사』 등에 보이는 ‘涉羅의 珂’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 성과대로 섭라를 탐라로, 珂를 소라나 전복 등으로 보아, 제주도 특산 貝類로 만든 장식용 가공품이라 판단하였다. 이는 섭라를 신라로, 珂를 瑪瑙라고 이해하는 견해에 反하는 것이다. 당시 중국 북부를 통일한 北魏는 마노의 주요 산지를 제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북위가 굳이 고구려에게 마노의 貢納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필요가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珂가 마노라는 견해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다. 아울러 전복으로 만든 화살촉·반월도 등이 제주도에서 출토한 사례와, 대한제국 이전에는 제주도에서 대형의 전복이 많이 산출되었다는 조사기록을 참고하여, 珂는 전복껍질로 만든 장식용 가공품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또 『삼국사기』 백제본기나 『일본서기』에 보이는 탐라・耽牟羅는 모두 지금의 제주도임을 재차 확인하였다. 이 경우 문주왕 때의 교류는 탐라가 자발적으로 국난의 위기에 처해있던 백제에게 위로의 사신을 보낸 것이다. 그 후 점차 탐라의 백제에 대한 예속도가 강화되어, 동성왕 시기에는 貢物과 租稅의 부담 의무까지 지고 있었다고 보인다. 그런데 동성왕 때 탐라가 의무를 다하지 않자, 동성왕은 武珍州까지 출병하였다. 이때의 ‘무진주’는 통일신라시대 광역의 행정・지리 개념으로, 지금의 전라남도 지역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일본서기』 繼體 2년 기사는 무령왕 때에 탐라국 임금이 처음으로 백제에 옴으로써, 그 종속·附庸 관계가 더욱 강화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This article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certify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amla(耽羅, the current Jeju Island), which are found in Samkugsaki(三國史記), Weiseo(魏書), Buksa(北史) and Ilbonseoki(日本書紀).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is difficult to use ‘Namman Chimmidarye(南蠻忱彌多禮)’, which can be found in the Ilbonseoki Singong(神功) the 49<SUP>th</SUP> year, as a records directly related to Tamla. Currently, many questions are raised about Singongki(神功紀) if it has the credibility as a historical records. Therefore, the grounds are weak to claim that ‘Chimmidarye’ mentioned in the records is Tamla as they sound alike, and determining ‘Namman’ as now called Gangjin(康津) province as it should be connected by land to Baekje(百濟) is also based on insufficient evidence. ‘Namman’ is an expression irrelevant to whether it is connected by land or sea. Meanwhile, ‘Ka(珂) of Seobra(涉羅)’ mentioned in Samkugsaki, Weiseo, Buksa etc. is viewed as processed goods made of shellfish that are special products of Jeju Island, as ‘Ka’ implies turban shell or abalone(全鰒) and Seobra signifies Tamla according to a previous research. This is a denial of the opinion that Seobra is Silla(新羅) and Ka is agate(瑪瑙). North Wei, I think, which unified the northern part of China at that time, was in control of the main production area of agate. Therefore, it was not necessary for North Wei to demand agate as a tribute from Goguryeo(高句麗). For these reasons, the opinion that Ka is agate is incorrect. In addition, through the cases that head of the arrows and the half-moon swords(半月刀), made of abalones, were excavated on Jeju Island, and the survey records that many large abalones were collected on Jeju Island before the Korean Empire was established, Ka is farely possible to be considered as abalone. Furthermore, it was reconfirmed that all Tamla and Tammora that appear in Samkugsaki Baekje-bonki and Ilbonseoki are now Jeju Island. At first, Tamla voluntarily sent an envoy as a messenger of solace to Baekje, who was in national crisis at the time of King Munju(文周王)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 After that, Baekje"s degree of subjugating Tamla was gradually strengthened, and it seemed that the tribute and the duty of tax became obligatory during the time of King Dongseong(東城王). However, since Tamla did not fulfill their obligations, King Dongseong sent troops to now called Jeonra-namdo(全南), and as a historical records, it is described that he dispatched to Mujinju(武珍州) as a geographical concept of Unified Silla Period. In the Ilbonseoki Gyeche(繼體) the 2<SUP>nd</SUP> year, it is understood that the subordinate relations were strengthened by the king of Tamla-guk(耽羅國) coming to Baekje for the first time in the time of King Muryeong(武寧王).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의 변형 대퇴사두근하 도달법과 슬개골 내측 도달법의 비교

        영복(Young-Bok Jung),송광섭(Kwang-Sup Song),이은용(Eun-Yong Lee),이용석(Yong-Seuk Lee),박영욱(Young-U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에 있어서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과 슬개골 내측 도달법의 차이를 수술 후 기능적인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12월까지 26명의 환자 40예에서 시행한 1년 이상 추시가능한 1차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전향적, 무작위적, 맹검적 방법으로 두군으로 나누어 21예의 변형 대퇴사두근하 도달법과 19예의 슬개골 내측 도달법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능동적 하지직거상 시기와 수술 후 10일, 6주, 3개월, 6개월, 1년에서의 능동적 슬관절 굴곡범위를 비교하였으며, 수술 후 1년 이후의 추시에서는 슬개골의 이동도와 경사각을 측정하였고, 통계적 검증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능동적 하지 직거상 시기는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에서 평균 1일 이내로 슬개골 내측 도달법에서의 평균 2.2일보다 더 빨랐으며, 수술 후 슬관절 굴곡범위는 수술 후 10일까지는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에서 더 컸으나 이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술 후 슬개골 이동도와 경사각은 두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은 기존의 슬개골 내측 도달법보다 수술 후 능동적 하지 직거상과 수술 후 10일까지 슬관절 굴곡범위에 있어서 더 나은 결과를 보여 수술 후 조기재활이 가능한 이점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1차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의 사용을 권고하는 바이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i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he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in terms of the postoperative function of the kne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to December 2002, 40 primary TKAs from 26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a prospective, randomized, blinded trial.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was used in 21 knees, and the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was used in the remaining 19 knees. The time of postoperatively active straight-leg raise (SLR), and the range of flexion of the operated knee were assessed at postoperative 10 days, 6 weeks, 3, 6, and 12 months. The degree of the patellar tilt and subluxation was investigated at postoperative 12 month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at-test. Results: The patients with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performed active straight-leg raise sooner (mean, 0.5 day) than the patients operated on using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mean 2.2 days). Knee flexion was better at post-operative 10 days in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group than the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fter 6 weeks, 3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after surgery. The level of patellar tilt and subluxation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provided the advantage of early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in terms of an earlier active SLR and greater knee flexion at 10 days compared with the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The use of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in primary TKA is recommended.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내측광근 절개 도달법과 슬개골 내측도달법의 비교

        운화(Wan-Hwa Jung),하용찬(Yong-Chan Ha),차민석(Min-Seok C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목적: 슬관절 전 치환술에 있어서 내측광근 절개 도달법과 슬개골 내측 도달법의 차이를 수술 후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인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 49명의 환자 98예에서 전향적 연구로 일측에는 슬개골 내측 도달법을 반대측에는 내측광근 절개 도달법을 시행하여 최소 2년 추시를 시행하였다. 수술시간, 수술후 출혈양, 능동적 하지 직거상 시기, 및 슬관절 운동시기 및 정도, 슬개골의 이동도와 경사각을 측정하였고 t-test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능동적 하지 직거상 시기는 내측광근 절개 도달법에서 1.8일로 슬개골 내측 도달군 2.1일에 비하여 다소 빨랐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술후 4주 추시상 내측광근 절개 도달군에서 후속굴곡이 평균 125.5도 슬개골 내측 도달군이 123.9도로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이 관찰되었다(p=0.028). 하지만, 최종 추시상 슬개골의 이동은 내측광근 절개 도달군이 3.4 ㎜, 슬개골 내측 도달군은 1.6 ㎜로 내측광근 절개 도달군에서 유의한 정도의 슬개골 이동이 관찰되었다(p=0.035). 내측 광근 절개 도달군에서 1예의 혈종형성 및 슬개건 건열 골절이 발생하였다. 결론: 내측광근 절개 도달법이 비록초기에 비교적 빠른 재활이 가능하나, 내측 광근의 과도한 손상가능성과 적응증의 한계를 고려할 때 기존의 슬개골 내측 도달법에 비해 우수한 수술방법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dvastus and median parapatellar approach i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n terms of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3, 49 patients having bilateral TKA were randomized prospectivity-one knee having a vastus splitting approach and the other knee having a median parapatellar approach- to compare operation time, postoperative ROM and drain amount, knee society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return to SLR, patellar tilting and displacement.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2 years of follow-up period, and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 patients with the midvastus splitting approach performed active straight-leg raise sooner (mean, 1.8 day) than the patients operated on using median parapatellar approach (mean, 2.2 day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Knee flexion was better at post-operative 4 weeks in midvastus splitting approach group (mean, 125.5 degrees) than the median parapatellar approach group (mean, 123.9 degree)(p=0.028). However, patellar displacement was more severe in midvastus splitting approach group (mean, 3.4 ㎜) than the median parapatellar group (mean, 1.6 ㎜) (p=0.035). There was 1 postoperative hematoma and avulsion fracture of patellar tendon in midvastus splitting approach group. Conclusion: Even though midvastus splitting approach could provides the advantage of early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The midvastus splitting surgical approach dose not consider as being superioir to median parapatellar approach due to severe injury of midvastus and limitation of surgical indication.

      • KCI등재후보

        슬관절 부분치환술

        영복(Young Bok Jung),이용석(Yong Seu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슬관절 부분치환술은 1970년 초기에 소개된 이후 최근까지 그 치료 결과에 대하여 이론이 많았다. 환자에 대한 선택, 수술수기의 발달과 보철기구 설계의 개선으로 그 결과가 많이 향상되었다. 수술 후 10년 생존율에서 인공관절 전치환술보다 다소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보고이나, 최근 몇몇보고는 전치환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15년 이상 생존율에서는 전치환술보다 다소 떨어지나 많이 개선된 상태이다. 부분치환술이 절골술이나 전치환술에 비해 이점이 있으므로 한쪽 부분에 골성관절염 환자 특히 중년 부인에서 이점이 있는 좋은 수술방법으로 사료된다. 최근에 수술수기의 발달로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입원 기간의 단축 및 기능상 정상에 가까운 기능 회복 등으로 최근에 다시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술 전에 술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첫째, 퇴행성 관절염이 한쪽 관절부분에만 국한된 것인지 확인 해야 되며 이를 임상적, 방사선 사진 및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 등으로만 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정밀 검사 즉 동위원소 검사, 관절경 검사 등을 할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한쪽 부분에만 퇴행성 관절염이 있을 경우에 수술의 금기사항은 아닌지 잘 검토 해야 된다. 셋째, 고정된 내반 및 외반 또는 굴곡 변형이 부분 치환술 후 교정이 가능한 것인지, 넷째, 변형을 과도하게 교정을 하면 정상측 관절면이 퇴행성 변화가 촉진되므로 어느 정도 교정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 또한 폴리에틸렌의 두께는 최소한 어느 정도 이상 되어야하는지 등을 잘 검토하여야 된다.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has been controversial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early 1970s. Refinements were made in patient selection, surgical technique, and prosthetic design. Ten-year follow up studies were reported that showed survivorship was slightly less than that reported for total knee arthroplasty but acceptable considering the theoretically conservative nature of unicompartmental surgery. Unicondylar knee arthroplasty can b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osteotomy or total knee arthroplasty especially some middle-aged women. Approximately all studies with followups of 10 years or greater show that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will have inferior survivorship to total knee arthroplasty whether from loosening, prosthetic wear, or secondary degeneration of the opposite compartment in the second decade. Recently there has been a resurgence of interest in doing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which was encouraged by easier recuperation, decreased hospital stays, and good functional results. Before doing a unicompartmental arthroplasty, the surgeon should answer four important questions: Is the disease truly unicompartmental? Can this be determined on a clinical examination and standard radiographs, or are more sophisticated studies such as a bone scan or an arthroscopy required? Second, if the patient does have unicompartmental disease are there any specific contraindications to the surgery? What are the limits of fixed deformity in varus or flexion that can be corrected by a unicompartmental replacement? Overcorrection of angular deformities has in the past led to increased wear of the opposite compartment. Therefore, how much should the knee be corrected? What is the minimal polyethylene thickness that is permissible?

      • CP-OFDM 기반 통신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동기화 오차 추정 기법

        정용안(Jung Yong An),변상봉(Byun Sang Bong),신한재(Shin Han Jae),한동철(Han Dong Cheul),조수현(Cho Soo Hyun),이성훈(Lee Sung Hu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3GPP 5G NR 표준에서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 및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 강건함을 위해 cyclic prefix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P-OFDM)과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DFT-S-OFDM)을 채택하였다. OFDM 기반의 전송 방식은 각 서브캐리어들을 직교하게 중첩시켜 병렬전송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지만, 동기화 오차에 매우 민감하다. 특히 소수배 주파수 오차가 존재할 경우 직교성을 상실하게 되어 ICI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및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를 이용한 잔여 주파수 오차 추정기법을 제안한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5G NR의 채널 모델을 적용시키며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5G NR 시스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철도 시설물 자동화 계측을 활용한 경보 전파 시스템 개발

        재현(Jung Jea Hyen),김현기(Kim Hyun ki),한상재(Han Sang Jea),승용(Jung Seung Yong)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현재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교통재난ㆍ재해대책편람을 발간하여 철도를 포함한 국가 주요 시설물에 대한 재난 대응지침을 수립한바 있으나, 지령 및 상황전파를 전화나 팩스등에 의존하고 있어 업무 전달 속도가 현저히 느리고 인력중심의 안전관리 업무처리로 인해 상황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에 있다. 또한 이러한 실정과 유사하게 철도관련 토목공사 및 유지관리 부문에서도 센서기반 자동화 계측 시스템을 상당수 도입하고 있으나,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시스템은 계측데이터를 분석하고 시설물 내부 위험을 평가하여 관리주체에 보고 및 전달시간이 상당한 소요되고, 긴급하게 시설물 이상여부를 보고해야 하는 상황에 자동화 계측시스템이 경보 전파를 적절하게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비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철도 토목관련 자동화 계측 경보전파체계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국부단일 토목공사의 단위 계측시스템 뿐만 아니라, 철도에서 활용되기에 적합한 체계로 경보 전파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하고, 나아가 국가 기반시설물 안전관리에 연계ㆍ활용 될 수 있도록 상황전파 표준 프로토콜 및 전파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Gathering information and systemization of infrastructure disaster management is to reduce uncertainties in making decisions and maximize the number of alternations for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e key object is the progress report & propagation automation system based on sensors of railway, which is major for providing objective data to realize and support decision makings and delivering decision to a certain area, department, manager and other people rapidly. Collecting, reviewing and database of existing progress report & propagation manual in order to achieve networking of safety management on major social infrastructure of the nation, materialization of field-oriented intelligent business process by developing mobile safety management command transmission device and integrating it into facility safety management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