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상-實공장 연동을 위한 CPS기반 스마트팩토리 기술

        전인걸,강성주,재호,이수형 한국통신학회 2016 정보와 통신 Vol.33 No.11

        본고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제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가 타국가 대비 경쟁우위에 있는 최첨단의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제조업 혁신을 선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국가 경제에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제조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하고 선진국형 제조 산업 육성을 위해 CPS(Cyber-Physical Systems, 사물지능제어(事物知能制御) 시스템)기술 에 기반한 스마트팩토리 구현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재림 지연과 종말의 시간 개념에 대한 그리스도교 해석학

        전인걸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4 신학과 철학 Vol.- No.46

        위기는 때로 본질을 보게 하고 지켜 나갈 수 있게 하는 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회에 닥친 위기는 신앙을 지키고 심화할 수 있는 기회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연된 재림은 그리스도교에 큰 위기를 가져왔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초대 그리스도교 신학의 위기는 본질적으로 재림 지연으로 인해 나타난 문제가 아니었다. 오히려 묵시적 분위기를 무마하면서까지 부활의 열광적인 성취를 느끼고자 한 초대 교회 신앙인들의 잘못된 신앙심이 문제였다. 다시 말하면 교회는 재림 지연으로 인해 신앙적 단념에 빠진 것이 아니었다. 사실 묵시의 매트릭스 위에서 발전한 그리스도교는 그 전통과 분위기를 유지시키면서 동시에 재림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고취를 위해 해석학적 변형 작업을 시도했다. 그러한 변화의 모습은 몇몇의 성서 신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드러나게 되었다. 특히 사도 바오로의 코린토 1서 7장 29절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ὁ καιρὸς συνεσταλμένος ἐστίν·) 는 구절에 나타난 시간 개념의 새로운 해석 안에서 그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바오로의 이러한 참신한 시도는 시간 개념에 쇄신을 일으켜 그리스도인들이 종말론적 긴장감 안에서 재림 지연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종말의 시간에 대한 해석학적 숙고는 현대 신학 안에서도 계속해서 전개되었다. 가톨릭을 대표하는 칼 라너와 개신교를 대표하는 위르겐 몰트만의 미래에 대한 논쟁은 지연된 재림의 연장 선상에서 다가올 미래에 대한 해석학의 비전을 제공한다. 그들은 그리스도교적 ‘선취’(anticipazione)와 ‘예기’(prolessi)의 개념을 포착해냈고, 이를 통해 막연한 기대 내지는 내재된 단념에 빠진 그리스도인들에게 새로운 해석학적 전망을 제시하였다. Sometimes a crisis allows us to see the essence and provides the strength to protect it. In this sense, the crisis facing the church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to preserve and deepen faith. It has generally been thought that the delay of Second Coming caused a major crisis for Christianity. However, the crisis in early Christian theology was not essentially a problem caused by the delay in Jesus Return. Rather, the problem was the erroneous faith of believers in the early church who wanted to feel the enthusiastic achievement of resurrection while suppressing the apocalyptic atmosphere. In other words, the church did not fall into religious abandonment due to the delay in the Second Coming. In fact, Christianity, which developed on the matrix of apocalypse, maintained its tradition and atmosphere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attempts at hermeneutical transformation to promote correct theology about the Second Coming. The appearance of such changes was revealed through the research of several biblical theologians. And in particular, it can be examined within the concept of time expressed in the Apostle Paul's verse in 1 Corinthians 7:29, “the time is short.” (ὁ καιρὸς συνεσταλμένος ἐστίν·). Paul’s novelty brought about a hermeneutical riform in the concept of time, opening the way for Christians to live by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delay in the Second Coming within the eschatological tension. Hermeneutical reflections on the time of the end have continued to develop within modern theology. The debate about the future between Karl Rahner, representing Catholicism, and Jürgen Moltmann, representing Protestantism, provides a hermeneutic vision for the future as an extension of the delayed Second Coming. They captured the Christian concepts of ‘anticipation’(anticipazione) and ‘prolepsis’(prolessi), and through this, a new hermeneutical perspective was presented to Christians who have fallen into vague expectations or inherent renunciation.

      • KCI등재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1

        순한 ( Juen Soon-han ),임영심 ( Lim Young-sim ),류기덕 ( Ryu Ki-deok ),남제우 ( Nam Jae-wo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장애아동 전문 어린이집 방과 후 교실에 재원 중인 발달장애 2급 이상의 발화가 가능하며 수용언어-표현 언어검사(PRES)점수가 20개월 이상인 3명의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을 주 1회 총 27회기 실시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고, 활동내용과 교수학습방법에 유아들의 흥미, 경험, 놀이가 강조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검사 도구는 장애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영태(2003)등이 제시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 언어 발달척도` 에서 제시한 것으로 2~7세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 언어의 발달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 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은 장애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활동을 통한 오감체험, 정서적 안정, 적극적인 관찰이 언어적인 표현을 유도하는 매개체가 되어 언어능력을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 natural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that utilizes the forest in the linguistic abil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hree handicapped children, whose developmental disability level was higher than class 2 and whose PRES scores were higher than 20 months, in an after-school class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perform an ecology experiencing activity 27 times once a week to emphasize interest, experience and play in children for the contents of activity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Development scale of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for pre-school students` suggested by KIM, YOUNGTAE(2003) etc. was used as the test instrument to determine the improvement in the linguistic abilitie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scale can measure the development degree of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of pre-school students who are 2~7 years old. The result shows that natural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that utilized a fores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inguistic abil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result also shows that natural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that utilized a forest improved the linguistic abil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 natural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as media inducces language express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five senses,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observation.

      • KCI등재

        사회적기업 규모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소셜 프랜차이즈 가능성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김기근,이윤재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18 사회적기업연구 Vol.11 No.2

        사회적기업의 규모화는 사회적 영향을 보다 폭넓은 지역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소셜 프랜차이즈는 현 정부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 중 하나이며 향후 다양한 정책지원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규모화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소셜 미션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우수한 두 개 사회적기업(반야월 연근사랑, 빅핸즈)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정성적 사례연구로서 정량적 일반화보다 전체적이고 종합적 관점에서 심층연구를 통해 분석적 일반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분석도구는 Cooleyand Ved(2012)가 제시한 확장성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모델의 신뢰성, 관찰가능성, 적합성, 기존 관행보다 이점, 전이 및 적응 용이성, 테스트 가능성 및 펀딩 등 7가지 기준 28개 질문 문항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의 규모화는 영리조직의 규모화 매커니즘과 기술적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가장 큰 토대의 차이(특정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영리활동)는 사회적 미션의 전이, 복제, 적응이 영리조직보다 쉽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해주었다. 두 사례 모두 비즈니스 모델의 관점에선 한정식 식당과 카페의특성상 복제가능성과 이전가능성이 구조측면에서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연근사랑(한정식)의 사회적 성과들과 빅핸즈(카페)의 사회적 성과들은 수년간 구성원들의 헌신과 노력의 결과로 단순히 복제와 이전될 수 없는 요소들이었다. 다만 상대적으로 연근사랑이 빅핸즈 보다 소셜 프랜차이즈의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Scaling social enterprises is referred to be a method to spread social impactinto new geographic areas. The government intends particularly to increase itsinvestment in social franchise as a way to achieve the growth of socialeconomy. This exploratory case study aims to assess scalability of socialenterprises and address possible key considerations for social franchising. Focusing on the two social enterprises that have highly recognised in thecommunity in terms of reputation, social mission, business model, this paperused Scalability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Cooley and Ved(2012) to examinesubstantial impact on the scaling up process. The seven categories areincluding credible, observable, relevant, advantage over existing practices, easytransferability and adoptability, testable and funding. The findings of the casesstudies show that while replication on technical parts can be relatively easilytransferred into new regions, it may not be easy for the social enterprises tofind appropriate franchisees that can entirely adopt social mission, governanceand social activities. In the conclusive part, the study provides a summary and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s as well as policy makers.

      • 대규모 디바이스의 자율제어를 위한 EdgeCPS 기술 동향

        전인걸,강성주,나갑주,Chun, I.G.,Kang, S.J.,Na, G.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2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7 No.1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ing technology, the convergence of ICT with existing traditional industries is being attempted. In particular, with the recent advent of 5G, connectivity with numerous AuT (autonomous Things) in the real world as well as simple mobile terminals has increased. As more devices are deployed in the real world, the need for technology for devices to learn and act autonomously to communicate with humans has begun to emerge. This article introduces "Device to the Edge," a new computing paradigm that enables various devices in smart spaces (e.g., factories, metaverse, shipyards, and city centers) to perform ultra-reliable, low-latency and high-speed processing regardless of the limitations of capability and performance. The proposed technology, referred to as EdgeCPS, can link devices to augmented virtual resources of edge servers to support complex artificial intelligence tasks and ultra-proximity services from low-specification/low-resource devices to high-performance devices.

      • KCI등재

        근대적 자유의 한계 안에서 종말론적 자유의 요청과 개념

        전인걸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3 가톨릭신학 Vol.- No.42

        The request for eschatological freedom is often expressed as a request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because it arises from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contradictions and injustices of modern freedom. However, the realization of eschatological freedom requires more than social change. This is because complete liberation from all forms of oppression and the ultimate completion of freedom must be achie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faith and ethics are reconstructed together. In this thesis, it is emphasized that the eschatological element of mystery, ‘future hope for the final completion’, should be brought into the present as to how to realize eschatological freedom. Eschatological freedom is both the final status to be achieved in eternal life and the real form of freedom to be realized in this world. Therefore, the mechanism that brings the freedom of the afterlife to the present life is embodied in the eschatological theme leading to death, resurrection, and judgment. And in this paper, the freedom embodied in each subject was defined as freedom as life, participation, and completion. The work of finding freedom to be realized in the world through the original realities of Christianity would be the right direction for the church to answer the problems of the times. 종말론적 자유에 대한 요청은 근대적 자유의 모순과 불의에 대한 비판적성찰로 발생하기 때문에 종종 사회 정의 실현에 대한 요구로 표현된다. 그러나 종말론적 자유의 실현은 사회 변화 그 이상을 요구한다. 모든 형태의 억압으로부터의 완전한 해방과 그 궁극적 자유의 완성은 신앙과 윤리가 함께재건되는 방향에서 이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종말론적 자유를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 신비의 종말론적 요소인 ‘마지막 완성에 대한미래의 희망’을 현재로 불러들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종말론적 자유는 영원한 삶 안에서 성취될 최종적인 지위인 동시에 이 세상에서도 구현되어야할 자유의 실재적 형태이다. 따라서 내세의 자유를 현세로 불러오는 메커니즘은 죽음, 부활, 심판으로 이어지는 종말론적 주제 안에서 구체화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주제 안에서 구현되는 자유를 삶, 참여, 완성으로서의 자유로 규정하여 고찰하였다. 그리스도교가 간직한 본연의 실재들을통해서 세상에 구현될 자유를 찾아 나아가는 작업은 시대의 문제에 대답하는 교회의 올바른 방향일 것이다.

      • 미디어 내 성평등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田)별 ( Jeon Byeol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7 아세아여성법학 Vol.20 No.-

        오늘날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고 여가 선용을 한다. 또한 아이들은 애니메이션과 어린이 프로그램 등을 시청하면서 가치관을 형성하며, 무의식중에 미디어에서 방영되는 모습들이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모습이라고 인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가 우리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에서는 성평등의 관점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드라마나 예능프로그램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순종적인 모습 내지는 악녀로 양분하거나 남성 출연자의 보조 및 막내의 이미지로 그려내며, 재미를 이유로 성을 희화화하는 모습도 다수 발견하게 된다. 뉴스나 시사프로그램에서는 남성의 과대대표성을 더욱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미디어 내 성별구조를 살펴보면 과연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이 가능한 것인가에 관한 의문은 더욱 깊어지게 된다. 우리나라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양성평등기본법, 방송법 등의 관련 법률, 방송심의규정, 양성평등 방송 프로그램 제작 안내서 등을 두어 미디어 내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디어에서 소비되는 여성의 이미지와 질적·양적인 비율은 20여 년 전과 비교해 보아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기에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은 여전히 달성하기 어려운 과업처럼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해외 각국에서도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송 내지는 성평등 관련 법제에 미디어 내 성평등 실현을 위한 규정을 두어 현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프랑스에서 평등법을 개정할 당시 미디어 내 성평등에 관한 규정을 당해 개정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으로 두고 이를 중점적으로 연구한 후 성평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안에 적극 반영하였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법률과 별도로 제정된 방송 제작 관련 가이드라인에서도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규정을 두어 프로그램 제작 당시 이를 직접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영국 오프콤의 방송규정에서는 유럽인권협정을 근거로 하여 성별을 이유로 한 차별이 인정되지 않음을, BBC의 제작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에서는 방송에서 성차별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을것, 고정관념이 담긴 언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에 관한 점 등을 명시하고 있다. 캐나다 방송협회의 평등 묘사규정에서는 성이나 혼인 유무 등에 관하여 모욕적이거나 부당한 차별적 내용을 포함하지 않을 것, 대상의 복잡함을 반영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단순하고 하찮게 여기며 상처를 주고 편견을 갖게 하는 스테레오타입화 금지, 성평등에 관한 적절한 용어를 사용할 것 등을 명시하고 있으며, 폭력규정, 텔레비전 및 라디오 프로그램의 성 역할 묘사규정 등에서도 성평등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규정을 두어 이를 실무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우리의 방송법에 방송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성평등의 실효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규정 및 미디어계 종사자들에 대한 성인지교육 실시에 관한 규정을 통하여 성평등에 관한 인식을 도모함과 동시에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디어 내 종사자들이 프로그램을 제작·편성·심의할 당시 직접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에 성평등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성평등에 관한 관점이 방송 프로그램에 직접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은 물론 우리 사회의 성평등도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e modern era, media constantly inputs information into our minds and leads us to subconsciously believe that its materials are accurate representations of our everyday society. In addition, children are highly influenced by cartoons and programs targeted for the youth as their values and beliefs are molded by such products. Regardless of its grave impact, the media has been constantly reproducing contents that violate gender equality. Although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gender inequality depicted by the media, distorted presentations of women yet remain to be rather common. TV series and comedy shows often portray women to be submissive or evil-minded; women often appear as subordinates of men and gender is often ridiculed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Over-representation of males become more obvious in news shows or those related to current affairs. Ultimately, the gender imbalance in the media makes people question the obtainability of gender equality. As an attempt to promote gender equality in the media, the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the Gender Equality Act, amended the broadcasting deliberation regulations, and developed protocols regarding the production of programs that adhere to gender equality. However, the female image consumed through the media and the quality and ratio of female appearances have not changed much over the past couple of decades, and gender equality still appears to be an unrealistic dream. The problem of gender inequality in the media is not restricted to Korea. Various countries share similar issues and have included regulations in their gender equality acts in order to improve the status quo. A prime example would be France, which stressed on improving its media regulations regarding gender equality when it amended its equality acts. In addition, multiple organizations have included regulations on gender equality in their guidelines for broadcasting productions and have been striving to solve the issue through its implementation. Rooted in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Ofcom’s broadcasting regulations clearly states that any type of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is prohibited. Similarly,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s (BBC) regulations ban the use of language that promotes gender discrimination or gender stereotypes. Moreover, the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s (CBC) production regulations state that 1) any contents containing discriminative or insulting information in regards to gender or marital status ought to be excluded 2) stereotyping of gender by oversimplifying or belittling its nature ought to be prohibited, and 3) language promoting gender equality ought to be used. It also includes specific clauses in regards to gender equality in its TV and radio broadcasting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effort, Korea can consider amending its broadcast act to include regulations that enforce adherence to gender equality and educating those who work in the media to raise their awarenes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nother adequate solution might be to provide detailed guidelines, which include a straightforward criteria of gender equality, so that media workers can refer to it throughout the entire broadcasting process (e.g., production, scheduling, deliberation etc.). Through such endeavors, we can hope to take a step closer towards gender equality in the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