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장철근비 변화에 따른 재생골재 RC보의 휨 강도

        전소진,윤용대,이우진,강성덕,서수연,윤승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5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 No.1

        Previous study on recycled aggregate(RA) has largely been limited to the manufacture of nonstructural-grade concrete due to undesirable physical properties of them such as, high water absorption leading to high water demand of concrete. The restriction seriously limits its market and consequently diminishes the use of RA as a construction material. This paper presents the flexural behavior of beam made of recycled concrete substituted by both waste foundry sand(WFS) and recycled coarse aggregate replaced with fine and coarse aggregate concurrently. From the test, specimens with high tension reinforcement ratio not less than 0.75ρ b showed high ultimate strength decreasing linearly after peak point due to the compressive failure of concrete. In case of specimens with under 0.5ρ b there was not strength decrement until the end of test by showing plastic elongation of tension reinforcement.

      • 재생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에 관한 연구

        전소진(Jeon So-Jin),김태호(Kim Tae-Ho),강성덕(Kang Seong-Duk),이우진(Lee Woo-Jin),서수연(Seo Soo-Yeon),윤승조(Yoon Seung-Joe)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5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주로 성토용, 도로용 사용되는 순환골재를 부가가치가 높은 콘크리트 제조용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KS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1종 재생굵은골재와 재생잔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보에 적용가능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동시에 폐주물사와 순환골재로 치환하여 인장 철근비가 변수인 재생콘크리트 보를 제작하여 휨 거동을 파악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인장철근비가 클수록 최대내력은 높게 나타났지만 인장철근비가 0.50ρ<SUB>b</SUB>이하인 시험체의 경우, 항복이후 최대하중에 이르기까지 하중변화는 거의 없으나 변위가 증가하는 소성구간이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Previous study on recycled aggregate(RA) has largely been limited to the manufacture of nonstructural-grade concrete due to undesirable physical properties of them such as, high water absorption leading to high water demand of concrete. The restriction seriously limits its market and consequently diminishes the use of RA as a construction material. This paper presents the flexural behavior of beam made of recycled concrete substituted by both waste foundry sand(WFS) and recycled coarse aggregate replaced with fine and coarse aggregate concurrently. From the test, specimens with high tension reinforcement ratio not less than 0.75 ρ<SUB>b</SUB> showed high ultimate strength decreasing linearly after peak point due to the compressive failure of concrete. In case of specimens with under 0.5 ρ<SUB>b</SUB> there was not strength decrement until the end of test by showing plastic elongation of tension reinforcement.

      • 재생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에 관한 연구

        전소진 ( Jeon So-jin ),김태호 ( Kim Tae-ho ),강성덕 ( Kang Seong-duk ),이우진 ( Lee Woo-jin ),서수연 ( Seo Soo-yeon ),윤승조 ( Yoon Seung-jo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5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주로 성토용, 도로용 사용되는 순환골재를 부가가치가 높은 콘크리트 제조용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KS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1종 재생굵은골재와 재생잔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보에 적용가능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동시에 폐주물사와 순환골재로 치환하여 인장 철근비가 변수인 재생콘크리트 보를 제작하여 휨 거동을 파악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인장철근 비가 클수록 최대내력은 높게 나타났지만 인장철근비가 0.50ρ<sub>b</sub>이하인 시험체의 경우, 항복이후 최대하중에 이르기까지 하중변화는 거의 없으나 변위가 증가하는 소성구간이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Previous study on recycled aggregate(RA) has largely been limited to the manufacture of nonstructural-grade concrete due to undesirable physical properties of them such as, high water absorption leading to high water demand of concrete. The restriction seriously limits its market and consequently diminishes the use of RA as a construction material. This paper presents the flexural behavior of beam made of recycled concrete substituted by both waste foundry sand(WFS) and recycled coarse aggregate replaced with fine and coarse aggregate concurrently. From the test, specimens with high tension reinforcement ratio not less than 0.75 ρ <sub>b</sub> showed high ultimate strength decreasing linearly after peak point due to the compressive failure of concrete. In case of specimens with under 0.5 ρ <sub>b</sub> there was not strength decrement until the end of test by showing plastic elongation of tension reinforcement.

      • 국내 연안에서 확보된 바다거북 폐사체 부검을 통한 바다거북의 피해사례 연구

        이혜림,장영혜,전소진,안용락,김민섭,김일훈,홍상희,문예림,최성준,김영준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20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07

        전세계 바다거북은 총 7종으로 모두 CITES 1급 및 IUCN 멸종위기종, 심각한 위기종 및 취약종 으로 지정·보호받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국내 연안 출현 4종(매부리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장수거 북, 푸른바다거북)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한 바 있다. 한편 2017년도에 올리브바다거북 사체 2구가 국내 연안에서 발견·보고됨에 따라 국내 출현 바다거북은 총 5종이다. 2017년 6월 서천 앞바다에서 붉은바다거북 사체가 발견되어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공동으로 부검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장내 이물질(비닐류 등)이 다량 발견됨에 따라, 국내 연안에서 발견되는 바다거북 사체 수집 체계를 구축하여 2020년 6월까지 총 51마리의 바다거북을 부검하였 다. 부검대상 바다거북은 붉은바다거북(Loggerhead sea turtle, Caretta caretta ) 27마리, 푸른바다 거북(Green sea turtle, Chelonia mydas ) 18마리, 장수거북(Leatherback sea turtle, Dermochelys coriacea ) 3마리, 올리브바다거북(Olive ridley sesa turtle, Lepidochelys olivaceas ) 2마리, 그리고 매부리바다거북(Hawksbill sea turtle, Eretmochelys imbricate ) 1마리 였다. 바다거북의 병력(history)은 대체로 알기 어려우며 대략적으로 파악했을 때에 정치망 등 혼획 42%이고, 좌초되어 발견된 비율이 41%였다. 국내 연안에서 바다거북 사체가 발견되는 시기는 대부 분 여름철과 가을철(6~9월 60.8% 및 6~10월 88.2%)이므로 신선한 사체의 비율이 낮았으며(12마리, 23.5%), 이는 부검 시 육안병변 관찰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검 시 확인한 바다거북의 육안병변 중 사람에 의한 이상 소견으로 가장 많이 관찰된 것은 위 장관 내 이물질(32마리, 62.7%)이었다. 그 다음으로 호흡기 내 다량의 액체 혹은 포말성 액체가 확 인되어 경우로 혼획으로 인한 질식·익사가 직접 사인인 개체가 6마리(11.8%), 마지막으로 선박 충돌 로 등갑 혹은 척주 골절이 발생한 경우가 2마리(3.9%)였다. 장내 이물질의 성상은 대부분 플라스틱 류였으며, 일부 금속물질(낚시바늘)이 포함되어 있었다. 장내 이물질로 인한 장병변으로 장겹침증(1 마리), 장막힘증(3마리), 장뚫림증과 이로 인한 복막염(5마리), 그리고 장점막 충출혈(3마리) 등이 확 인되었다. 그러나 장은 사후 부패가 빠른 장기 중 하나이며, 장내 먹이종류와 장염 등의 기저질환 여부, 그리고 사체의 부패정도에 따라 장상태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감염성 질병 등 후속 연구를 통 하여 종합적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번 부검을 통하여 사람에 의한 바다거북의 피해 사례는 부검 대상 51마리 중 40마리로 78.4% 를 차지할 만큼 높은 비율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국내 연안에서 생활사 일부를 보 내는 바다거북의 보전방안 마련을 위한 과학적 기반 자료로 활용되어야 하며, 높은 비율을 차지한 해양 쓰레기에 의한 해양생태계의 피해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발적인 플라스틱 소비 감소를 위한 사 회적 공감대 형성이 시급한 문제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