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복 용매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항산화 활성

        임선영(Sun 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7

        본 연구에서는 전복을 동결 건조시킨 후 전복의 지방산을 비교 분석하였고 세포독성 활성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전복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방산 조성 변화를 살펴보면 포화지방산들 내에서는 16:0의 함량이 건조 전복에서 높았고 불포화지방산들 내에서는 건조 전복의 경우 낮은 함량의 20:4n-6와 높은 함량의 22:6n-3를 나타내었다. 전복 A+M 추출물을 0.05 및 0.1 mg/ml 첨가농도로 HT-29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24%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MeOH 추출물의 경우 A+M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 효과가 낮았다. 건조 전복의 각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세포독성 활성이 가장 높았다(p<0.05).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에서 낮은 농도에서는 MeOH 추출물보다는 A+M 추출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분획물들 간 큰 차이는 없으나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생성 억제효과가 다소 높아 36%의 활성산소종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raw and dri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balone extracts on cytotoxic activ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Dried abalone was extracted with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and the extracts were fractionated using n-hexane, 85% aq. methanol (MeOH), butanol (BuOH), and water. Cytotoxic activity against HT-29 cancer cell lines was determin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fluorescence sensitive dye, 2’-7’ dichlorofluorescein-diacetate (DCFH-DA).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abalone was higher (22:6n-3) than that of raw abalone, and it had a lower percentage of 20:4n-6 than raw abalone. Analysis of cell viability showed that the crude extract treatments and fractions were cytotoxic, suppressing the growth of HT-29 cancer cell lines (p<0.05). The A+M extract showed a higher cytotoxic effect on the growth of HT-29 cells compared to the MeOH extract. Among the fractions, the 85% aq. MeOH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ity against the growth of HT-29 cells. The highest activity in terms of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likewise obtained with the use of 85% aq. MeOH.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85% aq. MeOH fraction has a potent inhibitory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 KCI등재

        임신기부터 성장기 동안 Docosahexaenoic Acid 보충에 의한 흰쥐의 공간기억력 개선 효과

        임선영(Sun 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0

        SD계 흰쥐를 사용하여 motor activity 실험에서 동물들의 자발적인 운동성을 측정한 결과, 주어진 시간 내 움직인 시간과 움직인 거리에는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 group)과 DHA가 첨가된 식이군(Def +DHA group)간에 유의적 차이를 관찰할 수가 없었다. 학습효과 실험에서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 group)의 경우 목적 플래트폼까지 걸리는 시간이 DHA 첨가 식이군(Def +DHA group)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길었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수영한 거리(swimming distance)와 수영 속도(swimming speed)의 경우 수영 속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 group)의 경우, DHA 첨가 식이군(Def +DHA group)에 비해 수영 풀에서 움직인 거리가 유의적으로 길었다(p<0.05). 두 식이군의 흰쥐들이 수영한 시간(swimming time)과 쉬고 있는 시간(resting time)의 경우, 쉬는 시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수영 시간 또한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Def group)로 사육된 쥐가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쥐(Def +DHA group)보다 수영한 시간이 유의적으로 길었다(p<0.05). 기억력 테스트에서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 group)의 경우 원래 A 지역에 대한 기억이 낮아서 A 지역을 지나가는 횟수가 다른 지역 B, C, D를 지나는 횟수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반면, DHA가 첨가된 식이군(Def +DHA group)의 경우 목적 플래트폼이 있었던 A 지역에 대한 기억으로 다른 지역인 B, C, D보다 지나가는 횟수가 유의적으로 많았음을 관찰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신에서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로 사육된 쥐와 비교할 때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흰쥐가 Morris water maze를 이용한 공간기억력실험에서 우수한 기억 학습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가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n-3와 n-6 지방산의 균형적인 섭취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docosahexa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deficient diet on improvement of learning related brain function was investigated. On the second day after conception, Sprague Dawley strain dams were subjected to a diet containing either n-3 fatty acid deficient (Def) or n-3 fatty acid deficient + docosahexaenoic acid (Def+DHA). After weaning, male pups were fed on the same diet of their respective dams until adulthood. Motor activity and Morris water maze tests were measured at 10 weeks old. In motor activity te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ving time and moving distance between the Def and Def+DHA diet groups. The n-3 fatty acid deficient with DHA (Def+DHA) group exhibited a shorter escape latency, swimming time and swimming distance (P<0.05) compared to the n-3 fatty acid deficient group (Def)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ting time and swimming speed between the experimental diet groups. In memory retention trial, the number of crossing of the platform position (region 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other regions for the Def+DHA group. However, the Def group swam randomly without preference for the previsions platform location, indicating poorer memory retention. From those results, supplementation with DHA into the n-3 fatty acid deficient diet improved the spatial learning ability in rats as assessed by Morris water maze test.

      • KCI등재

        노인 당뇨병 환자의 짝 활동 기반 건강코칭 프로그램 효과

        임선영(Lim, Sun Young),김남희(Kim, Nam Hea) 한국보건간호학회 2020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34 No.3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a pair-work based health coaching program for the self-care of elderly diabetic patients effects the patients’ diabetes self-management knowledge, perceived social support, diabetes self-efficacy, and diabetes self- management behavior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5 elderly diabetic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enrolled at elderly welfare centers in U city;26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group coaching sessions and four sessions of phone-based individual interviews and coaching, that were implemented once a week for 12 weeks.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care knowledge, social support, diabetes self-efficacy, self-management behavior, fasting blood sugar and glycated hemoglobin level. Conclusion: The health coaching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self-management of elderly diabetics.

      • SCOPUSKCI등재

        된장의 in vitro Sulforhodamine B(SRB) Assay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임선영(Sun-Young Lim),박건영(Kun-Young Park),이숙희(Sook-Hee Rh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1

        된장의 항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SRB assay에 의한 저해 실험을 이용하여 된장, 콩관련 발효식품 및 원료인 콩과 콩/밀가루의 항암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AGS 인체 위암세포, Hep 3B 인체 간암세포 그리고 HT-29 인체 결장암세포에서 첨가농도 2㎎/assay의 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55%, 60% 그리고 71%의 SRB assay에 의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다른 콩관련 발효식품 및 원료에 비해 항암 활성 효과가 높았다. 또한 된장의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극성이 다른 용매로 더욱 분획하여 얻어진 각각 분획물들의 SRB assay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된장의 분획물들 중에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이상의 여러 암세포들의 증식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의 경우 인체 골육암세포인 MG-63의 증식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불의 경우는 인체 간암세포 Hep 3B의 증식 억제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된장은 다른 발효식품과 원재료 콩보다 더 큰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in vitro 항암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Growth inhibitory effect of doenjang(Korean soypaste) methanol extracts in SRB assay using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 Hep 3B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was studied. The treatmen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2㎎/assay) to the AGS, Hep 3B and HT-29 cancer cells inhibited the growth of the cancer cells by 55%, 60%, and 71%, respectively. Doenjang methanol extracts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among other soybean fermented foods and original materials in the SRB assay. In addition, to separate active compounds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 we fractionated the doenjang with hexane, methanol,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Growth inhibitory effect on the AGS, Hep 3B, HT-29 and MG-63 cancer cells was the highest in the fractions of dichloromethane and ethylacetate among other solvent fractions of the doenjang. These results showed that some compounds contained in the fractions of dichloromethane and ethylacetate might playa role on the anticanceric effect of doenjang.

      • KCI등재

        인공 사육 동물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n-3 지방산 결핍이 쥐의 뇌, 망막,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인공 사육 모델 시스템과 인공 쥐용 분유를 이용하여 출생 직후 12시간 이내에 엄마 쥐들로부터 신생쥐를 분리하여 n-3 지방산 결핍분유와 n-3 지방산 적절분유로 3주 동안 사육한 후(이유기) 각각 장기들을 취하고 또한 성숙 쥐(15 wks)의 뇌, 망막, 간을 취하여 뇌 성장 발달 과정동안 n-3 지방산 결핍이 이들 장기들의 지방산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유기와 성숙기 쥐의 뇌지방산 조성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n-3 지방산 결핍군의 경우 n-6 지방산의 함량은 높았으나 (p<0.05),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과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낮았고(p<0.05), 총 saturated 지방산의 경우는 변화가 없었다. 기대했듯이 뇌 DHA의 경우 n-3 지방산 결핍군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이유기 때 50%, 성숙기에는 70%까지 감소하였고 반면 n-6 계열인 DPAn-6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이유기의 망막의 총 saturated 지방산과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에는 식이군 사이에 변화가 없었고 22:4n-6, DPA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성숙 쥐 망막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20:4n-6, 22:4n-6, 22:5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p<0.05). 특히 n-3 결핍군의 망막 DHA는 이유기 때 57% 감소에서 성숙기에 63%까지 감소하였다(p<0.05). 간의 경우, 이유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DHA는 65% 감소한 반면 간의 DPAn-6는 59% 증가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이유기의 간 지방산 조성과는 대조적으로 성숙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18:2n-6, 20:3n-6, 20:4n-6와 22:4n-6 지방산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것과는 달리 DPAn-6의 함량이 n-3 지방산 적절군보다 143%까지 증가되었음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이상의 장기들의 n-3 지방산 결핍군은 이유기와 성숙기에서 DPAn-6/DHA비와 n-6/n-3비 또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컸으나(p<0.05) DPAn-6와 DHA의 합에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뇌 성숙 발달 과정 동안 n-3 지방산 결핍은 뇌의 DHA의 결핍을 초래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DPAn-6의 증가를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와 공간과 후각에 기초를 하는 기억 학습 능력 저하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Docosahexaenoic acid (22:6n-3, DHA) is highly enriched in membrane of brain and retin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n optimal func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rat brain, retina and liver fatty acyl composition at two different ages (3 wks and 15 wks) under DHA deficient condition. Rat pups born to dams fed a diet with 3.1% of total fatty acids as α-linolenic acid (LNA) were fed using an artificial rearing system either an n-3 deficient (n-3 Def) or n-3 adequate (n-3 Adq) diet. Both diets contained 17.1% linoleic acid (LA) but the n-3 Adq diet also contained 3.1% LNA. Rats consuming the n-3 Def diet showed a lower brain (50% in 13 wks and 70% in 15 wks, p<0.05) and retinal (57% in 13 wks and 63% in 15 wks, p<0.05) DHA than those on the n-3 Adq diet, which was largely compensated for by an increase in docosapentaenoic acid (22:5n-6, DPAn-6). In the liver of the n-3 Def group, the percentage of DHA decreased by 97% at 3 wks of age with an apparent increase in DPAn-6 relative to the n-3 Adq group (p<0.05), while there was a 65% lower liver DHA in n-3 Def group at 15 wks of age than the n-3 Adq group (p<0.05). Liver arachidonic acid (20:4n-6, AA) was increased at 3 wks of age but decreased at 15 wks of age in the n-3 Def group compared with n-3 Adq group (p<0.05). In conclusion, the replacement of DHA by DPAn-6 in brain and retina fatty acid composition may be related to the suboptimal function in spatial learning, memory and visual acuity. This artificial rearing method presents a first generation model for n-3 deficiency that is similar to the case of human nutrition that commonly employed two generation model.

      • KCI등재

        한국산 현미 및 율무 추출물에 의한 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0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양질의 영양소를 가진 현미 및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Ames test를 이용한 돌연변이 억제 실험에서 AFB1 (0.6 mg/plate)에 대해 현미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70% 및 76%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60% 및 76%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도 현미 및 율무 메탄올 추출물들은 첨가농도 5㎎/plate에서 각각 79% 및 69%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위암세포(AGS)에 현미 메탄올 추출물을 5, 10, 20 ㎎/㎖의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현미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첨가농도 20 ㎎/㎖일 때 77%의 증식억제효과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에서도 이들 현미 및 율무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부터 그 억제효과가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on mutagenicity using Ames test and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Both treatments of methanol extracts (5 ㎎/assay) from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to Ames test system inhibited aflatoxin B₁ (AFB₁) induced mutagenicity by 76%. In case of N-methyl-N'-nitro-N-nitrosoguamidine (MNNG) induced mutagenicity, the methanol extracts (5 ㎎/assay) from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showed 79% and 69% inhibitory rate, respectively and the inhibitory effect was a little stronger in Orysa sartiva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on the growth of AGS and HT-29 human cancer cells were increased as dose dependent patterns and the inhibitory effects on AGS and HT-29 cells were similar.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umption of these cereals, which contain many nutrients with good quality, may be recommended as potent functional foods for improving health.

      • KCI등재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DNA 합성 저해 효과

        임선영(Sun-Young Lim),이숙희(Sook-Hee Rhee),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6

        본 연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원재료인 콩과 밀가루의 메탄올 추출물과 비교하면서 여러 인체 암세포들의 성장 억제 실험과 DNA 합성 저해 실험을 행하였다. AGS 인체 위암세포의 경우 첨가농도 200 ㎍/mL에서 콩된장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80%, 78%의 저해효과를 가졌으며 청국장 메탄올 추출물은 65%, 일본의 미소 메탄올 추출물은 54%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결과에서도 콩된장과 70% 콩된장의 경우, 첨가농도 200 ㎍/mL에서 각각 77%, 73%의 저해효과를 가지는 반면, 청국장, 일본의 미소는 각각 60%, 56%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콩과 콩/밀가루의 경우 각각 56%, 4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도 이상의 간암, 위암세포의 결과와 유사하게 증식억제효과를 보여 콩된장과 70% 된장 메탄올 추출물이 각각 86%, 87%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다른 콩관련 발효식품들과 원재료 콩에 비해 큰 활성을 보였다. 또한 DNA 합성 저해 실험에서 AGS 인체 위암세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 100 ㎍/mL, 200 ㎍/mL 투여시에는 각각 65%, 76%의 DNA 합성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고, 반면 콩의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100 ㎍/mL, 200 ㎍/mL 때 각각 47%, 68%의 DNA 합성 저해 효과를 가졌으며 된장의 경우보다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 100 ㎍/mL, 200 ㎍/mL 투여시 각각 43%, 59%의 DNA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부터 된장이 다른 콩 발효식품 및 원재료 콩보다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DNA 합성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은 콩만으로 3개월간 발효시킨 된장의 우수성과 함께 발효과정을 거치는 동안 원재료인 콩에서는 없었던 혹은 함량이 적은 성분들이 생성되거나 증가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Doenjang (Korean soy paste) is one of the popular soybean based fermented food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rowth and DNA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 o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Hep 3B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In order to determine an anticancer effec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 other soybean fermented foods and original materials were compared. The treatmen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 (200 ㎍/mL) to the AGS, Hep 3B and HT-29 cancer cells inhibit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by 80%, 77% and 86%, respectively. Compared to other soybean fermented foods and original materials, doenjang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ory effect on different cancer cells. In addition, doenjang methanol extracts (200 ㎍/mL) significantly inhibited DNA synthesis of AGS and Hep 3B cancer cells by 76% and 5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is anticancer effect of doenjang may be due to specific active compounds, which will be newly produced during soybean fermented process and not contained in soybean.

      • KCI등재

        콩 종류별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비교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0

        본 연구에서는 대두와 검정콩에 속하는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실험에서 간접돌연변이원인 AFB1에 대해 모든 종류의 콩 메탄올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으로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p<0.05). 대두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검정콩들인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효과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검정콩 중에서 약콩이라고 불리는 서목태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가 높아 첨가농도 5 ㎎/plate일 때 8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한 각 종 콩 메탄올 추출물들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AFB1에 대한 효과와 유사하게 검정콩 중 서목태에 의한 효과가 높았으며 첨가농도 2.5 및 5 ㎎/plate일 때부터 각각 58% 및 61%로 돌연변이를 억제시켰다. 인체 암세포를 이용하여 대두 및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들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종류의 콩 메탄올 추출물(첨가농도 1 ㎎/㎖)을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5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대두보다는 검정콩에 의한 효과가 높았으며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61%, 70% 및 65%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효과가 대두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서목태 메탄올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는 살펴 볼 수가 없었다. 인체 간암세포(Hep 3B)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는 이상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보다 다소 낮았으나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1 ㎎/㎖에서 각각 51%, 59% 및 5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여기서도 서목태에 의한 억제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실험에서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억제 효과가 높았고 특히 소립 검정콩에 해당하는 서목태에 의한 생리활성이 우수하였으므로 검정콩에 많이 함유된 색소에 의한 효과라고 추정되며 여기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compar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yellow and black soybeans (black soybean, Seomoktae and Seoritae) on mutagenicity using the Ames tes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HT-29 human colon cancer, Hep 3B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n the Ames test system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aflatoxin B₁ (AFB₁)-induced mutagenic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reatments with the methanol extracts from either yellow or black soybeans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methanol extracts from various black soybeans tended to have a greater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those from yellow soybeans. As for N-methyl-N'-nitro-N-nitrosoguamidine (MNNG)-induced mutagenicity, the methanol extracts (5 ㎎/assay) from black soybean, Seomoktae and Seoritae showed 51%, 61% and 53% inhibitory rate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eomoktae, a type of black soybean, had a stronger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mutagens (both AFB₁ and MNNG). Methanol extracts from black soybeans showed an inhibitory rate of greater than 50%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HT-29 and Hep 3B) and the inhibi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methanol extract from Seomoktae.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methanol extracts from black soybeans showed stronger inhibitory effect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cancer cells than those from yellow soybean. It is concluded that intake of black soybean can be recommended for improving health.

      • KCI등재후보

        빈티지스타일 웨딩 연회 연출 연구 -2012년 해외 아웃도어 웨딩 사례를 중심으로-

        임선영 ( Sun Young Lim ),신지윤 ( Ji Yoon Shin ),이진민 ( Jin Min Rhie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2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7 No.-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type of wedding design in associated with Vintage style by analyzing overseas outdoor wedding reception cases based on understanding in terms of vintage and wedding. Modern people who are exhausted by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in 21 century and rapidly changing era recognize the past in a new way. Also try to build more differentiated images to emphasize their individuality in a standardized social environment with mass production. These movements arose the nostalgia for nature and concerned for old things that represented through the style of such as vintage, ethnic, hippy etc. over the all kind of design. In this study, I chose a field of wedding as a one of kind that is the most significant event in a lifetime regardless of era and culture and analyze overseas outdoor wedding reception cases in the year 2012. As a substitute for the similar form of wedding design that is prevailed in Korea, I analyze these wedding cases that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nd to seek the artistic value of natural vintage weddings. Furthermore, to suggest the new wedding design and coordination which engage well with ecological flow.

      • KCI등재

        필수 지방산 조성이 다른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투여가 흰쥐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0

        선행된 연구에서 나타난 n-3 지방산 결핍 식이에 DHA 첨가는 뇌 기능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에 DHA 첨가는 유의적 뇌 기능 향상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수 지방산 함량이 다른 식이, 즉 n-3 지방산 결핍 및 적절군에 각각 DHA를 첨가하여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의 체중 및 뇌의 무게는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이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뇌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n-6계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20:4n-6 및 22:4n-6의 함량도 이 식이군(Def)에서 높았으나 18:2n-6 및 20:3n-6의 함량은 낮았다(p<0.05).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은 예상했듯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른 식이군들과 비교했을 때 약 64% 감소됨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또한 n-6/n-3의 비도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3.35로 식이군들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흥미로운 것은 n-3 지방산 결핍에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의 경우, 뇌의 22:6n-3 함량이 13.1%로 n-3 지방산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뇌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게 n-6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p<0.05), n-3 적절군(Adq)의 경우, DHA 첨가군(Adq+DHA)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n-6계 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N-3 결핍군에 DHA의 첨가군(Def+DHA)은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이 n-3 결핍군(Def)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p<0.05). 특히 이 식이군(Def)의 22:6n-6의 함량은 n-3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n-3 지방산이 결핍된 동물(Def)의 간에서 18:3n-3의 함량을 거의 찾을 수가 없었으나 DHA 첨가군(Def+DHA)의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n-3 지방산 결핍군(Def)의 경우 거의 모든 18:3n-3가 생체 내에서 고도로 불포화된 지방산으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이 결핍된 군의 경우 DHA 첨가로 인하여 뇌 DHA 함량 증가와 더불어 뇌 기능이 개선되었음을 살펴 볼수가 있었다. 반면 이미 뇌의 DHA가 포화상태인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의 경우 DHA의 부가적인 첨가는 뇌기능 향상면에서는 유의적 효과가 나타내지 않았음을 뇌의 지방산 조성으로 확인 할 수가 있었다.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ocosahexaenoic acid (DHA) supplementation into n-3 fatty acid deficient diet improved spatial learning perform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in related function when DHA was added into a n-3 fatty acid adequate diet.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ding DHA into an n-3 fatty acid deficient or adequate diet on brain and liver fatty acid composition. On the second day after conception, Sprague Dawley strain dam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n-3 fatty acid deficient (Def), n-3 fatty acid deficient plus DHA (Def+DHA, 10.2% DHA), n-3 fatty acid adequate (Adq, 3.4% linolenic acid), and n-3 fatty acid adequate plus DHA (Adq+DHA, 3.31% linolenic acid plus 9.65% DHA). After weaning, male pups were fed on the same diets of their respective dams until adulthood. In bra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Def group showed a lower brain DHA (64% decrease), which was largely compensated for by an increase in docosapentaenoic acid (22:5n-6). Brain DHA in the Def+DHA group was increased to almost the same extent as in the Adq and Adq+DHA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Liver fatty acid composition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the brain, but liver DHA in the Def+DHA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the diet groups. In conclusion, n-3 fatty acid deficiency from gestation to adulthood leads to decreased brain DHA, which has been shown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poor spatial leaning performance. Thus, adequate brain DHA levels are required for optimal nervous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