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王陵石人像硏究

        전나 동악미술사학회 2011 東岳美術史學 Vol.0 No.12

        조선왕릉은 조선의 최고 통치자인 왕의 무덤으로 왕릉 주변에 석물을 배치하여 무덤을 치장하였다. 조 선왕릉 석물은 조선 최고의 장인이 제작하여 석물의 조형성이 뛰어나다. 이 연구는 조선왕릉의 석물 중 에서 석인상의 조형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시대에 따라 양식적 특징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기존에 알려진 바와 다른 석인상의 제작 시기를 고찰하였다. 왕릉 석인상의 양식 변천은 평균적으로 50년의 분기에 따라서 변화가 이루어지며, 당시의 역사적인 변 화에 따라서 양식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우선 15세기 전기에 제작된 석인상은 조선의 기반을 갖추어가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에 아직 조선의 양식을 정립하지 못하고 고려 왕릉 석인상 양식의 영향을 강하게 받 았다.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왕릉 석인상은 일정한 양식으로 정립되지 못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두 번째로 16세기에는 조선왕릉 석인상의 성격을 영속적으로 왕릉으로 수호하는 인물로 규정하였다. 그래서 영구적으로 왕릉을 수호할 수 있도록 크고, 단순하게 제작되었다. 그런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이후 조선 왕실의 문화는 규범을 잃고, 모든 제도를 새롭게 시작한다. 왕실 미술품인 왕릉 석인상도 그러한 움직임이 보이는데, 17세기 석인상은 16세기와 마찬가지로 단순성을 강하게 보인다. 이렇게 16세 기부터 17세기 전반에 조성된 왕릉 석인상은 단순성을 보인다고 정의할 수 있는데, 16세기 석인상은 형 태의 단순성을 보이지만 17세기 석인상은 기법의 단순화로 확대된다. 세 번째로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제작된 석인상은 현실성을 보인다. 17세기 후반기 제작된 석인상은 전체적으로는 단순화된 윤곽선을 보이지만 세부적인 묘사에서 사실성이 보이며, 18세기 전반 기에는 복식의 전반적인 장식품이 석인상에 적용되었으며, 18세기 후반기 석인상은 자세와 안면 표현, 신체 비례 등에서 실제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실재성은 19세기 세도정치를 시작으로 종결되었다. 외척에 의한 왕권의 장악으로 인하 여 조선의 문화는 해이해지고, 왕릉 석인상도 전대의 사실성이 쇠퇴하는 경향을 보인다. 조선왕릉 석인상의 양식 분석을 토대로 기존에 알려진 바와 다른 조선왕릉 석인상의 제작 연대를 재 고해 볼 대상은 함경도 소재의 왕릉, 순조 인릉, 철종 예릉, 신덕왕후 정릉, 단종 장릉 석인상이 있다. 먼저 함경도 소재의 조선 왕릉은 현재까지 조선시대 제작한 왕릉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았으나 조선 건국 이후 태종대에 능을 이장하면서 새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조선 시대의 왕릉으로 구분해야 한다. 함경도 소재 왕릉의 석인상은 조선 전기의 모습을 다분히 보이고 있다. 순조 인릉은 19세기에 조성되었으나 인릉 석인상은 1446년에 제작한 소헌왕후 영릉의 석인상을 다시 사용하였다. 철종 예릉도 19세기에 조성되었으 나 예릉 석인상은 1544년 중종 정릉의 석인상을 다시 사용하였다. 신덕왕후 정릉은 1409년에 이장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되는데 정릉 석인상은 1583년에 새로 제작하였으며, 단종 장릉은 여러 차례에 걸 쳐 보수되었으나 장릉 석인상은 1580년에 새로 제작하였던 석물이다. 무덤은 보수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변화의 양상이 천천히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조선왕릉도 천 천히 변화하기 때문에 전시대를 통해서 파악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왕릉 석인상은 조선 왕실의 미술 품을 대표하며, 조선의 대표적인 인물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왕릉 석인상의 양식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살펴보았다. 앞으로 조선왕릉의 석물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조망하고, 사대부 묘의 석물에 대하여 고찰하여 조선 석조 미술의 범위를 확장하도록 하겠다.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陵) were decorated by stone figures(石物) which were placed around them. The stone statues(石人像) of royal tombs have outstanding formative beauty since they were made by the best craftsmen at the times. In this study, the formative beauty of stone statues, a type of stone figures of royal tombs, as well as how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tone statues with the time changed, are examined. The time of stone statues’production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is known to the general public are also inquired into. The style of stone statues had changed almost every 50 years with the historical changes. Firstly, stone statues made in the early 15th century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style of stone statues of royal tombs during the Koryo Dynasty since Joseon was not yet settled down to develop its unique beauty. Secondly, Stone statues produced in early 16th century have front, back and side that are clearly divided, and a cross section of the stone statues looks like a square-shaped which is different from real human body. The stone statues made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ies can be described to be shown simplicity, but the difference is stone statues in the 16th century show simplicity only in their shapes, but stone statues in the 17th century reveal simplicity also in the techniques. Thirdly, stone statues made from the late 17th to late 18th centuries display reality. Stone statues made in the late 17th century have a simplified outline, but demonstrated reality in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decoration of the dress and ornaments of the times were applied to those of stone statues. Stone statues in the late 18th century are similar to real human in their posture, facial expression and proportion. But, this substantiality ended with the start of the royal in-law government(勢道政治) in the 19th century. As held regal sway, the culture of Joseon Dynasty slackened and the reality of stone statues also had a tendency to dwindle. Based on the analysis of stone status styles, Stone statues placed in Ham Kyung province(咸鏡道), Illeung of King Sunjo(純祖仁陵), Yereung of King Cheoljong(哲宗睿陵), Jeongneung of Queen Sindeok(神德王后貞陵) and Jangreung of King Danjong(端宗莊陵) will be examined to see if the age of those stone status is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At first, the royal tombs located in Ham Kyung province(咸鏡道) which are generally unclassified as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shall be understood as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nnals(朝鮮王朝實錄). Illeung of King Sunjo(純祖仁陵) and Yereung of King Cheoljong(哲宗睿陵) were constructed in 19th century but stone status of those royal tombs were reused from Yeungreung of Queen Sohyun(1446) and Jeongreung of King Jungjong(1544). Finally, Stone status of Jeongneung of Queen Sindeok(神德王后貞陵) and Jangreung of King Danjong(端宗 莊陵) were newly sculptured in 1583 and 1580. Because the style of tombs tend to be conservative, the change of styles are also made slowly. Likewise, because Joseon royal tombs change slowly, i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entire Joseon dynasty. Among them, stone statues at royal tombs represent the artwork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are the major sculpture at that time. This study shows how changes took place in the feature of stone statues in royal tombs. A further study will examine the stone statues of the Joseon royal tombs at a broader perspective and closely analyze the stone statues of scholars’tombs, to widen the boundaries of stone statues arts during the Joseon times.

      • KCI등재

        조선왕릉 봉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일고 : 문헌에 기록된 석실과 회격의 구조를 중심으로

        전나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1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inner and outer structure of royal tombs that were built during the Joseon Period.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relevant historical records and they were restored through visual composition in order to compare the features of Joseon royal tombs with those of Goryeo royal tombs and common tombs of the Joseon Period.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re structurally solid and contain a variety of artistic ornaments that symbolize guardian deities both inside and outside to protect the owners of the tombs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such as Sejong sillok oryeui (Five Rites of State from the Annals of King Sejong) and Gukjo oryeui (Five Rites of State), it is presumed that the inner structure of royal tombs dating back to the early Joseon Period consisted of a stone chamber and that the byeongpungseok and nanganseok were built outside of the tomb. However, ever since King Sejo left it in his will not to make a stone chamber in his tomb, the royal tombs began to follow a new pattern, a burial pit outside the coffin filled with lime powder. Gukjo sangnye bopyeon (Supplement Book of the State Funeral Rites), which was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s a book that shows how the royal tombs were form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book explains in detail how lime powder was used to fill the burial pit of royal tombs. The byeongpungseok us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ere engraved with peony flowers, while those previously made were engraved with twelve spirit warriors. Peony designs were frequently used to decorate the items of royal families, and the use of peony designs in tombs reflects the idea of regarding the royal tombs as an everyday living space for the deceased. 본 연구는 사료를 통하여 조선왕릉의 내부와 외부 구조를 분석한 후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조선왕릉의 특징을 고려 왕릉, 조선 사대부 무덤과 비교하여 본 논문이다. 조선왕릉은 구조적으로 견고한 건축의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내부와 외부에 수호를 상징하는 미술 장식을 넣어 오래도록 왕과 왕후를 수호하도록 기원하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세종실록 오례의』와『국조오례의』가 남아 있어 이 사료를 통하여 조선왕릉의 내부는 석실이고, 외부는 병풍 석과 난간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세조가 자신의 능에 석실을 만들지 말라고 유언을 남긴 이후로 조선왕릉의 내부는 모두 회격이 되었다. 조선 후기에 조선왕릉의 조성 과정을 작성한 사료는 영조 때 편찬한『국조상례보편』이 있다. 이 책에는 조선왕릉을 회격으 로 조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이 나타나있다. 조선 후기에 조성한 왕릉의 병풍석은 십이지상을 새겼던 기존과 달리 모란을 새겨 넣는다. 모란은 궁궐의 장식화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조선왕릉에 모란이 나타난 점은 조선왕릉이 왕의 일상 공간이라는 인식이 반영된 점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왕실 명기의 변천

        전나나(Jeon, Na-Na) 한국역사연구회 2017 역사와 현실 Vol.- No.103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artifacts (Myeonggi, Bokwan) usually found inside Joseon royal mausoleums, as well as other records of such items. Artifacts excavated from royal tombs of Joseon were various, but they can be identified either as those which belonged to the king or those which belonged to the queen, by types of Bokwan utensils and the inclusion of weaponry. In the early years of Joseon gold and silver utensils were put inside the royal mausoleums, but since the days of Sejong such practice was banned, and the types and number of utensils allowed to be placed inside the tomb were strictly specified in official records including the “Five Ritual Protocols” of the Annals of Joseon King Sejong’s reign (“Sejong Shilok O’rye-eui”). Meanwhile, another practice that began in the Sejong days was putting musical instruments in the tomb, and lasted through the 17th century. Mausoleums from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period was never excavated, so we can consult artifacts that came from tombs of other members of the Joseon royal family. Collection of artifacts that belonged to figures such as On’nyeong-gun, Jeonseong-gun and Gwangcheon-gun reveal that utensils put in tombs slowly changed from ‘Buncheong sagi’ items to White porcelain. And the shapes and figures of them match how such items are generally portrayed in pictorials inside records such as Sejong Shilok O’rye-eui. In the Joseon period’s latter half, 『Juja Garye (Household protocols dictated by Ju Hi)』 was embraced by the public as a mainstream authority, and as a result types and number of utensils to be put in tombs were either simplified or reduced. Such trend was especially evident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s in mid-18th century ‘Mogin’ utensils were completely excluded, and some of the dining utensils and weaponry were dropped as well. Other tombs of royal family members reveal what began to be not put inside tombs either, and the collection of articles from Jeongjo’s mausoleum Geon’reuing of 1800 shows us that choice of buried items exactly matched how it was dictated in Euigwe materials. We can see that reigns of Sejong and Yeongjo were turning points in the early and latter halves of the Joseon period respectively in terms of ‘buried items.’ This shows us that traditions of the Joseon royal family changed over time. King Yeongjo, who had earlier experienced quite a lot of national funerals, was very active in trimming down unnecessary aspects in burial practices, and therefor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frugality as well as ritual protocols based upon such mentality.

      • KCI우수등재

        19세기 조선왕실 능·원의 천봉(遷奉)과 석물의 제작

        전나 한국미술사학회 2023 美術史學硏究 Vol.319 No.319

        조선 후기의 왕실 예전인 『국조속오례의』 에는 조선 전기와 달라진 예제를 적용하면서 ‘천장의’를 추가하여 무덤을 천봉할 때의 과정을 담았다. 이처럼 조선 후기는 전기와 달리 천봉이 본격적으로 행해지는데 이는 생전의 왕의 뜻과 달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15세기 태조, 태종과 세종은 왕후가 먼저 승하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수릉의 조성 및 능침사찰의 관리까지 관여하였다. 16-17세기는 예학에 맞게 추존을 중심으로 능을 천봉하여 예우하였고, 사친과 관련된 인물 무덤을 주로 천봉하였다. 반면에 19세기의 천봉은 사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무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철종 대에 천봉된 무덤은 대체로 순조, 순조의 사친,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의 무덤이었고, 두 번씩 천봉하면서 영조와 정조처럼 세자가 탄생하기를 기원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인하여 19세기의 능 석물은 새롭게 조성되는 경우가 드물고 기존에 능역에서 사용하였던 석물을 다시 사용하였으며, 새로 만드는 경우에도 조형미가 떨어진 형상을 보여 왕조 말기 미술의 해체적인 양식을 드러낸다. Kukchosogoryeŭi, the book of protocols for the late Chosŏn royal court, lists some rituals that have changed since early years of the dynasty. Ch’ŏnjangŭi, the process of relocating tombs is one of them. In late Chosŏn, royal tombs were actively relocated, unlike in early Chosŏn and mostly not in accordance with the dead monarch’s wishes. In the 15th century, T’aejo, T’aejong, and Sejong all outlived their queens and were able to prepare their own tombs and the management of the annexed Buddhist temple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most relocated tombs were of posthumously honored monarchs, who were the birth parents of reigning monarchs. In contrast, 19th-century transfers were directly related to dynastic successions. Tombs that were relocated during the reign of Ch’ŏlchong were those of King Sunjo, Sunjo’s birth mother, and the Crown Prince Hyomyŏng, the son of Sunjo. In even moving some tombs twice, Ch’ŏljong was looking to the precedence of Yŏngjo and Chŏngjo and hoping to beget a son. In the 19th century, it was rare for royal tomb sculptures to be newly made and sculptures from original tombs were reused instead. Although some were newly made, they generally do not hold up to the quality of the sculptures of the past and betray the falling standards of art at the royal court in late Chosŏn.

      • KCI등재

        Enhanced Sintering Behavior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Single Phase BiFeO3 Prepared by Attrition Milling and Conventional Sintering

        전나,문경석,Dibyranjan Rout,강석중 한국세라믹학회 201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9 No.6

        Dense and single phase BiFeO3 (BFO) ceramics were prepared using attrition milled calcined (coarse) powders of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 μm by conventional sintering process. A relative density of 96% with average grain size 7.3 μm was obtained when the powder compacts were sintered at 850oC even for a shorter duration of 10 min. In contrast, densification barely occurred at 800oC for up to 12 h rather the microstruce showed the growth of abnormal grains. The grain growth behavior at different temperatures is discussed in terms of nonlinear growth rates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The sample sintered at 850oC for 12 h showed enhanced electrical properties with leakage current density of 4 × 10−7 A/cm2 at 1 kV/cm, remnant polarization 2Pr of 8 μC/cm2 at 20 kV/cm, and minimal dissipation factor (tan δ) of ~0.025 at 106 Hz. These values are comparable to the previously reported values obtained using unconventional sintering techniques such as spark plasma sintering and rapid liquid phase sintering.

      • KCI등재

        덕수궁 중화전 당가 구조와 오봉병의 원형에 대한 고찰

        전나나(Jeon, Na-N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오봉병은 궁궐 정전과 편전, 왕의 초상화인 어진을 봉안하는 진전, 능의 침전 등에 설치하여 왕의 자리를 나타내며, 왕의 권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의궤와 근대 사진으로 파악한 덕수궁 중화전 오봉병은 1905년에 전수묵, 윤석영이 그린 회화이다. 덕수궁 중화전과 경복궁 근정전 오봉병에는 일월경을 걸었던 모습도 확인되는데, 중화전의 오봉병의 일월경은 제작에 필요한 재료와 수량도 알 수 있어서 의미가 있다. 궁궐 정전의 오봉병은 당가를 두고, 부벽화와 장지의 형태로 한 면만 설치되어 있으며, 혼전인 경효전과 홍릉, 유릉의 침전 내부에는 당가를 설치한 후에 삼면으로 설치하였다. 진전에서 오봉병은 창덕궁 신선원전처럼 열성어진을 봉안하는 경우 삼면으로 설치하였고, 단독 어진을 봉안하는 전주 경기전은 오봉병을 병풍 형태로 제작하여 한 면만 설치하였다. 조선 왕실에서 제작한 동관왕묘 오봉병은 7폭 병풍으로 병풍을 세우지 않고 펼쳐서 고정하였는데 감실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병풍을 펼쳐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봉병의 장황은 궁중 기록화와 근대 사진, 의궤 도설과 기록을 토대로 장황 비단을 추정할 수 있는데, 대체로 변아에 초록 비단을 두고 그 위에 금니로 마름모꼴이나 원형 꽃 문양을 그렸다. 오봉병의 뒷면은 청능화지로 배접하였다. 현존하는 오봉병의 장황은 동관왕묘와 창덕궁 신선원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물정도가 원형으로 여겨진다. 중화전 당가에 설치된 오봉병은 광복 전후의 시기까지도 일월경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대한제국 정권에 대한 불신과 일제 강점기 덕수궁의 장악에 대한 반감으로 인하여 일월경이 20세기 후반에 훼철되었다. 정전에서 오봉병은 왕과 황제의 권위를 드러내며 높은 어탑 위에 조성하였고, 한 면에만 오봉병을 설치하여 왕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드러내도록 하였다. 한편 삼면으로 오봉병을 두는 경우에는 장지형태로 배치하였으며, 감실로의 기능이 강조되는 경우가 다수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독특한 왕의 상징인 오봉병은 정전에서 대형의 부벽화로 제작하여 왕의 배경이 되었고, 장지와 병풍 등으로 제작하여 신주, 어진, 재궁 등을 봉안하는데 활용되기도 하였다. Folding Screens with Five Peaks(Obongbyeong) was usually placed behind the seats of Joseon kings in the throne hall(Jeongjeon), royal council hall(Pyeonjeon), and royal portrait shrine(Jinjeon), as well as in the ritual hall(Chimjeon) of royal tombs, to symbolize their royal authority. Old photographs and extant records of the royal protocols(Uigwe) show that the five peak screen placed in Junghwajeon Hall of Deoksugung Palace was mounted with a painting of the five holy peaks(Obong) produced in 1905 by Jeon Su-muk and Yun Seok-yeong. The Five Peak Screens placed in Junghwajeon Hall of Deoksugung Palace and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exhibit traces of the Sun and Moon Mirrors (Irwolgyeong) that were once hung on them. As regards the mirrors hung on the screen at Junghwajeon Hall, there are old records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ir materials and numbers. The Five Peak Screens placed in the throne hall of Joseon"s palaces were mounted on a single wall under a canopy, whereas those in the funerary shrine, Gyeonghyojeon Hall, and the ritual halls of Hongneung and Yureung Royal Tombs were mounted on three walls of the canopy. In the royal portrait shrines dedicated to numerous deceased rulers, such as Sinseonwonjeon Hall at Changdeokgung Palace, the Five Peak Screen was mounted on three walls, while in Gyeonggijeon Hall in Jeonju, which serves as a shrine dedicated to a single ruler, King Taejo, the screen was placed so as to cover only a single wall. As for the seven-panel Five Peak Screen enshrined at the Donggwanwangmyo Shrine,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by the royal family of Joseon, it was mounted on the wall in an unfolded rather than a folded state so as to stand on the floor independently, suggesting that it was common practice during the Joseon period to unfold the screen completely before mounting it on the wall when installing it under a canopy inside a shrine. According to the early photographs, court documentary paintings, and texts and illustrations of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the Five Peak Painting mounted on a folding screen was characterized by green silk edges on both sides, gold lozenge or round floral patterns on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and the use of indigo backing paper with a lozenge pattern. The Five Peak Screens in the Donggwanwangmyo Shrine and Sinseonwonjeon Hall are fine examples of the original Five Peak Painting mounted on a folding screen. The Five Peak Screen placed under the canopy of Junghwajeon Hall was fully preserved until the mid twentieth century, along with its Sun and Moon Mirrors. Unfortunately, the mirrors were removed from the screen and destroyed during the late twentieth century by someone who wanted to express his antipathy towards the government of the Korean Empire(1897-1910) and the subsequent domination of the imperial palace of Deoksugung by Japanese imperialists. The Five Peak Screen of the throne hall was typically placed on the wall behind the throne, mounted on a lofty dais, in order to symbolize the authority of the Joseon king or Korean emperor who sat upon it. Sometimes the screen was installed in a u-shape to highlight its function as part of the canopy. As mentioned so far, the Five Peak Painting mounted on a folding screen had previously served as a symbol of Joseon"s rulers in the throne hall, where it functioned as the backdrop of the throne, and was also used to honor the spirit tablet, portrait and coffin of the dynasty"s deceased rulers.

      • KCI등재

        기혼남성의 추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전나,조복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저출산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기혼남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 양육 부담감, 역할 만족도, 출산장려정책 인지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고, 추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서울・경기・인천지역에 거주하는 만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기혼남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최종 188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배우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역할만족도가 높을수록, 출산장려정책인지도가 높을수록, 배우자가 취업하지 않았을때 「남편과 아내 모두 자녀출산을 원함 」범주에 드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내만 원함」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기혼남성의 역할만족도가 낮을수록, 배우자가 취업하지 않았을때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남편만 원함」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 적을수록, 배우자가 취업 하였을때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남편과 아내 모두 자녀출산을 원치 않음」의 경우는 현재자녀수가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