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時代의 果下馬와 耽羅

        정운용(Jung, Woon Yo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8 No.-

        중국 문헌을 통해 볼 때, 果下馬는 濊의 특산으로 漢代부터 중국 왕실에 알려졌다. 당시의 과하마는 궁중에서 국왕이나 왕후가 이용하던 輦車‧ 羊車 등의 작은 수레를 끄는 데에 이용되었다. 이러한 과하마는 濊가 고구려에게 흡수된 이후에는 역시 고구려의 특산으로 알려지면서, 중국의 魏晉·南北朝 時代에까지 왕실에 의해 중시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상황은 隋代에까지도 그 명맥이 이어졌으나, 唐代에 들어서는 과하마에 대한 중국 왕실의 애착이나 활용도가 저하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후한서』나 『삼국지』 등 중국 사서를 통해 보면, 과하마를 보유한 濊는 낙랑군 영동 7현 예하에 속해 있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濊지역에는 箕子관련 풍습이나 고조선의 호랑이 토템이 남아 있을 수 있었다. 따라서 濊는 낙랑과의 관계로 인하여 漢왕실에 과하마를 보낼 수 있었다고 보인다. 과하마는 고구려와 북위의 교섭 과정에서 삼척마라는 이름으로도 북위에 알려졌다. 唐에서 과하마를 크게 주목하지 않았듯이, 고려 왕조에서도 과하마에 대한 기록은 잘 찾아지지 않는다. 오히려 과하마는 백제 무왕 때 唐에 선물로 보내졌다는 기록이 관심을 끈다. 牧馬와 관련하여 무왕 즈음에 백제가 새로이 확보한 지역으로 주목되는 곳은 탐라 정도이기 때문에, 탐라와 과하마 및 백제의 관계가 究明되어야 한다. 백제가 과하마를 알게 된 것은, 문주왕의 웅진 천도 직후 탐라와의 교류를 시작하고, 동성왕 대에 들어서는 탐라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한 것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즉, 탐라는 그 이전 시기 고구려와의 교류를 통해 과하마를 알게 되었으며, 백제는 그러한 탐라에 영향력을 강화한 이후 탐라의 과하마를 梁이나 唐등 중국 왕조와의 교류에서 이용할 수 있었다고 보인다. Seeing through the Chinese references, Gwahamas(果下馬), known as the special production of Yea(濊), were introduced to the royal(imperial) family since Han(漢) era. At that time, Gwahamas were used for carrying small carriage such as Yeoncha(輦車) or Yangcha(羊車) that were for the king or queen. After Yea was subordinated to Goguryo(高句麗), they were known as the special production of Goguryo and valued in the Chinese royal family through Weejin(魏晉) to Nambukjo(南北朝) era. The fame of them continued until Su(隋) era but it seems that the Chinese royal family’s attachment to the them and the utilization have decreased. Meanwhile, according to Chinese historical books such as Huhanseo(後漢書) and Samgukji(三國志), Yea that had Gwahamas was belonged to Youngdong-7-hyun(嶺東7縣) of Nakrang-gun(樂浪郡) and because of this, Yea region could keep the customs related to Kija(箕子) or the totem of tiger of Gojosun(古朝鮮). Therefore, it appears that Yea was able to send Gwahamas to the Chinese royal family because of the relationship with Nakrang. Gwahama was also known to Bukwei(北魏) as Samcheokma(三尺馬) in the process that Goguryo was exchanging with Bukwei. Just as the Gwahamas were not noted much in Dang(唐), records of them are rarely found in the Goryo(高麗) Dynasty. Rather, the record that Gwahamas were sent as a gift to Dang during the reign of King Mu(武王) of Baekje(百濟) draws the att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mla(耽羅), Gwahama, and Baekje should be studied, as the territory that Baekje had newly secured around the era of King Mu is only Tamla. It is believed that the notice of Gwahamas in Beakje is due to the fact that King Munju(文周王) started to exchange with Tamla right after transferring the capital to Woogjin(熊津) and King Dongsung(東城王) gained control of Tamla. In other words, Tamla previously learned about Gwahamas through the exchange with Goguryo, and Beakje seems to have been able to use Tamla’s Gwhama in exchange with the Chinese dynasty, such as Yang(梁) or Dang, after subjugating Tamla.

      • KCI등재

        淸海鎭 張保皐 勢力의 政治的 限界

        정운용(Jung Woon-Yong)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59

        淸海鎭의 군사적 기반은 첫째, 興德王으로부터 받은 군사 1만 명이라 보아야 한다. 이 병력은 국가 公兵의 성격을 띠며, 국가로부터 인정을 받은 정식 조직이었다. 둘째는 唐에서 활동할 당시 張保皐 세력의 근거지였던 山東半島 지역의 신라 출신 인물들이다. 이들은 대외 진출의 독립성과 진취성을 갖고 있었다. 셋째는 莞島를 중심으로 한 청해진 일대의 신라 島嶼 지방 사람을 들 수 있다. 이 사람들이 조선술과 항해술 등 청해진 세력의 해상 制海權장악에 기여하였다고 본다. 이러한 청해진의 설치는 장보고의 의지와 신라 중앙 정부의 필요성이 결합한 산물이었다. 장보고와 신라 중앙 정부의 관계는 대체로 4단계의 변화 과정을 거쳤다고 이해한다. 첫 단계는 장보고가 산동반도를 중심으로 해상 무역을 활발히 전개하던 시기부터 청해진 설치를 건의하고, ‘大使’로 임명되던 때까지이다. 두 번째 단계는 청해진대사 임명 후 왕권 쟁탈전에서 패한 金祐徵이 청해진으로 도망해 오는 때까지이다. 세번째 단계는 김우징을 도와 그를 神武王으로 즉위시킨 때부터 文聖王 초반까지이다. 이 시기가 장보고로서는 정치적으로 중앙 정부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개인적인 명예와 정치적 영향력이 가장 절정에 달했던 시기이다. 네 번째는 자신의 딸을 문성왕의 왕비로 만들려고 시도한 때부터 閻長에게 살해당하는 때까지이다. 장보고가 갖고 있었던 정치적 한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볼 때, 장보고의 정치적 限界는 다섯 가지 정도로 집약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청해진 설치 자체가 국왕의 인정을 받고 이루어진 것이지만, 그것이 국가의 공식적·정상적 지배 기구 또는 군사 단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둘째는 신라 骨品制하에서 지방 豪族 출신인 장보고의 신분적 제약을 들 수 있다. 셋째는 신라 중앙 귀족들이 장보고에 대한 견제이다. 넷째는 청해진 세력내에 장보고 이외에는 출중한 인물이 없었다는 점이다. 다섯째는 정치적으로 초연하게 해상 무역에 전념하여야 할 청해진 설치의 목적을 잃고, 무리한 야망을 품었다는 점이다. 이것이 청해진 장보고 해상 왕국의 몰락을 가져왔다. The military base of Cheonghae Garrison(淸海鎭) is, first of all, 10 thousand soldiers supported from King Heungdeok(興德王). The troops were kind of a formal organization composed of public soldiers(公兵), which were acknowledged with authority from the nation. Second, there were several people from Silla(新羅) in Sandong peninsula(山東半島), where was a main base of Jang Bo Go(張保皐) when he was working at Tang(唐). They were highly independent and progressive for expansion. Third, around Cheonghae Garrison, there were local people of Silla with Wan-island(莞島) as the center, who were known as the assistants to command the sea with some skills of shipbuilding and navigation. Setting up Cheonghae Garrison was a product of combination of Jang Bo Go’s will and the central government’s need. The relation between Jang Bo Go and the central government altered through 4 big stages. First stage is from the time when Jang Bo Go was trading actively with Sandong peninsula as the center to the time when he suggested setting up Cheonghae Garrison and were appointed Daesa(大使). Second stage is from the time right after he became an Daesa to the time when Kim Woo Jing(金祐徵) fled from a competition for royal authority. Third stage is from the time he helped Kim Woo Jing ascending the throne(King Shinmoo : 神武王) to the early part of King Moonseung(文聖王). This period was climax of not only Jang Bo Go’s personal honor but also his political influence as he were intimately relat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Fourth stage is from the time he were struggling to make his daughter marry King Moonseung to the time he were assassinated by Yeom Jang. Also it is the period exposing his political limitation plainly. Regarding through those above, Jang Bo Go’s political limitation could be integrated in 5 points of view. First, although Cheonghae Garrison was acknowledged by the king, but actually it wasn’t for a part of a national military nor it wasn’t for a formal organization to rule the region. Second, there was limitation under the status system, Golpoom(骨品制), as Jang Bo Go was just a local family, Hojock(豪族). Third, the aristocrats in the central city of Silla were checking Jang Bo Go. Fourth, there were no outstanding person except Jang Bo Go in Cheonghae Garrison. Fifth, he had excessive ambition losing the main purpose of Cheonghae Garrison which was for seaborne trade not for political power. Through these, Cheonghae Garrison, the naritime commercial kingdom of Jang Bo Go, collapsed.

      • KCI등재

        樂浪 關聯 墓誌銘에 보이는 箕子 繼承 意識

        鄭雲龍(Jung, Woon-Yong)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문헌이나 묘지명에 보이는 낙랑 관련 인물의 성씨는 주로 韓氏와 王氏이다. 이들성씨는 『史記』 조선전의 韓陰과 王唊에서부터 찾아진다. 이들과 연관된 인물이 낙랑군 주민 중 ‘토착 조선인’에 해당한다. 낙랑군 시기인 기원후 30년 즈음에 난을 일으킨 王調도 마찬가지라 여겨진다. 한편 낙랑군 420여 년을 크게 前期와 後期로 구분할 경우, 전기는 國邑體制가 유지되어 토착적 성격이 드러난 사회라면, 후기는 점차 郡縣體制가 강화되면서 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토착 조선인’의 漢化가 이루어진 시기라고 본다. 이때 낙랑군 지배를 위하여 漢에서 이주해 온 官人이나 대외무역에 종사하던 商人및 정치적 이유로 인해 도망해 온 사람 등 소규모 인원이 ‘移住漢人’으로 구분 가능하다. 한편 고조선 이래 중국 세력에서 벗어나, 고조선 사회에 정착해 있던 낙랑군 사회의 ‘土着漢人’들은 중국의 차별적인 정책에 의해 ‘逸民’이라 자칭하면서 자신을 위안했다고 여겨진다. 이처럼 후기를 경과하여, 낙랑군 멸망 이후 이미 漢化된 한 씨・왕 씨 등 낙랑 계통 ‘토착 조선인’ 성씨 집단은 慕容燕의 僑郡인 낙랑군 등 중국 사회로 이주해 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중국 왕조의 중앙 정치에 진출하여 활동한 존재로 낙랑과의 연관성을 내세우며 기자 계승 의식을 갖고 있었던 인물들이 있다. 이러한 인물들은 王波의 후손인 王禎・王基를 비롯하여, 王舒등이 묘지명을 통해 확인된다. 이들이 중국 北魏・北周왕조 때 왕실과 통혼하면서, 자신의 가문도 朝鮮侯였던 기자의 후손임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으로써 묘지명에 기자와 자신 가문의 혈연적 연계를 주장하는 기자 계승 의식이 남게 되었다고 본다. 그러나 낙랑군 존속 시기에 한씨나 왕 씨 집단이 기자 계승 의식을 갖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 경우 『唐書』 등에 고구려에는 箕子神을 섬기는 淫祀가 있었다는 기록이 주목된다. 고구려가 낙랑 지역과 그 백성을 포섭하였음을 감안한다면, 낙랑군 당시에도 ‘토착 조선인’ 사회 특히 낙랑 계통 한 씨・왕 씨 집단에서는 기자의 존재를 자신 가문의 祖先으로 인식했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그러한 인식은 낙랑군 당시에 크게 강조되지 못했을 것이다. 낙랑 계통 인물 또는 가문의 기자 계승 의식 강조는 6세기 초 북위・북주에서 왕실 인물과 통혼을 하게 됨에 따라, 자신들이 가계도 고대 조선의 왕실 가문이었음을 내세울 필요에서 비롯한 것이라 보인다. Family names related with Nakrang are mainly ‘Han’ and ‘Wang’, which can be proved by several references or epitaphs. These family names come up from ‘Han Eum(韓陰)’ and ‘Wang Gyeop(王唊)’ who were recorded in Joseonjeon(朝鮮傳), a part of 『Saki(史記)』. They are the natives of Nakrang, so-called "Native people of Joseon (土着朝鮮人)", who had been living in Nakrang since Old Joseon. Wang Jo(王調), who broke out rebellion in about 30 A.D. known as the period of Nakrang Commandery, is also considered to be descended from the Wangs. When we divide the 420 years of Nakrang Commandery into former and latter period, native cultural disposition occurs in the former period, when the society was under the feudal system(國邑體制). In the latter, centralizing system with local administration(郡縣體制) gradually settled down and the culture of the native people of Joseon harmonized with Chinese’, which can be defined as ‘Hanwha(漢化)’. Governers(官人) who came to rule Nakrang Commandery, merchants(商人) who were engaged in international trade, and several people who made an escape from political reasons are classified as ‘Immigrant Hans(移住漢人)’. Due to their immigration, it seems that ‘Native Hans(土着漢人)’ in Nakrang society who had settled down with the natives since Old Joseon comforted themselves by self-addressing ‘Ilmin(逸民), under the discriminative policy from China. After the fall of Nakrang Commandery, it is considered that families of the natives including the Hans and the Wangs who had already adapted Chinese culture (Hanwha), moved to temporarily so-called Nakrang-kyogoon(僑郡), at Moyong state(慕容燕), China. There are several personages who entered the political world of Bukwee(北魏), Bukjoo(北周) dynasty, keeping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associated with Nakrang. They were engraved on epitaphs, known as Wang Jung(王禎), Wang Ki(王基), Wang Seo (王舒), the descendants of the Wangs. They got married to royal family of Bukwee, Bukjoo dynasty, emphasizing that they were also the descendants from Kija, who once was a king of Old Joseon. In this process, epitaphs showing the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were made to insist their relationship with Kija. However, it isn’t sure that the Hans or the Wangs had been inheriting Kija during the period of Nakrang Commandery. In this case, 『Dangseo(唐書)』 becomes the key, as it says there was Eumsa(淫祀), serving Kija as a god, in Goguryeo. Considering Goguryoe embraced the region of Nakrang, the natives, especially the Hans and the Wangs, recognized Kija as their ancestor in the Nakrang period. However, this awareness might not had been significant at that time. It seems that the consciousness of inheriting Kija or personages of Nakrang descendants became crucial in about 6th century, on account of their need to insist their royalty from Old Joseon dynasty to get engaged to royal family of Bukwee, Bukjoo dynasty.

      • KCI등재

        三國時代의 耽羅 關聯 史料

        鄭雲龍(Jung Woon-yong)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9

        이 글은 『三國史記』·『魏書』·『北史』·『日本書紀』 등에 보이는 耽羅(지금의 제주도) 관련 사료의 검증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검토 결과, 일본서기 神功 49년 기사에 보이는 ‘南蠻 忱彌多禮’는 탐라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자료로 사용하기 곤란함을 밝혔다. 현재 神功紀 자체에 대해 사료로서의 신빙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기사의 침미다례를 탐라와 유사한 音이라 하면서, ‘남만’은 백제와 육로로 연결되는 곳이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의 康津이라 보고, 그 결과 탐라 또한 강진이라는 주장은 입론의 근거가 박약하다 본다. ‘남만’은 육로나 해로로의 연결 여부와는 무관한 표현이기 때문이다. 한편 『삼국사기』·『위서』·『북사』 등에 보이는 ‘涉羅의 珂’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 성과대로 섭라를 탐라로, 珂를 소라나 전복 등으로 보아, 제주도 특산 貝類로 만든 장식용 가공품이라 판단하였다. 이는 섭라를 신라로, 珂를 瑪瑙라고 이해하는 견해에 反하는 것이다. 당시 중국 북부를 통일한 北魏는 마노의 주요 산지를 제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북위가 굳이 고구려에게 마노의 貢納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필요가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珂가 마노라는 견해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다. 아울러 전복으로 만든 화살촉·반월도 등이 제주도에서 출토한 사례와, 대한제국 이전에는 제주도에서 대형의 전복이 많이 산출되었다는 조사기록을 참고하여, 珂는 전복껍질로 만든 장식용 가공품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또 『삼국사기』 백제본기나 『일본서기』에 보이는 탐라・耽牟羅는 모두 지금의 제주도임을 재차 확인하였다. 이 경우 문주왕 때의 교류는 탐라가 자발적으로 국난의 위기에 처해있던 백제에게 위로의 사신을 보낸 것이다. 그 후 점차 탐라의 백제에 대한 예속도가 강화되어, 동성왕 시기에는 貢物과 租稅의 부담 의무까지 지고 있었다고 보인다. 그런데 동성왕 때 탐라가 의무를 다하지 않자, 동성왕은 武珍州까지 출병하였다. 이때의 ‘무진주’는 통일신라시대 광역의 행정・지리 개념으로, 지금의 전라남도 지역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일본서기』 繼體 2년 기사는 무령왕 때에 탐라국 임금이 처음으로 백제에 옴으로써, 그 종속·附庸 관계가 더욱 강화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This article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certify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amla(耽羅, the current Jeju Island), which are found in Samkugsaki(三國史記), Weiseo(魏書), Buksa(北史) and Ilbonseoki(日本書紀).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is difficult to use ‘Namman Chimmidarye(南蠻忱彌多禮)’, which can be found in the Ilbonseoki Singong(神功) the 49<SUP>th</SUP> year, as a records directly related to Tamla. Currently, many questions are raised about Singongki(神功紀) if it has the credibility as a historical records. Therefore, the grounds are weak to claim that ‘Chimmidarye’ mentioned in the records is Tamla as they sound alike, and determining ‘Namman’ as now called Gangjin(康津) province as it should be connected by land to Baekje(百濟) is also based on insufficient evidence. ‘Namman’ is an expression irrelevant to whether it is connected by land or sea. Meanwhile, ‘Ka(珂) of Seobra(涉羅)’ mentioned in Samkugsaki, Weiseo, Buksa etc. is viewed as processed goods made of shellfish that are special products of Jeju Island, as ‘Ka’ implies turban shell or abalone(全鰒) and Seobra signifies Tamla according to a previous research. This is a denial of the opinion that Seobra is Silla(新羅) and Ka is agate(瑪瑙). North Wei, I think, which unified the northern part of China at that time, was in control of the main production area of agate. Therefore, it was not necessary for North Wei to demand agate as a tribute from Goguryeo(高句麗). For these reasons, the opinion that Ka is agate is incorrect. In addition, through the cases that head of the arrows and the half-moon swords(半月刀), made of abalones, were excavated on Jeju Island, and the survey records that many large abalones were collected on Jeju Island before the Korean Empire was established, Ka is farely possible to be considered as abalone. Furthermore, it was reconfirmed that all Tamla and Tammora that appear in Samkugsaki Baekje-bonki and Ilbonseoki are now Jeju Island. At first, Tamla voluntarily sent an envoy as a messenger of solace to Baekje, who was in national crisis at the time of King Munju(文周王)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 After that, Baekje"s degree of subjugating Tamla was gradually strengthened, and it seemed that the tribute and the duty of tax became obligatory during the time of King Dongseong(東城王). However, since Tamla did not fulfill their obligations, King Dongseong sent troops to now called Jeonra-namdo(全南), and as a historical records, it is described that he dispatched to Mujinju(武珍州) as a geographical concept of Unified Silla Period. In the Ilbonseoki Gyeche(繼體) the 2<SUP>nd</SUP> year, it is understood that the subordinate relations were strengthened by the king of Tamla-guk(耽羅國) coming to Baekje for the first time in the time of King Muryeong(武寧王).

      • KCI등재

        世宗市 百濟 雲住山城의 築造와 運用

        정운용(Jung Woon-Yong) 한국고대학회 2019 先史와 古代 Vol.- No.59

        세종시를 포함하여, 세종시를 둘러싼 천안 목천이나 청주 문의 등은 土質이 좋은 곡창이다. 또 목천은 전근대사회에서 전략 자원이라 할 수 있는 鐵과 함께 牛 馬가 많이 산출되던 곳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전의 지역의 토산으로 鐵을 언급하면서 鐵場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즉 전의 전동 지역은, 주변의 곡창과 함께, 철 소 말 등 생산과 군사 전략 자원이 풍부한 곳이었다. 아울러 전의 전동 지역은 공주 부여와 교통로 작전선 상에서 직접 연결 되는 곳이다. 이러한 점이 운주산성의 입지와 축조 운용 문제를 검토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조선시대 여러 地理志를 검토한 결과, 조선 중기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편찬될 당시 지금의 雲住山은 高山으로, 雲住山城은 高山山城으로 명명되었다. 그 후 18세기 후반의 여지도서 에서는 고산이 雲注山으로, 고산산성이 雲注山城으로 개칭되었다. 여지도서 의 雲注山 雲注山城이 지금의 雲住山 雲住山城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중엽에 편찬된 대동지지 는 지금의 금성산을 운주산으로, 지금의 李城과 金伊城(金城山城)을 각각 운주산북성과 운주산남성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아마 전의 전동 지역 현지에서는 당시까지 여전히 금성산을 운주산으로 관념하였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운주산성은 일부 조사된 성벽의 축조 방식에 의해 그 축조 국가를 확정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운주산성 출토 백제 토기편이나 기와편에 주목하였다. 특히 일정한 크기의 성돌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이루어진 축성은 백제 중앙의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 內城 수습 백제 기와편에 주목하여 운주산성의 축조는 백제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삼국사기 를 참고하여 운주산성은 백제 무왕 때인 630년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가 신라나 고구려의 침공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출로 축성한 것이라 추정하였다. 즉, 운주산성은 백제 무왕 때 웅진에 대한 방어를 강화함으로써 사비 도성을 보호하고자하는 군사적 측면에서 축조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때 높은 산에 입지한 운주산성은 공주 부여 지역으로 진군하고자 하는 신라나 고구려의 군사적 압력에 대하여 대규모 산성의 존재를 과시함으로써 적의 예봉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백제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 본다. 또 운주산성의 내성에는, 지금의 西門과 연관하여, 산성 전체를 지휘하는 지휘부 건물이 입지했을 것이라 추정해 보았다. Including Sejong City(世宗市), Choenan Mokchoen(天安木川) and Cheongju Moonui(淸州文義) and others surrounding the city have good soil quality. Also, Mokchoen is the place where iron, cattles, and horses that can be used as a battle resource are produced abundantly. In addition, iron was a regional speciality in Jeonui(全義), and there is a record that the region had an iron field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朝鮮時代). In other words, Jeonui Jeondong(全東) Area was surrounded by granary zone, moreover, there were plenty of military strategic resources such as iron, cattles, and horses. Besides, Jeonui Jeondong Area was the region directly connected to Gongju(公州) Buyeo(扶餘) as a traffic route and lines of military operations. These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viewing the location, foundation, and operation of Unju Mountain fortress. Meanwhile, investigating multiple geographies of Joseon Dynasty, Unju Mountain and Unju Mountain fortress were named as Go Mountain(高山) and Go Mountain fortress(高山 山城) according to Shinjeung Donggukyeojiseo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 in the mid- Joseon. Then, according to Yeojidoseo( 輿地圖書 )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Go Mountain and Go Mountain fortress were renamed Unju Mountain(雲注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雲注山城). Unju Mountain(雲注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雲注山城), mentioned in Yeojidoseo, is the Unju Mountain(雲住山) and Unju Mountain fortress (雲住山城) we know in the present. Even so, Daedongjiji( 大東地志 ), compile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clarified the currently called Geumseong Mountain(金城山) as Unju Mountain(雲住山), and named Yiseong(李城) and Geumseong Mountain fortress(金城山城) as North Unju Mountain and South Unju Mountain fortress each. This is probably resulted from the idea in Jeonui Jeondong Area themselves that Geumseong Mountain is Unju Mountain. There is difficulty to ascertain the construction country of Unju Mountain fortress only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rtress wall which was partially investigated. Therefore, in this article, attention is paid to the several buildings and roof tiles excavated at Unju Mountain fortress. Particularly, it is understood that using a certain size of bricks for a fortres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main technology, and focusing on the pieces of roof tile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inner fortress(內城), the construction of Unju Mountain fortress is based on Baekje(百濟). Also, considering the record of Samguksaki( 三國史記 ), Unju Mountain fortress was built during the time of King Moo(武王) in about 630 to express the intention to shield from the invasion of Goguryeo and Shilla beforehand.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Unju Mountain fortress was built for the military purpose to protect the capital city Sabi(泗沘) by strengthening the defense ability of Woongjin(熊津) in the period of King Moo. Unju Mountain fortress, located on a high mountain, is regarded as a reflection of purpose of Beakje that the massive fortress, showing off the existence itself against the military force of Silla and Goguryeo trying to march on Gongju Buyeo Area, would block the enemy s sharp attack in advanc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control tower which commanded the whole fortress was located inner fortress.

      • KCI등재

        Trends in Koguryŏ's Relationship with Paekche and Silla during the 4<SUP>th</SUP>-7<SUP>th</SUP> Centuries

        Jung Woon Yong(정운용)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8 No.-

        이 글은 건국 이래 군사적 팽창정책을 국가 성장의 원동력으로 삼아 온 고구려가 4세기 이래 백제와 신라를 상대로 수행한 대외관계를 通時的으로 살펴 본 것이다. 그 결과 고구려 중심의 삼국 관계는 대체로 아래와 같은 6시기로의 구분이 가능하다. 1期는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의 충돌로 시작되었다. 이는 遼東 방면으로의 진출에 곤란을 겪던 고구려가 남쪽으로의 팽창을 통해 활로를 모색한 것에 기인한다. 당시 신라는 점증하는 고구려의 군사적 압력을 실감하고 고구려와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였다. 신라의 이러한 움직임은 결국 백제 禿山城主의 투항을 계기로 백제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고구려와 종속적 우호관계를 맺었다. 2期는 5세기 전반 고구려와 신라가 긴밀한 우호관계를 유지하던 때이다. 이 시기 고구려는 신라 영토 내에 고구려 幢主를 주둔시키고 신라 왕위 계승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러나 신라 사회에서는 점차 과도한 고구려의 압력에 대한 반발이 싹텄다. 그 결과 백제와 신라는 433년과 434년에 걸쳐 외교적 교섭을 바탕으로 羅濟同盟의 결성을 추구하게 된다. 3期는 5세기 후반 고구려와 나제동맹이 대립하던 시기이다. 고구려의 압력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신라 사회의 움직임이 결국 455년에 백제와 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의 공격을 막아냄으로써, 나제동맹으로 그 실체를 드러냈다. 이후 고구려는 忠州 지역을 거점으로 勢力圈의 유지를 도모하면서 계속 백제와 신라를 압박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 고구려의 신라에 대한 영향력은 小白山脈 이북으로 위축되었다. 4期는 6세기 전반 다시 고구려와 백제가 치열한 접전을 벌이는 시기이다. 羅濟同盟期임에도 불구하고 신리는 가야 방면으로 진출을 꾀하며 백제와 갈등을 야기하는 한편, 동맹국으로서의 의무를 放棄한 채 전쟁에 동참하지 않았다. 이에 백제는 신라에게 동맹국으로서의 의무를 환기시키며 가야 방면으로의 진출 자제를 요청하였다. 그 결과 548년에 고구려가 漢城 공략을 염두에 두고 백제 獨山城을 공격할 때 6세기 전반 처음이자 마지막인 羅濟同盟軍의 활동이 있게 되었다. 5期는 6세기 후반 삼국 상호 간 치열한 쟁패가 벌어지던 시기이다. 당시 고구려는 군사적 위기로 인하여 나제동맹군의 움직임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이에 신라와 백제는 남한강 중ㆍ상류지역과 한강 하류 유역을 장악했다. 고구려는 나제동맹을 와해시키고자 신라와 밀약을 맺고 신라의 한강 유역 장악을 묵인하였다. 백제는 신라의 漢水 유역 진출 교통로를 차단하고자 管山城을 공격하였으나 패하고 말았다. 고구려 또한 6세기 말 잃어버린 영토의 수복을 위해 溫達이 出征하였으나, 신라의 저항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6期는 중국에서 隋ㆍ唐 통일 帝國 등장과 함께 백제와 신라가 경쟁적으로 수ㆍ당에 外交戰을 펼치며 군사적 연합을 꾀함으로써, 결국 倭를 포함하여 동아시아 전체가 國際戰의 와중에 빠지는 시기이다. 결과적으로 백제는 국제 관계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또 고구려는 지배층의 내분과 지방세력의 動搖로 인한 武力 기반의 취약으로 인하여 羅唐聯合軍에 의해 멸망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