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암에서 RUNX3 발현의 임상적 의의

        장성화,신동규,김일명,유병욱,윤진,박상수,강성구,이윤경,허수학,조익행,Jang, Sung-Hwa,Shin, Dong-Gue,Kim, Il-Myung,You, Byung-Ook,Yoon, Jin,Park, Sang-Su,Kang, Sung-Gu,Lee, Yun-Kyung,Heo, Su-Hak,Cho, Ik-Hang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4

        목적: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3 (RUNX3)는 새로운 tumor Suppressor로써 최근 많은 연구들이 여러 암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위암에 대한 임상연구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위암조직에서의 RUNX3의 발현율과 임상적 의의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서울의료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은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에서 적출된 위 조직으로 만들어진 파라핀 블록을 이용해 위암조직 124예를 채취하여 RUNX3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확인한 후 비교분석 하였다. RUNX3 염색결과는 핵과 세포질에서 양성과 음성으로 나누어 각각 판독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11.0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61세($33{\sim}87$세)였으며 남자 81명(65.3%), 여자 43명(34.7%)으로 1.9 : 1이었다. 위암조직에서 RUNX3의 발현율은 59.7% (74/124명)이었으며 위암세포에서 주로 세포질에 발현되었다. 위암조직의 분화도에 따른 RUNX3 발현의 차이에서 분화도가 양호한 경우의 발현율(핵내: 9.1%, 세포질: 57.0%)에 비해 분화도가 나쁜 경우 발현율(핵내: 5.2%, 세포질: 46.6%)이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33). 위암조직에서의 RUNX3 발현 유무와 생존율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626). 5년 생존율과 연관지어 단변량, 다변량 분석 통계에서 의미가 있었던 것은 UICC TNM 병기뿐이었다(P<0.001). TNM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A-93.6%, IB-90.9%, II-81.7%, IIIA-30.0%, IIIB-31.3%, IV-22.7%였다. 결론: 위암조직에서 RUNX3 핵 내 발현이 위암조직의 분화도가 좋을수록 발현율이 높았다. RUNX3의 핵 내 발현율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단변량, 다변량 분석에서는 유의성이 없어 향후 이에 대한 좀 더 많은 증례로 유의성을 찾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RUNX3, a novel tumor suppressor, is frequently inactivated in gastric cance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pattern of RUNX3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cells from gastric cancer specimens and the impact of its alteration on clinical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4 samples of both gastric cancer and normal tissue were obtained from 124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at the Seou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5. RUNX3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based on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and differences in survival rat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 years, and the male:female ratio was 1.9:1. The expression rate of RUNX3 was 59.7% (74/124). The expression rate was higher in differentiated gastric cancers (nucleus: 9.1%, cytoplasm: 57.6%) than in the undifferentiated types (nucleus: 5.2%, cytoplasm: 46.6%) (P=0.133).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RUNX3 expression determined from cancer tissue were 88.9% for the nucleus $\pm$ cytoplasm(+) group of patients, 76.1% for the cytoplasm only (+) group of patients, and 65.3% for the RUNX3 negative expression group of patients (P=0.626). Only UICC TNM stag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related to the survival rate, as determined by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The RUNX3 expression rate was higher in differentiated gastric cancer than in the undifferentiated types without significance. Although RUNX3 expression predicted better survival,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find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 cases should be further evaluated.

      • KCI등재

        공군간부들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Sung-Hwa Jang),이상철(Sang-Chul Lee),함성수(Seong-Soo Ha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공군간부들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공군간부 211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셀프리더십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 하위변인인 자기기대와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은 행정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보상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대인관계, 보상체계가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셀프리더십 전체에서는 직무만족도의 행정과 대인관계,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의미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s and effects among ROKAF officer’s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ir self-leadership.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using 211 data.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leadership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subordinate factors among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elf-leadership, personal growth and controling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dministration of job satisfaction influenced self-expectation of self-leadership. For the self-reward of self-leadership, personal growth, meaning of life and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lationship and reward system of job satisfaction influenced it. Finally, as for the effects of subordinate factors among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elf-leadership, administration and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personal growth, meaning of life and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d i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特別寄稿) :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 문화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황윤미 ( Yoon Mee Hwang ),최성열 ( Sung Yeol Choi ),박영진 ( Young Ji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7 No.-

        본 연구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2개 중학생 238명과 2개 고등학교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447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작성한 47부를 제외한 총 400(중학생 208명, 고등학생 192)부를 가지고 SPSS WIN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또래관계, 인터넷 문화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인터넷 문화의 하위변인 중 아버지 개방형은 일상생활장애, 현실구분장애, 금단, 일탈행동, 내성, 어머니 개방형은 일상생활장애, 현실구분장애, 일탈행동, 내성, 어머니 문제형은 일상생활장애, 현실구분장애를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교제의 지속성, 아버지 문제형, 친구와의 신뢰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인터넷 문화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주요변수가 교제의 지속성에 있었기 때문에 또래관계 척도의 하위변수인 교제의 지속성와 인터넷 문화와의 관계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 of parent- 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34 students at two junior high schools and 216 students at two high schools located in Daejeon. 44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ut 47 questionnaires containing missing and unfaithful answers were excluded.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208 junior high school students, 192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8.0.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po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s, peer relationship and Internet addiction, father open mind type which is sub variabl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net addi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 variables except disturbance of daily living,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withdrawal, deviate behavior and tolerance. Mother open mind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 variables except disturbance of daily living,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deviate behavior and tolerance. Mother problem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 variables except disturbance of daily living and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variables which explain Internet addiction very well were the duration of friendship, father problem type and reliability with friend. As a result, since the main variable to predict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is duration of friendship,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necessity to conduct more in-depth study about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friendship which is the sub variable of scale for peer relationship and Internet addiction and to develop the program.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성화(Jang Sung Hwa),지명원(Chi Myong Won),이주연(Lee Ju Yeo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impact of the perceive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dependence. Among the data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data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 the second year (2018) were used, and a total of 2,547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withdrawal, academic helplessnes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Second, the social withdrawal in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are tardy is a factor that affects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s. Third, the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be late for school was a factor that affected the dependence of smartphones. Finally, it has been verified that academic helplessnes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impact of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depend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데이터 가운데 제2차년도(2018) 중학교 1학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전국의 중학교 1학년 총 2,5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적 위축, 학업무기력, 스마트폰 의존도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학업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무기력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민윤희 ( Yoon Hee Min ),이동률 ( Dong Ryul Lee ),이미애 ( Mi Yea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대전지역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지 20부를 제외한 총 345부를 가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하위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교환경적응은 창의성과 비본질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교사적응은 본질동기,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율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수업적응은 자율성, 비본질동기, 수업동기 그리고 본질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친구적응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생활적응은 본질동기, 계속동기, 내재적동기 그리고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적응 전체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인으로는 자율성, 비본질동기, 내재적동기, 본질동기, 그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dapt to the school to verify the effect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to 365 people attending was conducted, except the vegetative part of the response over 20 have a total of 345 parts by SPS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8.0. The first, study i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ll the sub-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reativity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on-intrinsically motivated, adapt to the nature of a school teacher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utonomy, significant impact, adaptation of school autonomy, non-intrinsically motivated, motivation, and classroom significant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chool friend adaptation of a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assessment of the impact is significant, the nature of school adjustment motivation, continued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assess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In addition, school adjustment of the variables that best explain jeoncheeul autonomy, non-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in order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variety of approaches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장성화 ( Sung Hwa Jang ),최은희 ( Eun Hee Choi ),이주연 ( Ju Ye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 일상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 분석,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과 일상생활스트레스,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effect of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on adjustment to schol life and everyday life stres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study targeted at 321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tudy used SPSS 20.0 program to collect the data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djustment to school,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shows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go-resilienc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veryday life stress, and also between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Secondly, regard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result shows that 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was higher.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n everyday life stress shows that 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everyday life stress was lower. Lastl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was working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negative(-) effect on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was working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 KCI등재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장성화(Sung-Hwa Jang),박영진(Young-Ji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 간의 상관계수와 이들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족건강성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과정에서 학교적응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371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1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의 하위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이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학교적응이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factors such as the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and their subordinated factors. The research is going to clarify if school adjustment ha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371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eing in Dadjeon-cit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0.0, the maz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Second, the subordinated factors in the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regulation are also closely related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excepting school adjustment. After conducting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we found that it was appropriate to explain our findings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hen the family health has an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the school adjustment partially influences this process.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ddressed.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Sung-Hwa Jang),구승신(Seung-Shin Koo),이주연(Ju-Ye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전과 서울 지역에 소재한 4개의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변인들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어머니의 애정,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편집증만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상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거부, 애정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적대감이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거부,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적대감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거부, 애정태도, 대학생의 적대감과 편집증은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거부적, 애정태도가 높을수록, 적대감, 편집증이 지각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s raising attitudes, mental health o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f university students. 312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Seoul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ru convenient sampling and conduc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 of parents raising attitudes, mental health an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re as follows: subordinate variabie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father-refusal, father-overprotection, mother-refusal, mother-overprotection, compulsiveness, depression, paranoia, psychosis; socially-imposed perfectionism and father-love, phobia, somatic were found significant. Secondly, multiple regression are as follows; the influencing variable o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re mother-refusal, mother-overprotection, compulsiveness and paranoia, but another variables excepting these variabies were not relevant variabies.

      • KCI등재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Sung-Hwa Jang),천영희(Young-Hee Chun),함성수(Seong-Soo Ha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우관계와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3개의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우관계,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갈등 및 불신과 대학환경적응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갈등해결, 문제의 부모, 인정과 관심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 외 모든 하위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활 부적응에 대한 예방과 대학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심층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여러 가지 정책에 대하여 시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peer relationship and the dysfunctional family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415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province. A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er relationship, dysfunctional family and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all of the subvariables except for conflict, distrust and university of adaptation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order of significance, conflict resolution, problem parents, recognition and attention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ed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is has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misfit university students, the related program development, and various policy establishments.

      • 휴대폰 중독 수준에 따른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의 관계 연구

        장성화(Jang Sung Hwa),박영진(Park Young Ji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수준을 비중독집단, 의존집단, 중독집단으로 나눈 후, 정신건강,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등의 심리적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서울지역 중학생 191명(52.9%)과 고등학생 170명(47.1%)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을 제외한 총 36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상위 25%, 중간 50%, 하위 25%로 구분하여 SPSS 15.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별은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학교급별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정신건강,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의 모든 변인들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다회귀분석 결과, 휴대폰 중독을 가장 많이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는 정신건강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본 연구는 제한점,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looked in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dividing mobile phone addiction into a non-addicted group, a dependent group, and an addicted group. The subjects of study were 361 students in two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respectively,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SPSS 15.0 by dividing into the top 25%, middle 25%, and the bottom 25%. As the result of study,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In addition, as to every sub-area of mobile phone addiction and mental addition, i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mobile phone addict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variables of teenagers' mobile 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self-control, and self-esteem.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among the variables Mental health explained mobile phone addition the m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