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라지 부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장주리 ( Joo Ri Jang ),황성연 ( Seong Yeon Hwang ),임선영 ( Sun Young L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1

        We explored the effect of extracts of dried Platycodon grandiflorum on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lutathione (GSH) and nitric oxide (NO).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presence of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DCFH-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employed.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ic (MeOH) extracts of P. grandiflorum reduced intracellular ROS levels. Of the various tested fractions, n-BuOH fraction showed the highest protective effect in terms of lipid peroxide production. Total GSH levels were measured after treatment of HT1080 cells with the A+M and MeOH extracts, and other solvent fractions, at various concentration. The A+M extacts and 85% (v/v) aqueous MeOH fr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GSH levels (p<0.05). Whe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O production was evaluated, all tested crude extracts, and fractions thereof, significantly reduced NO production (p<0.05), and the n-BuOH and 85% (v/v) aqueous MeOH fractions (at 0.05 mg/mL)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BuOH fraction inhibited both cellular oxidation and NO production, and this fraction may thus contain valuable active compounds.

      • KCI등재

        건조 비트(Beta vulgaris) 추출물의 Cell System에서 항산화 및 항암 효과

        장주리(Joo Ri Jang),김경근(Kyung Kun Kim),임선영(Sun-Young L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7

        저온 진공 공정으로 건조된 비트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이들 비트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의한 인체 결장암 및 위암세포에 대한 증식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A+M 추출물은 0.5 ㎎/mL 첨가농도에서 65%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p<0.05),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음을 관찰하였다. 건조 비트 추출물을 hexane, 85% aq. MeOH, BuOH, water로 다시 추출하여 얻어진 각각의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특히 hexane 및 85% aq. MeOH 분획물은 낮은 농도에서부터 활성을 나타내어 0.5 ㎎/mL 농도에서 76% 이상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p<0.05)를 나타내었다. 인체 위암세포(AGS)에 대한 결과에서 A+M 추출물은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암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높았고,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앞서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비해 다소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다. 건조 비트 추출물의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hexane과 85% aq. MeOH 분획물은 앞서의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결과와 유사하게 낮은 농도에서부터 활성이 나타나 0.25 ㎎/mL 이상의 농도에서 77% 이상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 내 활성산소종 억제 실험에서 건조 비트 A+M 및 MeOH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측정시간 120분 동안 500 μM H₂O₂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억제시켰다. 건조 비트 분획물들을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했을 때 첨가농도 0.1 ㎎/mL로 처리하였을 때 BuOH 분획물을 제외한 기타 분획물들의 경우 control군보다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첨가농도 0.25 ㎎/mL에서 85% aq. MeOH 분획물은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키는데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었고 hexane과 BuOH 분획물은 500 μM H₂O₂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서는 활성산소종을 감소시켰으나 blank 군보다는 높았다. 따라서 세포 내 활성산소종 감소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85% aq. MeOH 분획물에서 높았고 water 분획물의 효과가 가장 낮았음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beet (Beta vulgaris)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in cell systems and on the growth of cancer cell lines (HT-29 human colon cancer and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were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n the growth of HT-29 and AGS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inhibitory effect was more significant on the growth of AGS cells and A+M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MeOH extracts. The treatments of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s (p<0.05). Among fractions, hexane and 85% aq. methanol fractions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DCHF-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The A+M and MeOH extracts of dried beet appear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OS) with dose responses. Among the fractions, 85% methanol fractions showed a higher protective effect on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ake of dried beet may improve oxidative stress in cell and reduce cancer risk.

      • KCI등재

        저온진공건조 참치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장주리(Joo Ri Jang),김경근(Kyung Kun Kim),문수범(Soo Beom Mun),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5

        저온 진공 공정으로 건조된 참치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이들 참치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의한 인체 결장암 및 섬유육종세포에 대한 증식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건조 참치의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을 0.5, 1, 및 5 ㎎/ml의 농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암세포 증식을 억제시켰으며(p<0.05), 특히 A+M 추출물이 MeOH 추출물에 비하여 그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건조 참치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분획물들의 경우 특히 hexane과 85% aq. MeOH 분획물들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높았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결과로 A+M 추출물은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다소 암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낮았으나 5 ㎎/ml의 첨가농도에서 95%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p<0.05), MeOH 추출물도 앞서 A+M 추출물 결과와 유사하게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비해 낮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지만, 첨가농도 5 ㎎/ml에서는 93%로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건조 참치 분획물들의 경우도 앞서의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와 유사하게 모든 분획물들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효과가 높은 것을 살펴 볼 수가 있었고,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서도 hexane과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항암효과가 우수하였다. In vitro 항산화실험에서 건조 참치 A+M 추출물 및 MeOH 추출물을 농도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였을 때 A+M 추출물(10 ㎎/ml 농도)를 제외하고 측정기간 120분 동안 모든 추출물들이 blank군과 control군에 비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감소시켰다. 건조 참치 분획물들 중 BuOH 및 85% aq. MeOH 분획물들은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감소시키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tuna on the growth of cancer cell lines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n the growth of HT1080 and HT-29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inhibitory effect was more significant on the growth of HT1080 cells, and A+M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MeOH extracts. The treatments of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s (p<0.05). Among the fractions, hexane and 85% aq. methanol fractions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a DCHF-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All fractions, including crude extracts of dried tuna, appear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ith dose responses (p<0.05). Among the fractions, BuOH and 85% methanol fractions showed a higher protec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umption of tuna may be recommended as a potent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cellular oxidation and cancer.

      • KCI등재

        연구논문 : 붉은 양파 분말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장주리 ( Joo Ri Jang ),권선진 ( Sun Jin Kwon ),임선영 ( Sun Young L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9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4 No.6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onion powder dried using the low temperature vacuum method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was 17.95%, while the vitamin C content was 96 mg/100 g and the total phenols content was 39.1 mg/mL. The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f the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1080 and HT-29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inhibitory effect was greater on the growth of HT-29 cells, while the A+M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MeOH extracts. Treatment with the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of the extract led to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 lines (p<0.05). Among the fractions, the hexane and 85% aq. methanol fractions showed a greater inhibitory effect.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a DCFH-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All fractions, including the crude extracts of dried red onion, appeared to lea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se reductions occurred in a dose dependent fashion (p<0.05). Among the fractions, the 85% methanol fraction showed the greatest protec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 KCI등재

        건조 고등어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및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장주리(Joo Ri Jang),최형주(Hyung-Ju Choi),김경근(Kyung Kun Kim),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5

        본 연구에서는 건조 고등어를 용매별로 추출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 감소 효과와 인체 결장암 및 섬유육종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A+M 추출물 및 MeOH 추출물과 각 분획물들을 5 ㎎/ml 및 10 ㎎/ml의 농도로 HT1080 섬유육종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blank군과 control군과 비해 측정 시간 120분 동안 계속적으로 세포 내 활성산소종 크게 감소시켰다(p<0.05). 건조 고등어 추출물의 hexane, BuOH, 85% aq. MeOH, water 분획물들도 첨가농도 5 ㎎/ml에서 측정 시간 120분 동안 계속적으로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키는데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었다(p<0.05).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 증식 억제 실험에서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은 둘 다 가장 낮은 농도인 5 ㎎/ml에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p<0.05). 건조 고등어 추출물을 hexane, BuOH, 85% aq. MeOH, water로 다시 추출하여 얻어진 각 분획물을 20 ㎎/ml의 농도로 HT1080 세포에 처리했을 때도 우수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p<0.05)가 나타나 A+M 추출물 및 MeOH 추출물과 유사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결과로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은 HT1080 섬유육종세포의 결과보다는 다소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낮았으나 10 ㎎/ml 및 20 ㎎/ml의 첨가농도에서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p<0.05). 건조 고등어 추출물의 85% aq. MeOH, hexane, BuOH, water 분획물을 20 ㎎/ml의 농도로 인체 결장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각각 80%, 88%, 96%, 96%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p<0.05)를 보였다. 고등어는 고도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지질 산화의 용이성이라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고등어 유기용매 추출물은 세포 내 활성산소종 크게 감소시켰으므로 고등어에는 천연 항산화성 물질을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지질과산화물로 인한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예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mackerel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and growth of cancer cell lines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DCFH-DA (2',7'-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All fractions including crude extracts of dried mackerel appear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0.05). Among the fractions, 85% methanol fraction showed a slightly higher protective effect on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n the growth of HT1080 and HT-29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and the inhibitory effect was more significant on the growth of HT1080 cells. The treatments of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s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umption of mackerel may be recommended as a potent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cellular oxidation and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