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8-아미노우고닌 유도체의 Prostaglandin $E_2$ 생성에 대한 저해작용

        장진희,신관석,김현표,박해일,Jang, Jin-Hee,Sin, Kwan-Seog,Kim, Hyun-Pyo,Park, Hae-Il 대한약학회 2008 약학회지 Vol.52 No.1

        8-Acyl and 8-sulfonylamidowogonin analogues were synthesized as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s. Nitration of 5,7-dihydroxyflavone (chrysin) followed by methylation of phenol groups and reduction of nitro group yielded 8-aminowogonin analogues. Acylation and sufonylation of 8-aminowogonin followed by demethylation reactions gave the title compunds. The synthesized wogonin analogues showed much reduced inhibitory activity on prostaglandin $E_2\;(PGE_2)$ produc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사고 기능 유형 타당화 연구

        장진희 ( Jin Hee Jang ),최연희 ( Yeon Hee Choi ),권동택 ( Dong Taik Kw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 시기에 적합한 사고 기능들을 유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생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된 사고 기능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종합하여 초등학교 사고 기능 유형화를 위한 예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초등학교 교사 102명에게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사고기능 유형화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초등학생을 위한 사고 기능은 문제해결학습 활동, 프레젠테이션 활동, 관찰 학습 활동, 탐구학습 활동, 재구조화 활동, 의사결정 활동의 6개로 유형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활동 유형별로 사고 기능의 목록을 제시함으로써 학습활동에서 활용할 사고기능을 파악하고, 사고 기능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향후 사고 기능을 교육과 정에 반영하기 위한 연구 등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ink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survey on categorization of think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by synthesizing think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carried out by 102 elementary teachers and factor analysis was done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for thinking skill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There were 6 factors such as problem-solving learning activity, presentation activity, observational learning activity, inquiry learning activity, restructuring activity and decision making activity. This study is useful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 can know which thinking skill use in the activity and give the guidelines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instru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on the study of thinking skil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 차량 동역학 측면에서의 동적 전복 특성에 관한 연구

        장진희(Jin-Hee Jang),존 캐리에(John A. Carrier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4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paper, an approach on the dynamic rollover characteristics has been introduced and explained using some of the latest information from NHTSA. A new NCAP test has been announced by NHTSA including Static Stability Factor and Fish-Hook test which is a dynamic test for the prediction of dynamic rollover propensity. From 2004, a new star rating on rollover propensity results of new cars has been issued by NHTSA to US customer. Until now the rating is an only reference data for the purchasing process of customer. Basically, it is not a regulation item of car makers, but information for the selecting their own cars. This rating is an index for the rollover risk for each vehicle. In the near future, this rating may be a critical data for the sales of cars in US, especially, for SUV. Therefore, we have to understand the status of rollover related research in the world and have to prepare with the change of market requirements and information of customer. This dynamic rollover related topic is a research area of vehicle dynamics parts before crash and rollover. The star rating on the rollover is based on the huge rollover crash information and vehicle basic dimension like as tread and height of center of gravity data. Also, a dynamic test result has been adopted as a scaling factor for the compensation of static criteria for the decision making on the rollover propensity. The start point on this approach for rollover related topic is the exact measuring basic dimensions and the clear understanding of rollover mechanics based on vehicle dynamics. We have to make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consideration of rollover at the early design stage before the major freezing. Finally, basic rollover mechanics, parameters of dynamic rollover, strategy on rollover mechanics, and the state-of-the-art of dynamic rollover related topic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생이해 요인 분석

        장진희 ( Jin Hee Jang ),이정표 ( Jung Pyo Lee ),정지선 ( Jin Sun Jung ),권동택 ( Dong Taik Kw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생이해 요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하여「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생이해 검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를 초등학교 교사 270명에게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생이해 요인으로 학습태도 요인, 개인별 학습 양식 및 요구 요인, 교사-학생 관계 요인, 정보처리능력 요인, 학급 풍토 요인, 신체 능력과 자존감 요인, 학습시 또래 관계 요인의 7개 요인이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 이해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자신이 교수효과와 관련된 학생의 제 영역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교사의 교수 향상에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교수효과와 학생이해 연구 등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fact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sub-elements inquir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The results were based on 270 elementary teachers` responses from which a factor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for the factor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s follows : Seven factors were identified: learning attitudes, learning styles and needs of individual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ies, classroom climate, physical competence and physical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in learning. This study is useful to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of students for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a study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사고력 신장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고 기능 범위와 계열 설정 기초 연구

        장진희 ( Jin Hee Jang ),정미향 ( Mi Hyang Jeong ),권동택 ( Dong Taik Kwo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의 사고력 신장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고 기능의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사고 기능을 초등학교의 어느 학년 수준에서 가르치기 시작하는 것이 적합한지 초등학교 학년별 사고 기능 목록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학년별 사고 기능 목록의 구축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학자, 교육관련 기관, 여러 나라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포함되어 있는 사고 기능을 조사하여 사고 기능을 선별하기 위한 기초 목록을 작성하였다. 둘째,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사고 기능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사고 기능의 학년별 적합성을 판단하여 저, 중, 고학년별 사고 기능 목록을 작성하였다. 셋째,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년별 사고 기능의 적합성을 재검증하고, 적합성이 낮은 사고 기능은 적절한 학년으로 재조정하여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학년별 사고 기능 목록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사고 기능으로는 총 36개가 선정되었으며, 초등학교 학년별 사고 기능으로는 저학년 8개, 중학년 19개, 고학년 9개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시기별 사고 기능 목록을 구축함으로써 초등학교 사고력 신장 통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ope and sequence of thinking skills for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ement of thinking-ability in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research procedure was as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the inventory of thinking skills was constructed by arrangement of the thinking skills that scholars and institutions for education suggest and contained thinking skills in the standards of curriculum. Second, as a result of first Delphi examination, the list for thinking skills was mad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ose skills was sorted out by each grade. Third, as a result of second Delphi examination, the thinking skills by each grade were verified and those not judged appropriate were readjusted the grade. Finally, the thinking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mposed of 36. And the thinking skills were composed of 8 for the lower grades , 19 for the middle grades, and 9 for the higher grad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hinking skill`s item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grade to begin teaching were constructed.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for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ement of thinking-ability in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