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신교 신학의 가톨릭적 수용 가능성:

        이규성 S.J.(Lee Kyou Sung SJ)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 철학 Vol.- No.29

        본 논문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학이 개신교 신학을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는지를 살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혁교회 신학의 대표자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과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의 대표자 중의 하나로 평가되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Han Urs von Balthasar, 1905-1988)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신학적 대화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폰 발타살이 바르트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보다는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을 한스 우르스 콘 발타살이 어떻게 수용하고 자기자신의 신학으로 발전시키는지를 고찰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Karl Barth.Darstellung und Deutung Seiner Theologie와 Theodranatik 및 기타 저술에서 나타나는 칼 바르트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폰 발타살은 칼 바르트의 근본적 그리스도 중심주의 로부터 영행을 받았으며 나아가서 신앙의 유비 를 수용하여 자신만의 존재 신앙 자유의 유비 로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폰 발타살은 신앙은 드라마와같다는 바르트의 신학을 받아들여 형이 상학젹 신학을 추구하는 가톨릭교회의 신소콜라 신학을 수정하려고 시도하였다. 여기서 폰 발타살은 인간의 자유를 바르트보다 더욱 강조하여 신앙의 드라마적 차원을 강하게 드러내려고 하였다. 왜냐하면 신앙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구원사는 마치도 구원을 선사하는 하느님과 죄적인 인간들 사이에 벌어지는 씨름과 같기 때문이다.

      • KCI등재

        통전·융합적 생명신학 구상 - 인류세의 위기를 극복하고 생명세를 여는 종합적인 학문의 모색

        강원돈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0

        본 연구에서 필자는 1) 기술과 자본주의의 결합에 바탕을 둔 인류세의 위기를 분석하고, 2) 생명세를 여는 학문의 포괄적인 체계를 밝히고, 3) 이를 뒷받침하는 통전·융합적인 생명신학의 구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류세는 기술과 자본주의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인류가 자연을 송두리째 변화시키는 힘을 발휘하는 지구 역사의 한 시기이다. 인류세는 복합적인 위기의 시대이다. 기술과 자본주의의 결합은 생태계의 안정성과 건강성을 파괴하여 문명의 자연적 기반을 송두리째 파괴하였고, 생산력과 생산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고, 정치, 경제, 사회, 법률 등 사람들의 교류관계를 규율하는 제도들을 바꾸었고, 문학, 예술, 종교, 철학, 신학 등 사람들의 의식과 가치관을 표현하는 일체의 문화 형식과 내용을 바꾸었다. 인류세의 위기를 넘어서서 생명세를 열려면 세 가지 과제가 제대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나는 생태계를 보전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해방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과학주의의 도그마를 깨뜨리고 과학적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성찰하고 과학의 기술화를 정치적으로 규율하는 것이다. 마지막 하나는 인간중심주의를 해체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하려면 각각의 과제에 최적화된 이론들을 개발하여야 한다. 생태학과 정치경제학 비판의 융합에 바탕을 둔 현실분석적-제도비판적 이론들, 과학적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성찰하고 과학적 지식의 기술화를 정치적으로 규율하는 메타이론적-규범적 이론들,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생태중심적 세계관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텍스트분석적-해석학적 이론들이 그것이다. 인류세를 극복하고 생명세를 열고자 하는 학문은 이 세 가지 유형의 이론들이 필수 불가결한 부분들을 이루는 통전·융합학이다. 생명신학은 생명세를 여는 학문의 한 지평으로서 인류세를 넘어서서 생명세를 향해 가고자 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확실한 언어를 주고자 하는 신학적 기획이다. 생명신학에 근거한 사회윤리는 생명세를 여는 학문의 이론들을 활용하여 제도를 규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할 것이며, 바로 그런 의미에서 통전·융합적인 신학의 프레임을 갖출 것이다.

      • KCI등재

        유학신학(儒學神學)의 가능성에 대한 조직신학적 성찰

        박종구(Park, Jong-Gou)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7

        이 글은 마태오 리치의『천주실의』를 예증으로 현대세계에서 신학하기의 가능성을 시도한 탐색의 글이다.『천주실의』는 17세기 초 저술된 작품으로 두 가지를 목표로 삼는다. 첫째, 당대의 중국 지성인들(신유가)에게 그리스도교를 소개하 는 것이며, 둘째로 유럽의 선교사들에게 중국 문화를 개략적으로 소개하는 기능을 담보했다. 그렇다면 천주실의가 의도한 공과는 어떠한가? 신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은『천주실의』를 해석되어야 할 텍스트로 보고, 그리스도교 문명과 중국문명 사이에 위치한『천주실의』를 해석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해석학적 지평에서 탐색해 본다. 지난 세기에 해석학자들이 제공했던 해석학적 순환과 지평융합의 개념이 본 논문이 시도하는 작업에 직접적 관련이 있음이 확인된다. 문화와 문화가, 종교와 종교가 만나지 않을 수 없는 현대에 신학하기의 방법론이『천주실의』에서 발견한다. By reading th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Tien-chu Shihi) written by Matteo Ricci, It raised a question on the possibility of Doing Theology in this modern world. This Book was written in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in China for two purposes: firstly, to introduce the christianity to the chinese neo-confusionists, and secondly, to be used by the european missionaries to understand chinese culture in general. The context presents two main steps in its argumentation: the first one is to read the book as a text for interpretation and the second is to introduce what the interpretation means and why the hermeneutic circle and the Horizontverschmelzung (지평융합) were needed. The hermeneutics aids mainly modern readers on finding out the meaning of today, from the past through the text. This hermeneutical principle applies to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so that we can get a way of Doing Theology possible in the diversified world where cultures meet cultures, and religions meet religions.

      • KCI등재

        후안 알파로의 전망에 따른 본성과 초본성간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윤주현(Youn, Joo-hyu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6

        ‘본성’과 ‘초본성’간의 관계는 인간을향한 하느님의 구원 역사를 이해하는데있어서 전제되는 중요한 교의신학적 개념이다. 그것은 역사적으로 볼 때 중세때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많은 신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됐으며 여러 이단의 단초가 된 개념이기도하다. 이 둘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따라 구원 역사의 중심추를 하느님 편에 두는가 아니면 인간의 주도권에 두는가하는 강조점이 달라진다. 그것은 구원 역사의 두기둥인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의 자유 사이의 관계를 올바로 풀어내는 열쇠이기도하다. 따리서 본 논문은 ‘본성’과 ‘초본성’간의 관계에대한 이해가 그 기원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가운데 다양한 신학자들의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그 문제에 대한 해결을 시도하고자했다. 특히 이 주제의 역사에서 후안 알파로의 사상은 결정적인 실마리를 제공해주었다. 따라서 필자는 그의 전망에서 본 본성과 초본성 간의 관계에대한 문제해결의 역사를 고찰하고자한다. 필자는 크게 시대별로 중세와 근대 그리고 현대를 나눌것이며,중세에서는 성토마스를 그리고 근대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역사에서 처음으로 ‘순수 본성 가설’을 제시한 가예타노의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와 소위 ‘누벨 떼올로지’를 통해 이루어진 새로운 신학적 시도를 대표하는 앙리 드 뤼박, 칼 라너, 그리고 이들의 이론적 결함을 보완함으로써 건전한 신학적 종합을 모색했던 후안 알파로의 이론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을 통해 교회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종합하는 가운데 올바른 구원 역사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본성‘과 ‘초본성’개념은 교의 신학, 신학적 인간학,영성신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신학의 영역에서 근간이 되는 중심 개념이다. 본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한 깊은 고찰을 통해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 본성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에 이르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구원 역사에 대한 이해에 이르고자 한다.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 story of salvation, presuppose an understanding of the doctrinal them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the 'supernature', From the medieval ages this was one of the recurrent themes many theologians discussed but which however could lead to heresy when misinterpreted, The understanding of the hi story of salvation depends on the interpretation of this relationship: if one puts more weight on the supernatural, the role of human freedom may be jeopardized, On the contrary, if one puts too much weight on the human nature, the role of di vine grace may be jeopardized as well. That is why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of the 'supernature' is the central key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ace and freedom, the two pillars of salvation history. Therefore, this thesis wishes to attempt a re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the 'supernature', analyzing various theologians of the medieval time and of the modem time and of the contemporary era to com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salvation. Specially, the thought of Juan Alfaro have offered an important key in the hi story of this theme. So, I will try to present the hi story of attempt to resolve the problem between the 'nature' and 'supernature' according lo his perspective. For this, I wish to cite various theories from tree epochs: the medieval, the modem and the contemporary. For the medieval time, I will present the theories of saint Thomas; and for the modem time, I will present the theory of Gayetano who for the first time in hi story tried to resolve this problem with his 'hypothesis of natura pura'. Consequently, for the contemporary era I will present various theories of the theologians from the 'nouvelle theologie' movement: H. de Lubac, K. Rahner; and J Alfaro who overcame the defects of the first two, by formulating a good synthesis of the theme. And in the conclusion, I will show how the Church treats and synthesizes the problem to understand the authentic perspective of Ole hi story of salvation. Concepts of the 'nature' and. of the 'supernature' are the central theme that covers a wide section of theology: dogmatic theology, theological anthropology, spiritual theology etc. With the treatment of this Uleme, I wish to understand b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ce of God and human nature so that I could reach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salvation.

      • KCI등재후보

        십자가 성 요한의 인간학적 전망에서 본 초본성(超本性) 개념

        윤주현(Youn, Joo-Hyu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신학과 철학 Vol.- No.14

        본 논문은 가톨릭교회의 대표적 신비가인 십자가의 성 요한의 인간 이해의 핵심 개념 가운데 하나인 '초본성'(超本性)개념에 대한 고찰이다. 그가 제시하는 인간 이해의 핵심은 향주적 인간상(向主的 人間像)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느님과의 사랑의 합일을 향한 인간 실존에 대한 이해에 있으며, 이것은 본질적으로 초본성적이다. 본 논문이 의도하는 것은 십자가의 성 요한의 인간 이해에서 드러나는 이 초본성 개념이 내포한 신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그의 초본성 개념에서 드러나는 교부 신학과 스콜라 신학의 영향을 고찰하고 다음으로 20세기 들어 현대 신학자들, 특히 드 뤼박, 라너, 후안 알파로를 통해 새롭게 제시된 초본성에 대한 전망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십자가 성 요한의 초본성 개념이 내포한 신학적 의미를 끌어내고자 한다. 다양한 영성적 표현으로 드러나고 있는 십자가 성 요한의 핵심적인 인간학적 영성적 주제인 초본성 개념을 20세기의 새로운 신학적 전망에서 재해석된 초본성 개념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신학의 두 분야인 신비신학과 신학적 인간학 사이의 접점을 근본에서부터 재정립하는데 도움을 받을 것이다.

      • KCI등재

        신학적 성찰의 기본 개념과 방법적 제안들

        심종혁(Sim, Jong-Hyeok)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6

        사목활동에 종사할 성직자를 양성하는 주요한 사목신학의 교육 도구인 신학적 성찰의 기본 개념과 그의 실천을 위한 기초적 방법적 틀을 제시했다.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종 교 교육의 시각에서 신학적 성찰을 구성한 구룡(Thomas Gmoræ), 사목적 결정에 초점을 두 고 틀을 제시하는 화이트헤드들(Whitehead& Whitehead), 영적 지혜의 힘양이라는 시각에서 신학적 성찰의 틀을 구성한 킬른과 드비어(Patricia O'Connell Killen & John de Beer)의 틀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신학적 성찰의 방법을 체험의 선택, 체험의 명료화, 하느님 말씀과의 대화, 체험으로부터 배움, 실천적 적용의 다섯단계로 구성하여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신학적 성찰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체험의 선택 그리고 신학과의 연결과 관련된 실천적 조언을 제시했다. A basic concept on theological reflection which is employed for various forms of formation in ministry at the schools of theology. Insights from Thomas Groome's religious education theory, from the James D. Whitehead &. Evelyn Eaton Whitehead' pastoral decision making process, and from Patricia O'Connell Killen & John de Beer's facilitation process of spiritual wisdom through reflection are highlighted as examples for different modes of theological reflection. Five steps for reflection, i.e., selecting pastoral experiences for reflection, clarification of the chosen experience, dialogue with the Word of God, learning from experie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et for a concrete way for theological reflection. Some issues for fostering Ole context for theological refle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Hans Urs von Balthasar and Ignatius of Loyola

        베르너 뢰저 SJ(Werner Lö,ser SJ)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 철학 Vol.- No.25

        현대를 사는 신학자들이 아직도 지난세기의 신학자들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재 가톨릭 신학의 특징이다. 유럽에서는 사실 지난 세기 중반에 몇몇 탁월한 신학자들이 있었고 그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가장 유명한 신학자들로서는 칼 라너, 앙리 드 뤼박, 오토 젬멜로트, 등등이 있다. 한편 공의회에 참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공의회의 성찰과 결정들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 사람이 있는데 바로 라너와 동시대를 살았던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이다. 그들은 서로 알고 지냈고 비록 둘 사이에 신학적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서로의 신학적 입장을 매우 존중하였다. 칼 라너와 한스 우르스 폰 발사타르 둘 다 로욜라의 이냐시오의 카리스마에 깊은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다. 사랑을 얻기 위한 관상은 이냐시오 영신수련의 요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폰 발타사르의 신학적 입장과 성찰이 이냐시오의 영적 카리스마와 깊이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It seems to be caracteristic for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atholic theology that the now living and working theologians still depend on those who belonged to their previous generation. In Europe we had, indeed, some excellent theologians in the midst of the last century. They had a signicant influence on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most famous theologians were Karl Rahner, Henry de Lubac, Otto Semmelroth and some others. And there was still another theologian who has not participated to the council, but nevertheless has had an very important influence to its reflexions and decisions: Hans Urs von Balthasar. He lived in the same period as Karl Rahner. They knew each other and had an high respect for their theological positions, though their were also some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Both, Karl Rahner and Hans Urs von Balthasar, are deeply influenced by the charism of Ignatius of Loyola. The Contemplation to attain Love is a summary of the Ignatian Exercises. von Balthasar's theological positions and reflexions are deeply connected with the spiritual charism of Ignatius as we find it expressed in this contemplation.

      • KCI등재

        과정신학 삼위일체론에 의한 ‘신학적 생태론’ : 조셉 브락켄을 중심으로

        홍태희(Hong, Tae Hee)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철학 Vol.- No.39

        이천년 전 예수가 제시하였던 구원의 메시지는 이 시대의 생태 위기 상황에서 지구에존재하는 모든 피조물을 향한 것으로 재해석 되어야한다. 조셉 브락켄은 세계를 유기적연결 구조로 이루어진 공동체적 존재로 바라보는 과정형이상학을 기초로 하여 모든 존재를 상호 주체적 정신을 포함하는 사회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삼위일체는 성부, 성자, 성령이 각자의 역할에 의해 공동으로 구성하는 장인 창조의 매트릭스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세계의 모든 새로움이 창발하며 하느님의 의지가 전달되는 매트릭스를 통하여 무한한 범위를 갖는 세 위격은 하나의 실체로 인식된다. 이러한 존재방식은 세계와 끊임없이 소통하며 창조성을 제시하고 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모든 피조물은 하느님의지향하는 바를 점진적으로 완성해 간다는 범재신론의 전망을 제시한다. 세계의 사회 원리가 하느님의 존재방식을 지향해야 한다는 관점은 신앙의 근원인 삼위일체의 계시로부터‘신학적 생태론’을 제시할 수 있다. 개별적 주체성을 존중하면서 상호 연결된 사회적 존재로서의 일치를 지향하는 신학적 생태론은 우주의 피조계 안에서 정신이 되는 인간의특별한 역할 또한 소중한 것으로 발견한다. The message of salvation presented by Jesus two thousand years ago must be reinterpreted to be directed to all creatures on the earth in the ecological crisis of this age. Based on process metaphysics, which views the world as a communal existence composed of an organically connected structure, Joseph Bracken identified all beings as social beings that include an intersubjective spirit. And the Trinity is to be understood through the matrix of creation,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jointly constituted by their respective roles. The three Persons with the infinite scope are recognized as one substance through the Matrix which all novelty of the world emerges and the will of God is transmitted. This way of Trinity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the world, proposes creativity, and includes results, and shows the prospect of panentheism, that all creations gradually complete the purpose of God. The view that the social principles of the world should be oriented toward God s way of being can suggest a Theological Ecology from the revelation of the Trinity, the source of faith. Theological Ecology, which aims for unity as interconnected social beings while respecting individual subjectivity, also finds the special role of human beings as spirit i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s valuable.

      • KCI등재

        최근 프랑스 현상학에서 철학과 신학의 관계 설정에 관한 연구: 레비나스와 마리옹 사이

        김동규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1

        이 논고는 최근 프랑스 현상학에서 철학과 신학의 관계가 어떻게 새롭게 구축되는지를 탐구한다. 특별히 이 논의는 우리 시대 깨져버린 철학과 신학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 앞장선 대표적인 현상학자인 레비나스와 마리옹에 초점을 맞춘다. 레비나스에게 신학은 다른 인간으로서 타인과 나의 마주함으로, 그리고 그러한 만남에서 비롯하는 윤리적인 책임과 더불어 시작되어야 하는 것인데, 이는 그가 신의 흔적을 타인에게서 찾아냄으로써 신-담론이 갱신될 수 있 드러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마리옹은 인간의 신앙이 근원적 계시 체험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신학이 가장 탁월한 포화된 현상인 계시를 기술함으로써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두 사람 모두 현상학이 신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따라서 나는, 비록 레비나스와 마리옹에게 현상학은 신학을 대체할 수 없고, 양자가 서로 거리를 확실하게 유지해야 하지만, 현상학이 계시와 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암시함으로써 신학적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것이 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