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휘관 의사결정시 인지적 편향의 감소와 휴리스틱의 활용

        임현명,강용관,노명화 육군군사연구소 2016 군사연구 Vol.- No.142

        Military commander’s decision making has been considered as a key element of deciding the destiny of nations. To help the right decision making of commanders,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which are classified into scientific approach and artistic approach. However, the two approaches are much limited in helping commanders to carry out the right decisions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the human cognitive limitation and they provoke fantasy about the commander's ability. Several researches on human cognitive biases and heuristics in cognitive psychology illuminate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limitations of human decision making, which had been ignored in traditional studies, and suggested mechanism to make efficient decisions in bounded rationality. To find out the substitutes for the limited traditional approaches about military commander’s decision mak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three matters. First, it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scientific approach and the artistic approach. Second, it illustrates human cognitive bias and suggests possibilities of manifestation of human cognitive bias in a commander's decision making. Third, it suggests two representative heuristic skills and reviews their usefulness. This study will not only suggest profound understanding and insight of military commanders' decision making but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alternatives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ir decision making. 군 지휘관의 의사결정은 전투의 승패는 물론 부대원들의 생명을 결정하고,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다. 지휘관의 올바른 의사결정을 담보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는데 이는 크게 과학(science)적 접근과 술(art)적 접근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접근을 기초로 한 지휘관 의사결정에 대한 논의는 인간 인지능력의 한계를 간과하고 비범한 지휘관에 대한 환상을 유발함으로써 올바른 의사결정을 제한하는 맹점이 있다. 의사결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를 통해 확인된 인간의 인지적 편향과 휴리스틱은 기존의 전통적 논의들이 간과한 의사결정의 내재적 한계와 외재적 제약을 조명하고 제한된 합리성 안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지휘관 의사결정에 관한 전통적 접근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써 인지적 편향과 휴리스틱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지휘관 의사결정에 대한 전통적 관점인 과학적 접근과 술적 접근을 정리하고 각각이 가진 한계를 제시하였다. 둘째, 인간이 가진 인지적 편향을 설명하고 지휘관 의사결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지적 편향과 이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의사결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두 가지 대표적인 휴리스틱을 기술하고 각각이 가진 효용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지휘관 의사결정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통찰을 제시할 뿐 아니라 지휘관들의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발전시키는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현대 심리전 양상과 미래 심리전 발전방안

        임현명,황현정,김용주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6

        Psychological warfare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in factors in achieving victory in war. Republic of Korea military has bee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warfare and since 1951 has been running psychological warfare organization since 1951. Not only in the military but also in the private sectors, many researchers have been conducting various psychological warfare researches, too. However, the existing psychological warfare approach has limited the subject of the psychological war to a specific country, and conducted the researches focused on past case analysis. As a result, the existing approach has been limited the development of future psychological development on an internation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modern psychology, to elucidate the factors that may influence future psychological warfare, and to suggest ways of developing future psychological warf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unt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has a general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warfare by summarizing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measures. Since the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sychological warfare used in the modern war that includes the Korean War, the Vietnam War, the Gulf War, the Afghan War, and the ISIL, the aspect of the modern psychological warfare is derived. Furthermore, based on the fiv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future psychological warfare (change of war pattern, development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weapons system, proliferation of democracy, deepening of ethnic, religious and cultural conflict),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sychological warfare will be suggest. This discussion will serve as a basis for review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psychological warfare for the national security from a futuristic perspective and establishing a long-term strategy to carry it out more effectively. 심리전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적의 전의(轉義) 상실을 강요하고 아군의 전의를 고양함으로써 전승(戰勝)을 달성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우리 군 또한 심리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1951년부터 심리전 전담 조직을 창설 및 운영해왔고, 군 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다양한 심리전 관련 연구를 수행해왔다. 하지만 기존 국내 심리전 관련 접근은 심리전 수행 대상을 특정국가로 한정 짓고 과거 사례 분석 위주의 연구에 머무름으로써 국제적 차원의 미래 심리전 발전을 제한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례 연구에 기초한 문헌연구를 통해 현대 심리전 양상을 분석하고, 미래 심리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한 뒤, 이를 바탕으로 특정국가에 국한되지 않는 미래 심리전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심리전의 개념, 특징, 주요 원리 등을 정리함으로써 심리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갖도록 하였다. 이후,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전(한국전, 베트남전, 걸프전, 아프간전,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에서 활용된 심리전의 양상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미래 심리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5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각각이 미래 심리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종합으로 미래 심리전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국가안보를 위한 심리전의 기능과 역할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 연구 : 특성 및 일일 핵심자기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현명(Hyunmyung Lim),정원호(Wonho Jeung)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5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3

        최근 들어 국내 청년층의 실업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취업난이 더욱 가중된 반면, 어렵사리 취업에 성공한 신입사원들 중 조직 및 직무 부적응으로 인해 1년 내 조기퇴사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모순된 사회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 날 정부, 교육기관, 기업 등 각계각층에서 청년들의 조직 및 직무적응 유도및 신입사원의 조기퇴사율 감소를 통해 청년과 기업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모순된 사회적 현상과 최근 그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신입구성원의 부적응 및 조기퇴사율 증가 문제와 관련하여,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이 신입구성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더불어 행 위적 탄력성 이론(Behavioral Plasticity Theory)과 자원보존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서 특성 및 일일 핵심자기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육군 상비사단에서 신병교육을 받는 218명의 훈련병을 대상으로 8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중 187명에 의해 작성된 187개의 특성 설문과 914개의 일일단위 설문을 바탕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리더가 일일단위 포용적 리더십을보일수록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 및 일일 정서적 몰입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신입구성원의 특성 핵심자기평가는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일일 핵 심자기평가는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는 일일 포용적 리더십이 일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효과를 부분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신입구성원의 특성 핵심자기평가는 리더의 일일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를 매개로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가 가진 한계와 더불어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During the recent years, one contradictory phenomenon increasing the un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and the early leave rate of the new recruits at the same time has been emerged in South Korea.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new employees that leave their first job due to the organizational or job maladjustment, various ways to derive the adaptation of new members and to reduce the early leave rate of them have been discussed in political, economical, educational, and many other fields. With respect to this social phenomen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newcomer’s organizational adaptation based on the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mechanism of trait and daily core self-evaluation based on the behavioral plasticity theory and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187 trait data and 914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87 trainees on the recruit training course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daily inclusive leadership of leader is positively related to daily core self-evaluation and daily affective commitment of newcomers. Second, while trait core self-evalu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daily affective commitment, daily core self-evalu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Third, daily core self-evaluation of newcomer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daily inclusive leadership and newcomer’s daily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rait core self-evalu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positive mediation effect of daily core self-evaluation between daily inclusive leadership and daily core self-eval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심리적 계약위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임현명(Hyunmyung Lim),노명화(Myunghwa Rho),정원호(Wonho Jeung) 대한경영학회 2015 大韓經營學會誌 Vol.28 No.10

        현대 조직은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조직에서 시행되는 다양한 변화는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해 암묵적으로 갖는 심리적 계약의 이행 또는 위반에 영향을 줌으로써 개별 구성원의 효과성은 물론 조직 전반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직이 경영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변화는 일반적으로 조직이 구성원들에게 제공하는 자원의 감소를 수반한다. 이러한 자원의 감소는 구성원이 조직과의 상호호혜적 교환에서 갖는 암묵적 기대를 의미하는 심리적 계약이 위반되었다는 인식을 야기할 수 있다. 자원의 감소로 인한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지한 개인은 조직에서 겪게 된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하여 긍정심리자본의 감소를 경험함과 동시에 자원의 항상성 파괴로 인하여 더 많은 스트레스를 지각할 수 있다. 또한 심리적 계약위반으로 인해 낮아진 긍정심리자본은 그 자체가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계약이론과 자원보존이론을 중심으로 조직의 변화로 인해 야기된 심리적 계약위반이 구성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경영효율화가 진행 중인 공공조직의 구성원 165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개인이 조직에 대하여 인식한 심리적 계약위반은 조직 구성원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이러한 심리적 계약위반은 개별 구성원의 심리적 자원인 긍정심리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은 심리적 계약위반과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개인의 심리적 자원인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현대조직의 변화관리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Modern organizations constantly change their processes and structures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continuous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s. The changes within organizations, however, may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well as organizations because those changes are likely to impact on the implicit psychological contracts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psychological contract theory and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employees’ stress. Moreover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ffects employees’ stress.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posed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employees’ stres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65 employees in the public organization which was o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for the management efficien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f employee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tress, which indicates that when people perceive that their organization violates psychological contract,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tress. Seco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mplies tha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s supposed to reduce the level of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focal people. Third, when employees have more psychological capital, they experience less stress. Finally,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stress.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iola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y organization might reduc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ir employees, which in turn have them experience high level of stress. Psychological capital reduced by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not only becomes the factor increases stress but makes the person not to be very efficient to handle stressful situations. These results suggest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shows the hidden mediating mechanism of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and stress.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at managers should recogniz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ontract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process of change management of organizations.

      • KCI등재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연구 :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와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임현명(Hyunmyung Lim),정원호(Wonho Je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이 정서적 몰입(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특성 및 상태적 핵심자기평가(core self-evaluation)를 중심으로그 메커니즘을 검증하고자 한다.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소속과 고유함의두 가지 대립되는 욕구를 동시에 충족하고자 하는데, 포용적 리더십은 이 둘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리더 행동이다. 따라서 리더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조직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기존 연구에서는 핵심자기평가를 주로 개인의 특성(trait)으로 간주하고 횡단연구를 통해 그 메커니즘을 검증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핵심 자기평가의 상태(state)적 속성에 주목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핵심자기평가의 특성적 속성과 상태적 속성을 동시에 고려한 종단연구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육군 상비사단 신병교육대 훈련병 218명을 대상으로 10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중 187명에 의해 작성된 914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가 포용적 리더십을 보일수록 구성원들의 상태적 핵심자기평가 및 정서적 몰입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적 핵심자기 평가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상태적 핵심자기평가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태적 핵심자기평가는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효과를 부분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특성적 핵심자기평가는 상태적 핵심자기평가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가 가진 한계와 더불어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an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mechanism of trait and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explains that individuals seek a balance between belongingness and uniquenes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nclusive leadership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eadership behaviors for the balance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n core self-evalu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Meanwhile, most of the research has considered core self-evaluation as a set of traits, but several recent studies verify a state-like aspect of core self-evaluation. Thus, this research adopts the two different aspects of core self-evaluation into one longitudinal model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in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For the hypotheses verification, 187 trait data and 914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87 trainees on the recruit training course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clusive leadership of a leader is positively related to a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Second, while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Third,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a trainee’s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positive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on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승리 접근 경험이 도박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영,현명 한국임상심리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ar misses and gambling severity on the persistence of gambling behavior. The near miss has been considered a factor which encourages people to gamble. Eighty-two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casino, a race track, and a bicycle race track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pathological gambler group and a recreational gambler group. The subjects in each of these groups were then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near misses. The results showed that, under near miss conditions, the pathological gamblers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nger response times and played the game significantly more than recreational gamblers. Response latencies were unaffec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near misses in either the pathological or recreational gambler groups, but the response latencies in the pathological group were nevertheles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recreational gambl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firm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on the effects of near misses and gambling severity on gambling behavior.

      • KCI등재

        Risk of Hepatitis C Virus Transmission through Acupunct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현명,김지훈,장정원,송정은,송도선,이혜원,조영윤,김기애,윤아일린,신동현,김순선,선영,양현,안지현 대한소화기학회 202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82 No.3

        Background/Aims: Chronic hepatitis C is a major risk factor for liver cirrhosis,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hepatic failure. Although traditional practices, including acupuncture, tend to increase the risk of HCV infection, the association remains controversial. Therefore, the current meta-analytical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isks of acupuncture and hepatitis C transmission. Methods: Two researchers independently screened studies from the databases encompassing the period from inception to May 12, 2022. Baseline demographics, HCV transmission OR, and 95% CIs were extracted, pooled, and analyzed using random-effect models. Subgroup analyses utilizing study design and ethnicity were performed. Heterogeneity and publication bias were analyzed using the Higgins I2 test and funnel plots, respectively. Results: In all, 28 studies with 194,826 participants (178,583 controls [91.7%] vs. 16,243 acupuncture users [8.3%])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pooled analysis showed that acupuncture us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HCV transmission rate than controls with heterogeneity (OR, 1.84 [1.46–2.32]; p<0.001; I2 =80%). In the subgroup analysis, both cross-sectional case-control (n=14; OR, 1.96 [1.47–2.61]; p<0.001; I2 =88%) and cross-sectional studies (n=12; OR, 1.85 [1.32–2.61]; p<0.001; I2 =0%)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CV infection rates in the acupunctur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oth Asian and non-Asian acupuncture users showed a higher HCV transmission risk than the controls (all Ps<0.001). No significant publication bias was observed.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acupuncture increases the risk of HCV transmission. Due to HCV's contagiousness, unsafe medical and social practices (including acupuncture) should be performed with caution.

      •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육사 리더생도 양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용관,유신,강원석,임현명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 Vol.34 No.2

        육군사관학교는 생도 리더십개발교육의 일환으로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구성과 내용 상 셀프리더십의 개발과 관련이 있지만 이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은 이루 어지지 않은 상황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실제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Kirkpatrick 의 4단계 평가모형 중 1,2단계에 의거하여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의 만족도 및 셀프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 로서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연구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들의 만족도는 7 점 Likert척도에서 5.7점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즉, 리더생도들은 교육 프 로그램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셀프리더십 차이를 비교하여 리 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 증을 실시한 결과,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셀프리더 십에 대해 유의미한 긍정적인 차이를 일으켰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평가 비교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셀프리더십 향상에 유의 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프로그램의 측면에서,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이 Kirkpatrick 평가모형의 1,2 단 계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거둠에 따라서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셀프리더십 개발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셀프리더십 개 발의 측면에서, 육군사관학교는 직무 만족, 조직 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임무형 지휘의 하위요소로 검증된 셀프리더십의 개발수단을 실증함으로써 사관생도들이 조직에 더욱 헌신할 수 있고, 육 군이 추구하는 임무형 지휘를 수행할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마 련하였다는데 시사점이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분석모델 정립연구

        신규용,김지원,임현명,김용주,유진철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8 No.6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ocial engineering techniques that indirectly attack the targetsystem administrators or organizational weaknesse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technical cyber attacks that directly attacked thetarget systems. Accordingly, the type analysis and case study of social engineering techniqu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here has been, however, little effort to derive an analysis model that systematically analyzes social engineering basedcyberspace opera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at building a Social Engineering Based Cyberspace Operations AnalysisModel, whi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framework for a case study or attack scenario generation of social engineeringbased cyberspace operations. 최근에는 목표시스템을 직접 공격하던 전통적인 기술적 사이버작전보다는 목표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이나 조직의 취약점을 우회적으로 공격하는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사회공학 사이버작전공격기법의 종류나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사례분석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분석모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사회공학사이버작전 수행단계와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의 대상이 되는 인간의 심리기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모형화한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분석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분석모델은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공격시나리오작성과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사례분석을 위한 기준 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