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재활 전공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참여 동기 및 장애요인이학업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

        임익재,황수진,한지용,고복순,박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 전공 성인학습자의 학습 참여 동기, 학습상의 장애요인과 이러한 변수들이 학업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평생교육단과대학 언어재활 전공 성인학습자 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외재적 동기와 학업만족도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구조적 장애요인과 성향적 장애요인은 각각 학업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 참여 동기는 학업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상의 장애요인은 학업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구조적 장애요인과 성향적 장애요인이 학업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및 제언: 전반적인 교육환경 개선을 통한 학습상의 장애요인 제고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기관으로 대학의 역할 확대 및 체제 개편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노년층 씹기 기능과 관련 정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검증

        임익재,김향희,이현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9 재활복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chewing function, chewing related quality-of-life-emotional, and depression among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analyze the effect among these variables. A total of 355 normal elderly completed the Swallowing Monitoring & Assessment Protocol (SMAP)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ive chewing function wa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emotional, which was also related with depression. Additionally, in the path analysis, the quality-of-life-emotional partially mediates the path between subjective chewing function and depression. From the results, we confirmed that chewing problems could affect chewing related emotions such as ‘less pleasure’, ‘upset’, ‘depressed’, and ‘stressed’. It is also expected the results to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to manage and to minimize on effect in the elderly who either present with chewing problems or are at risk for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정상 노화 과정의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씹기 기능, 씹기 관련 삶의 질-정서, 그리고 우울에 대해 조사하고, 변수 간 영향 관계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 자는 삼킴 평가 프로토콜(Swallowing Monitoring & Assessment Protocol, SMAP) 연구 참여자 중 일대일 설문을 통해 주관적 씹기 기능, 씹기 관련 삶의 질-정서,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평가를 모두 수행한 65세 이상 일반 노인 355명이었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주관적 씹기 기능이 저하 될수록 씹기 관련 삶의 질이 저하되었다. 씹기 기능과 우울 사이에서 삶의 질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삶의 질의 저하에 따라 우울 지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씹기 문제는 ‘즐거움이 줄었다’, ‘우울하다’, ‘속상하다’, ‘스트레스를 받는다’, ‘사람들과의 모임을 꺼린다’와 같이 씹기 관련 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씹기 문제와 우울 간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 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의 결과는 씹기 관련 삶의 질을 관리하고 우울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폐병변이 첫 증상으로 나타난 전신성 홍반성 낭창 2례

        임익재,정은희,명나혜,이인선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7 No.1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is a chronic and multisystemic disease. Pleuropulmonary disease in SLE has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such as immunologic pneumonia, infectious pneumonia, interstitial lung disease, pulmonary hypertension, pulmonary hemorrhage, pleuritis and pleural effusion. It can manifest as an initial clinical finding of SLE. We experienced two cases; one case of pulmonary hemorrhage and one case of atypical pneumonia as an initial clinical manifestation of SLE. 전신성 홍반성 낭창은 여러 기관을 침범하는 질환으로 폐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일으키고 증상은 질환이 관련된 구조물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폐병변의 대부분은 전신성 홍반성 낭창의 경과 중 나타나며 질환의 첫 병변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흔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저자들은 폐병변이 초기 증상으로 나타난 전신성 홍반성 낭창을 2례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Bolus Consistency in Pharyngeal Transit Duration during Normal Swallowing

        임익재,김영선,Elizabeth Oommen,김현기,고명환 대한재활의학회 2012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6 No.2

        Objective To examine the eff ects of age, gender and bolus consistency in normal populations using the temporal measurement of Pharyngeal Transit Duration (PTD), which refl ects the duration of bolus fl ow from the ramus of the mandible to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 Method 40 normal and healthy subjects had Videofl u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s (VFSEs) of 5 ml thin and nectar thick liquids, and puree consistencies. A slow motion and frame by frame analysis was performed. Th re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ain eff ect and interactions, and paired t-tests for the three consistency comparisons. Results Older subjects had a significantly longer PTD than younger subjects (p<0.01). In addition, men had significantly shorter PTDs than women (p<0.01). Puree showed a significantly longer PTD than the other two consistencies,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p<0.05). Conclusion PTD is an indicative of motor weakness in pharyngeal swallowing secondary to aging. In addition, the results supported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functional diff erence in pharyngeal swallowing between men and wome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patients with dysphagia.

      • KCI등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간에 따른 삼킴 기능 변화

        임익재(Ikjae Im),고명환(Myoung-Hwan Ko)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8 재활복지 Vol.22 No.1

        본 연구는 2011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대학 병원에 입원 또는 재원중인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삼킴 장애 양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맨 삼킴 능력 평가(Mann Assessment Swallowing Ability)에 의해 178점 이하의 점수를 보인 삼킴장애 환자들로 이 기간 동안 최소 2회 이상의 비디오투시조영 삼킴 검사(videoflu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를 수행한 환자 10명 이었다. 또한 이들의 삼킴 문제를 비교하기 위해 나이와 성별을 고려한 정상 성인 8명이 대조군으로 참여하였다. 시간에 따른 삼킴 장애 및 삼킴 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통과시간, 인두통과시간, 후두폐쇄유발시간, 바륨 삼킴 검사(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 및 기능적 구강 섭취 척도(Functional Oral Intake Scale: FOIS)를 평가하였다. 삼킴 평가는 입원 후 일주일 이내에 이루어졌으며 기초선 평가 후 3 개월이 지난 뒤 재검사되었다. 연구 결과, 기초선 평가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는 정상인보다 지연된 삼킴 시간을 보였다(구강통과시간; z=-3.60, p<0.001, 인두통과시간; z=-2.77, p=0.004, 후두반응시간; z=-3.56, p<0.001). 만성 뇌졸중 환자군은 3개월 이후에도 비슷한 수준의 삼킴 시간을 보여 삼킴 효율성은 개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MBSImP™ⓒ와 FOIS 결과에서 구강 단계의 삼킴 기능과 구강 섭취 능력이 두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MBSImP™ⓒ; z=-2.02, p=0.04, FOIS; z=-2.27, p=0.02). 3개월 후에 뇌졸중 환자는 구강 기능 및 구강 섭취 능력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부 삼킴 기능이 회복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 양상을 규명하고 호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문제를 관리하고 계획하는 기초 자료를 수립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swallowing function with chronic stroke patient. Ten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followed up for 3 months. Eight normal age match subjects were also participated. A total of 18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troke patient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Participants underwent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 The swallowing function was evaluated over time. Oral transit duration, pharyngeal transit duration, laryngeal response duration,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 and Functional Oral Intake Scale (FOIS) were applied. Chronic stroke patient group were showed significantly longer oral transit duration, pharyngeal transit duration and laryngeal response duration than normal control group at baseline. After 3 months in stroke patient group, the mean oral components score of MBSImP (1~5)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mean score on FOIS increased compared to baseline. In conclusion, oral swallowing function and oral intake function improved by the 3 month evaluation. These results describe changes in swallowing function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over time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s to understand dysphagia.

      • KCI등재

        Relationships between Temporal Measurements and Swallowing Impairment in Unilateral Stroke Patients

        임익재(Ikjae Im),고명환(Myoung-Hwan K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뇌 편측 손상에 의한 뇌졸중 환자의 삼킴 시간과 삼킴 장애와의 연관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또한, 손상 위치에 따라 삼킴 기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뇌 손상 위치와 삼킴 검사 결과 간의 연관 관계도 함께 조사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대뇌의 편측만 손상된 뇌졸중 환자 56명이었다(평균 연령=64.73세, SD=13.45). 뇌졸중 환자는 모두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비디오투시조영삼킴 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를 수행하였으며, 삼킴 평가에는 연한 농도의 액체 5 mL가 사용되었다. VFSS를 이용한 삼킴 기능 평가에는 수정된 바륨 삼킴 장애 프로파일(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과 삼킴 시간(구강통과시간, 인두통과시간, 후두폐쇄유발시간, 후두폐쇄지속시간)을 측정하였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변수 간 연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때 삼킴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병변 위치, 연령 등을 고려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뇌 편측 뇌졸중 환자는 연령이 증가할 수록 구강 삼킴 장애가 심해지고 후두폐쇄유발시간이 더 길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1). 후두폐쇄유발시간이 길어지면 구강 단계 삼킴 장애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후두폐쇄유발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후두폐쇄지속시간이 짧아지는 것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는 인두 삼킴 장애에도 영향을 주었다(p<.01). 우뇌 손상은 인두 삼킴 장애와 연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논의 및 결론: 편측 손상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를 예측하기 하기 위한 지표로서 MBSImP와 삼킴 시간 간 연관 관계를 살펴보았고 두 삼킴 결과 간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rimary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oral measurements and swallowing impairment. The secondary aim was to identify potential relationships among age, lesion side, clinical swallowing outcomes, fifty-six consecutive unilateral patients (mean age=64.73 years, SD=13.45, left damage=28 patients, right damage=28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thods: A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was performed using a single bolus of 5 mL of thin liquid. All patients completed both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nd VFSS. VFSS images were evaluated using the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 Kinematic aspects of swallowing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oral transit duration, pharyngeal transit duration, laryngeal response duration (LRD), and laryngeal closure duration (LCD). Path analyses were utiliz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 lesion side, temporal measurements, and MBSImP scor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vanced ag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oral swallowing impairment and longer laryngeal response in unilateral stroke patients (p<.01). In addition, longer LR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oral swallowing impairment (p<.05). Longer LRD and shorter LCD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pharyngeal swallowing impairment (p<.01). Right hemisphere dama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pharyngeal impairment (p<.01).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was the firs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oral measurements and MBSImP score, and the findings confirmed that swallowing outcomes via VFSS can provide physiologic evidence related to swallowing impairment in unilateral stroke patients. We discuss clinical markers to predict the risk of progression to swallowing impairments that may be useful as targets to effectively manage stroke patients with swallowing impairment.

      • KCI등재
      • 소아 급성 위장관염에서의 원인과 임상양상

        임익재 ( Ik Jae Im ),이미정 ( Mee Jeong Lee ),정은희 ( Eun Hee Chung ),유지숙 ( Jeesuk Yu ),장영표 ( Young Pyo Chang ),박우성 ( Woo Sung Park ),박귀성 ( Kwisung Park ),송낙수 ( Nak Soo Song ),백경아 ( Kyung Ah Baek ),차윤태 ( Yune 대한소아감염학회 200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3 No.2

        목 적 : 소아에서 흔한 감염성 질환인 급성 위장관염은 바이러스, 원충, 세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소아 위장관염의 다양한 원인에 대한 연구가 드물어 이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방문했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병원체의 원인과 임상양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설사, 구토 등의 위장관염 증상으로 단국대학교병원 외래를 내원하였거나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변검사는 총 17종의 원인 병원체에 대한 검사를 하였다. RT-PCR에 의한 norovirus, ELISA에 의한 rotavirus, astrovirus, adenovirus와 선택적 배지를 사용하여 Salmonella spp., Shigella spp., C. perfrigens, Campylobacter spp., E. coli, Vibrio spp., S. aureus, B. cereus, Yersinia spp., L. monocytogenes에 대한 배양검사, EIA에 의한 C. parvum, E. histolytica, G. lamblia에 대한 검사를 하였다. 원인별 임상양상에 대해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지를 검토하였다. 결 과 : 총 215례 환아에서 대변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중 89례(41.4%)가 양성을 보였다. 89례의 남녀비는 1.3:1, 평균나이는 25개월(3일~14세), 평균 입원기간은 3.4일(1~10일)이었다. 연령별로 1개월 미만이 4례(4.5%), 1~2개월이 4례(4.5%), 3~12개월 24례(26.7%)였고 13~48개월이 47례(52.8%)로 가장 많았으며 4세 이상이 10례(11.2%)의 분포를 보였다. 원인별로 바이러스가 68례(77.5%), 세균이 26례(28.9%), 원충이 21례(23.6%)에서 검출되었고 바이러스류에서는 rotavirus(50례), 세균류에서는 salmonella(10례), 원충류에서는 C. parvum(11례)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양성 환아의 22례(24.4%)에서 2종 이상의 혼합감염을 보였고 바이러스와 원충의 혼합감염이 가장 많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병원체들이 검출되었다. 이는 소아 급성 위장관염의 치료에 많은 정보를 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소아 급성 위장관염의 다양한 원인에 대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pidemiological data of pathogens obtained from stool exams and compare them with the clinical course in pediatric patients with symptoms of acute gastroenteritis. Methods : Subject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presenting with symptoms of acute gastroenteritis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or who were admitted to the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of 2004 to December of 2005. Stool exams for 17 pathogens was performed. RT-PCR was used to detect norovirus and enzyme-linked immunoabsorbant assay (ELISA) was used to detect rotavirus, adenovirus and astrovirus in the subjects stool samples. Ten different species of bacteria(Salmonella spp., Shigella spp., Clostridium perfrigens, Campylobacter spp., Escherichia coli, Vibrio spp.,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Yersinia spp., and L. monocytogenes) were each selectively cultivated and enzyme immunoassays(EIA) was used to test for antigens for C. parvum, E. histolytica and G. lambli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comparisons of clinical manifestations. Results : A total of 215 subjects was selected and of these 89 cases(41.4%) showed positive results for at least one pathogen. Male to female ratio was 1.3:1. Age distribution showed 4 cases less than one month(4.5%), 4 cases from 1~2 months(4.5%), 24 cases from 3~12 months(26.7%), 47 cases form 13~48 months(52.8%), 10 cases greater than 48 months (21.2%). Viruses showed the greatest proportion of cases with 68 subjects(77.5%), of these rotavirus being the most commonly reported in 50 cases. Bacteria was identified in 26 cases (29.2%), of these nontyphoidal salmonella was noted in 10 cases. Protozoa followed with 21 cases(23.6%), of these C. parvum was noted in 11 cases and G. lamblia was noted in 10 cases. Mixed infections with more than two pathogens were seen in 22 cases(24.7%), of these viral infection with accompanying parasitic infection was seen in 12(54.5%) case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examined various pathogens known to cause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Further studies for various pathogen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the acute gastroenteritis.

      • KCI등재

        MBSImP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 양상 분석

        임익재(Ikjae 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대표적인 후유증인 삼킴 장애의 양상을 14개의 하위 항목으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소뇌 천막을 기준으로 천막상 병변의 소견을 보이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 49명 이었다. 삼킴 문제의 양상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생리학적 근거를 조사하기 위해 모든 피검자에게 비디오투시조영 삼킴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삼킴 장애 평가에는 삼킴 장애 프로파일(The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이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뇌졸중 환자의 95.9% 는 입술 조절기능에서 문제가 있었고 98%는 혀 조절기능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환자의 57.1%는 음식물을 인두쪽으로 이동시키는데 문제가 있었으며 51%는 구강에 음식물의 일부를 남기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음식물이 인두족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일어나는 인두 삼킴 반사의 경우에는 89.8%의 환자가 지연된 삼킴 반사 증상을 보였으며 후두와 설골의 운동은 각각 42.9 %와 87.8% 환자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개는 환자의 18.4%가 이상 소견을 보였고 후두개의 경우에는 단지 4.1%만이 이상 소견을 보여 대체로 후두개 기능은 잘 보전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30.6%는 후두 폐쇄 기능에 문제가 있었고, 식도 근육의 경우에는 모든 환자(100%)가 이 근육의 상부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혀 기저부 움직임 또한 환자의 91.8%에게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두에 음식물을 남기는 증상도 91.8%의 환자에게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뇌졸중 환자의 삼킴 문제의 구체적 양상들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는 삼킴 장애 중재 및 치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Swallowing impairment is a frequent complication following stroke. The characteristics of swallowing impairment with stork patient can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at risk of dysphagia would be of great helpful. The present study examined oropharyngeal swallowing impairment with subacute stroke patients using the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MBSImP). The 49 consecutive patients with the supratentorial stroke met inclusion criteria for the present study.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f patients who underwent the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VFSS). Of Stroke patients, 95.9% exhibited abnormal function of lip closure. 98% and 57.1 % shown abnormal tongue function and lingual motion, respectively. Oral residue was present in 51% and delayed pharyngeal response was present in 89.9%. In addition, abnormal laryngeal and hyoid excursion was seen in 42.9% and 87.8%, respectively. Abnormal function of soft palate elevation was present in 18.4% and abnormal epiglottic movement was seen in 4.1%. 30.6% of 30.6% of these patients exhibited abnormal laryngeal closure. All of the stroke patients(100%) in this study exhibited abnormal pharyngeal stripping wave and pharyngoesophageal segment opening. Abnormal tongue base retraction and oral reside were present 91.8%,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stroke patient is more likely to exhibit reduced swallowing functions including lip closure, tongue control, initiation of pharyngeal swallow, anterior hyoid motion, tongue base retraction, pharyngeal residue and pharyngoesophageal contraction. Therefore, these data could provide valid and precise information regarding physiological evidence to delineate symptoms of dysphagia in this stroke cohort.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the bolus effect in the swallowing impairment.

      • KCI등재

        천막상 병변 뇌졸중 환자의 삼킴 시간과 흡인에 대한 음식물의 점도 및 양의 효과

        임익재(Ik Jae 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7 言語治療硏究 Vol.26 No.3

        Purpose: Diet modifi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common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for dysphagia, which isconsidered important for improving efficient and safe swallowing. However, to date, the effects of modification, involving liquid thickening and volume decreasing, are not ful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lus viscosity and volume on temporal measurements and aspiration of oropharyngeal swallowing in supratentorial stroke patients. Methods: Seventy-eight stroke patients (mean age=64) with supratentorial lesions participated and underwent both videoflur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s (VFSEs) and a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VFSE data recorded during swallowing tasks of 2cc thin liquid, 5cc thin liquid, and 5cc curd yogurt and VFSE data also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difference of bolus viscosity and volume. Temporal measurements of oropharyngeal swallowing from VFSEs data were used to measure the aspect of swallowing efficiency such as oral transit duration, pharyngeal transit duration, initiation of laryngeal closure and laryngeal closure duration. A penetration-aspiration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aspect of swallowing safety. Results: Oral transit duration for 5cc curd yogurt swallowing was shown to be longer than thin liquid swallowing. Pharyngeal transit duration for 5cc thin liquid swallowing was shown to be shorter than 2cc thin liquid swallowing. Scores on the penetration-aspiration sca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both viscosity and volume of blouses. Conclusions: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liquid thickening agents to enhance swallowing efficiency and safety in supratentorial strok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